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84B1 - Disposable Shrink Needl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Google Patents
Disposable Shrink Needl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3284B1 KR100673284B1 KR1020047011956A KR20047011956A KR100673284B1 KR 100673284 B1 KR100673284 B1 KR 100673284B1 KR 1020047011956 A KR1020047011956 A KR 1020047011956A KR 20047011956 A KR20047011956 A KR 20047011956A KR 100673284 B1 KR100673284 B1 KR 100673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syringe
- barrel
- needle
- holding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는 핸들 부분 및 상기 헨들 부분의 전방의 바늘 유지 부분을 포함하고, 이 바늘 유지 부분은 플런저로서 기능하며, 또한, 상기 핸들이 주사 위치의 상기 전향 단부를 초과하여 전향 이동될 때 수축 메카니즘을 트리거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기 베럴 내의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가변 유체 챔버를 충전하기 위한 후향 방향으로의 핸들의 일회 인출 및 가변 유체 챔버를 비우기 위한 전향 방향으로의 일회 이동을 허용하지만, 그후, 바늘 보유실 및/또는 핸들의 후향 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바늘을 수축시키도록 수축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주사기가 재사용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보증한다. 일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주사기 베럴 내의 정지부이고, 이는 전향 이동시 바늘 보유실의 직경방향 확장부가 체결부를 초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두 부분의 분리 가능한 핸들을 가진다. 핸들 부분은 단지 일회 사용 후 분리하며, 베럴에 의해 방지되는 바늘 또는 바늘 보유실의 인출을 유발하지 않고 주사기로부터 제거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바늘 보유실 뒤의 핸들은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 및 핸들과 베럴 양자 모두에 대해 이동할 수 있은 클립을 포함한다. 주사기의 일회 사용 후, 클립 상의 첨단부는 베럴의 내면 내로 파고들어가 후향 이동을 방지한다. 제 3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제 2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핸들에 대하여 단지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은 활주 칼라에 의해 핸들상의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로부터 보호되는 탄성 첨단부를 구비한 베럴의 확장된 후방 개구 내에 고정된 클립이다. 일회 사용 후, 활주 칼라는 핸들과 함께 전향 활주하여 핸들이 완전히 눌러져서 주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일회 주사 후 핸들을 인출하기 위한 소정의 시도는 핸들상의 톱니부 내로 파고들어간 첨단부에 의해 방지된다. 핸들이 2회차 시기에 인출될 수 없기 때문에, 주사기는 재충전될 수 없다. 여기에 개시된 하나의 사용 특징은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비수축형 주사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disposable shrink syr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portion and a needle holding portion in front of the handle portion, the needle holding portion functioning as a plunger, and the handle also moves forward beyond the forward end of the injection position. It is desirable to function to trigger a contraction mechanism when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n the syringe barrel allows one pull out of the handle in the backward direction to fill the variable fluid chamber and one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o empty the variable fluid chamber, but then the needle holding chamber and / or the back of the handle Restriction of movement ensures that the syringe cannot be reused even if the user forgets to trigger the retraction device to retract the needle. In one embodiment,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s a stop in the syringe barrel, which allows the radial extension of the needle retainer chamber to move beyond the fastener and move in two directions with a detachable handle. The handle portion is removed after only one use and is removed from the syringe without causing the needle or needle retention chamber to be pulled out by the barrel. In a second embodiment, the handle behind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teeth and clips that are movable relative to both the handle and the barrel. After one use of the syringe, the tip on the clip penetrates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to prevent backward movement. In a third embodiment,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s constructed of a barrel having elastic tips protected from a plurality of stepped teeth on the handle by a sliding collar that can move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similar to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clip fixed in the extended rear opening. After single use, the slide collar slides forward with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fully pressed to perform an injection. Certain attempts to withdraw the handle after a single injection are prevented by the tip penetrating into the tooth on the handle. Since the handle cannot be withdrawn at the second time, the syringe cannot be refilled. One use feature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to a non-shrink syringe to prevent reuse.
체결 구조체, 첨단부, 톱니부, 핸들, 수축형 주사기 Fastening structure, tip, tooth, handle, shrink syri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용 의료 디바이스, 특히, 주사가 이루어진 후에 재사용될 수 없는 수축형 바늘을 갖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devices for fluids, in particular syringes having a retractable needle that cannot be reused after an injection has been made.
그와 같은 주사기 기술은 AIDS 및 기타 전염성 질병과 감염 환자에 대한 바늘 사용시 건강 관리자들이 겪을 수 있는 필연적인 우발적 바늘 주입의 위협으로 인해 근년간 급속히 발전하여 왔다. 연장된 바늘을 갖는 사용된 주사기는 의료진, 위생 시설 고용자 및 폐기 계열의 기타 사람들에게 위험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은 일반적으로, 주사기 베럴 내의 바늘 수용 챔버 내로 또는 베럴 내로 수축되는 수축형 바늘을 갖는 다수의 주사기 및 기타 의료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가장 진보된 수축형 주사기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고 본 출원인에 의해 권리화된 US 특허 제 5,385,551; 5,578,011; 5,632,733; 6,015,438 및 6,090,077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주사기는 주입이 종료되는 동안 플런저 핸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축되며, 건강 관리자가 오염된 바늘에 전혀 노출될 필요가 없도록 주사기의 한손 취급 및 수축을 제공한다. 이들 디바이스의 플런저 작동식 자동 수축은 바늘이 환자로부터 제거되기 이전에 이루어진다. 이들 수축형 주사기는 높은 신뢰성 및 동작의 반복성을 가지며 저가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이들은 부품의 자동 제조 및 다수의 서로 다른 베럴 크기, 바늘 크기 및 서로 다른 용도의 자동 조립에 적합하다.Such syringe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due to the threat of consequent accidental needle injection that health managers may encounter when using needles for AID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and infected patients. Used syringes with extended needles present a danger to medical personnel, sanitary workers and others in the disposal class. The prior art generally discloses a number of syringes and other medical devices having a retractable needle that is retracted into or into the needle receiving chamber in the syringe barrel. The most advanced shrink syringe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385,55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is entitled by Applicant; 5,578,011; 5,632,733; 6,015,438 and 6,090,077. The syringe described in this patent is automatically retracted by continuously pushing the plunger handle during the end of the infusion, providing one-handed handling and retraction of the syringe so that the health care manager does not need to be exposed to contaminated needles at all. Plunger actuated automatic retraction of these devices takes place before the needle is removed from the patient. These shrinkable syringes have high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of operation and are suitable for low cost mass production. They are suitable for the automatic manufacture of parts and the automatic assembly of many different barrel sizes, needle sizes and different uses.
상술된 주사기 및 기타 수축형 주사기가 비록 제거된 또는 현저히 감소된 바늘 주입 문제점은 가지지만, 한편으로는 소정의 환경하에서 재사용될 수 없는 일회용 주사기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전체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수축형 주사기는 사용자가 주사가 이루어진 후 바늘의 수축을 개시하기 위해 일부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는 일회 사용 후 바늘을 수축시키는 것을 잊는 경우, 수축형 주사기가 재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법은 비수축형 주사기의 경우에는 주사기의 최초 사용 후 플런저 핸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되어 왔지만, 이들 디바이스 중 어떠한 것도 수축형 바늘을 갖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바늘은 2회째 플런저를 빼낼 수 없기 때문에, 주사기가 재사용될 수 없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바늘 주입에 대한 가능성에 노출된 상태로 남아있다. 수축형이 아닌, 체결 플런저 핸들을 갖는 주사기의 예는 Free 등의 발명의 명칭이 "일회용 주사기"인 US 특허 제 5,000,737 호, Allison 등의 발명의 명칭이 "플라스틱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형 엘리먼트"인 US 특허 제 5,205,825 호, Kosinski의 발명의 명칭이 "일회용 주사기"인 US 특허 제 4,973,310 호, Kosinski의 발명의 명칭이 "오사용 방지 특징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인 US 특허 제4,961,728호, Shonfeld 등의 발명의 명칭이 "일회용 주사기 조립체"인 US 특허 제 5,531,691 호, 및 Shonfeld 등의 발명의 명칭이 "탄성 클립 체결부 및 플런저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 조립체"인 US 특허 제 5,562,623 호를 포함한다. 이들 특허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Although the aforementioned syringes and other shrinkable syringes have the problem of needle injection removed or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ne hand, there is a need for disposable syringes that cannot be reus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Most, if not all, shrink syringes require the user to perform some action to initiate the contraction of the needle after the injection is made. It is possible that a retractable syringe will be reused if it forgets to retract the needle after a single use. A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been proposed by various devices for mechanically fastening the plunger handle after the initial use of the syringe in the case of a non-shrinkable syringe, but none of these devices have a shrinking needle. Thus, since the needle cannot withdraw the second plunger, it remains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needle injection even if the syringe cannot be reused. An example of a syringe with a fastening plunger handle that is not shrinkable is US Pat. No. 5,000,737, Allison et al., Entitled "Disposable Syringe" by Free et al., And "Insert element for preventing reuse of plastic syringes." "US Pat. No. 5,205,825, Kosinski's invention" Disposable Syringe "US Pat. US Pat. No. 5,531,691, entitled “Disposable Syringe Assembly,” and US Pat. No. 5,562,623, entitled “Disposable Syringe Assemblies with Elastic Clip Fasteners and Plungers”. The contents of these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술된 일회용 주사기는 한번 주사가 이루어진 후 재사용될 수 없지만, 오염된 바늘은 여전히 연장된 상태이고, 주사기가 안전해지기 이전에, 덮개가 씌워지거나 제거되거나, 기타의 방식으로 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늘이 수축되던 그렇지 않던 재사용될 수 없으면서, 사용 후 주사기 베럴 내로 수축하는 바늘을 갖는 일회용의 개선된 주사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The disposable syringe described above cannot be reused after one injection has been made, but the contaminated needle is still extended and must be covered or removed or otherwise taken before the syringe is safe. Thus, there is a need for a disposable, improved syringe with a needle that shrinks into a syringe barrel after use, whether or not the needle can be retracted or not reused.
본 발명은 주사기 베럴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핸들 작동식 바늘 보유실을 갖는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이다. 수축 특성은 주사가 이루어진 후 노출된 바늘과 관련된 위험을 제거한다. 능동 체결 구조체는 주사기가 진정한 일회용 주사기가 되고 재사용될 수 없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핸들부 및 바늘 보유실을 포함하는 가동부는 액체로 주사기를 충전하기 위한 핸들의 일회 후향 이동 및 주사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핸들의 일회 전향 이동 후, 주사기 베럴 내에 수납되고 후향 이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은 일회 사용 후 수축되는 수축형 주사기가 조작자가 수축 메카니즘을 작동시키지 않거나 닫아서 바늘이 2회차 사용을 위해 노출된 상태로 남겨두는 것으로 인해 재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위험을 제거하도독 기능한다. 이 불가성은 그 제거를 차단함으로써 바늘 보유실의 제거를 방지하는 능동 체결 구조체로 인해 발생한다. 바늘 보유실은 수축 메카니즘이 작동되건 되지 않건, 그리고, 바늘이 수축되건 그렇지 않건 베럴 내에 유지된다. 이는 본 발명의 장점이 또한 바늘이 베럴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비수축형 주사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고려된다. 비수축형 주사기에서, 본 발명은 베럴로부터 핸들(플런저)의 인출을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핸들이 2회차로 뒤로 인출될 수 없는 경우, 주사기는 유체로 재충전될 수 없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osable shrink syringe having a handle operated needle holding chamber that cannot be removed from the syringe barrel. Contractile properties eliminate the risk associated with exposed needles after injections are made. The active fastening structure makes the syringe a truly disposable syringe and cannot be reused. In various embodiments, the movable portion, includ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needle holding chamber, is received in the syringe barrel and moved backwards after a single forward movement of the handle for filling the syringe with liquid and a single forward movement of the handle for ejecting liquid from the syringe. This is limited.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to eliminate the risk that shrinkable syringes that contract after a single use are likely to be reused due to the operator not operating or closing the contraction mechanism and leaving the needle exposed for second use. This impossibility arises due to the active fastening structure which prevents the removal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by blocking its removal. The needle holding chamber is held in the barrel whether or not the contracting mechanism is activated and whether the needle is contracted or not. This suggests that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non-shrink syringes in which the needle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barrel, which is considered as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In non-shrink syringes, the present invention works in the same way to limit or prevent the withdrawal of the handle (plunger) from the barrel. If the handle cannot be drawn back twice, the syringe cannot be refilled with fluid.
전방 단부 및 개방 후부를 갖는 세장형 중공 주사기 베럴은 바람직하게는 후향 축방향으로 수축을 위해 편의된, 주사기 베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수축 구조체 내에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수축형 바늘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바늘 보유실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가동부는 베럴 내에서 통상적인 주사기 플런저의 기능을 수행한다. 바늘 보유실의 전방 단부 부분은 베럴의 내부와 활주식으로 밀봉 접촉 장착된 피스톤을 가진다. 가동부는 베럴의 개방 후부로부터 연장하는 핸들에 의해 제거된다. 핸들부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핸들에 엄지손가락 힘을 적용하기 위한 엄지용 캡(thumb cap)을 가진다. 전방 단부 및 개방 후부를 갖는 세장형 중공 주사기 베럴은 후향 축방향으로 수축을 위해 편의된, 주사기 베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수축 구조체 내에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수축형 바늘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바늘 보유실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가동부는 베럴 내에서 통상적인 주사기 플런저의 기능을 수행한다. 바늘 보유실의 전방 단부 부분은 베럴의 내부와 활주식으로 밀봉 접촉 장착된 피스톤을 가진다. 가동부는 베럴의 개방 후부로부터 연장하는 핸들에 의해 이동된다. 핸들부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핸들에 엄지손가락 힘을 적용하기 위한 캡을 가진다. 바늘 보유실은 환자에게 주사하는 동안 유체가 방출된 후 플런저의 전향 이동에 의해 수축 메카니즘이 작동될 때, 바늘 보유실 내에 수축된 바늘을 수용하도록 전방의 개방 가능한 밀봉된 개구를 가진다. 바늘 보유실 내로의 바늘의 수축은 주사가 완료된 후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수축 구조체에 대한 바늘 보유실의 전향 이동에 의해 트리거된다. The elongate hollow syringe barrel, having a front end and an open rear, preferably has a retractable needle mounted retractably in a retracting structur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yringe barrel, biased for retraction in the backward axial direction. . The movable portion including a handle attached to the needle holding chamber performs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syringe plunger in the barrel.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has a piston slidingly mounted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barrel. The movable portion is removed by a handle extending from the opening rear of the barrel.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has a thumb cap for applying thumb force to the handle. An elongate hollow syringe barrel having a front end and an open back is suitably equipped with a retractable needle resiliently mounted in a retracting structur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yringe barrel, biased for retraction in the backward axial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including a handle attached to the needle holding chamber performs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syringe plunger in the barrel.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has a piston slidingly mounted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barrel. The movable portion is moved by a handle extending from the opening rear of the barrel.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has a cap for applying thumb force to the handle. The needle holding chamber has a front openable sealed opening to receive the retracted needle in the needle holding chamber when the contracting mechanism is activate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plunger after the fluid has been released during injection into the patient. The contraction of the needle into the needle chamber is triggere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needle chamber relative to the contractile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after the injection is complete.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a positive locking structure)는 일회 사용 후 주사기 베럴로부터의 제거를 방지하며, 후향 방향으로의 바늘 보유실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주사기 배럴 내에 배치된다.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가동부의 일회 후향 운동 및 전향 이동의 최대 범주로의 가동부의 일회 전향 운동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지만, 후향 방향으로의 바늘 보유실의 후속 이동은 주사기 베럴 내에 상기 챔버를 유지하도록 제한된다. A positive locking structure is disposed within the syringe barrel to prevent removal from the syringe barrel after single use and to limit movement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has no effect on the one-time backward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and the one-time forward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the maximum range of forward movement, but subsequent movement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limited to maintain the chamber in the syringe barrel. .
제 1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고정 위치에서 베럴 내에 고착된다. 체결 구조체는 바늘 보유실이 제 2 정지부를 포함하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을 갖는 반면에 제 1 정지부를 포함하는 베럴 직경의 수축부를 포함하고, 제 2 정지부는 핸들을 누르는 것에 의한 전향 방향으로 제 1 정지부를 초과하여 밀려질 수 있지만, 핸들의 당김에 의해 유발되는 후향 방향의 이동에는 저항한다. 제 1 실시예는 후향 방향으로 제 1 정지부를 초과하여 제 2 정지부를 밀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작은 분리력에 의해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바늘 보유실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핸들은 분리부의 해제에 의해 그들을 파괴시키지 않고 바늘 보유실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 적합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s secured in the barrel in a fixed position. The fastening structure includes a barrel diameter contraction portion comprising a first stop portion, while the needle retaining chamber has a radially expanded section comprising a second stop portion, the second stop portion being defl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y pressing the handle. It may be pushed beyond one stop, but resists backward movement caused by the pulling of the handle.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removably attached to the needle holding chamber, which can be separated therefrom by a detachment force less than the force necessary to push the second stop over the first stop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handle is suitably detachable from the needle holding chamber without breaking them by release of the separator.
제 1 실시예는 제 2 정지부가 제 1 정지부를 초과하여 이동하기 이전에 핸들을 누름으로써 제 1 정지부를 초과한 전향 방향으로 밀려질 수 있은 전방 단부 부분상의 포획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정지부가 제 1 정지부를 초과하여 전향 이동하지 않는 한, 핸들은 주사기를 충전하기 위해 인출될 수 있다. 바늘 보유실의 전방 단부 부분상의 포획부는 주사기의 최대 설계 충전 체적을 형성하도록 가동부의 후향 이동의 양을 제한한다. 포획부는 제 1 정지부와 접촉한다. 그러나, 플런저가 주사를 수행하기 위해 눌려질 때, 바늘 보유실의 후부상의 제 2 정지부 또는 바늘 보유실상의 소정의 중간부는 제 1 정지부를 초과하여 이동하고, 그에 의해, 핸들이 후방으로 당겨질 때, 2 부품 핸들의 분리를 유발하는 상술된 제한 형상부를 제공한다. 핸들이 모든 정지부가 베럴 내의 제 1 정지부를 초과한 상태로 전향으로 밀려지고 나면, 주사기는 비워지고, 수축 메카니즘이 핸들의 지속적인 전향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The first embodiment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catch on the front end portion which can be pushed in the forward direction beyond the first stop by pressing the handle before the second stop moves over the first stop. As long as the second stop does not move forward beyond the first stop, the handle may be withdrawn to fill the syringe. The catch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limits the amount of backward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form the maximum designed fill volume of the syringe. The cat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 However, when the plunger is pressed to perform an injection, the second stop on the back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or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portion on the needle holding chamber moves beyond the first stop, whereby the handle is pulled backwards. When provided, the above-described limiting feature causes the separation of the two-piece handle. After the handle is pushed forward with all stops exceeding the first stop in the barrel, the syringe is emptied and the contraction mechanism is actuated by continuous forward movement of the handl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후향 방향으로의 수축을 위해 편의된, 주사기 베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수축 구조체 내에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수축형 바늘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한 세장형 중공 주사기 베럴을 가진다. 베럴의 내부와 활주식으로 밀봉 접촉하는 피스톤을 갖는 전방 단부 부분, 핸들에 엄지손가락 힘을 인가하기 위해 후방 단부에 캡을 갖는 후방 단부 부분 및 수축형 바늘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의 전방 단부 부분의 바늘 보유실을 구비하는 주사기 베럴 내에 가동성 핸들을 가진다. 제 2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여전히 주사기 베럴 내에 배치된다. 이는 전향 방향으로의 핸들의 이동을 제한하고, 일회 사용 후 주사기 베럴로부터의 그 제거를 방지한다. 그러나, 체결 구조체는 제 2 실시예의 배럴에 대하여 이동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ongated hollow syringe barrel suitable for having a retractable needle resiliently mounted in a retracting structur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yringe barrel, biased for retraction in the backward direction. A front end portion having a piston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barrel, a rear end portion with a cap at the rear end for applying thumb force to the handle, and a needle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andle for accommodating the retractable needle It has a movable handle in a syringe barrel with a holding chamber. In a second embodiment,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s still placed in the syringe barrel. This limits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s its removal from the syringe barrel after single use. However, the fastening structure moves relative to the barrel of the second embodiment.
핸들은 핸들의 후방 부근의 제 1 위치로부터 핸들의 전방에 보다 근접한 제 2 부분으로 단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은 체결 구조체를 수반한다. 체결 구조체는 체결 구조체가 제 1 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 전방 방향으로 바늘 보유실의 주사기 베럴 및 제한 운동을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결합시키도록 적응된다. 바늘 보유실은 체결 구조체의 제 2 위치의 직전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핸들은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를 갖는 것이 적합하며,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핸들이 후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핸들상에서 클립이 전향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단차형 톱니부에 대하여 내향 각도 형성된 탭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클립은 핸들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기 베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향 각도 형성된 첨단부를 가진다. 첨단부는 그들이 후향 각도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의 표면을 따라 간단히 활주하지만, 베럴의 내면 내로 첨단부가 파고들게 하여 후향 이동을 방지한다. 클립은 반원형보다 다소 큰 형태로 베럴의 후방 단부의 단차형 톱니부 모두가 아닌 그중 일부를 둘러싸는 것이 적합하다.The handle carries a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move in only one direction from a first position near the rear of the handle to a second portion closer to the front of the handle. The fastening structure is adapted to positively engage the syringe barrel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 the forward direction after the fastening structure is moved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 needle holding chamber is suitably arranged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position of the fastening structure. Preferably, the handle has a plurality of stepped teeth, and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preferably has tabs inwardly angled with respect to the stepped teeth that allow the clip to move forward on the handle while preventing the handle from moving backwards. Do. The clip has at least one outwardly angled tip that engages the syringe barrel to prevent withdrawal of the handle. The tips simply slide along the surface of the handle because they are angled backwards, but the tips penetrate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to prevent backward movement. The clip is somewhat larger than a semicircle, and suitably surrounds some but not all of the stepped teeth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서로 다른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제외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모든 기타 주사기 특징을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서, 핸들의 후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능동 체결 구조체는 베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로 주사기 베럴 내에 배치된다. 보다 특정하게, 상기 구조체는 베럴의 개방 후부 내측에 배치된다. 베럴에 대한 고정된 위치에 베럴의 개방 후부 내측에 장착된 구조체는 베럴 내로의 유체의 인출을 위한 핸들의 최초 인출 동안 핸들에 의해 지지된 활주 칼라가 핸들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보호되는 하나 이상의 전향 각도 형성된 첨단부를 구비한 탄성 클립인 것이 적합하다. 이는 핸들과 탄성 첨단부가 결합하지 않고 베럴에 대한 최초 전향 위치로부터 후향 방향으로의 핸들의 일회 인출을 허용한다. 플런저가 전향 방향으로 눌러졌을 때, 활주 칼라는 탄성 클립의 첨단부와 접촉을 벗어나 전향 이동하며, 그후, 탄성 클립은 그 인출을 방지하도록 핸들과 결합한다. 제 3 실시예에서, 핸들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핸들에 의해 지지된 활주 칼라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한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를 가진다. 활주 칼라는 각도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이는 칼라에 대하여 플런저 핸들이 후향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칼라는 탄성 클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핸들과 함께 전향 방향으로 이를 이동시키는 단차형 톱니부의 에지를 포획하는 포획부를 가진다. 탄성 클립은 핸들이 전향이동할 때 간접하지 않고 단차형 톱니부 위에 단순히 배치되지만, 핸들이 후향 이동되자 마자, 치형부가 핸들 내로 파고들어 핸들의 소정의 후향 이동을 정지시킨다. 바늘 보유실상의 정지면은 칼라와 접촉하고, 핸들이 최대 범위로 뒤로 당겨진 후 핸들의 추가 인출을 방지한다. 칼라는 베럴 내에 포획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ther syringe fea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except for the different positive fastening structures. In a third embodiment, an active fastening structur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syringe barrel in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barrel.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open rear of the barrel. The structure mounted inside the open rear of the barrel in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barrel may include one or more forward angles protected by the sliding collar supported by the handle in contact with the handle during the initial withdrawal of the handle for withdrawal of fluid into the barrel. It is suitable that it is an elastic clip provided with the formed tip part. This allows a one-time withdrawal of the handle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initial forward position to the barrel without engaging the handle and the elastic tip. When the plunger is pr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lide collar moves forward out of contact with the tip of the elastic clip, and then the elastic clip engages with the handle to prevent its withdrawal. In the third embodimen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andle has a plurality of stepped teeth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slide collar supported by the handle is disposed thereon. The sliding collar has an angled surface, which allows the plunger handle to move backwards with respect to the collar, but the collar captures the edge of the stepped teeth that move it away from the elastic clip an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the handle. It has a catch. The resilient clip is simply placed on the stepped tooth, not indirectly when the handle is moved forward, but as soon as the handle is moved back, the tooth digs into the handle to stop the predetermine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dle. The stop face on the needle holding chamber contacts the collar and prevents further withdrawal of the handle after the handle is pulled back to the maximum range. The collar is captured in the barrel.
비록, 본 발명이 주사기 전방의 수축 구조체에 장착된 수축형 바늘과 조합될 때 가장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은 주로 일회 사용의 논제와 관련하며, 따라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을 갖는 주사기 및 고정된 바늘을 갖는 주사기에 적용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effective when combined with a retractable needle mounted on the contractile structure in front of the syringe, the present inventi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issue of single use, and therefore, a syringe with a retractably mounted needle and a fixed Applicable to syringes with needles.
도 1은 충전 위치 대기 상태로 도시된, 바늘 유니 챔버 및 분리 가능한 핸드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needle uni chamber and a detachable hand, shown in a waiting position for a charging position;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핸들 및 엄지용 캡의 도 1의 선 2-2를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2-2 of FIG. 1 of the handle and thumb ca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최대 충전 위치로 플런저가 정지부까지 뒤로 당겨져 있는 도 1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with the plunger pulled back to the stop in its full charging position;
도 4는 주사 위치의 종점까지 핸들이 눌려진 후의 이전 도면의 주사기의 종단면도.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the previous figure after the handle has been pressed to the end of the injection position;
도 5는 핸들이 도 4의 위치로부터 도 5의 위치로 수축을 개시하지 않고 뒤로 당겨지는 경우, 핸들 분리를 도시하는 이전 도면의 주사기의 종단면도.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the previous figure illustrating handle detachment when the handle is pulled back without starting to retract from the position of FIG.
도 5a는 수축이 발생되기 이전의, 도 5의 위치로 취해진 플런저 밀봉부 및 바늘 유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중간부의 확대 종단면도.FIG. 5A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5 showing the plunger seal and the needle retaining structure taken to the position of FIG. 5 before shrinkage occurs; FIG.
도 5b는 도 5의 선 5B-5B를 따라 본 베럴의 정지부를 도시하는 도면.5B shows the stop of the barrel as seen along
도 5c는 정지부가 일련의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돌출부라는 것을 보여 주는 도 5b의 정지부의 대안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5C shows an alternative form of the stop of FIG. 5B showing that the stop is a series of one or more radial protrusions. FIG.
도 5d는 주사기의 행정 설정시 도움이되는 도 5b 및 도 5c의 정지부의 대안적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5d shows an alternative position of the stop of FIGS. 5b and 5c to assist in the stroke setting of the syringe.
도 6은 주사기 베럴이 후방의 개구 내에 엄지용 캡이 포획된 상태로 그 전향 위치에 있는 핸들 및 바늘 보유실 내로 수축된 바늘을 갖는 이전 도면의 주사기의 종단면도.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the previous figure with the syringe barrel with the needle retracted into the needle holding chamber and the handle in its forward position with the thumb cap captured in the rear opening;
도 7은 바늘이 수축된 후 핸들이 뒤로 당겨지는 경우, 도 6의 주사기 내의 바늘 보유실로부터 핸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 6의 종단면도.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6 illustrating a method of detaching the handle from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 the syringe of FIG. 6 when the handle is pulled back after the needle is retracted; FIG.
도 8은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 바늘 보유실,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를 갖는 단차형 핸들 및 핸들의 후방 부근의 제 1 위치에 도시된 클립을 포함하는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8 is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having a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comprising a retractably mounted needle, a needle retention chamber, a stepped handle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teeth and a clip shown in a first position near the rear of the handl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도 9는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의 예시적 버전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version of the clip as shown in FIGS. 8-14.
도 10은 주사기 내로 유체를 흡인하기 위해 핸들이 뒤로 당겨지고, 그에 의해, 클립이 핸들의 전방에 보다 근접한 제 2 위치로 이동한 도 8의 주사기의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FIG. 8 with the handle pulled back to draw fluid into the syringe, whereby the clip has been moved to a second position closer to the front of the handle;
도 11은 주사를 완료하기 위해 핸들이 완전히 전향 추진되어 있는 도 8 및 도 10의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의 종단면도.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shrink syringe of FIGS. 8 and 10 with the handle fully pushed forward to complete the injection.
도 12는 바늘 챔버 내로 바늘이 수축되게 하는, 완전 주사 위치를 초과하여 최대 범위로 핸들이 전향 추진된 상태의 도 11의 주사기의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FIG. 11 with the handle propelled to the maximum range beyond the full injection position, causing the needle to retract into the needle chamber.
도 13은 주사 위치의 완전한 단부에 플런저를 갖는, 핸들이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바늘 보유실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대안적 구조의 종단면도.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lternativ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andle is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with the plunger at the complete end of the injection position;
도 14는 도 13의 위치로부터 플런저가 추가로 전향 추진되어 바늘을 바늘 보유실 내로 수축시키는 도 13의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FIG. 14 shows the syringe of FIG. 13 with the plunger further forwardly propelled from the position of FIG. 13 to retract the needle into the needle holding chamber.
도 15는 이전 도면과 동일한 수축형 바늘 및 바늘 보유실을 갖는, 그러나, 주사기를 충전하기 위해 일회 핸들이 뒤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도시하는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FIG.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showing different positive fastening structures having the same retractable needle and needle retention chamber as previous figures, but allowing the one-handed handle to be pulled back to fill the syringe;
도 16은 양호한 복수의 탄성 첨단부를 도시하는 도 15의 탄성 클립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clip of FIG. 15 showing a plurality of good elastic tips.
도 17은 도 10의 실시예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로 핸들이 뒤로 당겨진 후, 도 15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1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5 after the handle is pulled back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18은 탄성 클립이 주사 동안 핸들이 전향 이동하자마자, 핸들과 결합하도록 해제되고, 그에 의해, 핸들의 소정의 현저한 후향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elastic clip is released to engage the handle as soon as the handle moves forward during the injection, thereby preventing any significant backward movement of the handle.
도 19는 핸들이 주사 완료 위치까지 전향 추진된 후, 도 18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주사기의 종단면도.1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yringe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8 after the handle has been pushed forward to the injection completion position.
하기의 설명에서, 유사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로 지칭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부분은 근본적으로 원형 또는 원통형인 것이 적합하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like parts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parts shown in the figures are preferably essentially circular or cylindrical.
제 1 실시예의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가 US 특허 제 65,632,733 호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축형 주사기의 변형과 연계하여 도 1 내지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양호한 수축형 주사기의 세부사항이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에 나열된 인용된 참조문헌 및 기타 참조문헌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그 주 속성이 본 발명에 연계하여 여기서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주사기가 그 최초 사용 후 철회되지 않는 경우에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 핸들의 포지티브적 체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수축 디바이스 또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수축형 바늘 디바이스, 특히, 플런저 핸들을 전향 가압함으로써 동작되는 것들과 함께 주사가 완료된 후 사용될 수 있다. 후향 방향으로, 플런저의 개구 내로 바늘을 철회시키는 다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예로서, Toft의 US 특허 제 5,407,436 또는 Pressly Sr.의 US 특허 제 5,713,952가 본 발명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비록 플런저 핸들이 2회차 사용을 저지하기 위한 특징을 가지지만, 이는 단지 주사기가 실제 수축된 경우에만 기능한다.The disposable shrinkable syringe of the first embodiment is disclosed in FIGS. 1 to 7 in conjunction with the variant of the shrinkable syringe shown in FIGS. 1 to 3 of US Pat. No. 65,632,733. Although details of preferred shrinkable syringes can be found in the cited references and other references listed in the background art herein, the main attributes thereof are briefly described 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ve fastening of the plunger handle to prevent reuse if the syringe is not withdrawn after its first u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retracting device or structure, and may be used after the injection is completed with other retractable needle devices, in particular those operated by forward pressing of the plunger handle.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re are a number of devices for withdrawing the needle into the opening of the plunger. By way of example, Toft US Pat. No. 5,407,436 or Pressly Sr. US Pat. No. 5,713,952 can be improv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tter case, although the plunger handle is characterized to deter second use, it only functions if the syringe is actually retracted.
본 발명의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는 총체적으로, 도 1에서 참조 번호 10으로 지칭되어 있다. 주사기(10)는 제 1 단부 부분(14) 및 개방 후방 단부 부분(16)을 갖는 세장형 중공 주사기 베럴(12)을 가진다. 수축형 바늘(18)은 수축 구조체(20) 내에 수축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수축 구조체는 견부를 갖는 세장형 바늘 홀더(22)를 포함하고, 이 견부는 전방에서 전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단부 부분(14)의 전방의 개구에서 정지된다. 도 1의 베럴을 초과하여 전향 연장하는 바늘 홀더의 작은 부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분리 가능한 유지 부재(26)는 유지 부재(26)의 확장 헤드(30)와의 경계면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마찰 결합된 링-형 구조체이다. 경계면은 수축 방향으로 배향된다. 바늘 홀더(20)의 헤드(30)와 함께, 유지 부재(26)는 그들이 압축된 스프링(34)에 의해 인가되는 수축력에 대항하여 유지되게 되는 전방 부분(14)의 내부 측벽(32)에 대하여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이 적합하다. 스프링(34)은 부분(14)의 전방의 리지상에 안치되는 일 단부와, 제거 가능한 유지 부재(26)에 대해서는 가압하지 않으면서, 바늘 홀더(22)의 헤드(30) 하측에 대하여 가압하는 후방 단부를 가진다. 바늘(18)은 접착제(36)에 의해 바늘 홀더(22)에 고착된다.The disposable shrinkable syr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by
주사기는 디텐트 연결부(42)에 의해 바늘 보유실(4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38)을 포함하는 가동부에 의해 동작되며, 디텐트 연결부는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와 핸들(38)의 전방 부분(44)의 스냅식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핸들(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용 캡(70; thumb cap) 및 안내 홈(78)을 갖는 코어(76)를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파지부(80)는 한손 동작을 허용하도록 엄지용 캡(70)과 연계하여 동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8)의 전방(44)은 디텐트 연결부(42)를 포함하는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에서 단일 또는 다중 돌출부(48)와 제거 가능하게 정합하는 홈(46)을 갖는다. 상기 부위(40)로부터 핸들 부분(38)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양은 베럴 내의 정지부를 지나쳐서 바늘 보유실을 당기기 위해 소요되는 힘보다 작다. 핸들은 베럴 내의 바늘 보유실을 남기고, 바늘 보유실로부터 분리된다.The syringe is operated by a movable portion comprising a
가동부(38, 40)는 함께 베럴(12) 내부와 활주식으로 밀봉 접촉하는 피스톤과 베럴(12)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된 가동성 플런저로서 작용한다. 바늘 보유실(40)은 그 위에 장착된 피스톤 밀봉부(52)를 갖는 전방 단부 부분(50)을 구비한다. 밀봉부(52)는 베럴(12)의 내면과 활주식으로 밀봉 접촉하며, 그에 의해, 바늘 보유실(40)의 전방 단부(50) 아래에 가변 유체 챔버(56)를 형성한다. 바늘 보유실은 마찰 결합에 의해 개구 내에 유지되는 것이 적합한 제거 가능한 플런저 부재 또는 기타 밀봉부(60)로 밀봉된 그 전방 단부의 개구를 가진다.The
바늘 보유실(40)은 개구를 챔버(58) 내로 활주식으로 밀봉하는 제거 가능한 플런저(60) 및 수축된 바늘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공간(58)을 가진다. 전방 단부 부분(50)의 전방 말단은 팁(62)을 포함하며, 이는 전방 단부 부분(14) 내의 바늘 홀더의 헤드(30) 아래의 공간(64) 내로 헤드(30)로부터 유지 부재(26)를 접촉 및 이동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완전한 "주사 위치의 종점"으로부터 핸들(가동부)을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달성된다. 가동부의 도 4 위치로부터 핸들을 추가적으로 누르는 것은 링형 유지 부재를 제거하고, 플러그 부재(60)를 분리시키며, 그에 의해, 유지 공간(58)을 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58) 내로의 수축을 위해 바늘(18)을 해제한다. 여기까지 기술된 구조체는 바늘 주입을 방지하는 수축형 바늘 주사기를 제공하며, 수축 및 엄지용 캡이 베럴(12)의 개방 후부(16)에 긴밀히 수용된 후, 부품이 서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재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사기가 수축되는 경우 바늘 또는 기타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고, 주사기가 수축되지 않는 경우 재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로 진행한다.The
가장 현저하게, 주사기 베럴(12)의 내부면(54)은 바늘 보유실(40)의 후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일회 사용 후 주사기 베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반경방향 내향 돌출 수축부 또는 수축부들을 포함하는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66)를 구비한다. 바늘 보유실(40)은 주사기 베럴 내측상의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66)와 협력하는 확장된 후방 단부(68)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유격은 엄지용 캡(70)상의 엄지손가락 힘에 의해 전향 방향으로 체결 구조체(66)를 초과하여 밀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주사기 핸들(38, 40)이 수축부(66)를 초과하여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68)를 통과하도록 전향 추진되고 나면, 이 횡단을 되돌리기 위한 소정의 시도가 달성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핸들부(38)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보유실(40)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이다.Most notably, the
도 1은 재충전 대기 위치의 주사기의 위치를 도시한다. 핸들(38, 40)은 바늘 보유실의 후방 단부가 베럴 내측의 고정 위치에서 베럴 직경의 수축부를 포함하는 제 1 정지부(66)라 지칭되는 것과 접촉하게 하도록 눌려진다.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68)는 현저한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가동성 부품의 추가 전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 1 정지부와 협력하는 제 2 정지부라 지칭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 2 정지부는 바늘 보유실의 후방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적절히 배치된 원통형 바늘 보유실의 직경방향 확장부인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직경방향 확장부는 기하학적 형상 요구에 따라 바늘 보유실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향 이동될 수 있다. 바늘 보유실상의 직경방향 확장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이유는 서로 다른 투여량을 위한 서로 다른 충전 체적을 형성하기 위해 충전 행정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 1 및 제 2 정지부(66, 68)는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포함한다. 비록, 재충전 대기 위치의 다양한 유체 챔버(56)가 매우 크게 나타나 있지만, 사실, 이는 최대 주사기 체적의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며, 1cc 또는 1/2cc 주사기에 대해 절대적으로 매우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66)의 위치 및 보유실(40)과 베럴(12)의 길이 및 직경은 충전 체적을 결정한다. 바늘 보유실은 수축 후 어떠한 날카로운 팁도 노출되지 않도록 바늘(18) 전체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배치된다.1 shows the position of the syringe in the recharge standby position. The
도 3은 충전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를 나타내며, 여기서, 사용자는 바늘 보유실(40)의 전방 단부상의 포획부(72)가 제 1 정지부(66)상에 포획될 때까지 주사기 핸들을 뒤로 자유롭게 당길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주사기가 주사액으로 완전히 충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촉각적 느낌을 제공한다.3 shows the next step of the filling process, in which the user is free to pull the syringe handle backward until the
도 4는 주사기 동작의 다음 단계를 예시하며, 여기서, 바늘은 환자(미도시) 내로 도입되고, 주사 위치 종점까지 플런저가 눌러진다. 여기서, 바늘 보유실(40)의 전방 단부 부분은 팁(62)의 전향 이동이 순차적으로 바늘 보유실(50)의 개구로부터 플런저 부재(60)를 제거하기 시작하고, 수축 구조체(20)의 바늘 홀더(22)의 헤드(30) 외측으로 유지 부재(26)를 활주시킨다. 이는 엄지용 캡(70)이 베럴(12)의 확장된 후방 단부(16) 내의 개구(74)에 긴밀하게 수용될 때까지 엄지용 캡(70)을 가압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도 6의 수축된 바늘 위치가되며, 수축형 바늘은 그 이전에 플런저 부재와 함께 바늘 보유실 내로 수축되어 있다. 엄지용 캡(70)은 개구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바늘은 안전하게 수축되고, 핸들은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주사기 배럴의 개방 후부 내로 꼭 끼워진다. 4 illustrates the next step of syringe operation, where a needle is introduced into a patient (not shown) and the plunger is pressed down to the injection location endpoint. 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그러나, 사용자가 도 4의 위치가 도달된 후 주사기를 수축시키기를 거부한 경우, 도 6으로 진행할 수 없으며 대신 도 5로 진행한다. 도 5는 핸들부(38)를 당김으로써 가동부를 제거하기 위한 시도가 단지 바늘 보유실(40)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정지부(68)가 제 1 정지부(66)에 접촉하게 하며, 여기서, 이는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는 것을 도시한다. 핸들부(38)는 단순히 주사기의 내부 부분에 대한 어떠한 억세스도 남기지 않고, 디텐트 연결부(42)의 해제에 의해 바늘 보유실(40)로부터 분리된다. 핸들(38)의 전방(44)의 홈(46)은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48)을 분리시킨다. 부품의 미소한 왜곡이 해제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부(38)가 베럴의 후방 내로 재삽입되는 경우에도 주사기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변 챔버 내의 부적절한 충전 챔버가 존재한다.However, if the user refuses to retract the syringe after the position of FIG. 4 is reached, it cannot proceed to FIG. 6 and instead proceeds to FIG. 5. 5 shows that an attempt to remove the movable portion by pulling the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파단선 사이의 도 5의 중앙 섹션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포획부(72)가 전방 단부 부분(50)상의 환형 치형 방사상 돌출부로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 부분(68)은 제 1 정지부(66)에 닿는 에지를 갖는 확장된 직경 표면(82)을 가질 수 있다. 멈춤쇠 돌기(48)는 제거된 핸들부(38)의 도 5에 도시된 홈에 끼워지는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베럴(12)의 내경 둘레의 연속적인 수축부일 수 있는 제 1 정지부(66)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정지부(66)가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68)와 접촉 및 체결하여 핸들(38)에 의해 그 제거를 방지하는 복수의 확장된 영역 또는 내향 반경방향 돌출부일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유사하게, 체결부(66)가 연속적인 경우, 제 2 체결부(68)를 포함하는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는 불연속적이다. 하나 또는 나머지는 핸들에 의해 베럴의 외측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바늘 보유실의 어떠한 각진 배향도 존재하지 않도록 연속적이어야 한다.5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enter section of FIG. 5 between the break lines shown in FIG. Here, the
도 5d는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가 정지부(66)에 의해 유발된 수축부 내의 개구를 통해 끼워지도록 크기설정된, 도 5d의 직선형 후방 단부 부분(68')으로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대안적으로, 바늘 보유실(40)의 외측상의 직경방향 확장부(69)는 포지티브 체결부(66)가 그에 대해 작용하는 접촉부로서 기능하도록 서로 다른 축방향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직경방향 확장부(69)는 바늘 보유실의 후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 1 정지부(66)와 협력하는 제 2 정지부로 고려될 수 있다. 제 2 정지부(69)는 이전 도면의 바늘 보유실(40)의 확장된 후방 단부 부분(68)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엄지용 캡(70)에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전향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부(66) 내의 개구를 통해 밀려질 수 있게 동작한다. 사용자가 그후 핸들을 뒤로 당기기를 원할 때, 직경방향 확장부(69)는 수축부(66)와 접촉하고, 바늘 보유실(40)로부터 핸들(38)을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큰 당김력을 필요로 한다. 이는 원하는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특정 주사기의 행정을 설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베럴에 대한 핸들의 서로 다른 이동을 제공하는 단순한 대안적 방식이다.5D may be modified as the straight
도 8 내지 14는 동일 참조 번호가 적용되어 있는, 이전 도면에 개시된 양호한 수축 메카니즘을 갖는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전 내용의 도시된 부품으로부터의 변형은 프라임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될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주사기는 총체적으로 참조 번호 10'로 지칭된다. 수축형 주사기(10')는 정확히 동일한 제 1 실시예의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18) 및 수축 구조체(20)를 갖는다. 이는 확장된 후방 단부 부분(16)을 갖지 않고, 동일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갖지 않는다는 점이 제 1 실시예의 것으로부터 변화된 주사기 베럴(12')을 갖는다. 주사기 베럴(12)은 전방 단부 부분(14) 및 개방 후부(84)를 갖는다. 가동성 핸들은 핸들부(38')에 부착된 바늘 보유실(40')을 포함하는 주사기 베럴(12') 내에 왕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동성 핸들의 전방 단부 부분(50)은 이미 설명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피스톤 밀봉부(52) 및 활주식으로 제거 가능한 플러그 부재(60)를 포함한다. 가동성 핸들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핸들에 엄지손가락 힘을 인가하기 위하여 핸들의 후방 단부에 엄지용 캡을 포함하는 캡 부재(86)를 갖는다. 바늘 보유실(40')은 단지 제조상의 목적을 위해, 핸들부(38')에 부착 또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가동성 부재의 이들 두 부분이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들은 용접, 접착 또는 기타의 영구적 고착에 의해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가동성 핸들로서 성형되는 것이 적합하다. 8-14 show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osable shrink syringe with the good shrink mechanism disclosed in the previous figures, to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Deformations from the illustrated parts of the previous content will be indicated using prime symbols. The syring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by
제 2 실시예는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가 도 9에 도시된 바람직한 금속 클립(88)인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클립(88)은 탭(90) 및 본체(94)상의 한쌍 이상의 체결 치형부(92)를 갖는다. 탭(90)은 바늘 보유실(40') 뒤로 가동성 부품의 핸들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96)와 협력하도록 미소하게 내향 굴곡된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ositive fastening structure is the
도 8은 제 2 실시예의 일회용 수축형 주사기의 시작 위치를 예시한다. 시작 위치에서, 가동성 핸들은 수축을 유발하지 않고, 수축 메카니즘(20)을 가볍게 건드리도록 주사기 본체 내에서 완전히 전향 추진된다. 이는 바늘 홀더 헤드(30)에 대하여 이 경우에는 플러그 부재(60)를 건드리는 조작자에 의한 촉각적 감각에 의해 쉽게 수행된다.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88)는 핸들부(38')에 의해 지지되며, 도 8의 제 1 위치(98)로부터 제 2 위치(100)로 이동 가능하다. 이는 주사기 베럴에 대하여 가동성 핸들을 당김으로서 단순하고 편리하게 달성된다. 클립(88)을 포함하는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는 핸들의 후방 부근의 제 1 위치로부터 핸들의 전방에 보다 가까운 제 2 위치로 단지 한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첨단부(92)는 핸들과 함께 클립을 후향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베럴(12')의 내면(102)과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첨단부(82)가 후향으로 뾰족하기 때문에, 이들은 클립이 베럴 내에서 전향 이동할 때, 내면(102)을 따라 자유롭게 활주한다. 탭(92)은 핸들이 클립(88)에 대해 후향으로 이동할 때, 톱니부(96)의 에지 위에 올라타며, 그래서, 핸들이 뒤로 당겨질 때, 단차형 톱니부가 클립에 대하여 간단히 활주하고, 클립이 도 8의 제 1 위치(98)로부터 도 10의 제 2 위치(1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최대량의 유체가 바늘(18)을 통해 유체 챔버(56) 내로 흡인된 후, 클립(88)에 대한 핸들의 위치를 예시한다. 바늘 보유실(40')는 체결 구조체(88)의 제 2 위치 바로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체결 구조체를 포함하는 클립이 나타난다.8 illustrate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disposable shrink syring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tarting position, the movable handle is propelled completely within the syringe body to lightly touch the
도 11은 모든 유체가 가변 챔버(56)로부터 축출된 후, 주사 위치의 종단에서 가동성 핸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클립(88)의 내향 각도 형성된 탭(90)은 가동성 핸들(38', 40')과 함께 전향 이동하도록 톱니부(96)의 하측 에지를 포획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후향 각도형성된 첨단부(92)는 가동성 핸들의 전향 운동과 간섭하지 않고, 주사기 베럴(12')의 내면을 따라 간단히 활주한다.11 shows the position of the movable handle at the end of the injection position after all fluid has been withdrawn from the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주사기(10')가 단순히 엄지용 캡(86)을 추진하고 도 11의 주사 위치 단부로부터 도 12의 수축 위치로 가동성 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그 바늘이 수축되는 방식을 예시한다. 유지 링(26)이 팁(62)에 의해 바늘 홀더(22)의 헤드(30)로부터 공간(64) 내로 제거되어 있은 것을 볼 수 있으며, 바늘 보유실(40')의 전방 단부 부분으로부터 플런저 부재가 제거되어 스프링(34)에 의해 그곳에 유지될 때 스프링 부하식 바늘 홀더 및 바늘이 후향 이동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부품은 날카로운 첨단부를 포함하는 전체 바늘이 베럴(12') 내로 인출되도록 크기설정되어 있다. 가동성 핸들의 일회의 후향 이동 및 일회의 전향 이동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갖지 않는 베럴 내측에 배치된 체결 구조체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88)는 도 12의 제 2 위치에 배치된다. 후향 방향으로의 바늘 보유실의 소정의 역방향 이동은 활주 첨단부(92)가 이제 베럴(12')의 내면(102) 내로 파고들어가도록 배치되고, 그에 의해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104)와 클립(88)의 저면의 접촉에 의해 핸들의 후향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클립(88)에 의해 제한된다. 클립이 후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바늘 보유실(40')의 후향 이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핸들(30)이 일회 사용 후 주사기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클립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주사기가 수축되건 아니건 문제가 되지 않으며, 가동성 핸들은 여전히 제거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다라서, 핸들은 일회 사용 후 주사기 내로 포지티브하게 체결된다. 또한, 충전 체적은 종래 기술 부분에 언급한 Shonfeld 등의 US 특허 제 5,531,691 및 5,562,623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핸들부(38')에 대해 클립(88)의 초기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FIG. 12 illustrates how the
도 13 및 14는 도 11 및 12에 각각 대응한다. 이들 주사기(10")는 핸들(38")이 해제 가능한 연결부(106)에 의해 바늘 보유실(4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 만 도 11 및 12의 주사기(10')와 다르다. 바늘 보유실(40")의 후방 단부 부분은 원주방향 홈인 것이 적합한 홈(108)을 가지며, 핸들부(38")의 전방 단부는 홈(108) 내로 기워지는 핸들부(38")의 전방 단부 부분에 고착된 융기된 영역형태의 원주방향 반경방향 돌출부(110)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제거 가능한 연결부(106)는 핸들부(38") 및 바늘 보유실(40")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형성하며, 이 2 부분 구조체는 성형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다른 해제 가능한 부분을 표준 크기로 남겨두면서 부품 중 하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예로서, 핸들부는 보다 길게 또는 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바늘 보유실와 함께 사용되거나, 바늘 보유실이 표준 핸들부(38")를 사용하면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바늘 보유실을 변화시키는 한가지 이유는 서로 다른 길이의 바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최대 투여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행정을 변경하는 다른 방식도 있다. 베럴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지만, 베럴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도 8 내지 12에 관하여 전술된 것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클립(88)이 핸들(38") 및 바늘 보유실(40")가 최초 주사가 이루어진 후 인출될 수 없게 하기 때문이다. 핸들은 수축 메카니즘(20)이 작동되든 그렇지 않든 인출이 방지된다.13 and 14 correspond to FIGS. 11 and 12, respectively. These
도 15 내지 19는 주사기(11)로 지칭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사기(11)는 하기에 열거된 특정 예외를 갖는 도 1 내지 도 7의 수축형 주사기인 것이 적합하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바늘 보유실의 후방 단부까지 제 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베럴(12)의 후방 단부 부분(112)은 도 16에 도시된 탄성 클립 구조체(114)를 수용하도록 변경되어 있다. 베럴은 제 1 실시예의 후방(16)과 매우 유사하게 파지부(80) 뒤에 확장된 후방 단부를 가진다. 이는 여전히 핸들(116)의 후방에 엄지용 캡(70)을 포획 수용하기 위한 개구(74)를 가지지만, 개구(74)의 바로 전방에 수축 접촉면(118)을 가진다. 접촉부(118)는 베럴(12)의 확장된 후방 단부 부분(112) 둘레에 홈(120)을 형성하며, 여기서, 스프링 클립(114)은 베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수용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클립(114)은 주사기의 최초 사용 후, 후향 방향으로 바늘 보유실의 후속 이동을 제한하는 베럴 내측에 배치된 구조체를 포함한다.15-19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ferred to as syringe 11. The syringe 11 is suitably the shrinkable syringe of FIGS. 1 to 7 with the specific exceptions listed below. Parts not shown in FIGS. 15 to 19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up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holding chamber. The
핸들 116은 바늘 보유실(122)(도 17) 뒤로 연장하며, 제 2 실시예의 단차형 톱니부(96)와 유사한 복수의 단차형 톱니부(124)에 의해 그 길이를 따라 톱니형으로 이루어진다. 칼라(126) 형태의 활주부는 핸들(116)에 의해 지지된다. 칼라(126)는 소정의 단차형 톱니부(124)의 에지(130)를 포획하도록 적용되는 포획부(128)를 포함한다. 이는 핸들상으로 칼라를 장착하는 것을 돕도록 원형 부품 또는 분할 원형 부품일 수 있다. 엄지용 캡(70)은 칼라가 핸들(116)의 샤프트상에 설치된 후 적소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거나, 핸들이 두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탄성 클립(114)은 접촉부(118)를 지나 홈(12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원형 본체의 미소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 본체(132) 및 간극(134)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탄성 클립(114)은 복수의 탄성 치형부(136)를 구비하고, 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칼라(126)의 후방 단부 부분에 의해 핸들로부터 최초에 분리되어 있다. 이는 도 1 또는 도 8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핸들의 초기 위치이다. 핸들(12) 내의 미소 수축부(138)는 핸들(116)이 도 17의 위치로 뒤로 당겨져 도 3에서와 같이 가변 유체 챔버(156)(미도시) 내로 유체를 흡인할 때, 칼라(126)가 후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톱니부 및 포획부는 예시를 위해 도면에서 다소 과장되어 있지만, 도 17의 주사 대기 위치로 어려움 없이 뒤로 핸들이 당겨지게 할 수 있다. 이는 핸들(116)과 바늘 보유실(122)의 최초 인출을 나타낸다. 바늘 보유실(122)의 후방 단부는 정지면(140)을 가지고, 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이 완전히 인출될 때, 칼라(126)에 대하여 접한다. 칼라(126)는 여전히 탄성 치형부(136)가 도 17의 핸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The
도 18은 주사기(11)의 핸들(116)이 도 17의 위치로부터 도 18의 위치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도 19에 도시된 위치로 캡(70)상의 엄지손가락 힘에 응답하여 전향 이동하기 시작할 때, 발생하는 사건을 도시한다. 활주부 또는 칼라(126)의 포획부(128)가 스프링 클립(1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향 이동하도록 단차형 톱니부(124)상의 에지(130)를 포획한다. 이는 탄성 치형부(136)가 핸들(116)이 전향 이동할 때, 단차형 톱니부(124) 위로 올라탈 수 있게 한다. 이는 도 19의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지속된다.18 shows the
도 19는 도 4 또는 도 13의 위치에 대응하는 나머지 부분을 갖는 주사 위치의 종점을 예시한다. 도 1과 유사한 바늘 챔버(50)의 전방 단부 부분은 주사기의 전방에서 수축 메카니즘(20)에 도달되고, 유체가 바늘(18)을 통해 축출된다. 탄성 치형부는 116의 후방 단부 부분 내의 홈(142) 내에 체류된다. 그러나, 또한, 단차형 치형부(124)에 대한 치형부(136)의 날카로운 각도로부터, 탄성 치형부가 소정의 인접 단차형 톱니부 내로 파고들고 베럴 내의 핸들과 결합하기 때문에 도 19의 위치 및 도 15의 위치 사이의 소정의 중간 위치 또는 도 18의 위치로부터 뒤로 핸들(116)을 당기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인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탄성 클립(114)은 가동부(핸들 및 바늘 보유실)의 일회의 후향 이동 및 완전한 전향 이동 범위로의 일회의 전향 이동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지만, 후향 방향으로의 바늘 보유실의 후속 이동은 제한되어 핸들이 2회차로 뒤로 당겨질 수 없기 때문에 주사기 베럴 내에 상기 챔버가 유지되는, 가동성 부품과 결합하도록 고정 위치에 베럴 내측에 배치된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19 illustrates the end point of a scanning position with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FIG. 4 or 13.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마지막으로, 도 19의 위치로부터, 도 19의 주사 위치의 완료 후의 전향 방향으로 엄지용 캡(70)을 마지막으로 추진하는 것은 도 6,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의 이동에 의해 수축형 부품의 수축 동작을 초래한다. 바늘은 바늘 보유실(122) 내로 수축되고, 베럴 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플런저 작동식 수축 및 수축 메카니즘은 바늘 보유실의 후향 이동을 한정하도록 제공된 서로 다른 포지티브 체결 구조체를 갖는 모든 세 실시예에서 동일할 수 있다.Finally, from the position of FIG. 19, the last propulsion of the
최상의 모드에서, 부품은 종래의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일반적으로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피스톤 밀봉부는 종래의 것이며, 클립은 금속인 것이 적합하다.In the best mode, the parts are formed from conventional injection moldable plastics, typically polypropylene. The piston seal is conventional and the clip is suitably metal.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여기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정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의 숙련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precise embodiments, and various other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performed by a skilled person.
Claims (3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2002/033003 WO2004060451A1 (en) | 2001-10-15 | 2002-12-02 |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4776A KR20050004776A (en) | 2005-01-12 |
KR100673284B1 true KR100673284B1 (en) | 2007-01-24 |
Family
ID=4467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1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284B1 (en) | 2002-12-02 | 2002-12-02 | Disposable Shrink Needl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3284B1 (en) |
IL (1) | IL160788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3886B1 (en) * | 2013-12-31 | 2015-03-19 |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 Needle assembly, safety syringe and safety syringe apparatus using the same |
CN110237360A (en) * | 2019-07-11 | 2019-09-17 | 陶崇林 | An injection syringe that is easy to operate with one hand |
-
2002
- 2002-12-02 KR KR1020047011956A patent/KR1006732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3-09 IL IL160788A patent/IL160788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L160788A0 (en) | 2011-08-01 |
KR20050004776A (en) | 2005-01-12 |
IL160788A (en) | 2011-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94863B1 (en) |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
US6096005A (en) | Retractable needle medical devices | |
JP3834476B2 (en) | Retractable dental syringe | |
US8419682B2 (en) | Safety syringes | |
US5226893A (en) | Hypodermic syringe | |
JP2010188176A (en) | Safety shield system for prefilled syringe | |
JPH0211163A (en) | Injector | |
CZ202997A3 (en) | Combination of control mechanism and cassette | |
US7544180B2 (en) | Safety syringes | |
JP2008142565A (en) | Single-use retractable syringe equipped with positive needle holding | |
MXPA06001075A (en) | Syringe assembly having disabling mechanism. | |
KR100673284B1 (en) | Disposable Shrink Needl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
CA2504130A1 (en) | Vacuum auto-retractable safety syringe | |
RU2284195C2 (en) | Retractable single-use syringe with compulsorily held needle | |
HK1077237B (en) |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
NZ531615A (en) |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 |
NO333383B1 (en) | Disposable syringe where the needle is retracted and held in place. | |
HK1150792A1 (en) | Fixed-dose syringe with limited aspiration | |
AU5934590A (en) | Hypodermic syri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