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7534B1 - Rela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la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34B1
KR100677534B1 KR1020040059761A KR20040059761A KR100677534B1 KR 100677534 B1 KR100677534 B1 KR 100677534B1 KR 1020040059761 A KR1020040059761 A KR 1020040059761A KR 20040059761 A KR20040059761 A KR 20040059761A KR 100677534 B1 KR100677534 B1 KR 10067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signal
amplifying
level
gain adjus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6530A (en
Inventor
이기영
권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텔레텍 filed Critical (주)지에스텔레텍
Priority to EP0477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EP1690347A4/en
Priority to CN200480040312XA priority patent/CN1902839B/en
Priority to PCT/KR2004/002175 priority patent/WO2005048487A1/en
Priority to CN2010101663742A priority patent/CN101888713B/en
Priority to US10/984,070 priority patent/US20050107034A1/en
Publication of KR2005004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3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라폰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셀룰라폰 등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세기에 적응적으로, 또는 입력신호의 유무에 상관적으로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5)에 대한 전송선로에 라인커플러(7)를 설치하여 제1 증폭부(5)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분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8)은 라인커플러(7)로부터 분기된 주파수신호의 레벨에 비례하는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제1 증폭부(5)는 상기 이득조정신호를 근거로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주파수신호의 이득레벨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송출유무를 결정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cellular phone. In the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ignal from the terminal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daptively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input signal appli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or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put signal. To this end, in the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 coupler 7 is installed on the transmission line for the first amplifier 5 to amplify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frequency is input to the first amplifier 5. Will branch the signal. The gain adjusting signal generating means 8 generates a gain adjusting signal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branched from the line coupler 7 and applies it to the first amplifier 5. At this time, the first amplifier 5 variably sets o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gain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gain adjustment signal.

중계장치, 이득조정, 라인커플러Repeater, Gain Control, Line Coupler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Repeater for Mobile communcations system}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eater for Mobile communcations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곡선도.FIG. 2 is a characteristic curv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mplification gai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mplifier 5 in FIG.

도 3은 도 1에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n FIG.

도 4는 도 2에서 로그증폭기(81)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곡선도.4 is a characteristic curv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og amplifier 81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1에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2: 안테나, 3, 4 : 듀플렉스 필터,1, 2: antenna, 3, 4: duplex filter,

5, 6 : 증폭부, 7 : 라인커플러,5, 6: amplification unit, 7: line coupler,

8 :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본 발명은 세룰라폰 등의 통신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세기에 적응적으로, 또는 입력신호의 유무에 상관적으로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more particularly, from a terminal adaptively or independently of the strength of an input signal appli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 relay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to amplify an input signal and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a base station.

최근 이용자가 이동중에도 음성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화지역을 셀단위로 나누고, 셀단위마다 기지국을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들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기지국과 단말기는 통상 수백 ㎒에서 수㎓ 사이의 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게 되고, 또한 옥내 등의 통신음영지역을 고려하여 다수의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perform voice call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le traveling is widely used.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a call area into cell units, and sets base stations for each cell unit so that users can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these base stations. These base stations and terminals usually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frequency signals between several hundreds of MHz and several kilohertz, and also install and operate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shadow areas such as indoors.

상기 중계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순방향 링크신호)를 증폭하여 단말기로 제공하고,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역방향 링크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이때 중계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기지국과 중계장치 간의 전송손실을 검출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증폭이득을 조정함으로써 단말기로부터 중계장치를 거쳐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적정한 레벨로 설정하게 된다.The relay device amplifies a signal (forward 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and amplifies a signal (reverse link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provides it to the base station so that data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 In particular, the relay device detects a transmission los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devic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adjus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lay device. The signal strength is set to an appropriate level.

한편, 최근에 이르러 고층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수효가 증가되면서 하나의 셀내, 즉 하나의 기지국에 결합되는 중계장치의 수효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중계장치의 수효가 증가하게 되면 기지국의 수신환경이 악화됨으로써 기지국의 수신감도가 저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and apartments has recently increased, the number of relay devices coupled to one cell, that is, one base station has exploded. However, if the number of relay devices increases in this way, the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base station is deteriorated, and thu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base station is reduced.

즉, 종래의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링크의 신호세기를 근거로 역방향 링크의 신호를 증폭하게 되므로, 중계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 링크의 신호 유무와 관계없이 항상 기지국을 향하여 신호 전송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링크의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신호세기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지속적으로 기지국을 향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일반적인 백색잡음(white noise)의 세기를 -128㏈m, 중계장치의 역방향 링크 증폭이득을 60㏈라 할 때, 역방향 링크의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중계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대략 -68㏈m의 노이즈신호가 송출되게 된다. 하나의 중계장치에 대해서만 고려할 때, 중계장치로부터 기지국 까지의 전송 손실이 대략 70∼100㏈ 정도 되므로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노이즈신호의 세기는 최대 -138㏈m으로서, 이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무시할 수 있는 신호세기를 갖는다. 그러나 기지국과 연계되는 중계장치의 수효가 일정 이상 증가하게 되면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상기한 노이즈신호의 수효도 급속도로 증가하게 됨므로써 노이즈신호의 중첩등에 의해 노이즈신호의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노이즈신호의 세기 증가는 기지국의 수신감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lay device, since the signal of the reverse link is amplifi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orward link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relay device always transmits a signal toward the base st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the reverse link applied from the terminal. Will be In other words, when there is no signal of the reverse link received from the terminal, a noi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ward the base station.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general white noise intensity is -128 dBm and the reverse link amplification gain of the repeater is 60 dB, in the absence of the reverse link signal, approximately -68 dBm from the relay to the base station is obtained. The noise signal is sent out. When considering only one relay, the transmission loss from the relay to the base station is approximately 70-100 dB, so the intensity of the noise signal received from the relay to the base station is up to -138 dBm. It has a negligible signal strength. However, if the number of relay devices associated with the base station increases more than a certain number, the number of the noise signal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also rapidly increases, and thus the strength of the noise signal is increased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noise signal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noise signal greatly reduc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base station.

상기한 문제는 일반적인 RF 중계중치는 물론이고 광중계장치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여,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기지국과 연계되는 중계장치의 수효를 일정 이하로 제한하여야 하므로 이용자에게 최상의 통화품질을 제공하는데 큰 제약을 받게 된다.The above problems occur not only in general RF relay relays but also in optical relay apparatuses, and therefore, the number of relay apparatuses associated with one base station should be limit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for the service provider. You will be constrain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노이즈신호의 전송에 의한 기지국의 수신감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can minimize a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of a base station by transmission of a noise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중계장치의 신호전송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can minimize the power loss of the relay device by minimizing the signal transmission time of the relay device.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데이터를 증폭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와,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 상기 제1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주파수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 상기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에 비례하는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증폭수단은 상기 이득조정신호를 근거로 입력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to and from a terminal. First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frequency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ying means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And a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gain adjustment signal proportional to the first amplification means, amplifying the input frequency signal based on the gain adjustment signal.

또한,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비선형적인 이득특성들 갖고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에 대응하는 레벨의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n adjusting signal generating means includes a secon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input frequency signal with nonlinear gain characteristics, and a bias means for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amplifying means. It features.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데이터를 증폭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와,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 상기 제1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주파수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 상기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증폭수단은 상기 이득조정신호를 근거로 그 구동이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repea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equency signals to an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eater for amplify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First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frequency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ying means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And a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high or low level gain adjustment signal based on the first amplification means, wherein the driving is controlled on / off based on the gain adjustment signal. .

또한,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3 증폭수단,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레벨을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 온/오프 구동되어 상기 제1 증폭수단을 위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includes an integ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leve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an input frequency signal, a thir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integrating means, and an output level of the amplifying means. Comparison means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of a high or low level compared to a reference level, and switching on / off drive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utput of the comparison means to output a high or low level gain adjustment signal for the first amplification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또한, 상기 제1 증폭수단의 전단에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lay means for delaying the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in front of the first amplifying mean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RF 중계장치와 광중계장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RF 중계장치를 근거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general RF relay device and an optical relay device,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RF re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이고, 2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이다. 이들 안테나(1, 2)에는 수신되는 주파수신호와 송신하는 주파수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제1, 제2 듀플렉스 필터(3, 4)가 각각 결합되고, 이들 듀플렉스 필터(3, 4)의 사이에는 송수신 주파수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제2 증폭부(5, 6)가 커플링 콘덴서(C1∼C4)를 통해 결합된다. 이들 안테나(1, 2), 제1 및 제2 듀플렉스 필터(3, 4), 제1 및 제2 증폭부(5, 6)는 일반적인 중계장치에 채용된 것과 실질적을 동일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 is a service antenn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terminal, and 2 is a donor antenn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base station. The antennas 1 and 2 are respectively coupled with first and second duplex filters 3 and 4 for separating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and the transmitted frequency signal, and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duplex filters 3 and 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5 and 6 for amplifying the frequency signal ar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capacitors C1 to C4. These antennas 1 and 2, the first and second duplex filters 3 and 4, and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5 and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employed in a general repeater.

상기한 기본적인 구성에서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는 제1 듀플렉스 필터(3)를 통해 제1 증폭부(5)로 인가되어 증폭되고, 증폭된 주파수신호는 제2 듀플렉스 필터(4)와 도너 안테나(2)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된다. 또한 안테나(2)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신호는 제2 듀플렉스 필터(4)를 통해 제2 증폭부(6)로 인가되어 증폭되고, 증폭된 주파수신호는 제1 듀플렉스 필터(3)와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단말기로 송출된다.In the above basic configuratio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is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through the first duplex filter 3 and amplified, and the amplified frequency signal is the second duplex. It is sen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lter 4 and the donor antenna 2. In addition,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 is applied to the second amplifier 6 through the second duplex filter (4) and amplified, and the amplified frequency signal is serviced with the first duplex filter (3). It is sent to the terminal via the antenna (1).

한편, 제1 듀플렉스 필터(3)와 제1 증폭부(5)간의 선로상에는 라인커플러(7)가 결합된다. 이 라인커플러(7)는 상기 제1 듀플렉스 필터(3)와 제1 증폭부(5)간의 전송선로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선로(이하 이를 유도선로라 칭한다)를 구비한다. 상기 유도선로는 일단이 저항(R1)을 통해서 접지되면서 다른 단은 커플링 콘덴서(C5)를 통해서 이후에 설명할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의 입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저항(R1)은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것이다. 제1 듀플렉 스 필터(3)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신호, 즉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가 전송선로를 통해 제1 증폭부(5)로 전송되면, 라인 커플러(7)의 유도선로상에는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레벨의 유도전류(주파수신호)가 흐르게 되고, 이 유도전류는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ne coupler 7 is coupled to the line between the first duplex filter 3 and the first amplifier 5. This line coupler 7 has another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uction line) disposed adjacent to the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first duplex filter 3 and the first amplifier 5. One end of the induction line is grounded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put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upling capacitor C5. The resistor R1 is for impedance matching with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When a frequency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duplex filter 3, that is, a frequency signal from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mplifier 5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 transmission line is formed on the induction line of the line coupler 7. An induction current (frequency signal) of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through is flown, and this induction current is input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는 라인커플러(7)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비례적으로 대응하는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 즉 단말기로부터 수신신호가 존재하여 라인커플러(7)를 통해 입력되는 유도신호의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을 크게 하기 위한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고, 단말기로부터 수신신호가 없어서 라인커플러(7)를 통해 입력되는 유도신호의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증폭이득을 낮게 설정하거나, 또는 증폭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generates a gain adjust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line coupler 7 and applies it to the first amplifier 5. That is, whe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terminal is present and the level of the induced signal input through the line coupler 7 is high, a gain adjustment signal is generated to increas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 and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terminal. If the level of the induced signal input through the line coupler 7 is low, the amplification gain is set low, or a gain adjustment signal for stopping the amplification operation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do.

상기 제1 증폭부(5)는 적절한 증폭이득 설정을 위해 직렬접속된 다수의 증폭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증폭기는 예컨대 WJ Communications INC.사에서 생산한 모델명 AH1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도 2는 이 AH1의 이득특성을 나타낸 특성곡선도이다. 이 AH1 증폭기는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이 2.04∼5V인 경우에는 대략 70㎒∼1.7㎓ 대역의 입력 주파수신호에 대하여 대략 18∼10dB의 증폭이득을 갖게 되고, 바이어스 전압이 2.0V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그 증폭이득이 급격히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증폭이득특성은 상기 AH1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증폭기의 경우에도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난다.The first amplifier 5 comprises a plurality of amplifiers connected in series for proper amplification gain setting. These amplifiers consist of, for example, a model AH1 device manufactured by WJ Communications INC. Fig. 2 is a characteristic curve showing the gain characteristic of this AH1. This AH1 amplifier has an amplification gain of approximately 18 to 10 dB for an input frequency signal of approximately 70 MHz to 1.7 kHz when the bias voltage applied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s 2.04 to 5 V. When the voltage drops below 2.0V, the amplification gain is drastically lowered. This amplification gain characteristic is generally the same in the case of amplifiers other than the AH1 device.

상기 제1 증폭부(5)는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조 정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설정되면 제1 듀플렉스 필터(3)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제2 듀플렉스 필터(4)와 도너 안테나(2)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증폭부(5)는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조정신호가 소정 레벨 이하로 설정되면 그 증폭이득이 0dB에 가깝게 설정된다. 즉, 제1 증폭부(5)는 실질적으로 오프구동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증폭부(5)는 입력되는 신호를 거의 증폭 없이 그대로 출력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신호가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e first amplifier 5 amplifies the frequency signal input from the first duplex filter 3 when the gain adjustment signal applied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s set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duplex filter 4 and the donor antenna 2. In addition, when the gain adjustment signal applied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s set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the first amplifier 5 sets its amplification gain close to 0 dB. That is, the first amplifier 5 is substantially set to the off driving state.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rst amplifying unit 5 outputs the input signal as it is, with almost no amplification, or blocks the input signal from being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한편 도 3은 도 1에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는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로그증폭기(81)와, 이 로그증폭기(81)로부터 출력되는 레벨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82) 및, 저항(R2) 및 트랜지스터(831)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회로(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n FIG. In FIG. 3,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ncludes a log amplifier 81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eve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input frequency signal,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level signal output from the log amplifier 81. And a bias circuit 83 including a resistor R2 and a transistor 831.

도면에서 상기 로그증폭기(81)는 예컨대 아날로그 디바이스사에서 제조한 제품명 AD8314 로그앰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적분하여 입력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소정 레벨의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비선형 이득특성을 갖고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In the drawing, the log amplifier 81 includes, for example, a product name AD8314 log amplifier manufactured by an analog device company, which integrates an inpu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input signal. It amplifies and outputs with nonlinear gain characteristics.

도 4는 상기 로그증폭기(8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곡선도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신호는 해당 신호를 적분했을 때, 적분된 신호는 주파수신호의 세기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되지 않고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신호의 세기에 따라 지수함수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로그증폭기(81)는 도 3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의 세기가 갖는 특성과 상보적인 이득특성을 가지고 입력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그증폭기(81)로부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신호의 세기에 따라 그 출력레벨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증폭신호를 출력하게 된다.4 is a characteristic curv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og amplifier 81. In general, when a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a terminal is integrated with a corresponding signal, the integrated signal does not change linearl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frequency signal but has an exponent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frequency signal as shown in FIG. Will have The log amplifier 81 amplifies the input signal with a gain characteristic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signal strength,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3.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log amplifier 81 outputs an amplified signal whose output level changes linearly with the strength of the input signal.

이어, 상기 로그증폭기(81)로부터의 출력은 증폭기(82)를 통해서 소정 레벨 증폭된 후 바이어스회로(83)에 인가된다. 바이어스회로(83)에서는 상기 증폭기(82)의 출력이 저항(R1)을 통해서 트랜지스터(831)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트랜지스터(831)는 그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에 대응되는 출력을 이득조정신호로서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The output from the log amplifier 81 is then amplified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amplifier 82 and then applied to the bias circuit 83. In the bias circuit 83, the output of the amplifier 82 is coupl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831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transistor 831 outputs a gai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base. As a result it is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즉,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는 라인커플러(7)로부터 입력된 주파수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바이어스회로(83)를 선형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에 비례하는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That is,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linearly drives the bias circuit 83 on the basis of the strength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 from the line coupler 7 so as to be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the input frequency signal. Will generate and print it.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기지국으로부터 중계장치로 수신된 주파수신호는 통상의 중계장치와 마찬가지로 도너 안테나(2)와 제2 듀플렉스 필터(4)를 통해 제2 증폭부(6)에 입력된 후 제2 증폭부(6)에서 증폭되고, 이렇게 증폭된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신호는 제1 듀플렉스 필터(3)와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단말기로 송출된다.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is input to the second amplifier 6 through the donor antenna 2 and the second duplex filter 4 like the conventional repeater, and then the second amplifier 6 The frequency signal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us amplifi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duplex filter 3 and the service antenna 1.

한편, 백색잡음을 포함하여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서 수신된 주파수신호는 제1 듀플렉스 필터(3)를 통해서 제1 증폭부(5)로 인가되고, 제1 증폭부(5)는 이득 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조정신호를 근거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증폭하여 제2 듀플렉스 필터(4) 및 도너 안테나(2)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Meanwhile,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including white noise is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through the first duplex filter 3, and the first amplifier 5 is a gain adjustment signal. The frequency signal inputted on the basis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applied from the generator 8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duplex filter 4 and the donor antenna 2.

우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주파수신호가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일정한 세기 이상의 유도신호가 라인커플러(7)를 통해 유도되어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 일정 세기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는 소정 레벨 이상의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레벨 이상의 바이어스 전압이 제1 증폭부(5)로 인가되면, 제1 증폭부(5)는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신호를 높은 증폭이득으로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2) 측으로 출력하게 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a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an induced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is guided through the line coupler 7 and applied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As described above, when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is input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generates a gain adjustment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uses the first amplifier as a bias voltage. 5) is applied. When a bias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the first amplifier 5 amplifies the frequency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with a high amplification gain so as to obtain a donor antenna 2. Will be output to the

또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라인커플러(7)를 통해 유도되어 이득조정신호 발샐부(8)로 인가되는 유도신호는 백색잡음에 상당하는 신호세기 이하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출력되는 이득조정신호의 레벨이 "0"레벨 또는 "0"레벨에 가까운 레벨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이 0dB에 가깝게 설정되거나 또는 오프구동상태로 설정되게 됨으로써 제1 증폭부(5)로부터 도너 안테나(2) 측으로 출력되는 신호세기는 백색잡음레벨 이하의 아주 낮은 레벨로 설정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from the terminal, the induced signal induced through the line coupler 7 and applied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white noise. Will be set to. As a result, the level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output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s set to a level close to the " 0 " level or " 0 " level. Therefore,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 is set to be close to 0 dB or is set to the off driving state, so that the signal strength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5 to the donor antenna 2 side is white noise. It will be set at a very low level below the level.

한편,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신호가 없던 상태에서 갑자기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즉 제1 증폭부(5)가 비구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가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경우 해당 수신 주파수신호는 증폭이득이 거의 0dB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증폭부(5)의 입력단으로 바로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라인커플러(7)에 의해 상기 수신 주파수신호의 신호세기에 대응되는 유도신호가 유도되어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출력되는 이득조정신호에 의해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이 정상적인 상태로 설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via the service antenna 1 from the terminal suddenly receives a frequency signal from the terminal, that is, from the terminal in the state that the first amplifier 5 is set to the non-driven state When the frequency signal of is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the corresponding received frequency signal is directly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 in which the amplification gain is set to almost 0 dB. At the same time, an induc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is induced by the line coupler 7 and applied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which is output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 is set to a normal state by the gain adjustment signal.

이때 이득조정신호 발생부(1)로 유도신호가 인가되고 나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소정 레벨 이상의 이득조정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이 대략 100ns 정도 소요되고,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이 0dB로부터 정상 이득에 도달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이 대략 700ns 정도 소요되므로 제1 증폭부(5)로 입력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는 대략 총 800ns정도의 초기 구간의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전송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delay time from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1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until a gain adjustment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output is approximately 100 ns. Since the delay time from the gain of 0 dB to the normal gain is approximately 700 ns, the frequency signal from the terminal input to the first amplifier 5 is approximately 800 ns in total data of the initial sec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nd is discarded.

일반적으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에 사용되는 채널로는 접속채널(Access Channel) 및 통화채널(Traffic Channel)의 2가지가 있다. 여기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채널신호는 접속채널이 우선하게 되므로 상기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와 제1 증폭부(5)에 의한 지연시간은 특히 접속채널 데이터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In general, there are two channels used for the reverse link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an access channel and a traffic channel. In this case, the channe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prioritized, so that the delay time by the gain adjusting signal generator 8 and the first amplifier 5 may affect the access channel data. .

그러나, 일반적으로 접속채널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률이 예컨대 4.8Kbps로 고정되어 있고,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접속채널 데이터를 프리앰블 데이터(Preamble Data)와 캡슐데이터(Capsule Data)로 구분하여 전송하고 있다. 그리고 이때 프리앰블 데이터는 1.25ms의 시간길이를 갖는 4개의 프리엠블 데이터를 포함하여 그 신호구간이 대략 총 5ms 정도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와 제1 증폭부(5)에 의한 지연시간은 한 개의 프리앰블 데이터에 상당하는 시간 보다 작은 시간이 되므로 비정상적인 역방향 링크의 형성에 의해 단말기에 대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일이 없게 된다.In general, however, in the case of the access channel, the data rate is fixed at 4.8 Kbps, and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more accurate data, the access channel data is divided into preamble data and capsule data. . In this case, the preamble data includes four preamble data having a time length of 1.25 ms, and the signal interval is set to approximately 5 ms in total. Therefore, the delay time by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and the first amplifier 5 is less than the time equivalent to one preamble data, so that normal service is performed to the terminal by forming an abnormal reverse link. There is nothing that cannot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신호의 유무에 상관적으로 기지국에 대한 송출신호의 증폭이득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므로, 중계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일정 레벨이상의 노이즈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base station is variably se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a noise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transmitted from the relay apparatus to the base station. It can solve the problem of sending continuousl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서 상술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ubstantially the same parts as FIG. 1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에 있어서는 라인커플러(7)와 제1 증폭부(5)의 사이에 서비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회로(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연회로(51)는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와 제1 증폭부(5)에 의한 지연시간, 즉 이득조정신호 발생부(1)로 유도신호가 인가되고 나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이득조정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지연시간과 제1 증폭부(5)의 증폭이득이 0dB로부터 정상 이득에 도달될 때까지의 지 연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제1 증폭부(5)로 인가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주파수신호를 지연시키도록 그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이 지연회로(51)는 라인커플러(7)를 통해 제1 증폭부(5)로 인가되는 주파수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와 제1 증폭부(5)에 의한 지연시간에 의해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신호의 초기구간이 기지국으로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본 중계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In FIG. 5, a delay circuit 51 is provided between the line coupler 7 and the first amplifier 5 to delay the frequency signal from th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delay circuit 51 has a delay time by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and the first amplifier 5, that is, a guidance signal is applied to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1 and then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 The first amplification by the delay time until the corresponding gain adjustment signal is outputted from 8) and the delay time until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 reaches the normal gain from 0 dB. The delay time is set so as to delay the frequency signal from the terminal applied to the section 5. The delay circuit 51 delays the frequency signal applied to the first amplifier 5 through the line coupler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and the first amplifier (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initial section of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due to the delay time of 5), the reliability of the relay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도 6은 도 1에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도 6에서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in FIG. In FIG.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ubstantially the same parts as FIG. 3,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는 도 3에서의 바이어스회로(83) 대신에 증폭기(82)로부터의 출력이 일정 레벨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84)와, 이 비교부(84)로부터의 출력레벨에 따라 온/오프 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shown in FIG. 6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from the amplifier 82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nstead of the bias circuit 83 in FIG. And a switching unit 85 having a comparator 84 for outputting and a switch that is turned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level from the comparator 84.

도 6의 구성에서는 증폭기(8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일정레벨 이상, 즉 도 1에서 서비스 안테나(1) 및 듀플렉스 필터(3)를 통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85)의 스위치(851)가 온되어 제1 증폭부(5)로 소정 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인가하고, 증폭기(8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일정레벨 이하, 즉 단말기로부터의 송신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스위칭부(85)의 스위치(851)가 오프되어 "0"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제1 증폭부(5)로 인가하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82 is above a certain level, that is, when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 and the duplex filter 3 in FIG. 1, the switching unit 85 is used. Switch 851 is turned on to apply a gain adjustment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first amplifier 5, and switches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82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at is, there is no transmission data from the terminal. The switch 851 of the unit 85 is turned off to apply a gain adjustment signal having a "0" level to the first amplifier 5.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이득조정신호 발생부(8)를 도 1의 구성에 채용하게 되 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제1 증폭부(5)가 소정의 증폭이득으로 구동되어 기지국에 대하여 주파수신호를 송출하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제1 증폭부(5)가 0dB의 증록이득으로 구동되어 기지국에 대한 주파수신호 송출을 중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or 8 shown in FIG. 6 is employ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when there is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first amplifier 5 is driven with a predetermined amplification gain to the base station. In case that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no data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first amplifier 5 is driven with 0 dB of additional gain to stop transmitting the frequency signal to the base station.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중계장치로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중계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송출되는 신호의 레벨이 낮게 설정되거나 또는 신호의 송출이 정지되고, 단말기로부터 중계장치로 수신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중계장치로부터 정상적인 레벨의 전송신호가 송출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the relay device, the level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to the base station is set low or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is stopped, and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the relay device. If there is a signal, a normal level transmission signal is sent from the relay device.

따라서, 하나의 기지국에 대하여 다수의 중계장치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계장치가 항상 구동상태로 설정되지 않고 전송신호가 있을 때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되므로, 중계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노이즈신호에 의한 기지국의 수신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in combination with one base station, the relay device is not always set to the driving state but is selectively driven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signal, so that the base station is caused by the noi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Can reduce the reception sensitivity.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단말기로부터의 전송신호 유무에 따라 중계장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되므로 중계장치의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relay device is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erminal, power consumption of the relay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유무를 근거로 기지국에 대한 중계장치의 증폭이득을 설정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레벨을 근거로 기지국에 대한 송출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조정수단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lay apparatus for the base station is se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gain of the outgoing signal for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from the base s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gai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ower supply.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어스회로(83)나 스위칭부(851)의 출력레벨을 검출하여 중계장치의 이용효율 등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output level of the bias circuit 83 or the switching unit 851 to calculat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relay device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RF중계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반적인 광중계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F relay apparatu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optical relay apparatus in the same manner.

또한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그증폭기(81)를 채용하지 않고 단지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을 적분 및 선형증폭하고, 그 증폭된 레벨이 일정레벨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gain adjustment signal is determined by integrating and linearly amplifying the level of the input frequency signal without employing the log amplifier 81,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mplified level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즉, 본 발명은 본원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본원 권리범위가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이즈신호의 전송에 의한 기지국의 수신감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또한 중계장치의 신호전송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minimize power loss of a repeater by minimizing a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of a base station by transmission of a noise signal and minimize signal transmission time of a repeater.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Claims (6)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데이터를 증폭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에 있어서,In the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amplify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와,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to a terminal;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First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상기 제1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주파수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frequency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ying means through a base station; 상기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에 비례하여, 입력 주파수신호의 레벨이 높은 경우에 제1 증폭수단의 증폭이득을 높이기 위한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gain adjustment signal for increasing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first amplifying means when the level of the input frequency signal is high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ted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Become, 상기 제1 증폭수단은 상기 이득조정신호를 근거로 입력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the first amplifying means amplifies the input frequency signal based on the gain adjustment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비선형적인 이득특성들 갖고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과,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includes secon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input frequency signal with nonlinear gain characteristics; 상기 제2 증폭수단의 출력에 대응하는 레벨의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a biasing means for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y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증폭수단의 전단에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a delay means for delaying a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in front of the first amplifying means.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데이터를 증폭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에 있어서,In the relay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amplify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와,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to a terminal;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First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상기 제1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주파수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frequency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ying means through a base station; 상기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하이레벨,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로우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A gain adjustment signal for generating a low level gain adjustment signal when the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when the level of the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It comprises a generating means, 상기 제1 증폭수단은 상기 이득조정신호의 레벨이 로우레벨인 경우 구동이 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the first amplifying means is controlled to be off when the level of the gain adjustment signal is at a low level.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득조정신호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주파수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적분수단과,The gain adjustment signal generating means includes an integration means for outputting a leve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input frequency signal; 상기 적분수단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3 증폭수단,Thir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integrating means, 상기 제3 증폭수단의 출력레벨을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Comparison means for outputting a high or low level detection signal by comparing the output level of the third amplification means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상기 비교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 온/오프 구동되어 상기 제1 증폭수단을 위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이득조정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switching means for driving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utput of the comparing means to output a high or low level gain adjustment signal for the first amplifying mean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증폭수단의 전단에 제1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And a delay means for delaying a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first amplifying means in front of the first amplifying means.
KR1020040059761A 2003-11-13 2004-07-29 Rela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0677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774436A EP1690347A4 (en) 2003-11-13 2004-08-30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200480040312XA CN1902839B (en) 2003-11-13 2004-08-30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CT/KR2004/002175 WO2005048487A1 (en) 2003-11-13 2004-08-30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2010101663742A CN101888713B (en) 2003-11-13 2004-08-30 Repeater for mobile communcations system
US10/984,070 US20050107034A1 (en) 2003-11-13 2004-11-09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337 2003-11-13
KR20030080337 2003-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530A KR20050046530A (en) 2005-05-18
KR100677534B1 true KR100677534B1 (en) 2007-02-02

Family

ID=3724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7534B1 (en) 2003-11-13 2004-07-29 Rela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534B1 (en)
CN (2) CN10188871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7693B (en) * 2013-12-30 2017-11-24 苏州矩阵光电有限公司 A kind of communication signal compensator and compens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2675U (en) * 1987-03-05 1988-03-02 北京铁路局新技术开发咨询服务公司 Device controlling to receive data transmission
JP3183078B2 (en) * 1994-02-28 2001-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ing the same, receiver us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69802A (en) * 1994-10-24 1998-01-07 Pcs无线有限公司 Self-adjusting RF repeater arrangements for wireless telephone
JPH11136142A (en) * 1997-11-03 1999-05-21 Nec Shizuoka Ltd Gain control circuit and gain control method
US6370203B1 (en) * 1998-11-04 2002-04-09 Ericsson Inc.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8713A (en) 2010-11-17
CN1902839A (en) 2007-01-24
CN1902839B (en) 2010-12-22
KR20050046530A (en) 2005-05-18
CN101888713B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08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mall base station and equipment for its system
US5450620A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 power level in a booster amplifier for a digital mobile phone system
UA44762C2 (en) RADIO TELEPHONE RECEIVING A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RF SIGNAL
JPH1075195A (en) Transmission-reception-changeover switch by semiconductor
KR970013887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5534224A (en) Dynamic impedance matching device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KR19980030359A (en) External Interference Signal Elimination Device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rminal
US12021798B2 (en) Sequenced transmit muting for wideband power amplifiers
KR100677534B1 (en) Rela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50107034A1 (en)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A2019266A1 (en) Burst mode transmitter/receiver unit
KR101018267B1 (en) High Power Amplifiers for Time Division Systems
KR20020044827A (en) Signal-Sensed Path-Switching Optical Repeater Systems for Relaying CDMA/TDD Signals
KR100377935B1 (en) Sysyem for monitoring adjacent channel power in a wireless base station
AU671537B2 (en) Radio repeater
KR101288607B1 (en) Mobile repeater
EP1276243B1 (en) Transmitter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040067224A (en)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KR100281627B1 (en) Noise Reduction Circuit of Wireless Repeater
KR19990046697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of repeater
KR100222427B1 (en) Analog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ooster and Control Method
JPH098745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64584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of repeater
KR20050117994A (en) Device of preventing the input/output isolation of portable internet wireless transmitter
JP2003069445A (en) Antenna sharing transmitter / receiver for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9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