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115B1 - Circuit unit - Google Patents
Circui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3115B1 KR100673115B1 KR1020000019367A KR20000019367A KR100673115B1 KR 100673115 B1 KR100673115 B1 KR 100673115B1 KR 1020000019367 A KR1020000019367 A KR 1020000019367A KR 20000019367 A KR20000019367 A KR 20000019367A KR 100673115 B1 KR100673115 B1 KR 1006731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 terminal
- hole
- pair
- circuit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98 pew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7 pew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Electromagne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변위에 대응하여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의 회로 유닛을 실현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 캐비티(30)는 전기 단자(50)의 베이스부(51)를 적어도 한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되도록 수용하고, 전기 부품에 용접되는 용접판부(63)는 베이스부(51)에 가까운 위치에 그것과 직교 방향으로 뻗으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52)는 베이스부(51)로부터 충분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변형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in response to a displacement of a coil and at the same time realizing a simplification of a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alized, and the terminal accommodating cavity 30 formed in the case main body has an electrical terminal ( The base portion 51 of the 50 is received so as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weld plate portion 63 welded to the electric component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it at a position close to the base portion 51 and on the circuit board.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52 to be connected extends by sufficient length from the base part 51, and becomes deformable.
단자 수용 캐비티, 케이스, 베이스부, 전기 단자, 기판 접속부Terminal housing cavity, case, base part, electric terminal, board connection par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유닛의 하우징 본체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1 is a partial plan view of a housing body of a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開口) 부근의 부분 확대도로, (a)는 평면도, 및 (b)는 (a)중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n the vicinity of an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a).
도 3는 하우징 본체에 장착 가능한 전기 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및 (b)는 정면도. 3 is a view showing electrical terminals mountable to a housing main body, (a) is a plan view, and (b) is a front view.
도 4는 하우징 본체에 장착된 전기 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및 (b)는 (a)중의 선 B-B에 따른 하우징 본체의 단면을 전기 단자의 정면도와 함께 나타낸 도면.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terminal mounted to the housing main body, (a) is a plan view, and (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along line B-B in (a) with a front view of the electrical termina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회로 유닛10: circuit unit
20 : 케이스 본체20: case body
50 : 전기 단자
50: electrical terminal
본 발명은 제어 회로 등의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기타 전기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unit for accommodating circuit boards and other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circuits such as control circuits.
이러한 종류의 회로 유닛은 일본 특허 공표 공보 평9-511964호에 개시된다. 개시된 회로 유닛은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회로로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코일 및 전자제어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코일은 케이스에 지지되는 전기 단자에 접속된다. Circuit units of this kind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511964. The disclosed circuit unit is for use as a brake control circuit of a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oils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 plurality of coils are connected to electrical terminals supported by the case.
이 응용에 따르면, 전기 단자는 코일이 케이스 내에서 변위할 때에도 안정된 접속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공보에 개시되는 전기 단자의 코일의 접속부분은 굴곡 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전기 단자는 굴곡 구조에서 휨이 가능하게 하면서 안정된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케이스 내에서 수지에 파묻히도록 해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the electrical terminals are required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even when the coil is displaced in the case.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il of the electrical terminal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comprises a bend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electrical terminals are firmly supported by being embedded in the resin in the case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while enabling bending in a bent structure.
그러나, 상술한 회로 유닛에 따르면, 전기 단자를 수지 내에 파묻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의 회로 유닛을 실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ircuit unit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electrical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resin.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circuit unit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position of a coil and realizing a simplification of a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및 전기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미리 유동적으로 지지된 후에 장착되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전기 부품을 상호 접 속시키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유닛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unit including a case for accommodating a circuit board and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n electrical terminal for mutu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which are mounted after being fluidly supported on the case in advance.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안내 수단에 의해 적어도 슬라이딩 방향으로 유동(遊動)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Preferably, the electrical terminals are arranged to be movable in at least the sliding direction by guide means formed in the case.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용 관통 구멍에 수용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Preferably, the electrical terminal has a connec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onnecting through hole of the circuit board.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는 변형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deformable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전기 부품에서 뻗어나오는 단자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을 상기 전기 부품 각각에 대해 구비하며, 상기 관통 구멍의 대향측 가장자리를 따라 한쌍의 전기 단자가 거의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된다.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기 부품은 코일 장치가 된다. Preferably, the case has a through hole for each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the through hole for receiving a terminal extending from the electrical component, and is arranged such that a pair of electrical terminals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along the opposite edge of the through hole. . According to embodiment mentioned later, the said electric component becomes a coil apparatus.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전기 단자는 서로 면대칭 형상을 이루며, 적어도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the pair of electrical terminals form a surface symmetrical shape with each other, and are slidable in at least their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되는 전기 단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the electrical terminal which becomes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유닛의 하우징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1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housing body of a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회로 유닛(10)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어 회로를 수용하는 것으로,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회로 유닛(10)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20)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20)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 및 복수의 코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는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제1측(23a)이 도시되며, 대향하는 제2측(23b)에 복수의 코일이 배치된다. 제1측(23a) 및 제2측(23b)은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관통 구멍(21) 및 한쌍의 전기 배선 구멍(22)을 제외하고 격벽(23)에 의해 분리된다. 복수의 코일은 격벽(23)에 형성되는 볼록 구조(24) 각각에 대응하여 그 배후측에 배치되며, 그 각각으로부터 관통 구멍(21)을 통해 한쌍의 코일 단자가 제1측(23a), 즉 회로 기판 장착측으로 뻗어나와 있다. 회로 유닛(10)은 복수의 코일, 회로 기판 및 기타 전기 배선을 배치하여 전기적 상호 접속을 실현한 후, 각각의 측면에 보호용 커버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완성된다. 본 발명은 회로 유닛(10)의 내부에서 회로 기판과 코일의 상호 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을 순서를 따라 기술한다. 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 부근의 부분 확대도로, (a)는 평면도, (b)는 (a)중의 선 A-A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 본체에 장착 가능한 전기 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 본체에 장착된 전기 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중의 선 B-B에 따른 하우징 본체의 단면을 전기 단자의 정면도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lectrical terminal mountable to a housing main body,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4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terminal mounted to the housing main body, (a) is a plan view, (b)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along the line B-B in (a) with a front view of the electrical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코일에서 뻗어나오는 한쌍의 코일 단자는 각 관통 구멍(21)을 통해 회로 기판 장착측으로 뻗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일 단자는 각각 별개의 전기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따르면, 관통 구멍(21)의 대향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한쌍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 캐비티(30)가 형성된다. 한쌍의 단자 수용 캐비티(30)는 면대칭 형상을 이룬다. 단자 수용 캐비티(30)는 관통 구멍(21)과 연통하여 그 단면 위치를 교차하여 뻗으며, 관통 구멍(21)으로부터 비교적 길게 연장되는 제1 부분(31), 및 그 반대측에 비교적 짧게 연장되는 제2 부분(32)을 갖는다.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은 저벽(33, 34)에 의한 바닥의 구성으로 된다.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21)의 대향 단면(35)에는 돌기(36)가 형성된다. 또한, 단자 수용 캐비티(30)는 격벽(23)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정상(頂上)측을 향해 돌출되는 직립벽(37)에 의해 구획되어지는 점에도 주목해야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coil terminals extending from each coil extend through the through
도 3에는 단자 수용 캐비티(30)에 수용되는 전기 단자(5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단자 수용 캐비티(30)는 면대칭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데, 각 전기 단자(50)의 구성 요소는 동일하므로, 그 한쪽만을 대상으로 해서 설명한다.3 shows an
전기 단자(50)는 시트 금속을 천공 및 절곡으로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동일 판면 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51), 베이스부(51)의 일단으로부터 정상쪽으로 연장되는 기판 접속부(52) 및 기판 접속부(52)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대향단 부근에서 정상측으로 뻗어나오는 코일 단자 접속부(53)를 갖는다. The
베이스부(51)에는 바닥단(61)으로부터 정상쪽을 향해 길이 방향이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한쌍의 슬롯(54, 55)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그들 사이에 결합 구멍(56)을 포함하는 래치(57)가 구획되어지며, 또한 래치(57) 양측의 각각에 비교 적 큰 면적의 제1판부(58) 및 비교적 작은 면적의 제2판부(59)가 구획되어진다. The
기판 접속부(52)는 베이스부(51)의 최상단(62)으로부터 정상측으로 뻗어나온 다음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수평면내 방향을 약 'L'자 형상으로 하며, 그 위치에서 더욱 정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기판 접속부(52)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에 수용되어 납땜 접속되는 것으로, 그 납땜 접속부(66)는 선단 부근이 된다. 이와 같이 기판 접속부(52)를 굴곡된 변형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전기 단자(50)의 베이스부(51)의 상대 변위 등으로 인한 납땜 접속구조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이 구성은 후술하는 전기 단자(50)와 코일 단자의 용접 공정, 그 후의 조립 또는 유지 보수(maintenance) 작업에 있어서 납땜 접속에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The
코일 단자 접속부(53)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에서 뻗어나와 있는 코일 단자에 용접 접속되는 것으로, 최상단(62)으로부터 상단측으로 뻗어 나오게 되며, 또한 베이스부(51)에 직교방향을 향하도록 굴곡 가공되며, 이로 인해 비교적 폭넓은 용접판부(63)가 구획되어진다. 특히, 베이스부(51)와 용접판부(63)를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고, 이로 인해 용접판부(63)가 베이스부(51)에 대해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이 구성으로 인한 이점은 후술한 설명을 보면 이해될 것이다. The coil
도 4에는 도 3에 나타낸 전기 단자(50)가 도 2에 나타낸 단자 수용 캐비티(30)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부(58)는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제1 부분(31)에, 제2 판부(59)는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제2 부분(32)에 각각 수용되며, 각각의 바닥단(61)에서 저벽(33, 34)에 거의 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래치(57)의 계합 구멍(56)은 돌기(36)에 계합되며, 이로 인해 전기 단자(5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전기 단자(50)는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정상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다. 특히, 전기 단자(50)가 단자 수용 캐비티(30)에 조립될 때에, 래치(57)가 관통 구멍(21) 내에서 약간 내측을 향해 위치 변화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FIG. 4 shows a state where the
또한, 단자 수용 캐비티(30)내에 전기 단자(50)가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특히,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은 전기 단자(50)의 제1 판부(58) 및 제2 판부(59)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로 설정되며, 또한, 래치(57)의 계합 구멍(56)은 베이스부(51)의 길이 방향에 관해 돌기(36)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전기 단자(50)의 베이스부(51)는 적어도 그 길이 방향[도 4(a)중의 화살표 C 참조]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부(51)의 이와 같은 슬라이딩 방향의 움직임은 단자 수용 캐비티(30)의 내측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래치(57)와 돌기(36)의 계합은 베이스부(51)의 중앙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그 치수를 적정화시킴으로써, 약간의 회동방향 움직임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이와 같이, 전기 단자(5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회로 유닛(10)의 접속 조립 공정상 이점이 된다. 전기 단자(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단자에 대해 용접 접속된다. 이 용접 공정시에 용접 공구는 코일 단자와 용접판부(63)를 양쪽에서 집는다. 전기 단자(50)의 유동은 이 용접 공정에 있어서 상대적 위치 일 탈을 보상하도록 작용한다. 즉, 다소의 위치 일탈이 발생된 경우에는 용접 공구에 의해 양쪽에서 집을 때에 전기 단자(5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용접판부(63)와 코일 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such, support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판부(63)는 베이스부(51)에 대해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위치 일탈 보상의 확실한 작동이 보증된다. 이와 같이, 전기 단자(50) 자체를 케이스 본체(20)에 대해 위치변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큰 위치 일탈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것을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일탈에 대해서는 용접판부(63)를 충분히 큰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그것을 보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및 전기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에 미리 유동적으로 지지된 후에 놓여지는 회로 기판과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유닛을 제공하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 조립이 가능한 단순한 구성이면서, 전기 부품의 단자 또는 회로 기판과 전기 단자의 접속시에 양자의 비교적 큰 위치 일탈을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unit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circuit board, and a circuit unit including a circuit board placed after being fluidly supported on the case and an electrical terminal for interconnecting the electrical part, so that manufacturing assembly is relatively easy. In spite of its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compensate for the relatively large positional deviation of both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al component or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al terminal.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108933A JP2000299218A (en) | 1999-04-16 | 1999-04-16 | Circuit unit |
JP11-108933 | 1999-04-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6763A KR20010066763A (en) | 2001-07-11 |
KR100673115B1 true KR100673115B1 (en) | 2007-01-22 |
Family
ID=1449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93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115B1 (en) | 1999-04-16 | 2000-04-12 | Circuit uni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0299218A (en) |
KR (1) | KR10067311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0065B1 (en) * | 1993-09-14 | 2002-11-27 |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 Movable Electrical Connectors |
-
1999
- 1999-04-16 JP JP11108933A patent/JP2000299218A/en active Pending
-
2000
- 2000-04-12 KR KR1020000019367A patent/KR1006731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0065B1 (en) * | 1993-09-14 | 2002-11-27 |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 Movable Electrical Connect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6763A (en) | 2001-07-11 |
JP2000299218A (en) | 2000-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13756B2 (en) | Board connector | |
JP3330559B2 (en) | Printed wiring board connector | |
JP5179855B2 (en) | Assembly structure of bus bar block | |
US5636999A (en) | Surface mounting type of connector for IC cards | |
CN210015997U (en) |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 |
CN110474181A (en) | Connector unit with terminal block | |
US7905752B2 (en) | Connector and substrate mounting method for the same | |
US6459042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lectrical component holder | |
JP3119612B2 (en)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and its mounting structure | |
US7207837B2 (en) | Connector and a mounting method therefor | |
JP2009117058A (en) |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 |
JPH11265755A (en) | Movable connector for PCB | |
KR100673115B1 (en) | Circuit unit | |
KR101991105B1 (en) | Printed circuit boards jumping device | |
JP3715426B2 (en) | Board movable connector | |
KR20220096616A (en) | PCB multilayer connection structure | |
JPH10172676A (en) | Jack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 |
JP3194177B2 (en) | Relay connector | |
KR20190031471A (en) | Printed circuit boards jumping device | |
JP2007299687A (en) | Connector structure | |
JP4297299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CN210838170U (en) | Plug connector, circuit board device and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 |
JP2603832Y2 (en) | Relay connector | |
JP2009117118A (en) |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its mounting structure | |
JP2006313690A (en) | On-boar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