[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9660B1 -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660B1
KR100679660B1 KR1020050065392A KR20050065392A KR100679660B1 KR 100679660 B1 KR100679660 B1 KR 100679660B1 KR 1020050065392 A KR1020050065392 A KR 1020050065392A KR 20050065392 A KR20050065392 A KR 20050065392A KR 100679660 B1 KR100679660 B1 KR 10067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nonwoven fabric
spunbond nonwoven
batteri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632A (ko
Inventor
최진환
김진일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5006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분할된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2종류 이상의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므로, 각 고분자 성분이 가지는 장점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여 기존의 미세 유리섬유 격리막이나 응결실리카와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격리막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세섬도의 필라멘트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공극이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 습윤성도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납축전지, 격리막, 스펀본드, 부직포

Description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A SEPARATOR OF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16분할의 오렌지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2는 16분할의 중공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3은 32분할의 국화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 공정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양극활물질(과산화납, PbSO4), 음극활물질(납, Pb), 전해액(황산, H2SO4), 및 격리막(separator)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고, 탈락된 활물질에 의한 단락(short)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격리막은 공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격리막의 공극 내부로 전해액이 스며들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허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양극활물질과 음그활물질, 및 전해액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발생된 이온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이것으로 인해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리막은 납축전지의 재충전시 발생하는 가스(H2, O2 등) 성분의 배출을 도움으로써, 납축전지 내부의 가스성분 누적에 의해 생기는 전해액 누출현상을 억제시키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격리막에 사용되는 재료는 탈락된 활물질에 의한 찢김 방지와 전지 제조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파괴 방지를 위한 강도가 요구되며, 균일하게 분포된 공극과 균일한 후도를 가져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용 격리막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미세 유리 섬유를 이용한 것으로서, 높은 공극률과 균일한 전해액 분포를 제공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응결 실리카를 이용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격리 막이라 불리는 것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격리막은 산습윤성(acid wettability)을 향상시키고, 격리막의 전기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실리카를 결합시키기 위해 폴리에틸렌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격리막 이외에도 면섬유와 합성섬유, 유리섬유 등의 혼합섬유 형태의 격리막도 사용되어 왔다.
상기 격리막은 우수한 산습윤성, 전해액 분포의 균일성, 및 높은 공극률의 장점을 가지지만, 이와 함께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미세유리섬유로 제조된 격리막은 파손저항이 낮아 상대적으로 활동이 많은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에 장착되는 납축전지의 경우에는 단락회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둘째, 응결실리카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격리막의 경우(미국특허 제4,024,323호, 및 일본특허공개 소54-143417호)에는 높은 공극률을 얻기 위해서 다공성의 무기충진재 함량을 높여 사용하여야 하지만, 무기충진재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격리막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지게 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초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공극률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2001-005879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충진재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표면처리는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다공성의 무기 충진제를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은 그 자체의 용융점이 낮기 때문에 격리막 자체의 내열성이 부족하게 된다.
셋째, 기타 혼합섬유 형태의 격리막들은 면섬유,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로 제조된 여과지에 수지를 침투시킨 형태로서 내산성이 약하고, 부족한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리섬유를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전해액에 대한 습윤성이 우수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분할된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 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분할된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분할형 필라멘트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이 각각 세섬도의 필라멘트 형태를 가지며 하나의 필라멘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필라멘트를 말한다.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의 분할 형태는 방사 구금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6분할 내지 32분할의 오렌지형, 중공형, 국화형 등의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도 1은 16분할의 오렌지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16분할의 중공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며, 도 3은 32분할의 국화형 단면을 가지는 분할형 필라멘트의 단면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3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에 포함되는 각 고분자 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 성분의 계면이 비상용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제2성분으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2성분계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성분인 폴리에스테르 및 제2성분인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20:80 내지 80:20인 것이 바람직하며, 30:70 내지 70: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가 20:80 미만으로 제1성분의 함량이 적은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에 의한 내열성 향상효과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며, 상기 중량비가 80:20을 초과하여 제1성분의 함량이 큰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에 의한 열접착이 용이하지 않아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제1성분인 폴리에스테르는 200 내지 260 ℃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성분인 폴리올레핀은 150 내지 170 ℃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성분의 융점이 200 ℃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향상 효과의 저하를 초래하며, 2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와의 높은 융점 차이로 인해 부직포의 열 접착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성분인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2성분인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분할된 세섬도의 필라멘트는 0.05 내지 0.2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섬도의 필라멘트의 섬도가 0.05 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극세사 섬유들의 강도가 낮아 공정 중 또는 사용 중에 절단 및 이로 인한 부유물 발생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쉬우며, 0.2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섬도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전해액의 습윤 속도가 저하된다.
상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스펀본드 방식으로 생산된 부직포로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세섬도 필라멘트 사이에 미세공극을 가지므로,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 전해액에 대한 습윤성이 우수하다.
다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습윤성을 높이기 위한 친수성 처리가 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처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에 수계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비닐알코올계 화합물,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로 처리된 것이거나, 계면활성제, 또는 플라즈마로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30 내지 40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30 g/m2 미만인 경우에는 얇은 후도를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기계적 강도가 약하며, 400 g/m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후도가 두꺼움으로 최종 전지 제조에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1차전지 또는 2차전지의 격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납축전지용 격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압출기(1)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고분자는 방사블록(2)을 통과하며 분할형 필라멘트(3)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는 다시 고속연신장치(4)를 통하여 연속이송 금속망(5)위에 웹(web)의 형태로 고착되어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다시 고압의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하는 분할장치(6)를 통과하여 분할형 필라멘트를 세섬도의 필라멘트로 분리시킨다.
상기 분리과정을 거친 스펀본드 부직포는 캘린더롤 또는 엠보스롤 등의 장치(7)를 통과하여 열융착된다.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의 제조 및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하는 단계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할형 필라멘트에 관한 내용은 앞서 기재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후에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각 성분의 계면간의 비상용적 성질을 이용하여 강력한 압력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에 50 내지 300 kg.f/cm2의 수압을 가하는 워터펀칭(water punch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에 가해지는 수압이 50 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각 고분자 성분의 분할이 원할하지 못하여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얻을 수 없게 되고, 전해액에 대한 격리막의 흡습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수압이 300 kg.f/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분할된 세섬도의 필라멘트가 부직포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므로, 격리막에 요구되는 전해액의 함침성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후도의 균일성 및 강도 향상을 위하여 열융착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열융착 공정은 캘린더롤이나 엠보스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 공정의 온도는 120 내지 2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 내지 200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융착 온도가 120 ℃미만인 경우에는 세섬도의 필라멘트들이 접착되지 않아 부직포의 물리적 강도가 약하게 되고, 2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섬도의 필라멘트들의 과다한 열융착으로 스펀본드 부직포의 미세공극(Pore)을 막게 되어 납축전지 내에서 이온의 이동 정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또한,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친수성 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처리에 의하여 전해액의 습윤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처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에 수계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비닐알코올계 화합물,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로 처리하거나, 계면활성제, 또는 플라즈마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방법으로는 폼코팅(foam coating) 처리, 그라비아 코팅 처리, 딥핑(dipping) 처리, 스프레이 처리, 또는 키스롤 처리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2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가지며, 그 섬도가 3데니어인 16 분할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된 16 분할형 필라멘트는 제1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점도 IV=0.68, 융점=210℃)를 포함하고, 제2성분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의 중량비가 20:8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대하여 200 kg.f/cm2의 수압으로 워터펀칭하여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켰다. 상기 필라멘트의 분리과정을 거친 스펀본드 부직포를 150℃의 캘린더롤(NIP 압력 = 85kg/cm)에 의해 열융착시켰다.
또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에 대하여 수계 아크릴계 바인더(바스프(BASF)사의 아크로날(Acronal) 시리즈)를 폼 코팅 처리법에 의해 부직포 생지 대비 10 중량 % 친수 가공처리를 하여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1성분 및 제2성분의 중량비를 40:6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코캠 社(한국)의 수분산폴리우레판계 바인더를 이용하여 친수성 가공처리를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엠보스롤을 이용하여 열융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m2인 미세 유리 섬유 격리막(독일 Amersil사의 AGM(Absorbed glass mat))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m2인 응결 실리카 폴리에틸렌 격리막 제품((주)세방산업의 PE세퍼레이퍼)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 따른 배터리용 격리막에 대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력, 통기도, 내열성, 가압보액률, 및 액체흡액속도를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인장강도 : KS K 0520 법을 이용하였다.
인열강력 : KS K 0536 법을 이용하였다.
통기도 : ASTM D 737법을 이용하였다.
열풍수축률(내열성) : 시료크기 25 cm × 25 cm의 시편을 130℃의 열풍오븐에서 10분간 적치한 후 수축률을 측정한다. 열풍수축률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된다.
[수학식 1]
열풍수축률(%) = (처리전 - 처리후)/처리전×100
가압보액률 : 5 cm × 5 cm 크기의 시편을 재단하고, 상대습도(RH) 60%, 상온하에서 초기 질량(M0)을 측정한다. 측정된 시편을 황산 37%의 수용액에 1시간 침지시킨다. 침지시킨 시편은 가압프레스를 이용해 5 MPa 하에서 20초간 압력을 가한 후 시편의 질량(M1)을 측정한다.
액체흡액속도 : 폭 2.5 cm × 길이 20 cm인 시편의 밑부분 5 mm를 37%의 황산 수용액에 수직으로 침지시킨 후 시편을 통해 상승한 황산 수용액의 높이를 측정한다.
[표 1]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중량(g/m2) 100 100 100 100 100 100
통기량(ccs) 5.3 5.7 5.6 5.0 5.8 -
인장강도 (kg/5cm) MD CD 29 13 35 18 28 14 36 20 9 4 38 20
인열강력 (kg) MD CD 6 7 8 7 8 6 7 5 0.5 0.5 8 8
액체흡입속도 (mm/min) 98 99 96 94 99 76
액체유지율 (%) 328 332 330 315 317 250
열풍 수축율(%) 0.1 0.2 0.1 0.2 0.2 5.4
상기 표 1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력에서 MD(machine direction)은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공정상의 진행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CD(cross direction)은 상기 MD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기계적 강도와 액체흡입속도, 액체유지율이 우수하고, 열풍에 의한 수축률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2종류 이상의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므로, 각 고분자 성분이 가지는 장점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여 기존의 미세 유리섬유 격리막이나 응결실리카와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격리막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세섬도의 필라멘트 사이에 형성되는 미 세공극이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 습윤성도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Claims (10)

  1.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분할되며 0.05 내지 0.2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세섬도 필라멘트
    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필라멘트는 제1성분인 폴리에스테르, 및 제2성분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및 제2성분의 중량비는 20:80 내지 80:20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수계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비닐알코올계 화합물,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로 친수성 처리된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은 계면활성제 처리, 또는 플 라즈마 처리에 의해 친수성 처리된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7.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분할형 필라멘트로부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섬도의 필라멘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300 kg.f/cm2의 수압으로 워터펀칭(water punching)하는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리공정을 거친 스펀본드 부직포를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에 친수성 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의 제조방법.
KR1020050065392A 2005-07-19 2005-07-19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7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92A KR100679660B1 (ko) 2005-07-19 2005-07-19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92A KR100679660B1 (ko) 2005-07-19 2005-07-19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632A KR20070010632A (ko) 2007-01-24
KR100679660B1 true KR100679660B1 (ko) 2007-02-06

Family

ID=3801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392A Expired - Lifetime KR100679660B1 (ko) 2005-07-19 2005-07-19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2765A1 (de) 2008-12-18 2010-07-01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Textiles flächiges Material für eine Batterieelektrode
WO2010098796A1 (en) 2009-02-26 2010-09-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40102541A (ko) * 2022-12-26 2024-07-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695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리튬 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0221956B1 (ko) * 1996-04-29 1999-10-01 김윤 염색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분할형 복합섬유
JP2002194133A (ja) 2000-12-27 2002-07-10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利用
KR100433951B1 (ko) * 2000-05-03 2004-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성분계 고분자 분리 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60188A (ko) * 2004-11-30 2006-06-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형 고분자 막을 이용한 리튬 고분자 전지 및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956B1 (ko) * 1996-04-29 1999-10-01 김윤 염색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분할형 복합섬유
KR19990043695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리튬 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0433951B1 (ko) * 2000-05-03 2004-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성분계 고분자 분리 막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94133A (ja) 2000-12-27 2002-07-10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利用
KR20060060188A (ko) * 2004-11-30 2006-06-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형 고분자 막을 이용한 리튬 고분자 전지 및 그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632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939A (en) Meltblown fiber battery separator
EP2064379B1 (en) Improved nanowebs
JP4009622B2 (ja) 超薄型で多孔質且つ機械的に安定な不織布、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使用法
EP1377704B1 (en) Laminated battery separator material
US20010008965A1 (en) Durable hydrophilic nonwoven web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20120028104A1 (en) Thermoplastic film, methods for making such film, and the use of such film as battery separator film
KR20180089526A (ko) 납축전지용 부직포 세퍼레이터 및 이것을 이용한 납축전지
EP1444742A2 (en) Multilayer separator for lead-acid batteries
US5401594A (en) Hydrophilized separator material of nonwoven fabric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US20030054233A1 (en) Reinforced multilayer separator for lead-acid batteries
US6692868B2 (en) Melt blown battery separator
EP3030687B1 (en) Instantaneously wettable polymer fiber sheets
KR100679660B1 (ko)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JP4229815B2 (ja) 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77273B1 (ko)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JP4675574B2 (ja) 有機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9800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102109454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JP3366426B2 (ja) 易スルホン化繊維
KR102119477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0732801B1 (ko)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기공성 초박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제조 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