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042B1 -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042B1
KR100678042B1 KR1020040043047A KR20040043047A KR100678042B1 KR 100678042 B1 KR100678042 B1 KR 100678042B1 KR 1020040043047 A KR1020040043047 A KR 1020040043047A KR 20040043047 A KR20040043047 A KR 20040043047A KR 100678042 B1 KR100678042 B1 KR 10067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digital communica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815A (ko
Inventor
박형신
박준상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042B1/ko
Priority to US11/136,927 priority patent/US20050277435A1/en
Priority to CNA2005100751923A priority patent/CN1708067A/zh
Publication of KR2005011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축 힌지 부재;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이축 힌지 부재를 각각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수단들; 및 상기 이축 힌지 부재에 제공되어서 거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딩 수단들로 구성된다.
Figure 112004025310975-pat00001
디지털, 통신, 카메라, 거치, 홀딩.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에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충전기에 거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단계적 개폐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7, 도 8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이고, 도 9, 도 10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들.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게임 폰, 인테넷 폰, 카메라 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 시에 거치 안정감과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 외관을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 사용감을 제공하는 폴더형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두 개의 하우징이 힌지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플립 타입 또는 폴더 타입 휴대 장치는 개폐 동작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특히 충전기에 거치시에도 충전기에 구비된 경사지게 구비된 슬롯에 정확히 삽입하여 거치시켜야 하는, 즉 거치 동작에 매우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장치는 충전 시의 충전 위치를 잡아주는 수단이 본체쪽에 소정 형상의 홈으로 제공되어져서 외관 디자인의 관점에서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축 힌지 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서 디지털 카메라 촬영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축 힌지 부재에 홀딩 수단에 제공되어서 충전 시에 거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축 힌지 부재에 홀딩 수단이 제공되어서 전체 외관 디자인인 미려해진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급 디지털 카메라 사용 방식을 느낄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하 우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축 힌지 부재;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이축 힌지 부재를 각각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수단들; 및
상기 이축 힌지 부재에 제공되어서 거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딩 수단들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판 형 제1하우징;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제1하우징과 적층되게 놓이고, 완전히 열리 경우, 상기 제1하우징과 평행하게 놓이는 판 형 제2하우징; 및
소정 형상의 거치용 홈을 구비하여 충전 시에 거치 위치를 잡아주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축 힌지 부재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판형(planar type) 제1하우징(100)과, 상기 판형 제1하우징(100)에서 제1,2힌 지축(A1,A2)(hinge axis)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200)과, 상기 제1,2하우징(100,200)을 상기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축 힌지 부재들(250,260)(dual hinge member)과,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250,260)을 회전을 수용하는 결합 수단들(271,272,281,282: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250,260)에 제공되어 충전 시나 통신 시에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서 약간 경사지게 거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딩 수단들(251,261)(holding means)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상면(101:도 4에 도시됨)(top aurface)과, 저면(102:도 2에 도시됨)(bottom surface)과, 선단면(103)(front end surface)을 구비한다. 상기 상면(101)은 상기 선단면(103)과 직각이고, 상기 선단면(103)은 상기 저면(102)과 직각 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면(103)에는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경우에 접속되기 위한 포트(105)가 배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면(201:도 1에 도시됨)과, 저면(202:도 4에 도시됨)과, 선단면(203)을 구비한다. 상기 상면(201)에는 보조 표시 장치(210)와,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1)와 이웃하는 카메라 렌즈(212)와, 상기 카메라 렌즈(212)와 이웃하는 조명 장치(2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201)은 상기 선단면(203)과 직각이고, 상기 선단면(203)은 상기 저면(202)과 직각방향으로 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표시 장치(210)는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표시 장치(210)에는 상기 제2하우징(200)을 열지 않고 자주 확인해야 하는 표시 정보들, 예를 들어 시간, 날짜, 메시지 전송 도착 여부, 배터리 잔량 상태 표시, 안테나 수신 감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250,260)은 한 쌍으로 상기 제1,2하우징(100,200) 사이에서 상하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제1이축 힌지 부재(250)와,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와 대칭으로 위치하는 제2이축 힌지 부재(2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는 일단부(252)와 타단부(254)를 포함하며, 상기 일단부(252)가 상기 제2하우징(200)과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제1하우징(10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타단부(254)가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힌지축(A2)과 평행한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는 제1곡률 반경을 가지는 일단부(252)와, 상기 제1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곡률 반경을 가지는 타단부(25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그의 일단부(252)는 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그의 타단부(254)도 반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단부(252) 및 타단부(254) 모두 소정의 직경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결합 수단 내에서 원할한 슬라이딩 회전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는 일단부(262)와, 타단부(264)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262)가 상기 제2하우징(200)과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제1하우징(10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타단부(264)가 상기 제1하우징(200)과 상기 제1힌지축(A1)과 평행한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는 제1곡률 반경을 가지는 일단부(262)와, 상기 제1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곡률 반경을 가지는 타단부(26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그의 일단부(262)는 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그의 타단부(264)도 반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단부(262) 및 타단부(264) 모두 소정의 직경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결합 수단 내에서 원할한 슬라이딩 회전이동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수단들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양 모서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1힌지 슬롯(271,272)(hinge slot)과, 상기 제2하우징(200)의 양 모서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힌지 슬롯(281,2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힌지 슬롯(271,272)의 각각은 좌우로 대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힌지 슬롯(281,282)의 각각은 좌우로 대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힌지 슬롯(271,272,281,282)은 각각 상하 및 좌우로 각각 대칭이며, 서로 마주본다.
상기 홀딩 수단들은 제1이축 힌지 부재에 형성된 제1홀딩 수단(251)과,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에 형성된 제2홀딩 수단(26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홀딩 수단(251)은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의 저면(253)에 소정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홀딩 수단(251)은 상기 저면(253)에서 원통형으로 리세스된(recessed) 형상의 홈으로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충전기에 거치하려면, 사용자는 상기 제1,2하우징(100,200)이 닫힌 상태에서 수직 방향 또는 수직방향에서 약간 경사진 상태로 충전기(300)에 형성된 미도시된 돌기에 상기 제1,2홀 딩 수단(251,261)이 삽입되어 거치 상태를 안정시킨다. 도 6에는 충전기(300)에 수직 방향에서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거치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도시되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면(103)과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면(203)은 서로 이웃함(neighbor)과 아울러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2홀딩 수단(251,261)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2하우징(100,200)은 서로 적층되게 놓인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하우징(100)과 평행하게 놓인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제1,2이축 힌지 부재(250,260)는 상기 제1,2하우징(100,200)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면(103)과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면(203)은 서로 대면하게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200)이 평행하고, 상기 제1,2홀딩 수단(251,261)이 숨겨진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하우징(100)과 평행하게 놓인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제1,2이축 힌지 부재(250,26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또는 상기 제2하우징(200)과 또는 상기 제1,2하우징(100,200)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101)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110)와, 상기 키패드(110)와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그의 저면(202)에 스피커 장치(220)와, 상기 스피커 장치(220)와 이웃하는 주 표시 장치(222)를 포함한다. 상기 주 표시 장치(222)는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은 그의 측면(104)에 카메라와 관련된 키들이 제공되며, 카메라 동작 키(106)와, 줌인 또는 줌 아웃 키(107,108)가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세 단계로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2하우징(200)은 제1각도에서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각도는 0도 내지 90도 이고, 상기 제2각도는 90 내지 180도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2하우징(200)은 제3각도에서 정지된다. 도 9는 휴대 장치가 폰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은 카메라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에서 도 8은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90도 까지 회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에서 도 1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180도까지 회전된 과정을 나타낸다. 이 때,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은 약 130도 내지 150도 정도에서 정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힘은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힘보다 작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 또는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의 일단부에 내장된 미도시된 힌지 모듈에서 제공하는 개폐힘은 상기 제1이축 힌지 부재(250) 또는 상기 제2이축 힌지 부재(260)의 타단부에 내장된 미도시된 힌지 모듈에서 제공하는 개폐힘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을 여는 경우, 먼저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90도까지 회전한 이후에는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제3각도에서 정지된다. 이는 미도시된 힌지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미도시된 힌지 모듈은 공지의 힌지 하우징, 샤프트, 캠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미도시된 힌지 모듈의 개폐힘은 공지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공지의 힌지 샤프트나 캠의 형상을 변형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의 제3각도에서의 정지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각의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하는 회전하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회전힘은 각각 상이하며,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하는 개폐힘보다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하는 개폐힘이 더 크게 제공되어 짐으로서, 상기 제2하우징(200)의 열림 동작에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일차적으로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에서 회전하는 제1회전 동작을 수행하 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1회전 동작이 정진 된 후,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각도에서 회전하는 제2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하우징(200)은 미도시된 힌지 모듈에 의해 90도 정도에서 정지되는 힘을 제공받고, 그 이후의 회전 동작은 상기 제2힌지축(A2)을 따라서 진행된다.
물론, 미도시된 힌지 모듈은 상기 제1,2이축 힌지 부재(250,260)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제1하우징(100)의 선단이나 상기 제2하우징(200)의 선단에 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를 구성하는 제1,2하우징(100,200)은 이축 힌지 부재(250,26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정적인 개폐동작과 안정적인 충전 거치 동작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충전 거치를 위한 홀딩 수단이 이축 힌지 부재에 제공되어서 전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외관적으로 휴대 장치와 디지털 카메라가 겸용되는 외관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느낌은 사용감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9)

  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축 힌지 부재;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이축 힌지 부재를 각각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수단; 및
    상기 이축 힌지 부재에 제공되어서 거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딩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양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제1힌지 슬롯과, 상기 제2하우징의 양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제2힌지 슬롯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은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의 저면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와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배치된 보조 표시 장치와, 상기 보조 표시 장치와 이웃하는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고, 그의 저면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이웃하는 주 표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 우,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면은 서로 이웃함과 아울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결합 수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면은 서로 대면하게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평행하고, 상기 결합 수단이 숨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부재는
    제1곡률 반경을 가지는 일단부; 및
    상기 제1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곡률 반경을 가지는 타단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면에는 포트가 더 구비되어지고, 상기 포트는 충전 단자용 포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제1각도에서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각도는 0도 내지 90도 이고, 상기 제2각도는 90 내지 180도 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힘은 각각 상이하며,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하는 개폐힘보다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개폐힘이 더 크게 제공되어 짐으로서,
    상기 제2하우징의 열림 동작에서, 상기 제2하우징은 일차적으로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에서 회전하는 제1회전 동작을 수행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1회전 동작이 정진 된 후,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각도에서 회전하는 제2회전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2.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판 형 제1하우징;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제1하우징과 적층되게 놓이고, 완전히 열리 경우, 상기 제1하우징과 평행하게 놓이는 판 형 제2하우징; 및
    소정 형상의 거치용 홈을 구비하여 충전 시에 거치 위치를 잡아주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축 힌지 부재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은 각각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의 양단부는 각각 곡률 반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원통형이고,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의 각각의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리세스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은 상기 제1,2하우징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은 상기 제1,2하우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홈은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홈은 숨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부재들은 상기 제1,2하우징 사이에 각각 상하 및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닫힌 경우에 거치대에 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열림 동작에서, 상기 제2하우징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회전 동작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회전 동작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2회전 동작은 서로 상이한 회전힘이 제공되고, 상기 제1회전 동작보다 상기 제2회전 동작의 회전힘이 더 크게 구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일차적으로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에서 회전하는 제1회전 동작을 수행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1회전 동작이 정진 된 후,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각도에서 회전하는 제2회전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20040043047A 2004-06-11 2004-06-1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047A KR100678042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11/136,927 US20050277435A1 (en) 2004-06-11 2005-05-25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CNA2005100751923A CN1708067A (zh) 2004-06-11 2005-06-10 便携式数字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047A KR100678042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815A KR20050117815A (ko) 2005-12-15
KR100678042B1 true KR100678042B1 (ko) 2007-02-02

Family

ID=3546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047A KR100678042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277435A1 (ko)
KR (1) KR100678042B1 (ko)
CN (1) CN1708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07427S1 (zh) * 2004-02-17 2005-11-01 諾基亞股份有限公司 通信機
CA110249S (en) * 2004-09-02 2007-01-17 Nokia Corp Communicator
KR100662358B1 (ko) * 2004-10-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플레이어 조작 키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USD551237S1 (en) 2005-03-01 2007-09-18 Nokia Corporation Set of key buttons for a communicator
EP2013900A1 (en) * 2006-04-26 2009-0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810252B1 (ko) * 2006-07-0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D563366S1 (en) * 2006-07-05 2008-03-0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CN101119402B (zh) * 2007-03-22 2010-07-07 江显钦 一种平行四边形折叠手机
TW200911084A (en) * 2007-08-30 2009-03-0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with a panel capable of being hidden selectively
USD593550S1 (en) * 2008-02-05 2009-06-02 Modu Ltd. Keypad
USD594437S1 (en) * 2008-05-23 2009-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JP2011061692A (ja) * 2009-09-14 2011-03-24 Sony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8433B2 (en) * 2003-11-06 2006-06-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chanism for ergonomic integration of a digital camera into a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7435A1 (en) 2005-12-15
CN1708067A (zh) 2005-12-14
KR20050117815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630098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834626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66342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100678042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04B1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06108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117114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70024755A (ko) 휴대 단말기의 회전 스토퍼 장치
KR20060055905A (ko) 이축 회전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80004936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60131232A (ko) 자기 거치 배터리 팩을 구비한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