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883B1 - Prefabricated building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uildi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1883B1 KR100671883B1 KR1020040048394A KR20040048394A KR100671883B1 KR 100671883 B1 KR100671883 B1 KR 100671883B1 KR 1020040048394 A KR1020040048394 A KR 1020040048394A KR 20040048394 A KR20040048394 A KR 20040048394A KR 100671883 B1 KR100671883 B1 KR 100671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ers
- supporter
- plate
- hole
- prefabricated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균일한 높이로 세워지며 결합구멍(P1)들을 갖는 플레이트(P)를 상단에 각각 구비한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과, 상기 결합구멍(P1)들 중 하나 또는 그 수만큼 뚫려진 조립구멍(D1)을 각각의 모서리마다 구비하여 서로 수평선상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플레이트(P) 위에 배열되는 데크(30)들과, 상기 결합구멍(P1) 및 조립구멍(D1)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규격화된 데크(30)들을 동일한 볼트(B)와 너트(N)로서 내측 서포터(10) 또는 외측 서포터(20), 난간 서포터(40) 등을 동시에 간단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pporters 10 and the outer supporters 20 each having a plate P having an upper end and having a coupling hole P1 on the ground are aligned at a uniform height. Decks 30 arranged on the plate P with one or more of the holes P1 drilled by the number of the assembling holes D1 at each corner and horizontally abutting each other, and the coupling holes. It includes the bolt (B) and the nut (N)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P1) and the assembling hole (D1) a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he decks (30) specified by this configuration to the same bolt ( B) and the nut (N) is designed to easily assemble the inner supporter 10, the outer supporter 20, the handrail supporter 40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to a prefabricated building that can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and assemblability Inven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들 및 외측 서포터들의 배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supporters and the outer supporters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 및 외측 서포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y one of the inner supporter and the outer supporter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들의 플레이트 위에 조립되는 데크들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cluding decks assembled on the plate of the inner supporters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 및 핸드레일 빔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handrail beamer and a handrail beam applied to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6a and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drail supporter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데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7A and 7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k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계단형 프레임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stepped frame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내측 서포터 20 : 외측 서포터10: inner supporter 20: outer supporter
30 : 데크 31 : 횡방향 프레임30 deck 31: transverse frame
32 : 종방향 평판 40 : 난간 서포터32: longitudinal plate 40: handrail supporter
41 : 핸드레일 빔 50 : 커버41: handrail beam 50: cover
51 : 미세구멍 52 : 스크류51: fine hole 52: screw
60 : 밴드 71 : 계단형 프레임60: band 71: stepped frame
72 : 판재 80 : 마무리 부재72: plate 80: finishing member
A : 앵커 B : 볼트A: Anchor B: Bolt
C : 체결편 C1 : 체결공C: Fastener C1: Fastener
D1 : 조립구멍 G : 낮은 홈D1: Assembling Hole G: Lower Groove
L : 대직경 파이프 LH : 외부 횡방향 구멍L: Large diameter pipe LH: Outer transverse hole
N : 너트 P : 플레이트N: Nut P: Plate
P1 : 결합구멍 R : 나사봉P1: engaging hole R: screw rod
S : 소직경 파이프 SH : 내부 횡방향 구멍S: Small diameter pipe SH: Internal transverse hole
W : 안착판 W1 : 체결구멍W: Mounting plate W1: Tightening hole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데크들을 동일한 볼트와 너트로서 내측 서포터 또는 외측 서포터, 난간 서포터 등을 간단하게 동시에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크기 및 형상 별로 데크들을 규격화하여 대량 준비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문요청이 있을 경우 곧바로 원하는 형태의 세트장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inner supporter or the outer supporter, the railing supporter, etc. with the same bolts and nuts in the same way. Standardized decks by size and shape to prepare a large quantity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to be able to quickly produce a set of the desired form immediately upon the request of the user.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조립식 주택, 공연장의 무대, 공원/체육시설의 조형세트 또는 박람회나 이벤트 사업장의 무대 등과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디자인과 모델로서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prefabricated buildings are used as various designs and models in places such as prefab houses, stages of performance halls, formative sets of parks / sports facilities, or stages of trade fairs or event sites.
조립식 건축물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요건은 디자인의 수려함과 견고성 등이 중시되고, 빠르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하며 지반의 불균일성 등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는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basic requirements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hould be such that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and the robustness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hould be emphasized, and that it should be able to be installed quickly and safely, and that it can easily overcome the unevenness of the ground.
이러한 기본요건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은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건축할 수 있으며 견고성과 수려함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서 제안하고자 한다.In response to these basic requirements,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develop a prefabricated building which can be more safely and quickly built and exhibit both robustness and beauty.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화된 데크들을 동일한 볼트와 너트로서 내측 서포터 또는 외측 서포터, 난간 서포터 등을 동시에 간단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데크들을 크기 및 형상 별로 규격화하여 대량 준비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문요청이 있을 경우 곧바로 원하는 형태의 세트장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ssemble the standardized decks with the same bolt and nut at the same time as the inner supporter or the outer supporter, handrail supporter can be greatly improved productivity and assemblability by standardizing the decks by size and shape By providing a large amount of prepara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that can quickly provide a set of the desired form immediately upon user's request.
또한, 지반의 평행상태에 따라 높낮이 레벨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내측 서포터 및 외측 서포터를 가변 가능하게 설계하여 어느 장소에서도 유효 적절하게 세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pporter and the outer supporter is designed to be variably designed to cope with the height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parallel state of the grou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that can be completed effectively in any pl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반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균일한 높이로 세워지며 결합구멍들을 갖는 플레이트를 상단에 각각 구비한 내측 서포터들 및 외측 서포터들과,Inner supporters and outer supporters, each of which has a plate with coupling holes at the top, which are erected at a uniform height in line with the rows on the ground,
상기 결합구멍들 중 하나 또는 그 수만큼 뚫려진 조립구멍을 각각의 모서리마다 구비하여 서로 수평선상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플레이트 위에 배열되는 데크들과,Decks arranged on the plate, each of which has an assembling hole drilled by one or the number of the coupling holes at each corner and abuts on a horizontal line with each other;
상기 결합구멍 및 조립구멍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It comprises a bolt and nut fastened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the assembly hole i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re may be man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rough these embodiment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rther described. I can understand we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계단에 의하여 두 개의 세트장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의 배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sets are connected by a staircase, and FIG. 2 is a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균일한 높이로 세워지며 결합구멍(P1)들을 갖는 플레이트(P)를 상단에 각각 구비한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을 포함하고, 내측 서포터(10)와 외측 서포터(20)는 도 3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와 같이 제작된다.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upporter having a plate (P) having a coupling hole (P1) on the top, respectively, standing at a uniform height to match the row and row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 10) 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y one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10) 또는 외측 서포터(20)는 지반 위에 앵커(A) 결합되는 나사봉(R), 이 나사봉(R)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 횡방향 구멍(SH)들을 갖춘 소직경 파이프(S), 플레이트(P)에 수직 결합되며 외부 횡방향 구멍(LH)들을 갖추어 소직경 파이프(S)를 수용하는 대직경 파이프(L), 그리고 내부 횡방향 구멍(SH) 및 외부 횡방향 구멍(LH)을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지반은 콘크리트 타설로서 견고하게 제공할 수도 있고 기타 철판으로 제작된 지반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환경에 따라 세트장의 높낮이 레벨을 각각 다르게 취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의 높낮이를 각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봉(R), 소직경 파이프(S) 및 대직경 파이프(L) 등으로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다.The ground may be firmly provided as concrete pouring or other ground made of iron, but the height of the se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and thus, as shown in FIG. The height of the
예를 들면,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의 높낮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나사봉(R)과 내측 서포터(10)를 서로 좌우 회전시키면서 높낮이 레벨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고,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의 높낮이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내측 서포터(10)의 내부 횡방향 구멍(SH)과 외측 서포터(20)의 외부 횡방향 구멍(LH)을 적절하게[내측 서포터(10)와 외측 서포터(20)를 서로 큰 폭으로 이동시켜 내부 횡방향 구멍(SH)과 외부 횡방향 구멍(LH)을 적절하게] 맞추면서 볼트(B)와 너트(N)로 조임으로써 높낮이의 레벨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s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의 상하부 외주연에 각각 구비되어 체결공(C1)을 갖는 체결편(C)들을 포함하고, 이 체결편(C)들의 체결공(C1)에 볼팅 결합되어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을 지그재그식으로 서로 잡아주는 밴드(60)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And,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es fastening pieces (C) having a fastening hole (C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조립식 건축물의 균형유지와 견고성은 바로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의 지지력에 의하여 좌우된다.Maintaining balance and robustness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depends o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를 지그재그식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밴드(60)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밴드(60)가 엑스(X)자 형으로 교차될 경우에는 그 교차부분을 볼팅처리하여 견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3과 같이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이 수평선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P)의 결합구멍(P1)들 중 하나 또는 그 수만큼 뚫려진 조립구멍(D1)을 각각의 모서리마다 구비한 데크(30)들을 플레이트(P) 위에 서로 수평선상으로 맞닿도록 배열시킨 후 결합구멍(P1) 및 조립구멍(D1)을 통하여 볼트(B) 및 너트(N)로서 체결시킨다.Nex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내측 서포터(10)들의 플레이트(P) 위에 조립되는 데크(30)들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40) 및 핸드레일 빔(41)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내측 서포터(10)의 플레이트(P) 위에 데크(30)들이 놓일 경우 내측 서포터(10)의 플레이트(P)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결합구멍(P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데크(30)들은 각각의 모서리마다 하나의 조립구멍(D1)을 갖추어 플레이트(P)의 중심점에서 꼭지점들이 만나는 형태로 수평선상으로 배치될 것이며, 이후 결합구멍(P1) 및 조립구멍(D1)을 통하여 볼트(B) 및 너트(N)로서 조임으로써 데크(30)들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되나, 외측 서포터(20)의 플레이트(P) 위에 데크(30)들이 놓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40) 및 핸드레일 빔(41)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퉁이에 배치되는 외측 서포터(20)의 플레이트(P) 위에 단일의 데크(30)가 놓일 경우 외측 서포터(20)의 플레이트(P)에 뚫려진 결합구멍(P1)의 수는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동일 구조를 갖는 외측 서포터(20)를 대량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4 개의 결합구멍(P1)이 뚫려진 플레이트(P)를 그대로 적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부분에 놓여지는 데크(3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되는 조립구멍(D1) 역시 4개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서포터(40)와 함께 볼트(B) 및 너트(N)로서 함께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일수록 바람직할 것이고, 귀퉁이가 아닌 그 밖의 외측 서포터(20)의 플레이트(P) 위에 두 개의 데크(30)가 놓여질 경우에는 각각 2 개의 조립구멍(D1)이 뚫려진 데크(30)들을 제공할수록 이로울 것이다.As shown in FIG. 5, when 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40)는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되는 결합구멍(P1) 및 조립구멍(D1)에 일치하는 체결구멍(W1)을 갖는 안착판(W)을 구비하며 이 안착판(W)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서포터(20)들과 동일 직선상으로 세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난간 서포터(40)들의 상단에는 핸드레일 빔(41)이 결합되도록 설계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난간 서포터(4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난간 서포터(40)의 모양과 형상은 사실상 조립식 건축물의 미적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이상적인 부분에 위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과 모양을 취할 수 있다.The shape and shape of the
상기한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동일한 볼트(B) 및 너트(N)로서 외측 서포터(20) 및 데크(30) 그리고 난간 서포터(40)를 동시에 체결하는 구조를 취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 그리고 작업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structure of fastening the
즉, 본 발명의 기술핵심은 무엇보다도 규격화된 데크(30)들을 활용하고 가능한 동일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구성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과 조립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고,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및 구조는 여러 부류로 나눌 수 있지만 동종의 크기와 구조를 갖는 선택된 몇 개의 데크(30)들을 미리 대량 확보하여 사용자의 주문요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In other words, the technical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and assemblability by utilizing th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데크(3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규격화된 데크(30)를 잘 보여주고 있다.7A and 7B show the
본 발명에 따른 데크(3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내지 5 개의 횡방향 프레임(31) 위에 배열되어 각각 볼팅 결합되는 종방향 평판(32)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횡방향 프레임(31)은 견고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금속으로 된 채널형상을 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방향 평판(32)들은 목재로 제작하여 자연미를 강조할 수 있다.
한편, 내측 서포터(10)의 플레이트(P) 위의 중심에서 데크(30)들의 꼭지점이 맞닿는 구조로 배열되어 조립될 경우 데크(30)를 조립하기 위한 볼트(B)의 머리 및 조립구멍(D1)들이 육안으로 보일 수밖에 없어 미감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는데,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서포터(10)들의 플레이트(P) 위에 놓여진 데크(30)들의 각 모서리 상면을 낮게 깎어 낮은 홈(G)을 제공하고, 이 낮은 홈(G)에는 미세구멍(51)들을 갖는 커버(50)를 씌우고, 미세구멍(51)들을 통하여 스크류(52)로 데크(30)에 박아줌으로써 최종 결합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판(W)의 체결구조는 스크류(52)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and the assembly hole (D1) of the bolt (B) for assembling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적용된 계단형 프레임(71)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stepp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세트장이 계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두 개의 세트장을 연결하거나 지반과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계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서포터(20)들 중에서 선택되는 2개의 외측 서포터(20)에 구비된 체결편(C)에 각각 볼팅 결합되어 하측 기울기방향으로 조립되는 2개 1조의 계단형 프레임(71)과, 이들 2개 1조의 계단형 프레임(71) 위에 각각 볼팅 결합되는 판재(72)들로 조립할 수 있다.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wo sets may be connected by stairs. Thus, the steps for connecting two sets or providing a passage with the ground are as shown in FIG. Two sets of stepped
그리고, 데크(30)의 하부에 노출되는 다수의 내측 서포터(10)들 및 외측 서포터(20)들의 조립상태들을 감춰주기 위한 마무리 부재(80)를 세팅함으로써 조립식 건축물을 최종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무리 부재(80)는 외측 서포터(20)에 체결편(미 도시됨)을 추가시켜 볼팅 처리하여 결합 완료할 수 있다.And, by setting the finish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규격화된 데크(30)들을 동일한 볼트(B)와 너트(N)로서 내측 서포터(10) 또는 외측 서포터(20), 난간 서포터(40) 등을 동시에 간단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데크(30)들을 크기 및 형상 별로 규격화하여 대량 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문요청이 있을 경우 곧바로 원하는 형태의 세트장(조립식 건축물)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그리고, 지반의 평행상태에 따라 높낮이 레벨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내측 서포터(10) 및 외측 서포터(20)를 가변 가능하게 설계하여 어느 장소에서도 유효 적절하게 세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밴드(60) 등으로서 상호 지그재그식으로 엮어지면서 지지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In addition, th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8394A KR100671883B1 (en) | 2004-06-25 | 2004-06-25 | Prefabricated buildi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8394A KR100671883B1 (en) | 2004-06-25 | 2004-06-25 | Prefabricated building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22757A KR20050122757A (en) | 2005-12-29 |
KR100671883B1 true KR100671883B1 (en) | 2007-02-02 |
Family
ID=3729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8394A KR100671883B1 (en) | 2004-06-25 | 2004-06-25 | Prefabricated buildin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188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59278A1 (en) * | 2008-11-18 | 2010-05-27 | Thomas Corcoran | Mobile manufacturing plat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4
- 2004-06-25 KR KR1020040048394A patent/KR10067188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59278A1 (en) * | 2008-11-18 | 2010-05-27 | Thomas Corcoran | Mobile manufacturing plat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22757A (en) | 2005-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05722B1 (en) | Molded plastic stairway and rail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 |
AU2009254084A1 (en) | Temporary viewing platforms | |
KR101208892B1 (en) | Prefabricated pavilion | |
KR20090093012A (en) | Prefab structure of stone pavilion | |
EP0976892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stadium seating support system | |
KR100671883B1 (en) | Prefabricated buildings | |
JP2002213093A (en) | Simple knockdown arbor | |
JP4263317B2 (en) | How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structures | |
KR101072007B1 (en) | Columns for landscaping facilities including sperm and pagora | |
KR200322223Y1 (en) | Fixing structure of timber column for construction | |
JP3020097B1 (en) | Pergola with deck | |
JP3234781U (en) | Cat tower | |
JPH11172767A (en) | Column base metal fitting and joining structure for column base with footing | |
JP2565606Y2 (en) | Mounting structure of pillars on entrance porch etc. | |
KR200361475Y1 (en) | Prefabricated Fence | |
KR200368930Y1 (en) | Roof frame of play structure | |
JP3098471U (en) | Tower | |
WO2006001222A1 (en) | Three-dimensional structure | |
KR200383260Y1 (en) | prefab pavilion | |
JPH0755947Y2 (en) | Object mounting structure | |
KR200162260Y1 (en) | Wood structure construction structure | |
JPH07293011A (en) | Pergola structure of outside space unit system | |
JP3507633B2 (en) | Substructure of mesh fence | |
JPH049803Y2 (en) | ||
JPH07197627A (en) | Wood de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