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265B1 -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265B1
KR100678265B1 KR1020050002514A KR20050002514A KR100678265B1 KR 100678265 B1 KR100678265 B1 KR 100678265B1 KR 1020050002514 A KR1020050002514 A KR 1020050002514A KR 20050002514 A KR20050002514 A KR 20050002514A KR 100678265 B1 KR100678265 B1 KR 10067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swing
automatic
swing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229A (ko
Inventor
배은덕
곽동옥
이용진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265B1/ko
Priority to US11/262,860 priority patent/US20060154619A1/en
Priority to CNA2005101356599A priority patent/CN1805466A/zh
Publication of KR20060082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반 자동 스윙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개폐되는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스윙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스윙하는 스윙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그의 단이 회전하면서 구속되게 배치되어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윙 동작이 편리하고, 부가적으로 슬림화 및 조립성도 향상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Figure 112005001469548-pat00001
스윙 장치, 반 자동, 휴대 단말기, 플레이트, 스프링.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스윙 하우징이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스윙 하우징이 약 90도 정도 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에 채용된 스프링 모듈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 자동 구동원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의 동작 원리를 개략 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8a는 0도인 경우이고, 도 8b는 45도 스윙된 경우리고, 도 8c는 90도 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의 모멘트 원리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카메라 폰, 게임 폰, 인터넷 폰, 메신저 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 자동 스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스윙-형(swing-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또는 스위블-형(swivel-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스윙-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 형과 스윙 형을 조합하거나, 슬라이딩 형과 스위블 형이 조합되는 유형의 휴대 장치로도 분류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스윙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수동으로 스윙 하우징을 스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사용자는 강제적인 힘을 스윙 하우징에 가해서, 소정의 각도로 스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스윙 장치는 경제적인 구조의 반 자동이나 자동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 자동으로 스윙 하우징을 스윙시켜서 단순한 동작으로 스윙하기에 편리한 반 자동 스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스프링 모듈을 이용하여 반 자동 구동원를 제공하게 되어서 조립성이 향상되는 반 자동 스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에 유리한 반 자동 스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개폐되는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스윙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스윙하는 스윙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그의 단이 회전하면서 구속되게 배치되어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원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가 채용된 휴대 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 상면(101)에서 평행하게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힌지축(A)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스윙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길이 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본체(100)의 길이가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상면(101) 최하단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에 의해 숨겨지지 않는 마이크 장치(110)가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 장치(110)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및 스윙 이동에 상관없이 항시 개방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상면(201)에는 단일 키(210)와, 상기 단일 키(210)와 이웃하는 표시 장치(212)와, 상기 표시 장치(212)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214)가 배치된다.
도 2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상면(101)에서 길이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상면(101)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2)가 배치된다. 상기 제1키패드(112)는 3×4 배열로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 장치(110)와 이웃한다. 이 때, 상기 제1키패드(112)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개폐된다. 즉,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100) 상에서 닫힌 상태에서는 숨겨지고,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100) 상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키패드(112)는 완전히 개방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는 상기 제1키패드(112)와 상기 제2키패드(214)가 서로 이웃함으로서, 상기 제1,2키패드(112,214)는 연속적으로 집합된다.
도 3은 도 2에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완전히 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상면(101) 소정위치에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상면(101)에서 스윙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는 숨겨지고(도 2에 도시됨),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상면(101)에서 완전히 스윙된 경우,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는 완전히 개방된다. 도 3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표시 장치(212)는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와 바로 이웃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14,115)는 상기 본체 상면(101)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스테레오 사운드를 발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상기 도 2에서 도 3과 같은 상태로 스윙하는 동작을 위하여 채용된 스윙 장치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스윙 플레이트(320)에 제공하는 반 자동 동력원(330)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소정 각도 이내에서 스윙하는 스윙 플레이트(320)와,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에 제공하고, 상기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에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원(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속되고, 특히 각각 중앙 영역에 원형의 개구(312,3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구(312,322)는 미 도시된 연성 회로의 통로이다.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은 상기 개구(312,322)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또 다른 반자동 구동원(340)은 서로 대치하는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 사이의 빈 공간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그의 일단(33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회전하면서 구속되게 배치되고, 그의 타단(335)이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에 회전하면서 구속되게 장착된다. 물론,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은 또 다른 반자동 구동원(340)과 상하 방향이 반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은 직선형으로 제공되고, 특히 스프링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스프링 모듈은 코일 스프링(333)이 포함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333)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의 동력원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비틀림 스프링 등이나, 유압식(실린더 및 피스톤)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장된 상태로 그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중공형 부분(331)과, 상기 중공형 부분(331)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에 의해 인장되거나 압축되어 길이가 변하는 로드형 부분(3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의 압축 코일 스프링(333)은 상기 중공형 부분(331) 내에서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선형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중공형 부분(331)과 상기 로드형 부부(332)은 금속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340))은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310)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 사이의 공간에 한 쌍으로 구성되며, 특히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는 스윙 동작의 균형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반 자동 구동원(330,34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각각의 반 자동 구동원(330,340)을 설치하기 위한 장착용 개구(313,3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340)은 상기 장착용 개구(313,314)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상기 각각의 장착용 개구(313,314)는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340)의 회전이동 궤적 영역을 포함하게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장착용 개구(330,340)는 상기 개구(312)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삼각형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착용 개구(313,31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반 자동 구동원(330,340)은 상기 장착용 개구(313,314)에 각각 장착되어 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의 슬림화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하였다.
도 6과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강제적 으로 소정의 각도까지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은 양 단이 회전하면서 로드형 부분(332)이 중공형 부분(331) 내로 인입된다. 이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이 상기 로드형 부분(332)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다. 물론,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의 점차적인 스윙 동작은 상기 로드형 부분(332)의 점차적인 인입 동작과 동시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의 점차적인 압축 동작이 동시적으로 진행된다.
계속적으로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소정의 각도, 구체적으로 45도 이상에서 상기 인입된 로드형 부분(332)이 인출된다. 상기 인출 힘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의 탄성력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는 상기 로드형 부재(332)가 회전하려는 방향으로 밀면서 스윙 동작이 수행된다. 물론, 상기 또 다른 반자동 구동원(340)도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과 동일한 원리로 함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도 7a 내지 도 7c 각각에 도시된 화살표는 반 자동 구동원(330,340)들에 채용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의 방향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반자동 구동원(330,340)의 스윙 이동 궤적 영역은 상기 장착용 개구 내에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회동되게 장착되는 반 자동 구동원(330,340)의 회동점의 위치 변경을 통해서 임계각의 조정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반 자동 동력원(330)은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의 회전량이 0도 및 90도 에서 가장 약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이 가장 인장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의 회전량이 45도에서 동력을 제공하지 않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33)은 가장 압축된 상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가 0도 내지 45도 구간, 즉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을 제공하는 구간에서는 모멘트 힘(+)이 제공되어서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45도 내지 90도 구간에는 상기 모멘트 힘(+)에 대응하는 모멘트 힘(-)이 상기 반자동 구동원(330,340)에 의해 제공되어서 상기 스윙 플레이트(320)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윙 플레이트의 45도에서는 모멘트가 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과 모멘트의 원리를 이용하여 반 자동 구동력을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유압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반 자동 스윙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고, 자동으로 스윙 장치를 구현할 경우, 모터와 감속 모듈 등이 사용되어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스윙 장치는 매우 단순한 형상의 직선형 스프링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서, 조립성도 향상되고, 슬림화에도 유리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 자동으로 스윙되어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립성도 향상되는 부가적인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4)

  1. 본체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개폐되는 스윙 하우징으로 구성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스윙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스윙하는 스윙 플레이트; 및
    스프링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그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구속되고, 타단이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구속되며,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 힘을 상기 스윙 플레이트에 제공하는 반 자동 구동원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모듈은 코일 스프링이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인장 또는 압축되는 선형 이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동력원은 상기 스윙 플레이트의 회전각이 45도인 경우, 동력을 제공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직선형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스프링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장된 상태로 그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중공형 부분; 및
    상기 중공형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인장되거나 압축되어서 길이가 변하는 로드형 부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부분과 상기 로드형 부분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는 중앙 영역에 원형의 개구가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상기 개구를 중심으로 한 쌍이 대칭으로 배치되어고, 서로 상하 방향이 반전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용 개구가 더 구비되어서 슬림화에 기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개구는 상기 반자동 구동원의 회전 이동 궤적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 자동 구동원은 그의 회동점의 위치 변경을 통해서 회전 임계각의 조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스윙 장치.
KR1020050002514A 2005-01-11 2005-01-11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KR10067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14A KR100678265B1 (ko) 2005-01-11 2005-01-11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US11/262,860 US20060154619A1 (en) 2005-01-11 2005-10-31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NA2005101356599A CN1805466A (zh) 2005-01-11 2005-12-27 用于移动终端的半自动摆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14A KR100678265B1 (ko) 2005-01-11 2005-01-11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29A KR20060082229A (ko) 2006-07-18
KR100678265B1 true KR100678265B1 (ko) 2007-02-02

Family

ID=3665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514A KR100678265B1 (ko) 2005-01-11 2005-01-11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54619A1 (ko)
KR (1) KR100678265B1 (ko)
CN (1) CN18054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553112S1 (en) * 2005-10-28 2007-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55137S1 (en) * 2005-12-02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55138S1 (en) * 2005-12-16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50192S1 (en) * 2005-12-21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92626S1 (en) * 2006-03-24 2009-05-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98877S1 (en) * 2006-03-24 2009-08-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88084S1 (en) * 2006-03-24 2009-03-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98878S1 (en) * 2006-03-24 2009-08-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48712S1 (en) * 2006-03-27 2007-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547296S1 (en) * 2006-04-18 2007-07-24 Quanta Computer Inc. Mobile phone
USD555128S1 (en) * 2006-11-06 2007-11-13 Quanta Computer Inc. Mobile phone
USD560199S1 (en) * 2007-02-02 2008-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585445S1 (en) * 2007-05-15 2009-01-27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584727S1 (en) * 2007-05-15 2009-01-13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569835S1 (en) * 2007-06-21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JP2009105497A (ja) * 2007-10-19 2009-05-14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8600460B2 (en) 2010-04-12 2013-12-0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653B1 (ko) * 2001-02-16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JP4073296B2 (ja) * 2002-11-14 2008-04-09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電話機
US7079874B2 (en) * 2002-12-20 2006-07-18 Nokia Corporation Transformer hinge design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192024B2 (ja) * 2003-04-17 2008-12-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取付装置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JP3708945B2 (ja) * 2003-09-12 2005-10-19 オムロン株式会社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US7505582B2 (en) * 2003-12-31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for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099708B2 (en) * 2004-01-14 2006-08-29 Nokia Corporatio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TWM259411U (en) * 2004-06-11 2005-03-1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US7280857B2 (en) * 2004-06-25 2007-10-0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rotating display an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5466A (zh) 2006-07-19
KR20060082229A (ko) 2006-07-18
US20060154619A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1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265B1 (ko)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스윙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13414B1 (ko) 업/다운 키들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EP1750418A2 (en) Slidable and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hinge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20040003257A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6895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89433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07564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58654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53227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119342B1 (ko) 폴딩형 리시버를 가진 휴대 장치
KR100594025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개폐장치
KR20060034357A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50041632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KR2006012148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