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3038B1 -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038B1
KR100673038B1 KR1020020083804A KR20020083804A KR100673038B1 KR 100673038 B1 KR100673038 B1 KR 100673038B1 KR 1020020083804 A KR1020020083804 A KR 1020020083804A KR 20020083804 A KR20020083804 A KR 20020083804A KR 100673038 B1 KR100673038 B1 KR 10067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shaft
jaw
handle
op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201A (ko
Inventor
진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0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0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기제품 및 기계제품 등을 제어하는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수평의 복귀반발력을 가진 제품을 제어하는 핸들을 조작할 때 그 조작이 용이하고 또 한계점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복귀 반발력 등에 의한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귀조작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핸들장치의 구성은, 중앙부에 축공을 포함하고 저면에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수직으로 세워진 원호형 가이드벽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된 수직의 과회전방지축을 가지며 상기 과회전방지축과 가이드벽 사이에 과회전 방지홈을 갖는 콘트롤러 베이스, 상기 콘트롤러 베이스의 축공에 끼워지며 하단에 각이진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10)과, 중앙부에 상기 작동축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원판의 둘레에 층간홈을 갖고 저면 일측에 일정구간 돌출되어 양단에 복귀턱과 작동턱을 가지며 콘트롤러 베이스의 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콘트롤러와, 중앙부에 각을 갖는 작동축 단면형상의 축결합구멍을 가져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복귀턱과 작동턱을 밀어 상기 콘트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콘트롤러 가이드와, 몸체가 상기 층간홈내에 수용되며 그 일단이 상기 돌출복귀턱부위에 피봇결합되고 타측단은 정회전시 상기 걸림축부에 걸려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역회전이 방지기능의 보조콘트롤러 와, 제품의 수평, 수직의 복귀 반발력을 보유하며 상기 콘트롤러의 작동턱부위 층간홈에 핀결합되어 콘트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링크로 구성된다.
핸들, 작동축, 콘트롤러 베이스, 콘트롤러, 링크

Description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Hand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핸들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제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제품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핸들장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핸들장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들 12 - 작동축
20 - 콘트롤러 베이스 30 - 콘트롤러
40 - 콘트롤러 가이드 50 - 보조콘트롤러
60 - 링크
본 발명은 각종 전기제품 및 기계제품 등을 제어하는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수평의 복귀반발력을 가진 제품을 제어하는 핸들을 조작할 때 그 조작이 용이하고 또 한계점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복귀 반발력 등에 의한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귀조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제품 및 기계제품 등에는 전체적 또는 국부적 제어를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그 제어 장치는 크게 전기적인 제어장치와 기계적 제어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핸들에 의한 회전에 의해 복귀 반발력을 가진 제품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소형 제품을 제어하는 핸들의 경우, 수평, 수직의 복귀 반발력을 핸들에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부품에 의해 핸들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부위에 역회전 방지턱을 만들어 핸들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고, 대형제품의 경우에는 별도의 멈춤장치를 설치하여 복귀 반발력에 의한 핸들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역회전 방지턱을 채용한 제품은 핸들을 복원시키기 위해서 초기의 위치로 역회전시켜야 할 경우에는 과도한 힘이 소요되고 반복사용에 대한 마찰부의 마모로 인하여 오동작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기판 등의 회전면을 이용한 전기적인 제어가 추가되어지면 역회전 방지턱의 높이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되기가 어려우므로 제어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멈춤장치가 추가되는 구조는 비용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소형화 추세의 제품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 수평의 복귀 반발력을 가진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이 간단한 핸들 조작에 의해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역회전 방지는 물론이고 복귀조작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축공을 포함하고 저면에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수직으로 세워진 원호형 가이드벽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된 수직의 역회전 방지축을 가지며 상기 역회전 방지축과 가이드벽 사이에 역회전 방지홈을 갖는 콘트롤러 베이스,
상기 콘트롤러 베이스의 축공에 끼워지며 상단에 각이진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중앙부에 상기 작동축이 회전자유롭게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원판의 둘레에 층간홈을 갖고 저면 일측에 일정구간 돌출되어 양단에 복귀턱과 작동턱을 가지며 콘트롤러 베이스의 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콘트롤러와,
중앙부에 각을 갖는 작동축 단면형상의 축결합구멍을 가져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복귀턱과 작동턱을 밀어 상기 콘트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콘트롤러 가이드와,
몸체가 상기 층간홈내에 수용되며 그 일단이 상기 돌출복귀턱부위에 피봇결합되고 타측단은 정회전시 상기 걸림축부에 걸려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역회전이 방지기능의 보조콘트롤러와,
제품의 수평, 수직의 복귀 반발력을 보유하며 상기 콘트롤러의 작동턱부위 층간홈에 핀결합되어 콘트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핸들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들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제품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제품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핸들장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핸들장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장치는 전기제품 및 기계제품 등을 전체적 또는 국부적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핸들장치에 연결되는 링크가 복귀반발력을 가진 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핸들장치의 개괄적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중앙에 축결합홈을 갖는 핸들(10)과, 핸들(10) 하부의 축결합홈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작동축(12)과, 핸들장치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콘트롤러 베이스(20)와, 콘트롤러 베이스(20) 하부에 작동축(12)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콘트롤러(30)와, 상기 콘트롤러(30)의 저면에 위치하여 작동축(12) 하단에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핸들(10)의 조작에 의해 정·역회전하면서 콘트롤러(30)를 회동시키는 콘트롤러 가이드(40)와, 일단이 콘트롤러(30)에 피봇 결합되어 정회전후 역회전을 방지하는 보조콘트롤러(50)와, 콘트롤러(30)에 핀결합되어 콘트롤러(3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링크(60)로 구성된다.
핸들(10)은 상면에 손으로 회전시키기 편리하도록 중앙부가 일자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핸들(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동축(12)은 상단부가 각이진 3개의 평면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상기 콘트롤러 가이드(40)를 결합하여 슬립현상없이 확실한 회전작동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한면 또는 양면이 평면을 가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콘트롤러 베이스(20)는 중앙부에 축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술한 작동축(12)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링크(60)가 연결되는 반대편부위에 축공(21)을 중심으로 호형을 이루면서 일정구간 수직으로 세워진 가이드벽(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일정간격 이격된 수직의 역회전 방지축(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역회전 방지축(23)과 가이드벽(22) 사이에는 자연히 역회전 방지홈(24)이 형성된다. 또 링크(60)가 연결되는 방향의 양측에는 역회전 방지축(23) 및 가이드벽(22)의 높이와 동일한 지지대(25)가 형성되어 있다.
콘트롤러(30)는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 작동축(12)이 끼워지는 축공(31)이 형성되어 콘트롤러 베이스(20)의 저면에서 작동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콘트롤러(30)의 둘레에는 일정깊이의 층간홈(32)을 가지며 저면 일측에 일정구간 돌출된 돌출단(33)을 가져 그 양단에 복귀턱(35)과 작동턱(34)을 구성하며 돌출단(33) 구간내에서 복귀턱(35)과 작동턱(34)에 근접하는 위치에 보조 콘트롤러(50)와 링크(60)가 결합되는 핀구멍(36a)(36b)이 형성된다.
또한 콘트롤러(30)의 둘레 일측에는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8)의 회전반경내에 있는 콘트롤러 베이스(20) 저면에는 돌출부(38)의 회전을 한정하는 멈춤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8)는 콘트롤러(30)의 역회전 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콘트롤러(50)는 몸체가 호형 구조를 이루면서 콘트롤러(30)의 층간홈(32) 깊보다 같거나 작은 폭을 가져 층간홈(32)내에 수용되며 일단은 핀홀(51)이 형성되어 상기 복귀턱(35)부위의 핀구멍(36b)에 회동가능하게 핀(37)결합되고 타측단은 정회전시 콘트롤러 베이스(20)의 역회전 방지축(23)에 걸려 역회전 방지홈(24)에 삽입되는 둥근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하부로 연장된 후 다시 중심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콘트롤러 가이드(40)는 콘트롤러(30)의 돌출단(33)의 반경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얇은 원형판구조로서, 중앙부에 중앙부에 작동축(12)의 단면과 같은 형상 및 크기의 축결합구멍(41)을 가져 작동축(12)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둘레 일측에는 정·역회전에 의해 콘트롤러(30)의 복귀턱(35)과 작동턱(34)을 밀어 회전시키는 작동아암(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60)는 상기 콘트롤러(30)의 작동턱(34)부위 층간홈(32)에 핀(38)결합되어 콘트롤러(3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되며, 제품의 수평, 수직의 복귀 반발력이 작동축(12) 중심방향으로 항상 작용한다. 이 작동에 의해 힘의 방향이 작동축(12)의 중심방향을 벗어나게 되면 그 벗어난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여 콘트롤러(30)가 회전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핸들장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링크(60)의 복귀 반발력에 의해 콘트롤러(30)가 도 4a와 같이 회전된 상태에서 제품의 제어를 위해 작동축(12)에 결합된 핸들(10)을 정회전시키면 작동축(12)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 콘트롤러 가이드(40)가 회전하고 그 일측에 형성된 작동아암(42)이 콘트롤러(30)의 작동턱(33)을 밀어 콘트롤러(30)를 회전시킨다.
콘트롤러(30)의 회전에 의해 링크(60)는 복귀 반발력을 이기면서 후퇴하게되고 핀결합부의 위치가 작동축(12)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면 최대한 후퇴하게 되어 링크(60)의 작동은 완결되나 핸들(10)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복귀 반발력이 어떤 방향으로 작동할 지는 예측할 수 없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바꾸어 완결된 링크(60)의 작동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콘트롤러(30)를 좀더 회전시킨다.
따라서 핀결합부가 작동축(12)의 중심을 좀더 지나게 되면 복귀 반발력이 정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여 콘트롤러(30)는 정방향으로 계속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러(30)의 복귀턱(34)의 핀구멍(36b)에 핀결합된 보조 콘트롤러(50)는 후단부의 돌출부(52)가 둘레의 지지벽(22)을 타고 회전하다가 콘트롤러 베이스(20)의 역회전방지축(23)에 걸려 역회전방지홈(24)으로 삽입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콘트롤러(30)의 돌출부(38)가 콘트롤러 베이스(20) 저면에 형성된 멈춤돌기(28)에 걸려 콘트롤러(30) 또한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링크(60)는 작동축(12)의 중심을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는 원하는 제품의 제어가 완료된 상태가 되며, 인위적인 힘이 핸들(1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제품의 작동을 복귀시킬 때의 작용은, 관리자가 핸들(10)을 역으로 회전시켜 작동축(12)을 역회전시키면 그 하단부에 결합된 콘트롤러 가이드(40)가 회전하여 그 일측에 돌출된 작동아암(42)이 콘트롤러(30)의 역회전턱을 밀어 콘트롤러(30)를 역회전시킨다.
이 작동에 의해 보조 콘트롤러(50)는 역회전방지홈(24)을 벗어나 콘트롤러(30)의 층간홈(32)내에 삽입 수용되고, 링크(60)는 복귀 반발력의 방향이 작동축(12)의 중심을 지날 때 약간 후퇴하였다가 그 중심을 지나게 되면 역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콘트롤러(30)는 역회전하며 링크(60)는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적용된 제품에 있어서는 수평상태의 회전운동을 함으로 스프링 홀더와 스프링, 기판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어 기계적인 제어와 전기적인 제어를 병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장치는 핸들에 의해 콘트롤러에 조립된 보조 콘트롤러가 작동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링크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복귀 반발력의 방향을 작동축 중심 반대쪽으로 약간만 이동시켜 역회전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보조 콘트롤러가 역회전 방지홈으로 삽입되어 필요 이상의 회전을 방지 함으 로 링크의 작동완료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으며, 핸들장치를 복귀시킬 때에는 단순히 핸들을 역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축이 콘트롤러 가이드와 콘트롤러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콘트롤러 가이드가 콘트롤러를 역회전시켜 링크의 복원 반발력의 방향을 작동축의 중심을 벗어나도록 하면 역방향으로 자동 복귀되므로 이러한 제품의 제어가 핸들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 단순한 링크구조이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이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앙부에 축공을 포함하고 저면에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수직으로 세워진 원호형 가이드벽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된 수직의 역회전 방지축을 가지며 상기 역회전 방지축과 가이드벽 사이에 역회전 방지홈을 갖는 콘트롤러 베이스,
    상기 콘트롤러 베이스의 축공에 끼워지며 상단에 각이진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중앙부에 상기 작동축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원판의 둘레에 층간홈을 갖고 저면 일측에 일정구간 돌출되어 양단에 복귀턱과 작동턱을 가지며 콘트롤러 베이스의 축공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콘트롤러와,
    중앙부에 각을 갖는 작동축 단면형상의 축결합구멍을 가져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복귀턱과 작동턱을 밀어 상기 콘트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아암이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 콘트롤러 가이드와,
    몸체가 상기 층간홈내에 수용되며 그 일단이 상기 복귀턱부위에 피봇결합되고 타측단은 정회전시 상기 걸림축부에 걸려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역회전이 방지기능이 있는 보조콘트롤러와,
    제품의 수평, 수직의 복귀 반발력을 보유하며 상기 콘트롤러의 작동턱부위 층간홈에 핀결합되어 콘트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또한 콘트롤러(30)의 둘레 일측에는 돌출부(38)가 형성되고, 돌출부(38)의 회전반경내에 있는 콘트롤러 베이스(20) 저면에는 돌출부(38)의 회전을 한정하는 멈춤돌기(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KR1020020083804A 2002-12-26 2002-12-26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804A KR100673038B1 (ko) 2002-12-26 2002-12-26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804A KR100673038B1 (ko) 2002-12-26 2002-12-26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201A KR20040057201A (ko) 2004-07-02
KR100673038B1 true KR100673038B1 (ko) 2007-01-22

Family

ID=3734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8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038B1 (ko) 2002-12-26 2002-12-26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5837B (zh) * 2015-02-15 2017-01-18 西安开天铁路电气股份有限公司 具有防尘功能并且可双向转动的手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298U (ko) * 1989-07-19 1991-03-13
JPH06202747A (ja) * 1992-12-28 1994-07-22 Kenwood Corp つまみのトルク可変機構
KR970017746A (ko) * 1995-09-29 1997-04-30 배순훈 전자제품의 로터리형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298U (ko) * 1989-07-19 1991-03-13
JPH06202747A (ja) * 1992-12-28 1994-07-22 Kenwood Corp つまみのトルク可変機構
KR970017746A (ko) * 1995-09-29 1997-04-30 배순훈 전자제품의 로터리형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201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38198B (zh) 缓冲机构
JP3183004U (ja) ゲート
JP2757105B2 (ja) 電子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CN203935144U (zh) 地板处理设备
KR20090086077A (ko) 주사 장치
WO2016019883A1 (zh) 复位开关
TW200810289A (en) Electrical safety socket device
JP7202028B2 (ja) ラチェットレンチのトグル構造
KR100673038B1 (ko) 조작이 용이한 핸들장치
US6881087B2 (en) Spring assisted lever actuated socket
CN205286079U (zh) 烹饪器具
US3291540A (en) Latch for floor polisher handle
CN2417577Y (zh) 零插入力插座连接器
JP5021328B2 (ja) 移動式什器のストッパー装置
JP6682877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
KR200362843Y1 (ko) 의자의 조절장치
JP2001290577A (ja) キーボード装置
JP6871730B2 (ja) ミシンのフットコントローラ
JP5019940B2 (ja) クレセント錠
JPH02275696A (ja) パネル回動装置
CN220509893U (zh) 自动割草机急停按钮结构和自动割草机
JP3094760U (ja) トラックの固定構造
JP2001016753A (ja) スイベルユニット
JP4242147B2 (ja) キャスター
KR200308508Y1 (ko) 모니터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