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158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58B1
KR100678158B1 KR1020050024140A KR20050024140A KR100678158B1 KR 100678158 B1 KR100678158 B1 KR 100678158B1 KR 1020050024140 A KR1020050024140 A KR 1020050024140A KR 20050024140 A KR20050024140 A KR 20050024140A KR 100678158 B1 KR100678158 B1 KR 10067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mage data
word
titl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187A (ko
Inventor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5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메시지 입력모드에서 메시지 입력시,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 중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에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에 대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메시지, MMS, 영상데이터, 문자분석,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 THE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표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데이터를 문자메시지에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보다 다양한 형대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통한 음성통화와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본 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와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비교적 짧은 텍스트 문자 메시지를 휴대 용 단말기 간에 또는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기 간에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 상태에 관계없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음성통화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1997년 상용화된 이래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단순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인터넷 접속은 물론이고 카메라 기능을 탑재시켜 언제 어디서나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단문 메시지에 상기 촬영되거나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MMS서비스는 해당 영상데이터 파일을 해당 이동통신사에서 정한 MMS전송규격에 맞춰 이동통신사의 MMS전담 시스템인 MMSC로 전송하면 MMSC는 전송 받은 영상데이터 파일을 수신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텍스트 문자 메시지뿐만 아니라 사진, 비디오, 애니메이션, 동영상 메시지 등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물론이고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서도 텍스트 문자 메시지는 단순한 의사 전달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써 이용되어 왔고 앞으로도 계속 이용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텍스트 문자 메시지는 단순한 문자의 나열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단순하고 지루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젊은층에서는 유행하는 특수문자 등을 이용한 이모티콘이나 아이콘 등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수문자들도 단순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된 채로 표시되므로 보다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텍스트 문자 메시지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를 문자메시지에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보다 다양한 형대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메시지 입력모드에서 메시지 입력시,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 중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에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에 대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메시지 수신시, 수신된 메시지에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으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와 매칭된 단어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매칭된 단어를 대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메시지 모드키, 메시지 전송키, 영상데이터 적용키, 메뉴 선택키 및 삭제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에서 특수문자 및 특수기호를 제거하고 문장의 구문 및 형태소를 분석하여 단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과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분석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추출된 단어의 위치에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제목이 없으면, 상기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시, 메시지에 첨부된 영상데이터 적용여부를 묻는 선택메시지를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에는 제목이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메시지 입력모드에서 메시지 입력시,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동작을 제어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 중 단어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에 추출된 단어가 있는지 검사하는 동작을 제어하고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에 적용하여 표 시한다.
또한 대기상태에서 메시지 수신시,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동작을 제어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고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으면,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수신된 메시지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추출된 단어에 적용될 영상데이터의 크기를 단어의 크기에 따라 처리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 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문자메시지에 영상데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영상메시지 입력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영상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입력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 중 단어를 추출한다.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검사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가 있으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어에 적용하여 표시한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2a-b와 도 4를 참조하여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적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영상메시지 보내기메뉴를 선택하면 20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메시지작성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면 상기 제어부(10)는 2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도 4의(A)와 같이 표시한다. 제어부(1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입력된 메시지의 문장을 분석한다. 상기 207단계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에서 '특수문자' 및 '특수기호'를 제거하고 문장의 구문 및 형태소를 분석하여 문장을 품사에 따른 단위들로 구분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09단계에서 '조사'를 제외한 단어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추출된 단어의 코드값을 분석하여 추출된 단어의 크기정보, 위치정보 등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A)와 같이 "영수야 보고 싶다. 내일 영화 보러가자. 사랑해!"라는 문장이 입력되면 특수문자인 '.'과 '!'를 제거하고 구문 및 형태소를 분석하면 '영수'(명사), '야'(조사), '보고 싶다'(동사), '내일'(명사), '영화'(명사), '보러가자'(동사), '사랑'(명사) 및 '해'(조사)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중 '조사'를 제외한 단어인 '영수'(명사), '보고 싶다'(동사), '내일'(명사), '영화'(명사), '보러가'(동사), '자'(조사) 및 '사랑'(명사)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문장 분석단계에서 변화된 단어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표준 단어를 추출하거나 문장의 띄어쓰기 수정이 등의 과정을 더 구비하여 상기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어를 추출한 후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분석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제목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검사결과,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제목이 있으면, 제어부(10)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로 진행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와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표 1과 같이 표시한다.
단어 영상데이터의 제목
영수 1 영수야 놀자
2 영수 1
3 영수 2
내일 1 내일이 오면
영화 1 시네마 천국
2 태극기 휘날리며
보러가 1 친구와 연극 보러가는 길
사랑 1 사랑하는 여자친구
2 사랑1
상기 표 1과 같이 표시되는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한 제목의 영상데이터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각 단어마다 적용할 영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어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목록을 표 1과 같이 메뉴목록과 같은 텍스트 형태로 나타냈지만, 영상데이터의 제목 및/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체크박스를 구비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211단계에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분석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제목이 존재하는지 검사한 결과,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제목이 없으면, 제어부(10)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9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을 편집한다. 상기 219단계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어부(10)는 영상데이터 제목편집모드로 진입하고 227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저장된 영상데이터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제목을 편집할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1단계로 진행한다. 231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제목입력창을 표시한다. 표시된 제목입력창에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제목을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33단계에서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입력된 제목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확인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7단계로 진행하여 새로 입력된 제목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은 일시적인 저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명된 211단계~215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제목이 존재하는지 검사한 결과,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제목이 없으면, 상기 영상메시지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문자메시지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상기 추출된 단어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목록 중 각각의 추출된 단어에 적용할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로 진행한다. 221단계에서 제어부(10)는 각각의 단어에 선택된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매칭하고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작성된 메시지에 적용하여 도 4의(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221단계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어부(10)는 상기 메시지 작성시 등록된 추출된 단어의 크기정보를 감지하고 메모리(29)와 영상처리부(70)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추출된 단어의 크기정보에 맞게 스케일링 하거나 미리 설정된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제어부(10) 상기 메시지 작성시 등록된 단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스케일링된 영상데이터를 해당되는 단어의 위치에 대치하여 도 4의(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특정 영역에 소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문자 위에 이중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5단계로 진행하여 작성된 메시지에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영상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 수신시,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적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301단계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RF부(21)와 모뎀(23)을 제어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감지하고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영상메시지인가 판단하고 첨부 파일 또는 영상데이터가 첨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영상데이터가 첨부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로 진행한다. 317단계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데이터를 도 4의(A)와 같이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영상데이터가 첨부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9단계로 진행한다. 309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로 대치될 단어와 단어의 크기정보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311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메시지에 적용여부를 묻는 적용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예'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9)와 영상처리부(70)를 제어하여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단어의 크기정보에 맞게 스케일링 하거나 미리 설정된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제어부(10) 상기 등록된 단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스케일링된 영상데이터를 해당되는 단어의 위치에 대치하여 도 4의(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특정 영역에 소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문자 위에 이중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메시지에 적용여부를 묻는 적용메시지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아니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데이터를 도 4의(A)와 같이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 를 문자메시지에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텍스트 문자 메시지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고 시각적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메시지 입력모드에서 메시지 입력시,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 중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에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에 대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서 특수문자 및 특수기호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특수문자가 제거된 메시지의 구문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에 대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단어와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상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제목이 없는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제목 편집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목 편집모드 통해 새로 저장된 제목을 포함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가 있는지 재검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하는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전송키 입력시,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제목의 영상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하는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및 이모콘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7.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메시지 수신시, 수신된 메시지에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첨부된 영상데이터가 있으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와 매칭된 단어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매칭된 단어를 대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적용하는 과정이,
    상기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데이터를 매칭된 상기 단어의 위치에 대치되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된 영상데이터를 선택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KR1020050024140A 2005-03-23 2005-03-23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KR10067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40A KR100678158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40A KR100678158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187A KR20060102187A (ko) 2006-09-27
KR100678158B1 true KR100678158B1 (ko) 2007-02-02

Family

ID=3763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40A KR100678158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066A (ja) * 2001-07-10 2003-01-24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スペース文字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187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633208B1 (ko) 인스턴트 통신 음성 인식 방법 및 단말기
CN107767864B (zh) 基于语音分享信息的方法、装置与移动终端
JP2005346252A (ja) 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達方法
KR201300054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018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배경효과 제공 방법
KR10063020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계산기 모드 동작 방법
KR1006782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언어를 설정하는 방법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KR2015002575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양방향 번역 방법
KR100724848B1 (ko) 휴대 단말에서 입력 문자 실시간 낭독방법
KR1006895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바타 표시방법
KR10070341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101364844B1 (ko) 화상통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40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101232448B1 (ko)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에 따른 정보출력 방법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KR10065151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KR20070113393A (ko) 특수문자와 예약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354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7248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KR20050053887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781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KR1006404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바타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3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