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4867B1 -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867B1
KR100674867B1 KR1020050041525A KR20050041525A KR100674867B1 KR 100674867 B1 KR100674867 B1 KR 100674867B1 KR 1020050041525 A KR1020050041525 A KR 1020050041525A KR 20050041525 A KR20050041525 A KR 20050041525A KR 100674867 B1 KR100674867 B1 KR 10067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led array
pwm
switching pul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018A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867B1/ko
Priority to TW095117092A priority patent/TWI315930B/zh
Priority to US11/435,752 priority patent/US7358685B2/en
Priority to JP2006138574A priority patent/JP2006325396A/ja
Publication of KR2006011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8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4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in a series array of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일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밍부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제공한다.
직류-직류 컨버터, LED 구동회로, 과전압, 과전류, 강압식, 승압식

Description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구비한 LED 구동회로{DC-DC CONVERTOR HAVING OVER-VOLTAGE/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AND LED DRIVING CIRCUIT COMPRISING THE SAME}
도 1의 (a)는 종래의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의 (b)는 종래의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가 채용된 LED 구동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LED 어레이(부하) 120 : 마이크로 컨트롤러
130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40 : 아날로그 디밍부
150 : PWM 제어부 160 : 스위치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 등의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이하 PWM이라 함) 방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부하의 단락 또는 개방에 의해 직류-직류 컨버터에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하 LCD라 함)의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사용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이하 CCFL이라 함)은 수은 가스를 사용하므로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응답속도가 느리며, 색재현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LCD 패널의 경박단소화에 적절하지 못한 단점을 가졌다.
이에 비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라 함)는 친환경적이며, 응답속도가 수 나노 초로 고속 응답이 가능하여 비디오 신호 스트림에 효과적이고, 임펄시브(Impulsive) 구동이 가능하며, 색재현성이 100% 이상이고 적색, 녹색, 청색 LED의 광량을 조정하여 휘도, 색온도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CD 패널의 경박단소화에 적합한 장점들을 가지므로, 최근 LCD 패널 등의 백라이트용 광원으로 적극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LED를 채용한 LCD 백라이트에서 LED를 다수 개 직렬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LED에 일정한 정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구동회로가 필요하다. LED를 일정한 전류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에는 PWM 방식 직류-직류 컨버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PWM 방식 직류-직류 컨버터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의 (a)는 종래의 강압식(buck type) 직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의 (a)와 같이, 종래의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는, 직류전원(Vin)의 (+)단에 인덕터(L)가 LED 어레이(11)가 직렬연결되고, 상기 인덕터(L)와 LED 어레이(11)에 병렬로 다이오드(D)가 병렬연결된다. 또한, 상기 LED 어레이(11)와 다이오드(D)의 접속노드와 직류전원(Vin)의 (-)단에 스위치(12)와 전압검출 저항(Rs)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전압검출 저항(Rs)에서 검출되는 전압값은 PWM 제어부(13)에 입력되고, 상기 PWM 제어부(13)는 검출된 전압값에 따라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의 듀티비를 조정한다. 상기 스위치(12)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FET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MOSFET의 게이트 전압을 조정하여 스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가 온인 경우에, 상기 직류전원(Vin)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인덕터(L)를 통해 LED 어레이(11)로 전달된다. 이 때, 인덕터(L)에는 에너지가 축적된다. 상기 스위치(12)가 오프인 경우에, 상기 인덕터(L)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 해 상기 LED 어레이(11)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PWM 제어부(13)는 상기 전압검출 저항(Rs)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스위치(12) 온/오프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LED 어레이(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에서, 회로 외부의 이상 환경 또는 구동회로 자체의 동작 이상에 의해 LED 어레이(11)의 양단이 단락되는 경우, 과전류가 회로에 흐르게 되어 다이오드(D) 및 스위치(12) 등이 파손될 수 있으며, LED 어레이(11)에 포함된 LED에도 정격전류 이상으로 과전류가 흘러 파손될 수 있다. 더불어 직류전원(Vin)를 공급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 SMPS)로부터 축적되어 있는 전류가 구동회로로 유입될 수 있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종래의 승압식(boost type) 직류-직류 컨버터가 채용된 LED 구동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의 (b)와 같이, 종래의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는, 직류전원(Vin)의 (+)단에 인덕터(L)와 다이오드(D)가 직렬연결되며, 상기 다이오드와 직류전원(Vin)의 (-)단 사이에 캐패터터(C)와 LED 어레이(11)가 서로 병렬연결된다. 상기 인덕터(L)와 다이오드(D)의 접속노드와 직류전원(Vin)의 (-)단 사이에 스위치(12)와 전압검출 저항(Rs)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전압검출 저항(Rs)에서 검출되는 전압값은 PWM 제어부(13)에 입력되고, 상기 PWM 제어부(13)는 검출된 전압값에 따라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의 듀티비를 조정한다. 상기 스위치(12)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FET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MOSFET 의 게이트 전압을 조정하여 스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가 온인 경우에, 상기 직류전원(Vin)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인덕터(L) 및 스위치(S)를 통해 흐르게 되고 상기 인덕터(L)에는 에너지가 저장된다. 상기 스위치(12)가 오프인 경우에, 상기 직류전원(Vin)과 상기 인덕터(L)에 축적된 에너지의 합이 다이오드(D)를 통과하여 LED 어레이(11)에 전달된다. 이 때, LED 어레이(11)로 전달되는 전압은 평활 캐패시터(C)에 의해 평활되어 전달되며, 그 값은 입력전압(Vin)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
이와 같은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에서, LED 어레이(11)를 구성하는 LED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는 경우, LED 어레이(11)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LED 어레이(11)의 양단 전압은 인덕터 역기전력 관계로 정상 동작시의 인덕터 전압보다 수 배에 해당하는 전압에 입력전압이 더하여 인가되기 때문에 과전압에 따른 소자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LED(부하)의 단락 또는 개방 시 발생하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의한 소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 기능을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회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하의 개방 또는 단락에 의한 과전류 및 과전압 현상을 사전 검출하여 그로 인한 회로 파손이 발생하기 이전에 회로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는 직류-직류 컨버 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를 채용한 LED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일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밍부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가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부하의 전류 출력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가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부하의 전류 입력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LED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부하는 하나의 LED 또는 적어도 두 개의 LED가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제1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적색 LED가 직렬연결된 적색 LED 어레이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
제2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청색 LED가 직렬연결된 청색 LED 어레이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2 직류-직류 컨버터;
제3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3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녹색 LED가 직렬연결된 녹색 LED 어레이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3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적색 LED 어레이, 청색 LED 어레이, 녹색 LED 어레이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각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해당 LED 어레이의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상이 발생한 직류-직류 컨버터에 대한 0V의 전 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PWM 제어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연결된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를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직류-직류 컨버터는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의 일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는,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스위치(160)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을 부하(110)에 제공하는 직류-직류 컨버터로서, 상기 부하(110)의 전 류 출력단(X)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150)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밍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는 부하가 단락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해 회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부하의 전류출력단(X)에서 전압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는 LED 구동회로에 적극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하는 하나의 LED 또는 둘 이상의 LED가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가 될 수 있다. 부하로써 LED 또는 LED 어레이를 이용한 경우에 전압은 LED 또는 LED 어레이의 캐소드단에서 검출된다. 이와 같은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부하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전류출력단(X)에서 검출하는 전압은 입력 전압(Vin)까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검출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에 의해 발생된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밍부(140)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로부터 0V 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통상 상기 PWM 제어부(150)는 복수의 입출력 단자를 갖는 IC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이 PWM 제어부(150)의 입출력 단자를 다양하게 응용함으로써 여러가지 방식으로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PWM IC에서는 PWM IC의 콤프(COMP) 단자에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Vref 단자와 RT/CT 단자를 접지시켜 스위칭 펄스의 온시간을 0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PWM IC도 다른 방법으로 입출력 단자를 이용함으로써 스위칭 펄스가 0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PWM IC도 마찬가지로 입출력 단자를 다양하게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것은 이용되는 PWM IC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PWM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 출력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모든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이 0로 가변되면, 스위치(160)는 항상 오프가 되며 부하(110)로는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로써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부하의 단락으로 인한 과전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직류-직류 컨버터는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의 일례이다. 앞서 종래기 술에서 설명하였듯이,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는 부하가 개방되는 경우 과전압으로 인해 회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부하의 전류입력단(X)에서 전압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는 LED 구동회로에 적극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하는 하나의 LED 또는 둘 이상의 LED가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가 될 수 있다. 부하로써 LED 또는 LED 어레이를 이용한 경우에 전압은 LED 또는 LED 어레이의 애노드단에서 검출된다. 이와 같은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부하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전류입력단(X)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정상 동작시의 인덕터 전압의 수 배에 해당하는 전압에 입력전압(Vin)이 더해진 고전압이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검출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에 의해 발생된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에 전달되는 이상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이므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130)는 이 이상신호를 아날로그 회로에 적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0V 전압)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밍부(140)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밍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PWM 제어부 (15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이 0로 가변되면, 스위치(160)는 항상 오프가 되며 부하(110)로는 입력전압(Vin)만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과전압으로 인한 회로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일반적으로 LCD의 백라이트에 적용되는 LED는 백색광을 생성하기 위해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청색, 녹색 LED는 각각 둘 이상의 LED가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LED 어레이(110a, 110b, 110c)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LED 어레이(110a, 110b, 110c)에 직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는, 제1 PWM 제어부(150a)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1 스위치(160a)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적색 LED가 직렬연결된 적색 LED 어레이(110a)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 제2 PWM 제어부(150b)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2 스위치(160b)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청색 LED가 직렬연결된 청색 LED 어레이(110b)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2 직류-직류 컨버터; 제3 PWM 제어부(150c)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3 스위치(160c)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녹색 LED가 직렬연결된 녹색 LED 어레이(110c)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3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적색 LED 어레이(110a), 청색 LED 어레이(110b), 녹색 LED 어레이(110c) 각각의 캐소드단(X1, X2, X3)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각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해당 LED 어레이의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상이 발생한 직류-직류 컨버터에 대한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PWM 제어부(150a, 150b, 150c)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연결된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a, 140b, 1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는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를 채용한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적색 LED 어레이(110a), 청색 LED 어레이(110b), 녹색 LED 어레이(110c) 각각의 캐소드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LED 어레이의 캐소드단으로부터 각각 검출된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이 발생한 LED 어레이에 대한 이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는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상이 발생한 LED 어레이에 대해 0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a, 140b, 140c)는 각각 제1 내지 제3 PWM 제어부에 연결되며, 연결된 PWM 제어부가 속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LED 어레이에 대한 0V 전압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에서 발생되는 경우, 이를 입력 받아, 연결된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PWM 제어부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적색 LED 어레이(110a)와 청색 LED 어레이(110b)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녹색 LED 어레이(110c)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상기 녹색 LED 어레이(110c)에 대한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는 녹색 LED 어레이(110c)에 대한 이상신호를 입력받아 제3 PWM 제어부(150c)에 연결된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c)로 0V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c)는 연결된 제3 PWM 제어부(150c)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3 PWM 제어부(150c)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켜 제3 스위치(160c)를 항상 오프시킨다. 이로써 단락된 녹색 LED 어레이(110c)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과전류로 인한 회로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의 회로도로서,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가 채용된 일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가 LED 구동회로에 적용된 것으로,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가 채용된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LED 어레이(110a, 110b, 110c)의 애노드단(X1, X2, X3)의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LED 어레이(110a, 110b, 110c)의 애노드단(X1, X2, X3)에서 검출된 전압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에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검출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이 발생한 LED 어레이에 대한 이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는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상이 발생한 LED 어레이에 대해 0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a, 140b, 140c)는 각각 제1 내지 제3 PWM 제어부에 연결되며, 연결된 PWM 제어부가 속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LED 어레이에 대한 0V 전압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30)에서 발생되는 경우, 이를 입력 받아, 연결된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PWM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140a, 140b, 140c)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게 되는 PWM 제어부는 스위치로 인가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유지하여 개방이 발생한 LED 어레이를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에 연결된 부하(LED 어레이)가 외부의 환경 등에 의해 단락 또는 개방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과전압으로부터 회로를 사전이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WM 방식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부하의 단락 또는 개방에 의해 직류-직류 컨버터에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함으로써 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일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밍부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가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부하의 전류 출력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가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부하의 전류 입력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하나의 LED 또는 적어도 두 개의 LED가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5. 제1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적색 LED가 직렬연결된 적색 LED 어레이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
    제2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청색 LED가 직렬연결된 청색 LED 어레이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제2 직류-직류 컨버터;
    제3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제3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녹색 LED가 직렬연결된 녹색 LED 어레이에 제공하는 일정한 전압을 제3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적색 LED 어레이, 청색 LED 어레이, 녹색 LED 어레이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각 검출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해당 LED 어레이의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상이 발생한 직류-직류 컨버터에 대한 0V의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PWM 제어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0V의 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연결된 PWM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온 시간을 0으로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된 PWM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디밍부를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직류-직류 컨버터가 강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적색, 청색 및 녹색 LED 어레이의 캐소드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직류-직류 컨버터가 승압식 직류-직류 컨버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적색, 청색 및 녹색 LED 어레이의 애노드단에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KR1020050041525A 2005-05-18 2005-05-18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Expired - Lifetime KR10067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25A KR100674867B1 (ko) 2005-05-18 2005-05-18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TW095117092A TWI315930B (en) 2005-05-18 2006-05-15 Dc-dc converter having protective function of over-voltage and over-current and led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US11/435,752 US7358685B2 (en) 2005-05-18 2006-05-18 DC-DC converter having protective function of over-voltage and over-current and led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JP2006138574A JP2006325396A (ja) 2005-05-18 2006-05-18 過電流/過電圧保護機能を有する直流−直流コンバータ及びそれを具備したled駆動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25A KR100674867B1 (ko) 2005-05-18 2005-05-18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018A KR20060119018A (ko) 2006-11-24
KR100674867B1 true KR100674867B1 (ko) 2007-01-30

Family

ID=3744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525A Expired - Lifetime KR100674867B1 (ko) 2005-05-18 2005-05-18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58685B2 (ko)
JP (1) JP2006325396A (ko)
KR (1) KR100674867B1 (ko)
TW (1) TWI3159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99B1 (ko) * 2010-06-21 2012-11-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차단 회로
KR20150134174A (ko) 2014-05-21 2015-12-01 이민진 엘이디 컨버터 보호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5480B2 (en) * 2003-05-07 2006-10-03 Micron Technology, Inc. Micromechanical strained semiconductor by wafer bonding
JP5175427B2 (ja) * 2005-05-31 2013-04-0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装置
CN1988743B (zh) * 2005-12-22 2010-09-01 乐金显示有限公司 驱动发光二极管的装置
JP2007206282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輝度制御方法
KR101257926B1 (ko) * 2006-06-07 2013-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80024323A (ko) *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7741825B2 (en) * 2006-11-02 2010-06-22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upply circuit with temperature-dependent drive signal
WO2008068682A1 (en) * 2006-12-04 2008-06-12 Nxp B.V.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s
US8319449B2 (en) * 2006-12-06 2012-11-27 Nxp B.V. Controlled voltage source for LED drivers
NL1033446C2 (nl) * 2007-02-23 2008-08-26 Esquisse Het besturen van LED's.
KR100869613B1 (ko) * 2007-03-14 2008-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구동드라이버에서의 통합 과전압보호회로
KR100867551B1 (ko) * 2007-05-18 2008-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어레이 구동 장치
EP2001132A1 (en) * 2007-05-30 2008-12-10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s
US8203283B2 (en) * 2007-07-23 2012-06-19 Nxp B.V. Light emitting diode (LED) arrangement with bypass driving
TWI389091B (zh) * 2007-11-15 2013-03-11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整合驅動板及應用該整合驅動板之液晶顯示模組
US8754585B1 (en) * 2007-11-30 2014-06-17 Farhad Bahrehmand LED driver and integrated dimmer and switch
KR101473366B1 (ko) * 2008-03-05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203281B2 (en) 2008-04-29 2012-06-19 Ivus Industries, Llc Wide voltage, high efficiency LED driver circuit
JP4983735B2 (ja) * 2008-06-26 2012-07-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US8643284B2 (en) 2008-08-15 2014-02-04 Eldolab Holdings B.V. LED assembly driving circuit
US8026676B2 (en) * 2008-10-08 2011-09-27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R.O.C. Dimming control circuit
KR100928629B1 (ko) * 2008-12-09 2009-11-26 이동원 정전류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JP4864994B2 (ja) * 2009-03-06 201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CN101998728B (zh) * 2009-08-25 2013-09-11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调光电路及其隔离型电压产生器与调光方法
JP5513829B2 (ja) * 2009-10-01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流駆動回路
TWI410177B (zh) * 2009-12-22 2013-09-21 Ampower Technology Co Ltd 旁路保護電路及使用其的發光二極體驅動裝置
KR101592381B1 (ko) 2010-01-06 2016-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TWI405396B (zh) * 2010-02-03 2013-08-1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升壓型電源轉換裝置
DE102010008275B4 (de) * 2010-02-17 2019-10-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von mehreren LED-Einheiten
JP2011181616A (ja) * 2010-02-26 2011-09-1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ed駆動回路
US9554433B2 (en) * 2010-04-09 2017-01-24 Eldolab Holding B.V. Driver system for driving a plurality of LED's
JP2012010577A (ja) 2010-05-28 2012-01-12 Panasonic Corp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過電流保護方法
JP5666173B2 (ja) * 2010-06-04 2015-02-12 ローム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駆動方法、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機器
KR20120016494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182400B2 (ja) * 2010-08-24 2013-04-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半導体光源装置及び半導体光源制御方法
AT12495U1 (de) * 2010-10-08 2012-06-15 Tridonic Ag Fehlererkennung für leuchtdioden
TWI425482B (zh) * 2010-11-11 2014-02-01 Tpv Electronics Fujian Co Ltd LED backlight string is short-circuit protection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backlight device and control methods
TWI416127B (zh) * 2010-12-16 2013-11-21 Infinno Technology Corp 輸入功率之效率量測方法
KR20120114023A (ko) * 2011-04-06 2012-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2821509A (zh) * 2011-06-08 2012-12-12 聚积科技股份有限公司 交直流两用发光二极管驱动电路
US9192014B2 (en) * 2011-07-19 2015-11-17 Nxp B.V. LED short circuit protection
CN102231930B (zh) * 2011-07-27 2013-12-11 四川九洲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光控制数字接口电路
JP6072793B2 (ja) * 2011-08-08 2017-02-0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フリッカの少ないled光源
KR101847211B1 (ko) * 2011-08-30 2018-04-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Led구동장치
KR20130037486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44979A (ko) * 2011-10-25 2013-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US20130135774A1 (en) * 2011-11-29 2013-05-3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ght-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having short circuit protection
TW201325045A (zh) * 2011-12-15 2013-06-16 Inergy Technology Inc 具有過電壓保護的電力轉換電路
KR101974218B1 (ko) * 2012-05-04 2019-05-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Led 구동 장치
US8994639B2 (en) * 2012-05-16 2015-03-3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backlight module, and LCD device
CN103199506B (zh) * 2013-04-12 2015-07-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源驱动模组的过流保护电路及背光模组
DE102013022739B4 (de) 2013-04-26 2025-05-15 Tridonic Gmbh & Co Kg Betriebs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wenigstens einer Leuchtdiode abhängig von einem Dimmlevel
AT14074U1 (de) * 2013-04-30 2015-04-15 Tridonic Gmbh & Co Kg Betriebsschaltung für LED
AT13857U1 (de) * 2013-04-30 2014-10-15 Tridonic Gmbh & Co Kg Fehlererkennung für Leuchtdioden
US9332605B2 (en) * 2013-06-07 2016-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ighting system
CN103354086B (zh) * 2013-08-06 2015-09-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背光源及液晶显示器
CN103580463A (zh) * 2013-10-11 2014-02-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变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66728B1 (ko) * 2015-06-05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562523B (en) 2015-07-30 2016-12-1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Boost apparatus with integration of ocp detection and ovp detection
TWI647975B (zh) 2015-09-03 2019-0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驅動電源產生電路以及驅動電源的產生方法
US10178731B2 (en) * 2015-11-11 2019-01-08 Luminara Worldwid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nergy requirements of an electric light
DE202015106998U1 (de) * 2015-12-22 2017-03-23 Tridonic Gmbh & Co Kg Schutzschaltung zur Kurzschlusssicherung für LED Betriebsschaltungen
JP6972521B2 (ja) * 2016-02-05 2021-11-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駆動制御装置、液滴乾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608436A (zh) * 2017-09-27 2018-01-19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利用pwm方式输出可变电压的控制电路及方法
CN107516502B (zh) * 2017-10-12 2020-05-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驱动电路及驱动方法
CN108447439B (zh) * 2018-05-14 2019-07-0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屏及显示装置
TWI807602B (zh) * 2022-01-20 2023-07-01 大陸商集璞(上海)科技有限公司 Led背光驅動電路、顯示裝置及資訊處理裝置
CN114552529B (zh) * 2022-01-28 2022-10-21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过压保护电路、装置、显示面板及显示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84U (ko) * 1997-10-22 1999-05-15 김영환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보호장치
KR19990015641U (ko) * 1997-10-14 1999-05-15 히다카 쿠니타카 휴대용 ac/dc 겸용 밧데리 충전기
JP2001161068A (ja) * 1999-11-30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供給電力制限機能付きdc−dcコ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883B1 (ko) * 1994-12-22 1997-10-30 김광호 스위칭 전원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칭 전원장치
US5862044A (en) * 1996-12-02 1999-01-19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DE60009892T2 (de) * 2000-07-31 2005-04-21 St Microelectronics Srl Stromversorgungsgerät mit Fehlfunktionserkenn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41U (ko) * 1997-10-14 1999-05-15 히다카 쿠니타카 휴대용 ac/dc 겸용 밧데리 충전기
KR19990015984U (ko) * 1997-10-22 1999-05-15 김영환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보호장치
JP2001161068A (ja) * 1999-11-30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供給電力制限機能付きdc−dcコンバ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99B1 (ko) * 2010-06-21 2012-11-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차단 회로
KR20150134174A (ko) 2014-05-21 2015-12-01 이민진 엘이디 컨버터 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25396A (ja) 2006-11-30
TW200703858A (en) 2007-01-16
TWI315930B (en) 2009-10-11
US20060261752A1 (en) 2006-11-23
KR20060119018A (ko) 2006-11-24
US7358685B2 (en)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867B1 (ko)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EP2214457B1 (en) Led dimming apparatus
KR100867551B1 (ko) Led 어레이 구동 장치
KR100771780B1 (ko) 과전압 보호 및 듀티 제어 기능을 갖는 led 구동장치
JP4934508B2 (ja) Ledを備えたlcdバックライトの駆動システム
KR100952499B1 (ko) 병렬 발광다이오드 정전류 구동 회로
US9866117B2 (en) Power supply with adaptive-controlled output voltage
TWI434600B (zh) 發光二極體驅動電路
KR101028860B1 (ko) 병렬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WO2011105086A1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30127356A1 (en) Led driv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9125268B2 (en) Power supply for LED illumination
KR20120095243A (ko) Pwm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KR100936815B1 (ko) 멀티 채널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KR20120095245A (ko) Pwm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JP2008258428A (ja) 照明用白色led駆動回路並びに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20055324A (ko) Led 발광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566617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駆動方法、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機器
KR20110124460A (ko) Led 구동 시스템
JP2020038785A (ja) 照明装置
TWI483648B (zh) 具抑制led過電流之驅動電路結構
KR20130044747A (ko) Led 과전압 보호회로
CN209767879U (zh) 兼容多方式恒流调光电路的pcb板
TW201301954A (zh) 驅動電路
KR101735813B1 (ko) 엘이디 모듈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