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466B1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9466B1 KR100679466B1 KR1020050109835A KR20050109835A KR100679466B1 KR 100679466 B1 KR100679466 B1 KR 100679466B1 KR 1020050109835 A KR1020050109835 A KR 1020050109835A KR 20050109835 A KR20050109835 A KR 20050109835A KR 100679466 B1 KR100679466 B1 KR 100679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fastening means
- locking
- horizontal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끈의 양측에 잠금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수단을 상호 결합하여 신발끈을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having a locking structure,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lock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shoelace shoes having a 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can be combined and disassembled by the shoelace On a string,
다수개의 끈을 수평하게 배치한 수평끈과, 상기 수평끈의 중앙을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하는 일개의 수직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끈의 양 사이드에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에는 각각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을 착탈하여 신발로부터 신발끈을 착탈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이며;A horizontal string having a plurality of strings arranged horizontally, and one vertical string which crosses and combines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trings in a vertical direction;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trap,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respectively, to detach the shoelace from the shoe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constitu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끈을 제공하되, 상기 신발끈을 수직끈과 수평끈이 교차토록 구성하며, 수평끈의 가장자리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상호 결합하여 착탈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신발로부터 신발끈을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고, 패션기능을 한층 더 부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lace, wherein the shoela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rtical laces and the horizontal laces intersect, and a separate fasten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horizontal laces to detach and attach the fastening means to each other.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detach the shoelaces from the shoe, and provides the effect of adding a fashion func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끈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hoe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체결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coupling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끈을 신발에 결합한 상태도.4 is a state in which the shoe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sho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수평끈10: horizontal strap
11, 12, 13: 수평끈 결합홀11, 12, 13: Horizontal strap coupling hole
20: 수직끈20: vertical strap
21: 수직끈 연결수단21: vertical strap connection means
30: 제 1 체결수단30: first fastening means
40: 제 2 체결수단40: second fastening means
100: 신발끈100: shoelace
200: 신발200: shoes
210: 발등보호대210: Footguards
본 발명은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끈의 양측에 잠금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수단을 상호 결합하여 신발끈을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having a locking structure,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lock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shoelace shoes having a 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can be combined and disassembled by the shoelace It's about strings.
일반적으로 운동화는 밸크로 파스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끈을 이용하여 운동화를 조이게 구성되어 있으며, 묶는 방법은 일자형 또는 엑스자(X)형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except for the use of Velcro fasteners, most of the sneakers are configured to tighten the sneakers using a string, and a method of tying a straight or X-shape is frequently used.
즉, 신발의 전면 갑피에 신발끈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을 신발끈 구멍에 끼워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끈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발끈을 아래쪽부터 윗쪽으로 차례로 신발끈 구멍에 끼우고, 상부에서 상기 신발끈의 양측을 매듭으로 묶어 고정하게 된다.That is, a shoelace hole is provided at the front upper of the shoe, and the shoelace is inserted into the shoelace hole. A shoelace having a lace shape is inserted into the shoelace hole in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Both sides of the shoelace at the top is tied by a knot and fix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신발끈을 모든 신발끈 구멍에 차례로 체결하게 되면, 신발끈을 체결하거나 분리할 때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으며, 신바끈 고정이 매듭으로 이루어지므로, 보행시 고정시킨 매듭이 풀리면서 신발끈이 흘러내려 보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one shoelace is fastened in turn to all shoelace hol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when fastening or detaching the shoelace, and when the walking is made of kno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not is fixed and the shoelaces flow down to hinder walking.
특히, 신발끈을 신발로부터 분리하거나 체결할 때 상당히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션감각을 살리기 불편하였다.In particular, when the shoelaces are separated or fastened from the shoe, it is very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and it is inconvenient to save the fashion sense because it is made of one str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신발끈의 양사이드에 체결수단을 부가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신발끈을 고정토록 함으로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고, 체결수단을 신발의 상부면에서 결합토록 하여 신발 착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또한 체결수단의 색깔을 다양한 컬러로 구비하여 패션감각이 돋보이는 신발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By attaching fastening means to both sides of the shoelace to fix the shoelac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is easy, and the fastening means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when wearing the sho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hoelaces with fashion sense by providing the fastening means in various colo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끈을 수평하게 배치한 수평끈과, 상기 수평끈의 중앙을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하는 일개의 수직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끈의 양 사이드에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에는 각각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을 착탈하여 신발로부터 신발끈을 착탈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rizontal string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rings horizontally, and one vertical string to cross and combine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tr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trap,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respectively, to detach the shoelace from the shoe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It is a feature to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반원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끝단까지 위치되며 내측으로 탄발되는 수직바 형상의 상하 잠금부로 이루어져, 하부 잠금부는 수평끈을 고정하고, 상부 잠금부는 제 2 체결수단을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means is composed of a semi-circular body,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 vertical 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 and positioned up to the end of the body and is elastically inward, The lower locking portion fixes the horizontal strap, and the upper 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상부에 잠금홀을 갖는 상부몸체를 형성하고, 하부일측에 호 형태의 지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탄성재질의 잠금부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부는 수평끈을 고정하고, 잠금홀 은 제 1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means forms an upper body having a locking hole in the upper portion, installs an arc-shaped support por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forms a locking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The locking unit fixes the horizontal s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hole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결합홀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수직끈의 중심에는 묶음용 밸트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tr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urther forming a belt for the bundl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끈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hoe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체결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coupling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끈을 신발에 결합한 상태도로서,4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shoe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hoe,
본 발명의 신발끈(100)은 크게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된 수평끈(10)과, 상기 수평끈을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하여 체결한 수직끈(20)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수평끈(10)은 신발끈 결합홀(110)을 통해 링 형태로 묶일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며, 수직끈(20)은 신발의 맨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끈(10)과 맨 위에 위치하는 수평끈(10)을 모두 묶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다.The
상기 수평끈(10)의 양 사이드에는 각각 체결홀(11, 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11, 12)에 각각 제 1 체결수단(30)과 제 2 체결수단(40)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체결수단(30)과 제 2 체결수단(40)을 결합하여 수평끈(10) 및 수직끈(20)을 신발에 고정하게 된다.Fastening
상기 제 1 체결수단(30)은, 반원형태의 본체(31a, 31b)와, 상기 본체(31a, 31b)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상하부에 결합되어 본체(31a, 31b)의 끝단까지 위치되며 내측으로 탄발되는 수직바 형상의 상하 잠금부(33a, 33b)로 이루어진다.The first fastening means 3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31a, 31b), the
따라서, 상기 잠금부(33a, 33b)와 본체 사이에 공간부(34a, 34b)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4a, 34b)를 이용하여 체결대상을 삽입토록 한다.Therefore, spaces 34a and 34b are formed between the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잠금부(33b)는 수평끈 체결홀(11)을 삽입하여 수평끈(10)을 고정하고, 상부 잠금부(33a)는 제 2 체결수단(40)을 결합토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상기 제 2 체결수단(40)은, 상부에 잠금홀(41)을 갖는 상부몸체(42)를 형성하고, 하부일측에 호 형태의 지지부(43)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몸체(42)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탄성재질의 잠금부(44)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부(44)는 수 평끈(10)을 고정하고, 잠금홀(41)은 제 1 체결수단(3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The second fastening means 40 forms an
또한, 본 발명은 수직끈(20)의 중앙에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수단(21)을 더 결합하여 신발의 발등 보호대(210)에 위치하는 고리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신발(200)의 발등 보호대 상부로 고정토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upled to the connecting
즉, 본 발명의 신발끈(100)은 신발의 양측을 묶는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연결수단을 수직끈(20)에 더 설치하여 발등 보호대에 위치하는 고리부를 연결함으로서 발등보호대(210)가 밑으로 가라않지 않토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신발끈 착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hoelace wea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먼저, 신발(200)의 발등 보호대(210) 상부로 신발끈(100)을 수직하게 정렬시킨 다음 수평끈(10)을 신발끈 결합홀(110)을 각각 통과 시킨다.First, the
이후, 상기 수평끈(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1, 12)에 제 1 체결수단(30)의 하부 잠금부(33b)와 제 2 체결수단(40)의 잠금부(44)를 각각 삽입 설치하고, 상기 제 1 체결수단(30)의 상부 잠금부(33a)와 제 2 체결수단(40)의 잠금홀(41)을 상호 연결하여 신발끈 체결을 완료한다.Thereafter, the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체결수단(30)의 하부 잠금부(33b)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되고 잠금부(33b)를 체결홀(11)에 결합후에는 잠금부(33b)가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므로 상기 신발끈(100)이 잠금부(33b)에 강하게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가 풀리지 않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수단(40)의 잠금부(44) 역시 내측으로 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되고 잠금부(44)를 체결홀(12)에 결합 후에는 잠금부(44)가 탄성력에 의해서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므로 상기 신발끈(100)이 잠금부(44)에 강하게 결합되어 제 1 체결수단(30)과 마찬가지로 결합된 상태가 풀리지 않게 된다.When the
이때, 수직끈(20) 중앙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발등 보호대(210)에 위치한 고리부를 결합할 수 있으며, 그러면 발등 보호대(210)가 상부 방향으로 치켜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편하게 된다.At this time, by using the Velcro tap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또한, 상기 제 1 체결수단(30)과 제 2 체결수단(40)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컬러를 이용하게 되므로 패션감각이 돋보이는 신발끈(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means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use various colors as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수단(40)을 결합하는 체결홀(12)을 다수개 형성하여 운동화끈의 조임을 강하게 할 수도 있고, 약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즉, 내측에 형성된 체결홀(12)을 이용하게 되면 신발끈을 묶는 지름이 작아져 보다 강하게 운동화를 조일 수 있고, 외측에 형성된 체결홀(13)을 이용하게 되면 신발끈을 묶는 지름이 커져 보다 약하게 운동화를 조이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using the
결국, 일측의 체결홀(11)에 제 1 체결수단(30)을 고정하고, 타측의 체결홀(12, 13)에 제 2 체결수단(40)을 유동적으로 위치토록 하여 다양한 조임 형태를 구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fastening means 30 is fixed to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체결수단(30)과 제 2 체결수단(40)을 이용하면 신발(200)을 신거나 벗을 때 제 1 체결수단(30)과 제 2 체결수단(40)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신발끈(200)을 신발(200)로부터 분리시에도 제 1 체결수단 (30)과 제 2 체결수단(40)을 체결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astening means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40 ar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astening means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40 are separate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끈을 제공하되, 상기 신발끈을 수직끈과 수평끈이 교차토록 구성하며, 수평끈의 가장자리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상호 결합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신발로부터 신발끈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패션기능을 한층 더 부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lace, wherein the shoela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rtical laces and the horizontal laces intersect, and a separate fasten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horizontal laces so that the fastening means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detach the shoelaces from the shoe, and provides the effect of adding a fashion function further.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835A KR100679466B1 (en) | 2005-11-16 | 2005-11-16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9835A KR100679466B1 (en) | 2005-11-16 | 2005-11-16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2615U Division KR200408632Y1 (en) | 2005-11-18 | 2005-11-18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9466B1 true KR100679466B1 (en) | 2007-02-07 |
Family
ID=3810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9835A Active KR100679466B1 (en) | 2005-11-16 | 2005-11-16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946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212B1 (en) | 2009-06-05 | 2012-10-09 | 정환호 | shoelaces settlement device. |
KR102387803B1 (en) * | 2021-06-24 | 2022-04-18 | 전상용 | Shoe fastener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7109U (en) | 1982-10-06 | 1984-04-14 | アキレス株式会社 | Rubber string for fastening footwear laces |
KR19990033746U (en) * | 1999-05-14 | 1999-08-16 | 문진복 | shoe which has elastic shoe-string attached buckle |
US20020194748A1 (en) | 2001-06-22 | 2002-12-26 | Robert Jackson | Continual comfort adjusting fastener for a footwear article |
KR20040049723A (en) * | 2002-12-07 | 2004-06-12 | 이종경 | Shoe tightener |
KR200371475Y1 (en) | 2004-10-05 | 2004-12-30 | 전병하 | Shoes with shoelaces |
-
2005
- 2005-11-16 KR KR1020050109835A patent/KR1006794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7109U (en) | 1982-10-06 | 1984-04-14 | アキレス株式会社 | Rubber string for fastening footwear laces |
KR19990033746U (en) * | 1999-05-14 | 1999-08-16 | 문진복 | shoe which has elastic shoe-string attached buckle |
US20020194748A1 (en) | 2001-06-22 | 2002-12-26 | Robert Jackson | Continual comfort adjusting fastener for a footwear article |
KR20040049723A (en) * | 2002-12-07 | 2004-06-12 | 이종경 | Shoe tightener |
KR200371475Y1 (en) | 2004-10-05 | 2004-12-30 | 전병하 | Shoes with shoelac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212B1 (en) | 2009-06-05 | 2012-10-09 | 정환호 | shoelaces settlement device. |
KR102387803B1 (en) * | 2021-06-24 | 2022-04-18 | 전상용 | Shoe fasten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2073B1 (en) |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 |
US8544192B2 (en) |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ips | |
US6305103B1 (en) | Footwear including a locking component | |
US8875418B2 (en) |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20020013983A1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KR20090036500A (en) | shoes | |
JP2010525927A (en) | Shoes with shape-fit closure structure | |
JP2007144171A (en) | Boot | |
JP2000189202A (en) | Sports shoes | |
KR100679466B1 (en)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
KR20120139220A (en) | The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 |
KR200408632Y1 (en) | Shoelaces with locking structure | |
US20240365929A1 (en) | Method for forming shoestring tying devices which are vertically separated | |
KR200444382Y1 (en) | Shoelace fasteners | |
US2015012838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 |
KR200496844Y1 (en) | Shoelace attaching device | |
KR20060024830A (en) | Detachable shoelace device to bind at once and forming method | |
KR200184587Y1 (en) | Quick tie footwear for footwear string | |
KR102725795B1 (en) | Ornament for shoes and Shoes having the same | |
GB2505556A (en) | Fasteners for footwear | |
KR200484356Y1 (en) | Arrangement implement for shoelaces | |
KR20130001401U (en) | a Shoes Fixture | |
KR20130002605U (en) | Sneaker loop fastener | |
US10683063B2 (en) | Modular component wakeboard binding | |
KR20170123491A (en) | Fixed apparatu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1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