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0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7704B1 KR100677704B1 KR1020050135096A KR20050135096A KR100677704B1 KR 100677704 B1 KR100677704 B1 KR 100677704B1 KR 1020050135096 A KR1020050135096 A KR 1020050135096A KR 20050135096 A KR20050135096 A KR 20050135096A KR 100677704 B1 KR100677704 B1 KR 1006777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tt
- service
- transmission path
- unit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푸쉬-투-토크(Push-To-Talk, 이하 'PTT'라 칭함)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PTT 신호 입력부; PTT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PTT 처리부;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PTT 처리부를 이용한 전송경로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전송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PTT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송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절체하여 PTT 서비스 이용 및 이용 해제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TT 서비스 이용시 별도의 요금이 부가되지 않으며,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의 통화량 부하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ush-to-talk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ush-to-talk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TT') service. PT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A PTT process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for providing a PTT ser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switch unit for selecting and activating any one of a transmission path using the PTT processing unit and a transmission path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 unit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TT signal input unit,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signal. Decide to use and release the servi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d a separate fee when using the PTT ser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iting time is shortened. In addition, by not using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all load of the base station can be reduced.
Description
도 1은 CDMA 2000 1x 시스템에서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network for providing a push-to-talk service in a CDMA 2000 1x system;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providing a push-to-talk service using the network system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2000 1x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DMA 2000 1x system that provides a push-to-talk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push-to-talk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도 4에 예시된 이동통신단말기들간 푸쉬-투-토크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sh-to-talk service provision procedur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llustrated in FIG. 4.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무선통신망 등)과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 없이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 push-to-talk service without a separate server interworking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tc.).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하면서 통신 서비스(예컨대,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교환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PCS), an IMT-2000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device, such as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portable and allows a user to use a communication service (eg, a call or a text message exchange) while moving.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개발 초기에는 통화나 문자 등을 교환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망이 구축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히 일대일 음성 통화를 수행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 방송서비스의 수신 및 푸쉬-투-토크(Push-to-talk, 이하 'PTT'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ere merely means for exchanging currency or text. Recently,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ata communication speed has been greatly improv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simply perform a one-to-one voice call, but transmits multimedia information, receives a broadcast service, and provides a push-to-talk (PTT) service. It was done.
PTT 서비스는 단일 주파수 또는 전용채널에 의존하여 그룹에 속한 각 개인이 송신버튼을 누르고 그룹의 다른 참가자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일반적인 전화 통화는 통화자 두 사람이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에 따 른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PTT 서비스는 그룹 내 다수의 참가자들이 하나의 방송 채널을 공유하면서 통신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3명 이상의 참가자들에 의한 그룹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PTT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PTT service refers to a service in which each individual in a group presses a send button and communicates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group depending on a single frequency or a dedicated channel. In general, a telephone call requires a high cost because two callers share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ception channel, but the PTT service communicates at a low cost because many participants in the group communicate by sharing one broadcast channel. There are features that can be done. Group calls by three or more participants are also possible. Therefore, these PTT services are of interest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이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무선통신망 등)과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예컨대, PTT 서버)를 구축하고 그 서버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 가입자간 통화 채널을 형성한 후 그 통화채널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For this reason, methods for providing a PT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proposed. In particular, in the related art, a separate server (for example, PTT server) interworking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tc.) is established, and a call channel between subscribers of the PTT service is formed using the server, and then the call channel is used. A method for providing a PTT service has been proposed.
도 1은 CDMA 2000 1x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DMA 2000 1x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예컨대, 단말1(10), 단말2(20))과, CDMA 2000 1x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30)와, IP(Internet Protocol) 등을 이용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IP network)(50)와 RAN(30)을 연결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40)와, 패킷 통신 네트워크(IP network)(50)에 연결되어 PTT 세션을 관리하고 송화자(Talker)로부터의 음성패킷을 수화자(Listener) 그룹으로 중계하는 PTT 서버(60)를 포함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eneral network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PTT service in a CDMA 2000 1x system. Referring to FIG. 1, a CDMA 2000 1x system for providing a PTT ser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g, terminal 1 (10) and terminal 2 (20)), a CDMA 2000 1x radio access network, A packet data service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30 and a packet data service node connecting the RAN 30 to a
이 때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10, 20)은 PTT 버튼을 구비하고 그 PTT 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CDMA 2000 1x 표준에 따른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단말1(10)이 단말2(20)에게 PTT 서비스에 의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providing a PTT service using the network system illustrated in FIG. 1. In particular, FIG. 2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terminal 1 (10) requests a call by the PTT service to the terminal 2 (20).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10)(일명, 송신단말)에 구비된 PTT 버튼이 눌리면(S11), 단말1(10)은 트래픽 채널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어있지 않으면 무선통신망(50)(즉, IP network)와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다(S14). 그리고 PTT 서버(60)를 거쳐 해당 그룹의 단말들(도 2의 예에서는 단말2(20)(일명, 수신단말))에게 PTT 요구 메시지를 전달한다(S13, S15). 그러면 단말2(20)는 그에 응답하여 무선통신망(50)(즉 IP network)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 후(S16) PTT 서버(60)를 거쳐 단말1(10)에게 PTT 확인 메시지를 전달한다(S18). Referring to FIG. 2, when the PTT button provided in the terminal 1 (10, also known as a transmitting terminal) is pressed (S11), the terminal 1 (10) checks whether the traffic channel is connected and if the traffic channel is no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ie, an IP network) and a traffic channel are set (S14). Then, the
이와 같이 종래에는 PTT 서비스 가입자들은 PTT 서비스에 의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통신망(50)을 이용하여 상호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여야 했다. 따라서 PTT 서비스 개시를 위한 호 설정 시간이 지연된다. 즉,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기지국의 통화량 로드가 증가된다. 게다가 종래에는 별도의 PTT 서버를 구축하고 그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PTT 서버에 대한 이용 요금(예컨대, 정보 이용료 등)이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PTT service subscribers have to establish a mutual traffic channel using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PTT 통신을 위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T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PTT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PTT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통화량 로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T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PTT service to prevent the call load is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TT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PTT 통신 이용 요금을 최소화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T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inimizing the PTT communication char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푸쉬-투-토크(Push-To-Talk, 이하 'PTT'라 칭함)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PTT 신호 입력부; PTT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PTT 처리부;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PTT 처리부를 이용한 전송경로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전송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PTT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T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using Push-To-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service. ; A PTT process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for providing a PTT ser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switch unit for selecting and activating any one of a transmission path using the PTT processing unit and a transmission path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 unit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TT signal input unit.
이 때, 상기 PTT 신호 입력부는 별도의 PTT 버튼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TT signal input unit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f a separate PTT button or a button included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PTT 처리부는 입력된 송화자의 음성을 2.4GHz 대역의 캐리어 주파 수로 변조하여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TT processing unit modulates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input caller to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2.4GHz band.
또한 상기 PTT 처리부는 지그비(ZIGBEE) 처리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처리 모듈 및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TT processing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 any one of a ZIGBEE processing module, a Bluetooth processing module, and an ultra wide band (UWB).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T 신호 입력부를 통해 PTT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상기 PTT 처리부를 이용한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PTT 서비스 이용이 해제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전송 경로를 활성화함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he PTT processing unit when the PTT service use is selected through the PTT signal input unit, and activate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PTT service usage is releas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T 처리부를 이용한 전송 경로가 활성화된 경우 주기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전송 경로를 활성화시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he PTT processor is activated, the controller periodically activates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tinuously monitor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은 푸쉬-투-토크(Push-To-Talk, 이하 'PTT'라 칭함) 서비스 제공을 위한 PTT 전송경로와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통신 전송경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PTT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PTT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제1 과정;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PTT 전송경로를 활성화는 제2 과정; 상기 PTT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PTT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과정; PTT 서비스 이용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제4 과정; 및 상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통신 전송경로를 활성화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TT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rovides a PTT transmission path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for providing Push-To-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service A PTT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path for a first step,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signal of a user for using a PTT service; A second step of activating the PTT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PTT data using the PTT transmission path; A fourth step of receiving a user's request signal for releasing a PTT service; And a fifth step of activa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이 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대기 중에 상기 무선통신 전송경로를 활성화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ferably activ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path in the air.
또한 상기 제3 과정은 전송할 PTT 데이터를 2.4GHz 대역의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third process, the PTT data to be transmitted is modulated to a carrier frequency of the 2.4 GHz band.
또한 상기 제3 과정은 주기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전송 경로를 활성화시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third process, it is preferable to periodically monitor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activa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path periodical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2000 1x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CDMA 2000 1x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예컨대, 단말1(100), 단말2(200))과, CDMA 2000 1x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300)와, IP(Internet Protocol) 등을 이용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IP network)(500)와 RAN(3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2000 1x 시스템은 별도의 PTT 서버를 포함하지 않는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DMA 2000 1x system that provides a PT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DMA 2000 1x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PTT ser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g, terminal 1 (100) and terminal 2 (200)), and a CDMA 2000 1x radio access network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300, and 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IP network) 500 and the RAN 300 using the Internet Protocol (IP) and the like. That is, the CDMA 2000 1x system providing the PT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separate PTT server.
이 때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100, 200)은 PTT 버튼을 구비하고 그 PTT 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CDMA 2000 1x 표준에 따 른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100, 200)은 내부에 PTT 서비스를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호간에 직접 PTT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망(300, 400, 500)을 거치지 않고 상호간에 직접 PTT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200) is provided with a PTT button and provides a PTT service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PTT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wireless connection according to the CDMA 2000 1x standard. In particular, the
이를 위해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100, 200)은 PTT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별도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두 전송 경로들을 절체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To this end,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200) preferably comprises a switch unit for separately configur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PTT data and wireless data, and switching the two transmission paths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A configuration example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키패드부(105), PTT 신호 입력부(110), 제어부(115), 스위치부(120), PTT처리부(125), 무선통신부(130), 메모리부(135), 마이크부(140), 스피커부(145)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키패드부(10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입력한다. 이를 위해 키패드부(105)는 하드웨어 적인 버튼들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소프트 버튼들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응된 키 신호를 제어부(105)로 입력한다.The
PTT 신호 입력부(110)는 PTT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PTT 신호 입력부(110)는 PTT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 호를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PTT 신호 입력부(110)는 하나의 버튼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PTT 신호 입력부(110)는 키패드부(105)에 포함된 키들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TT
제어부(115)는 키패드부(105) 또는 PTT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 또는 메모리부(135)에 기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5)는 PTT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PTT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5)는 PTT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부(12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TT 신호 입력부(110)의 버튼이 눌리면 PTT 처리부(125)를 통한 전송 경로가 형성되도록 스위치부(120)를 제어하고, PTT 신호 입력부(110)의 버튼 눌림이 해제되면 무선통신부(130)를 통한 전송 경로가 형성되도록 스위치부(12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제어부(115)는 PTT 서비스 이용시에도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부(130)를 통한 전송 경로를 활성화시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스위치부(120)는 제어부(115)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경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PTT 처리부(125)를 이용한 전송경로와 무선 통신부(130)를 이용한 전송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12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PTT 처리부(125) 및 무선 통신부(130) 중 어 느 하나를 안테나와 연결한다.The
PTT 처리부(125)는 PTT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PTT 처리부(125)는 PTT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이 개시되고, PTT 서비스 제공을 위한 PTT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PTT 신호 입력부(110)의 버튼의 눌리면 PTT 처리부(125)는 스위치부(120)에 의해 안테나와 연결되어 PTT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며, 마이크부(140)를 통해 입력된 송화자의 음성을 2.4GHz 대역의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수신된 PTT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부(145)로 출력한다. 이 때 PTT 처리부(125)는 근거리 통신망 처리 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PTT 처리부(125)는 지그비(ZIGBEE) 처리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처리 모듈, 또는 초 광대역(UWB: Ultra Wide Band)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150)는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통신망 데이터를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The
메모리부(135)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전화번호부, 주소록 및 단문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35)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의 PTT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PTT 서비스 요청시 상기 PTT 그룹 정보를 PTT 처리부(125)로 전달하여 참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마이크부(140)는 주변의 음향신호(예컨대, 사용자의 목소리 등)를 수집하여 제어부(115)로 전달하고, 스피커부(145)는 제어부(115)의 제어를 받아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15)의 제어를 받아 영상신호를 출력한다.The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providing a PTT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4 and 5, a method of providing a PT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무선통신망 수신 대기 상태로 동작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특별한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위치부(120)는 안테나를 무선통신부(130)에 연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대기하도록 한다. First, the
상기 대기 상태에서 PTT 신호 입력부(110)의 버튼(일명, PTT 버튼)이 눌리면(S205) 제어부(115)는 PTT 처리 경로를 활성화시킨다(S210). 예를 들어, PTT 버튼이 눌리면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20)로 제어신호(즉, 경로 절체신호)를 전달하여 무선통신부(130)와 연결된 전송 경로를 PTT처리부(125)로 절체한다. 즉 안테나를 PTT처리부(125)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PTT 처리 경로를 통해 PTT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215). 즉 수신된 데이터를 PTT 처리부(125)에서 처리한 후 제어부(115)를 거쳐 스피커부(145)로 전달하고, 마이크(140)를 통해 입력된 송화자의 음성을 PTT 처리부(125)에서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부(115)는 주기적으로 안테나를 무선통신부(130)에 연결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감시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button (aka PTT button) of the PTT
한편 상기 PTT 데이터 송/수신 중 상기 PTT 버튼 눌림이 해제되면(S220) 제어부(115)는 무선통신 처리 경로를 활성화시킨다(S225). 예를 들어, PTT 버튼 눌림이 해제되면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20)로 제어신호(즉, 경로 절체신호)를 전달하여 PTT 처리부(125)와 연결된 전송 경로를 무선통신부(130)로 절체한다. 즉 안테나를 무선통신부(130)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무선통신 처리 경로를 통해 무선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230).On the other hand,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during the PT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220), the
도 6은 도 4에 예시된 이동통신단말기들간 PTT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들(예컨대, 단말1(100), 단말2(200))간 PTT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TT service providing procedur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llustrated in FIG. 4. In particular, FIG. 6 illustrates a PTT service providing procedur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g, terminal 1 (100) and terminal 2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말1(100)과 단말2(200)는 별도의 통신망이나 PTT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PTT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1(100)이 단말2(200)에게 PTT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1(100)은 PTT 신호 입력부를 통한 PTT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내부 전송 경로만을 절체함으로써 PTT 데이터를 전송한다(S305). 한편 단말2(200)가 단말1(100)에게 PTT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단말2(200)는 PTT 신호 입력부를 통한 PTT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내부 전송 경로만을 절체함으로써 PTT 데이터를 전송한다(S310).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1 100 and the terminal 2 200 may directly transmit PTT data without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TT server.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 (100) wants to transmit PTT data to the terminal 2 (200), the terminal 1 (100) transmits the PTT data by switching only the internal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PTT service request through the PTT signal input unit. (S305). Meanwhile, even when the terminal 2 200 intends to transmit the PTT data to the terminal 1 100, the terminal 2 200 transmits the PTT data by switching only the internal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PTT service request through the PTT signal input unit ( S3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TT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들 간에 직접적으로 PTT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PTT 서비스 이용시 별도의 요금이 부가되지 않으며,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d an additional charge when using the PTT service by directly transmitting PTT data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want to use the PTT servic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PTT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들 간에 직접적으로 PTT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PTT 서비스 이용시 별도의 요금이 부가되지 않으며,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의 통화량 부하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d an additional charge when using the PTT service by directly transmitting PTT data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want to use the PTT servic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In addition, by not using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all load of the base station can be reduc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5096A KR100677704B1 (en) | 2005-12-30 | 2005-12-30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5096A KR100677704B1 (en) | 2005-12-30 | 2005-12-30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7704B1 true KR100677704B1 (en) | 2007-02-02 |
Family
ID=381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50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7704B1 (en) | 2005-12-30 | 2005-12-30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770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239B1 (en) | 2008-07-07 | 2009-09-16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PITITY control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full-duplex voice packet network and half-duplex voice packet network |
KR101370178B1 (en) * | 2007-03-19 | 2014-03-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
WO2016056706A1 (en) * | 2014-10-08 | 2016-04-14 | (주)엔알피시스템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way radio service u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7394A (en) * | 2003-07-31 | 2005-03-03 | Sanyo Electric Co Ltd |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
-
2005
- 2005-12-30 KR KR1020050135096A patent/KR1006777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7394A (en) * | 2003-07-31 | 2005-03-03 | Sanyo Electric Co Ltd |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178B1 (en) * | 2007-03-19 | 2014-03-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
KR100917239B1 (en) | 2008-07-07 | 2009-09-16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PITITY control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full-duplex voice packet network and half-duplex voice packet network |
WO2016056706A1 (en) * | 2014-10-08 | 2016-04-14 | (주)엔알피시스템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way radio service using smartphone and two-way radio kit linked thereto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64190B2 (en) | Push to talk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 |
US2004022829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 |
EP328547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s for call routing | |
KR20040094275A (en) | Call setup method for push-to-talk service in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
KR20060016373A (en) | How to display the speaker of the PT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PT portable terminal | |
US2006017275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ush-to-talk image communic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40324B1 (en) | Push-To-Talk Group Cal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60172727A1 (en) | Method of providing one-to-one call during conference call in a mobile terminal | |
US8406684B1 (en) |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 |
CN100358376C (en) | Method for PTT servic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 |
US7756097B2 (en) | Rapid push-to-send data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 |
US7599704B2 (en) | Voice call connection method during a push to talk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677704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and its method | |
KR10072492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notification of PTT (Push―To―Talk)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2001352341A (en) |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 |
KR100605832B1 (en) | Receiving Status Notification Method | |
JP2001258074A (en) | Mobile phone having plural telephone numbers | |
KR20050040544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group calls and its method | |
KR100640323B1 (en) | Push-to-talk cal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RU2569338C2 (en) | Mobile device and third party call method | |
KR100651956B1 (en) | How to set up group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34965B1 (en) | Radio communication server for providing radio communication participant information and its method | |
KR100628764B1 (en) | How to Display User Images on the Piti Phone | |
KR20060016889A (en) | Push to talk call notifi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070022866A (en)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