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5669B1 -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 Google Patents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669B1
KR100675669B1 KR1020050088007A KR20050088007A KR100675669B1 KR 100675669 B1 KR100675669 B1 KR 100675669B1 KR 1020050088007 A KR1020050088007 A KR 1020050088007A KR 20050088007 A KR20050088007 A KR 20050088007A KR 100675669 B1 KR100675669 B1 KR 10067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ushioning
elastic device
insole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린
Original Assignee
이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린 filed Critical 이세린
Priority to KR102005008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갑피, 안창, 바닥창, 중간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안창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코일 스프링, 하면으로부터 발 뒷굼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된 외부보호벽과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부결합공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차단벽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대, 상면으로부터 상기 외부보호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내부보호벽과 하부결합공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차단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하부 차단벽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대, 공기구멍을 포함하는 완충 및 탄성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강도 고탄성으로서 발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이 여러 군데에 균형을 맞추어 설치되고, 이물질 차단벽 및 스프링 보호벽이 형성되고, 스프링과 견고히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중량은 작으면서도 고강도인 바,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을 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스프링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유지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쿠션신발에 관한 것이다.
완충, 탄성, 스프링, 쿠션신발, 신발

Description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Cushion Footwear that springy and shock-absorber is inserted and combine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신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종래 일반 신발의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도 3a의 A-A선 단면으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C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 중의 원통형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에 원뿔형 스프링이 내장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도 6a의 D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에 보호벽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도 7a의 E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의 앞 부분에도 삽입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상기 도 8의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의 앞 부분에도 삽입결합되는 완충 및 탄성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9b는 상기 도 9a의 F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갑피 20 : 안창
30 : 바닥창 40 : 중간창
50 : 완충 및 탄성장치
51 : 상부 지지대 51a : 외부보호벽
51b : 상부결합공 51c : 상부 차단벽
52 : 하부 지지대 52a : 내부보호벽
52b : 하부결합공 52c : 하부 차단벽
53 : 코일스프링 54 : 공기구멍
본 발명은 보호벽 내부의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신발의 안창과 중간창 사이에 삽입결합되어 지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동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쿠션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강도 고탄성의 작은 스프링이 여러 군데에 균형을 맞추어 설치되었으며, 이물질 차단벽 및 스프링보호벽이 형성되고, 스프링과 견고히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중량은 작으면서도 강도는 큼으로서,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을 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스프링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유지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것으로는 의식주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식주 생활은 시대와 더불어 점점 풍요로워졌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필수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그 외관, 기능, 환경영향, 안전성 등 다양한 요구까지도 함께 만족하도록 요구되어 왔다.
신발은 인류의 초기에는 맨발로 다녀도 될 정도로 의식주의 하나로 여겨지지 아니할 정도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 현대인간에게는 의복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즉, 오랜 역사와 함께 변천하여 발전해왔으며, 신발의 종류도 의복만큼이나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제작되고 있는 신발을 보면, 피혁을 주소재로 하는 정장화와 발의 활동 성을 좋게 하기 위해 다양한 신소재의 개발을 중심으로 제조되는 스포츠화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스포츠화는 일상생활에 이용되는 일상화로서 그 형태, 재료, 제조방법 등에 있어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종래 신발의 일반적인 구조는 첨부된 도 1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피혁이나 인조 섬유로 구성된 갑피(10)와, 발바닥 또는 양말과 접하는 안창(20), 바닥 또는 지면과 맞닿는 바닥창(30), 상기 안창과 바닥창 사이에 큐션을 주는 소재로 이루어진 중간창(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갑피(10)는 발바닥을 제외한 발의 외부를 감싸는 부분이고 상기 안창(20)은 발바닥 또는 양말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부드럽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로 섬유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창 위에는 별도의 깔판을 두기도 한다.
상기 바닥창(30)은 바닥과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서, 주로 고무로 된 소재로 이루어져 발을 보호한다는 신발 고유의 기능을 가지는 부품으로 바닥창과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보행이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간창(40)은 안창과 바닥창의 중간에 삽입 결합되어 소위 쿠션을 느끼게 해 주는 부품으로서 인체의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발의 외관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으로서 그 제조과정은 주로 접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간의 보행이나 주행 과정상 상기 갑피 및 안창, 바닥창, 중간창은 특히 그 앞 부분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음과 동시에 곧바로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는 소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일반의 신발에 의한 보행이나 주행시 인체가 받는 충격은 상당하고 이때 받는 충격은 발목에서 허리를 통하여 대뇌에까지 전달되는 바, 이러한 보행이나 주행시의 무게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로 창에 각종의 부속을 제작시 부착 또는 삽입하여 성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것으로 종래 대표적인 것으로는 코일스프링을 단순히 삽입결합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단순 삽입결합방식을 신발에 설치하는 완충 및 탄성 방식은 안정감이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쿠션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의 크기가 상당히 크거나 코일스프링의 두께가 두껍거나 하여야 하는 데, 이럴 경우 단단하고 두꺼운 지지대 및 바닥완충제가 필요했을 뿐 아니라 그로 인해 부피 및 중량감이 상당하여 장거리 마라톤, 훈련용, 실전용과 같은 스포츠화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간의 보행이나 주행 과정상 상기 갑피 및 안창, 바닥창, 중간창 은 특히 그 앞 부분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음과 동시에 곧바로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점은 기대하기도 어려웠다. 왜냐하면 바닥 전체에 걸쳐 지지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벨로우즈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도 종래에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벨로우즈 스프링 신발의 경우도 그 스프링의 크기가 발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그 개수도 적어 보행이나 주행에 있어 발의 균형상 안정성이나 착화감이 떨어졌고, 그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스프링의 형상이 변하거나 내구성이 떨어졌으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니 었다.
즉,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요지는 발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이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을 주도록 여러 군데(예를 들어, 발 뒷부분의 경우 적어도 3군데 이상)에 균형을 맞추어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작은 스프링도 그 강도가 크면서도 탄성력이 있는 것이어야 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나아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중량은 작으면서도 강도는 큰 것이어야 하고, 지지대와 스프링의 결합은 견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고탄성의 작은 스프링이 여러 군데에 균형을 맞추어 설치되었으며, 이물질 차단벽 및 스프링 보호벽이 형성되고, 스프링과 견고히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중량은 작으면서도 강도는 큼으로서,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을 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스프링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유지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등 부위를 덮는 갑피(10)와 발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감싸는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창은 발과 직접 닿는 안창(20), 바닥에 직접 닿는 바닥창(30), 상기 안창(20)과 바닥창(30)의 중간에 위치하여 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중간창(40)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안창(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코일 스프링(53), 하면으로부터 발 뒷꿈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된 외부보호벽(51a)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부결합공(51b)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차단벽(51c)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대(51), 상면으로부터 발 뒷굼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보호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내부보호벽(52a)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이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하부결합공(52b)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차단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하부 차단벽(52c)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대(52), 상기 외부 보호벽 및 상부 차단벽에 공기의 유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공기구멍(54)을 포함하여 상기 안창(20)과 중간층(4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완충 및 탄성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완충 및 탄성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종래 일반 신발의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종래 일반신발과 같이 갑피(10), 안창(20), 바닥창(30), 중간창(40)이 사용되는 점은 같다. 다만, 발바닥(또는 양말)이 접하는 안창(30)과 중간창(40) 사이에는 본 발명의 핵심인 완충 및 탄성장치(50)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진다.
상기 완충 및 탄성장치(50)의 상면과 안창(20) 하면 사이 및 완충 및 탄성장치(50)의 하면과 중간창(40) 상면 사이의 결합은 주로 초강력 본드에 의한 본드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삽입 및 결합되는 상기 완충 및 탄성장치(50)의 두께는 종래 일반 신발의 안창(20), 바닥창(30), 중간창(40)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비슷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는 완충 및 탄성장치(50)의 전체 두께가 크면 신발의 전체부피가 커짐은 물론이고, 완충 및 탄성장치(50)가 삽입 결합되는 곳은 주로 발 뒷굼치에 해당하므로 하이힐과 같이 발앞부분과 발뒷굼치 사이의 경사가 커져 결과적으로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창(20) 및 중간창(30)의 두께는 종래 일반신발의 경우보다 두껍고, 다만 완충 및 탄성장치가 삽입되는 발 뒷꿈치에 해당하는 부분은 그 두께가 일반 신발의 경우보다 작아야 한다. 그렇지 아니하면 발 뒷굼치와 발 중간의 완충 및 탄성장치의 경계로 인한 그 경계부위에 급경사의 굴곡이 생기게 마련이고 그 굴곡으로 인해 발의 안정감, 편함이나 착화감을 이룰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도 3a의 A-A선 단면으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C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 중의 원통형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인 완충 및 탄성장치(50)는 크게는 코일 스프링 상단을 결합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51)와 코일 스프링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52)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에서 결합 지지되는 코일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지지대(51)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기 코일스프링을 보호하고 스프링의 비틀림, 휘어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보호벽(51a)이 발 뒷꿈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최소한 3개소 이상)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지지대 하면 중 외부보호벽(51a)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부결합공(5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상부결합공(51b)을 관통한 후 꺽이어 상부 지지대 하면과 결합되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상부 지지대에 견고하게 체결되어진다.
상기 하부 지지대(52)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기 코일스프링을 보호하고 스프링의 비틀림, 휘어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보호벽(52a)이 발 뒷굼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최소한 3개소 이상) 일단이 개방 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대 상면 중 내부보호벽(52a)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의 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하부결합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의 하단은 하부결합공(52b)을 관통한 후 꺽이어 하부 지지대 상면과 결합되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코일스프링의 하단이 하부 지지대에 견고하게 체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보호벽(52a)은 외부보호벽(51a) 안쪽으로 삽입되어진다. 그러나, 외부보호벽(51a)과 내부보호벽(52a)은 상호 마주보는 면이 결합되거나 완전히 접하지 않고, 상호간에 미세하게 이격되어진 상태로 삽입되어진다. 이는 충격 및 탄성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상하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외부보호벽과 내부보호벽도 상대적으로 상하 왕복운동을 하므로 상하 왕복운동에 따른 마찰과 그에 따른 마찰열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외부 보호벽과 내부 보호벽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그 사이에 끼거나 누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지지대 및 상 하부 보호벽과 이에 내장결합되는 스프링의 위치 및 개수는 최소한 3개소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소 이상에 보행이나 주행시의 발의 균형을 맞추어 형성되어 있음이 좋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강도 고탄력의 스프링이 여러 곳에 균형을 맞추어 배치될수록 보행이나 주행시의 안정성 및 착화감을 많이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외부 보호벽과는 별도로 상부 지지대의 외곽으로는 상부 차단벽 (51c)이 돌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보호벽과는 별도로 하부 지지대의 외곽으로는 하부 차단벽(5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차단벽은 상부 차단벽 안쪽으로 삽입되는 데, 이는 신발 외부로부터의 모래, 물 등의 이물질이 완충 및 탄성장치(5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는 작용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차단벽에서도 상호 마주보는 면은 접하거나 결합되지 않고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진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왕복운동에 따른 마찰 및 그에 따른 마찰열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반대로 상부 차단벽과 하부 차단벽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모래 등의 이물질이 그 사이에 끼거나 누적되게 된다.
나아가, 보행이나 주행의 경우 발의 안정감 및 균형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상부 차단벽과 하부 차단벽의 상호간 상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본 발명의 쿠션신발을 보았을 때 신발의 뒷굼치 부분의 전체길이가 상하운동의 폭만큼 작은 변동이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어 발의 안정감 및 균형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미적으로도 그 실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 보호벽 및 상부 차단벽에는 공기구멍(54)이 통공되어 있다. 상기 공기구멍(54)은 공기의 유출입을 원활하게 하여 코일스프링의 완충 및 탄성력을 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공기가 공기압에 따라 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공기 구멍이 통공되어 있지 않으면, 스프링이 수축될 때 상부 차단벽과 하부 차단벽 사이의 간격 및 외부 보호벽과 내부 보호벽 사이의 간격이 미세한 바, 그 때문에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 를 해소하지 못하게 되면 높은 공기압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완충 및 탄성효는 기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반대로 스프링이 팽창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공기구멍은 본 발명의 쿠션신발을 청소하거나 세탁하는 경우 등에는 물 등이 침투할 수 밖에 없는 바, 청소나 세탁 등이 끝난 후 물을 빼내거나 건조 과정에 있어 증발되는 증기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다만, 물에 의한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부 지지대, 내 외부 보호벽, 상 하부 차단벽 및 코일 스프링은 스테인레스(Stainless) 처리된 재료이어야 한다. 또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동시에 고강도 및 고탄성 이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상 하부 지지대, 내 외부 보호벽, 상 하부 차단벽의 소재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처리된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소재 중의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 스프링의 소재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처리된 강철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의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에 원뿔형 스프링이 내장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도 6a의 D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원뿔형 스프링을 내장 결합하는 경우는 주로 어린이용 신발이나 고탄력이 요구되지 않을 때 많이 사용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의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에 보호벽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도 7a의 E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벽이 없는 경우는 주로 슬리퍼 등의 저가 제품의 쿠션 신발을 제조할 때 많이 사용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차단하는 상 하부차단벽 및 공기구멍은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도 보호벽이 없는 관계로 상부 지지대와 코일 스프링의 상단간의 결합 및 하부 지지대와 코일 스프링의 하단과의 결합은 견고히 이루어져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의 앞 부분에도 삽입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상기 도 8의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의 앞 부분에도 삽입결합되는 완충 및 탄성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9b는 상기 도 9a의 F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부분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경우는 뒷 부분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경우와는 달리 발의 구조상 보행이나 주행시 그 균형을 맞추어 신체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엄지발가락 쪽이 새끼발가락 쪽보다 많은 개수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 부분에까지 삽입 및 결합시키는 경우는 주로 높은 완충력 및 고탄력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농구화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하이힐과 같은 용도 또는 키높이 구두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완충 및 탄성장치(50)의 두께는 커져도 관계없게 되고, 다만, 이 경우에는 완충 및 탄성장치(50)가 안창과 중간창 사이에 삽입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뒷굽의 한 층(layer)으로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쿠션신발은 고강도 고탄성으로서 발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이 여러 군데에 균형을 맞추어 설치되고, 이물질 차단벽 및 스프링 보호벽이 형성되고, 스프링과 견고히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중량은 작으면서도 강도는 큼으로서, 보행이나 주행시 발의 안정감이나 착화감을 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스프링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유지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발등 부위를 덮는 갑피(10)와 발바닥을 지면으로부터 감싸는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창은 발과 직접 닿는 안창(20), 바닥에 직접 닿는 바닥창(30), 상기 안창(20)과 바닥창(30)의 중간에 위치하여 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중간창(40)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안창(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코일 스프링(53),
    하면으로부터 발 뒷꿈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된 외부보호벽(51a)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부결합공(51b)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차단벽(51c)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대(51),
    상면으로부터 발 뒷굼치의 균형에 맞추어 다수의 곳에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보호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내부보호벽(52a)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이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하부결합공(52b) 및 외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차단벽에 이격되어 삽입되는 하부 차단벽(52c)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대(52),
    상기 외부 보호벽 및 상부 차단벽에 공기의 유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공기구멍(54)을 포함하여 상기 안창(20)과 중간층(4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완충 및 탄성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53)은 원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대(51), 하부 지지대(52) 및 상부 보호벽(51a), 하부 보호벽(52a)과 이에 내장결합되는 코일 스프링(53)의 위치 및 개수는 5개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51), 하부 지지대(52), 내부 보호벽(52a), 외부 보호벽(51a), 상부 차단벽(51c), 하부 차단벽(52c)의 소재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처리된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소재 중의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53)의 소재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처리된 강철임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및 탄성장치(50)는 안창과 중간창의 사이의 발 의 뒤굼치에 해당하는 부분 외에 별도로 발의 앞 부분에도 삽입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KR1020050088007A 2005-09-22 2005-09-22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07A KR100675669B1 (ko) 2005-09-22 2005-09-22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07A KR100675669B1 (ko) 2005-09-22 2005-09-22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669B1 true KR100675669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0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669B1 (ko) 2005-09-22 2005-09-22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6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125B2 (en) Grid midsole insert
US7441346B2 (en) Athletic shoe with independent supports
US8621767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US7383647B2 (en)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CN201270830Y (zh) 具有多边形突出物鞋底样式的鞋类物品
US5402588A (en) Sole construction
US5729917A (en)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KR102246212B1 (ko) 신발류 물품, 그의 구성요소들 및 관련 제조 방법
KR101668142B1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FI95000B (fi) Kengän kannan jousi ja vakautin
US7979936B2 (en) Methods of making impact attenuating devic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devices
US8322048B2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6205682B1 (en) Air cushion having support pin structure for shock-absorb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ir cushion, and footgear comprising the air cushion
JPH0661282B2 (ja) 履物用クッションスプリング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CN101141894B (zh) 鞋的机械减震系统
JP2019033797A (ja) シューズ
KR20190132992A (ko) 신발 바닥 구조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100675669B1 (ko) 완충 및 탄성 장치가 삽입결합된 쿠션신발
KR200363489Y1 (ko) 신발용 안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240035490A (ko) 신발의 인서트 또는 미드솔
KR101033152B1 (ko) 탄성 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CN219781721U (zh) 一种运动鞋及其足弓舒适度自适应鞋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1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