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0529B1 -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529B1
KR100670529B1 KR1020050052307A KR20050052307A KR100670529B1 KR 100670529 B1 KR100670529 B1 KR 100670529B1 KR 1020050052307 A KR1020050052307 A KR 1020050052307A KR 20050052307 A KR20050052307 A KR 20050052307A KR 100670529 B1 KR100670529 B1 KR 10067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line
line
common
driving
binary nu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146A (ko
Inventor
유대영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52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5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4Contro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특히 유기 EL 같은 전류 구동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드라이빙 방법이다.
즉, 전류 구동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는 세그먼트 라인 드라이빙 방법으로서, 제1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른 소정의 제1 턴오프 구간 동안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200);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고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300);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400);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450);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500); 제2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른 소정의 제2 턴오프 구간 동안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세그먼트 라인에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PWM, 프리차지, 디스차지, OLED, 유기EL, 소스 드라이버

Description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GRAPHIC SIGNAL DRIV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에 따라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팔레트 펄스를 설명하는 파형도 및 그 세부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프리차지 구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차지 팔레트 펄스를 설명하는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픽셀 소자의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와의 연결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에 따라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6은 제1 공통라인으로 출력되는 픽셀의 밝기 표시가 최소값일 때, 본 발명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에 따라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에 의한 개조차를 극복하는 제1 방법을 나타낸 화상 프레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에 의한 개조차를 극복하는 제2 방법을 나타낸 파형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드라이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구동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패널, 유기EL 패널 등이 사용되는데, 이 중 유기EL 패널은,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소자인 유기EL을 이용한 것으로, 이것의 휘도나 계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 유기EL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한다.
상기 유기EL 장치의 휘도/계조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장치/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PWM 방식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라인별로 소정의 라인 구동 펄스에 따라 시분할적으로 순차 구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휘도(전체 화면 밝기, luminance)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라인 구동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PWM 구동 방식을 나타낸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후, 보다 고(高)전류로 프리차지가 수행되며, 프리차지가 종료되면 각 픽셀 데이타가 라인 상의 픽셀에 반영되는 드라이빙 구간이 이어지며, 드라이빙 구간이 종료하면 패널의 에이징(aging)을 방 지하기 위한 디스차지(discharge) 구간이 이어진다. 여기서 휘도 조절은 상기 드라이빙 구간의 길이로써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매 공통(common)라인마다 각각 프리차지와 디스차지를 수행하므로, 전력의 낭비가 존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은,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고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300);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400);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세그먼트 라인에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또한, 짝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되고, 홀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EL, LCD 등 각 픽셀의 표시를 담당하는 소자를 지정하여 구동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평면상의 각 픽셀의 위치는 가로축의 X좌표와 세로축의 Y좌표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 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비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X축 상에 배치되며 각 세로라인(세그먼트 라인 또는 소스 라인이라고 칭한다)에 대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소스 드라이버 소자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Y축 상에 배치되며 각 가로라인(공통라인 또는 게이트 라인이라 칭한다)에 대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소자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어느 한 공통라인에 포함되는 픽셀 소자(Dp)들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소스 드라이버(100)는 각 세그먼트 라인에 포함되는 픽셀 소자(Dp)들에 해당 밝기 표시에 따른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은, 전류 구동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는 세그먼트 라인 드라이빙 방법으로서, 제1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른 소정의 제1 턴오프 구간 동안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200);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고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300);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400);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450);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500); 제2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른 소정의 제2 턴오프 구간 동안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세그먼트 라인에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밝기 표시에는 전체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휘도(luminance)과,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각 픽셀의 밝기를 나타내는 계조(gradient)가 있는데, 현재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휘도 및 계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구조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S200 단계 및 S600 단계에서 적용하는 밝기 표시는 휘도 또는 계조가 될 수도 있고, 또는 휘도 및 계조를 모두 포함한 값일 수도 있다. 상기 S200 단계 및 S600 단계에서 적용하는 밝기 표시가 휘도 또는 계조 중 하나만을 적용한 것이라면, 나머지 하나는 상기 S400 단계 및 S500 단계에서의 드라이빙 전류에 적용하거나,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공통라인 선택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S400 단계에서 출력하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 및 상기 S500 단계에서 출력하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는 동일한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며, 그 구분은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한 공통라인 선택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S45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통라인 선택 타이밍의 미스매치에 의한 어긋난 영상 출력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S450 단계는 상기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한 활성화 공통라인의 선택(즉, 절환)시점을 포함하는 짧은 기간 동안, 소스드라이버와 상기 세그먼트 라인의 연결을 턴오프시키게 된다.
공통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구간 중, S200 단계 및 S600 단계에서 정해지는 턴오프 구간을 제외한 구간 동안 S400 단계 및 S500 단계의 드라이빙이 수행되어, S200 단계 및 S600 단계에서 산정한 밝기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 S200 단계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10); 상기 제1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1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2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를 상기 제1 턴오프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230)로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S210 내지 S230 단계로 구체 화한 방법은 S210 단계의 밝기 표시가 계조 신호 또는 계조 신호와 휘도 신호를 포함한 것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일스톤 이진수는 그래픽 메모리에서 읽은 픽셀 데이터로부터 산정된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계조(또는 계조 및 휘도)에 따른 값이 되며, 상기 S210 단계의 소정 이진수에 대한 카운팅은 일반적인 카운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S210 단계의 상기 소정의 이진수에 대한 카운팅은 후술하는 팔레트 펄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500 단계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510); 상기 제2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5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를 상기 제2 턴오프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530)로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S510 내지 S530 단계로 구체화한 방법은 S210 단계의 밝기 표시가 계조 신호 또는 계조 신호와 휘도 신호를 포함한 것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510 단계도, 상기 S210 단계와 마찬가지로 팔레트 펄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또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팔레트 펄스의 원리를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제1/제2 공통라인에 대한 각 드라이빙 구간의 제어에 대해 알아본다.
도 2의 팔레트 펄스의 형태를 살펴보면 드라이빙 구간과 구간 사이에서 양쪽 으로 대칭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공통라인의 드라이빙의 경우 팔레트 펄스의 역할은 메모리 데이타와 팔레트 펄스들을 버스로 만들었을 때의 6비트 데이터 값이 작거나 일치하는 시점으로 각 공통라인의 드라이빙 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메모리 데이터와 팔레트 펄스의 각 비트들을 비교하는 것이 상기 S220 단계 및 S520 단계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해당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PWM 신호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이 상기 S230 단계 및 S530 단계에 해당된다.
즉, 상기 팔레트 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S210 단계에서는, 카운트 주파수의 1/2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1 팔레트 펄스(palette_pulse_0), 카운트 주파수의 1/4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2 팔레트 펄스(palette_pulse_1), 카운트 주파수의 1/8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3 팔레트 펄스(palette_pulse_2) 내지 카운트 주파수의 1/26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6 팔레트 펄스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팔레트 펄스의 논리값과 6비트의 제1 마일스톤 이진수의 각 자리의 논리값을 각각 비교하게 된다.
또한, PWM 신호는 반드시 드라이빙 타임 구간 안에서만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의 확대된 구간의 동작을 보면 메모리 데이터는 58, 바이너리 넘버로는 111010이고 이때 팔레트 펄스의 값을 읽어보면 마찬가지로 111010임을 알 수 있다.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구간(PWM 신호)은 상기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제1 공통라인 어드레스가 비활성화될 때까지로 결정되며, 제2 공통라인에 대 한 드라이빙 구간(PWM 신호)은 제2 공통라인 어드레스가 활성화된 때부터 상기 일치하는 지점까지 수행된다.
다음, 제1 공통라인에 대한 프리차지 구간의 제어도 별도의 팔레트 펄스로써 수행할 수 있는 바, 도 3 및 하기 설명과 같다.
먼저 가장 중심적인 동작은 상기 드라이빙 PWM 의 경우와 같은 형태를 가진 별도의 프리차지 팔레트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원하는 프리차지 PWM 크기(예: 16클럭) 만큼 시프트시켜서 로컬 블록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때 로컬 블록에서는 이 신호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때와 마찬가지로 팔레트 펄스의 버스 데이터가 메모리 데이터와 작거나 같을때 까지만 PWM 신호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다시 이 신호를 프리차지 드라이빙 구간 안에서만 인버젼 시켜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도 3에서 보이는 pre_pwm_r_en이라는 신호가 만들어 진다. 이 신호의 형태를 잘 관찰해 보면 드라이빙 PWM 신호(pwm_r_1)와 상기 pre_pwm_r_en 신호 사이의 구간이 정확히 프리차지 PWM 신호의 크기만큼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신호들을 이용하여 조함논리를 만들어주면 세팅 크기만큼의 프리차지 PWM 신호가 메모리 데이터에 따라서 항상 드라이빙 PWM 신호를 따라다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메모리 데이타가 0일 경우 드라이빙 PWM 신호는 발생하지 않고 프리차지 PWM 신호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S200 단계 내지 S700 단계의 수행 구간을 정의하고, 그 구간에서의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S200 단계는 도 5의 ①번으로 표시된 구간에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도 4의 소스 드라이버는 모든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해당 세그먼트 라인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
상기 S300 단계는 도 5의 ②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소스 드라이버는 S1 스위치를 턴온하여 고전압 전류원(20)의 출력 전류(프리차지 전류)를 해당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차지 전류는 해당 세그먼트의 픽셀들 중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S4 스위치의 턴온에 의해 선택된 픽셀의 플레이트 커패시터(Cp)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S400 단계는 도 5의 ③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소스 드라이버는 S2 스위치를 턴온하여 구동 전류원(30)의 출력 전류(드라이빙 전류)를 해당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한다. 상기 드라이빙 전류는 해당 세그먼트의 픽셀들 중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S4 스위치의 턴온에 의해 선택된 제1 공통라인에 포함되는 픽셀의 발광 소자(Dp)만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S400 단계는 공통 어드레스의 비활성화에 따라 종료된다.
상기 S450 단계는 도 5의 ④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소스 드라이버는 모든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도 모든 공통라인에 휴지전위(Vdc)를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픽셀을 휴지시키게 된다.
상기 S500 단계는 도 5의 ⑤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소스 드라이버는 S2 스위치를 턴온하여 구동 전류원(30)의 출력 전류(드라이빙 전류)를 해당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한다. 상기 드라이빙 전류는 해당 세그먼트의 픽셀들 중 별도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S4 스위치의 턴온에 의해 선택된 제2 공통라인에 포함되는 픽셀의 발광 소자(미도시)만을 구동하게 된다. S500 단계도 해당 픽셀 데이타값에 따른 카운팅 수 만큼만 유지되는데, 상기 설명과 같이 S200 단계와 유사한 팔레트 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S600 단계는 도 5의 ⑥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상기 S500 단계의 종료시에 시작되어 해당 공통 어드레스가 비활성화되기 소정 시간전에 종료된다. 상기 팔레트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 신호가 발진해서 종료하기 까지의 기간을 드라이빙 신호의 최대 구간 길이(밝기표시값이 가장 큰 때의 드라이빙 구간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S500 단계의 종료 시점부터 상기 팔레트 신호의 발진 종료시까지를 ⑥번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700 단계는 도 5의 ⑦번으로 표시된 구간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며,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모든 공통 라인에 휴지전위(Vdc)가 인가된 상태에서, S3가 턴온되어 세그먼트 라인에 접지전압(VSS)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픽셀의 플레이트 커패시터(Cp)에 축적되었던 전하가 방전된다.
상기 S100 단계 내지 S700 단계의 과정들은 도 4에 도시한 소스 드라이버(100) 및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의해 수행된다. 그런데,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동작은 종래기술에 의한 경우와 다르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소스 드라이버(100)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S100 단계 내지 S700 단계가 수행되는 도 5의 ①번 구간 내지 ⑦번 구간에서의 S1 내지 S5 스위치의 상태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5032146577-pat00001
상기 ①번 구간 내지 ⑦번 구간의 각 길이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의 A번 파형은 밝기 표시(휘도 및/또는 계조)가 최대값일 때의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며, B번 파형은 각 픽셀에 대한 밝기 표시에 따라 세그먼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A번 파형에 대하여, 프리차지가 수행되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구간은, 프리차지 구간(PR0) 및 제1 풀드라이빙 구간(FR1)으로 구분되며, 디스차지가 수행되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구간은, 제2 풀드라이빙 구간(FR2) 및 디스차지 구간(CR0)으로 구분된다.
B번 파형에 대하여, 프리차지가 수행되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구간은, 제1 턴오프 구간(OR1), 프리차지 구간(PR) 및 제1 드라이빙 구간(DR1)으로 구분되며, 디스차지가 수행되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가 활성화되는 구간은, 제2 드라이빙 구간(DR2), 제2 턴오프 구간(OR2) 및 디스차지 구간(CR)으로 구분된다.
A번 파형의 프리차지 구간(PR0) 및 디스차지 구간(CR0)은 B번 파형의 프리차지 구간(PR) 및 디스차지 구간(CR)과 길이가 동일하다. B번 파형의 제1 드라이빙 구간(DR1)은 제1 공통라인의 해당 픽셀에 표시할 계조 및/또는 휘도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며, 제2 드라이빙 구간(DR2)은 제2 공통라인의 해당 픽셀에 표시할 계조 및/또는 휘도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된다.
B번 파형의 제1 턴오프 구간(OR1)은, A번 파형의 제1 풀드라이빙 구간(FR1)에서 번 파형의 제1 드라이빙 구간(DR1)을 뺀 길이와 같으며, 제1 공통라인의 해당 픽셀에 나타낼 계조 및/또는 휘도값으로부터 미리 그 길이를 산정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팔레트 신호 등을 이용하여 적용하게 된다.
B번 파형의 제2 턴오프 구간(OR2)은, A번 파형의 제2 풀드라이빙 구간(FR2)에서 번 파형의 제2 드라이빙 구간(DR2)을 뺀 길이와 같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시점은 제2 드라이빙 구간(DR2)의 종료시로 결정되며, 그 종점은 팔레트 신호 등의 카운팅 완료시로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색감상 문제가 발생한다.
제1 공통라인은 프리차지가 항상 동일한 양으로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행되나, 제2 공통라인은 프리차지가 변동하며 보다 부족한 양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제1 공통라인과 제2 공통라인 간에는 다소간 휘도차가 존재할 수 밖에 없어, 색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색감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제1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통라인과 제2 공통라인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물리적 공통라인을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 마다 교번해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한 구현으로서, 디스플레이는 항상 짝수개의 공통라인을 구동하지만, 소스 드라이버 내부에서는 한 프레임당 가상의 공통라인을 한 개 추가하여, 홀수개의 공통라인을 구동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그러면, 프리차지 구간에 의한 프리차지 수행이, 프레임에 따라 짝수 공통라인과 홀수 공통라인에 번갈아가며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간의 잔상 유지 시간 보다 빠른 프레임 주파수로 인해, 프리차지가 수행된 공통라인과 수행되지 않은 공통라인간의 휘도차는 시각적으로 제거된다.
즉, 상기 S200 단계 내지 S700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의 드라이빙 방법에 있어서, 짝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된다. 반면, 홀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된다.
상기 색감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제2 방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통라인의 드라이빙 구간의 길이와 제2 공통라인의 드라이빙 구간 길이에 차이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제1 공통라인의 경우 충분한 프리차지 구간이 존재하여, 그 드라이빙 구간에서의 신호는 픽셀 소자의 구동에 사용되지만, 제2 공통라인의 경우 프리차지가 충분하지 못하여, 그 드라이빙 구간 중 초기 부분의 신호가 프리차지를 완료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공통라인과 제2 공통라인이 동일한 휘도 및/또는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 제1 공통라인의 드라이빙 구간이 제2 공통라인의 드라이빙 구간 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된다.
앞서 설명과 같이, 본 실시예의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수행하면, 만약 제1 공통라인의 해당 픽셀에 적용할 밝기 표시가 0(가장 어두운 밝기)인 경우 드라이빙 PWM 신호(도 4의 ③번 구간)는 발생하지 않고 프리차지 PWM 신호(도 4의 ②번 구간)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색감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0의 밝기 표시를 가진 제1 공통라인의 경우에 발생하는 프리차지에 의해 픽셀의 플레이트 커패시터(Cp)에 과다한 전하가 축적되어 제2 공통라인의 드라이빙이 과다하게 수행되어 개조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강제로 제로 디텍션(detection) 기능을 추가하여 제1 공통라인의 해당 픽셀의 밝기 표시가 0인(또는 그에 가까운) 경우, S300 단계의 프리차지 구간을 생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밝기 표시가 0(또는 0근처 임계치)임을 판단하는 방법은 S300단계에서의 제1 마일스톤 이진수의 값으로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마일스톤 이진수는 턴오프구간의 길이를 나타내므로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프리차지 구간을 생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을 수행함에 의해, 플레이트 커패시터에 빈번한 충전 및 방전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제1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길이가 정해지는 소정의 제1 턴오프 구간 동안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200);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고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300);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400);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450);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500);
    제2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길이가 정해지는 소정의 제2 턴오프 구간 동안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세그먼트 라인에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S700)
    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10);
    상기 제1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1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2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를 상기 제1 턴오프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210 단계는,
    카운트 주파수의 1/2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1 팔레트 펄스, 카운트 주파수의 1/4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2 팔레트 펄스, 내지 카운트 주파수의 1/2N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N 팔레트 펄스(N은 자연수)를 생성하며,
    상기 S220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팔레트 펄스의 논리값과 상기 제1 마일스톤 이진수의 각 자리의 논리값을 각각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S200 단계의 종료 시점부터 시작되며,
    소정의 고정된 지연 시간이 지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는,
    상기 S300 단계의 종료 시점부터 시작되며,
    상기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비활성화 시점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510);
    상기 제2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5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공급하는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530)
    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510 단계는,
    카운트 주파수의 1/2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1 팔레트 펄스, 카운트 주파수의 1/4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2 팔레트 펄스, 내지 카운트 주파수의 1/2N 주파수로 하이값과 로우값을 출력하는 제N 팔레트 펄스(N은 자연수)를 생성하며,
    상기 S520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팔레트 펄스의 논리값과 상기 제2 마일스톤 이진수의 각 자리의 논리값을 각각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600 단계는,
    상기 S500 단계의 종료 시점부터 시작되며,
    상기 S510 단계에서 카운트 되었던 이진수가 소정의 최대구간 마일스톤 이진수와 동일하게 되었을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700 단계는,
    상기 S600 단계의 종료 시점부터 시작되며,
    상기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비활성화 시점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일스톤 이진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크다면, 상기 S300 단계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공통라인과 제2 공통라인이 동일한 휘도 및/또는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S400 단계의 드라이빙 구간이 상기 S500 단계의 드라이빙 구간 보다 약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3.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이, 유기 EL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4.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고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300);
    제1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400);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450);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상기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세그먼트 라인에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며,
    짝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되고,
    홀수번째 프레임에 대한 영상 신호를 드라이빙하는 경우에는, 홀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1 공통라인이 되며, 짝수번째 공통라인이 상기 제2 공통라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 이전에, 제1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길이가 정해지는 소정의 제1 턴오프 구간 동안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500 단계 이후 S700 단계 이전에, 제2 공통라인으로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길이가 정해지는 소정의 제2 턴오프 구간 동안 세그먼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S600)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10);
    상기 제1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1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제1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2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를 상기 제1 턴오프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는,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소정의 이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510);
    상기 제2 공통라인에 출력할 밝기 표시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마일스톤 이진수와 상기 카운트되는 이진수를 비교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제2 공통라인에 대한 공통 어드레스의 활성화 시점부터 상기 S520 단계에서 비교하는 두 이진수가 동일해지는 시점까지 제2 공통라인에 대한 드라이빙 전류를 공급하는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S530)
    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19. 제14항, 제15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공통라인과 제2 공통라인이 동일한 휘도 및/또는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S400 단계의 드라이빙 구간이 상기 S500 단계의 드라이빙 구간 보다 약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20. 제14항, 제15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이, 유기 EL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KR1020050052307A 2005-06-17 2005-06-17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7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07A KR100670529B1 (ko) 2005-06-17 2005-06-17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07A KR100670529B1 (ko) 2005-06-17 2005-06-17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146A KR20060132146A (ko) 2006-12-21
KR100670529B1 true KR100670529B1 (ko) 2007-01-16

Family

ID=3781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307A Expired - Lifetime KR100670529B1 (ko) 2005-06-17 2005-06-17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5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2747A (ja) 1996-08-16 1998-03-0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JPH11231835A (ja) 1998-02-16 1999-08-27 Denso Corp 表示装置
KR20040103209A (ko) * 2003-05-31 2004-12-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2747A (ja) 1996-08-16 1998-03-0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JPH11231835A (ja) 1998-02-16 1999-08-27 Denso Corp 表示装置
KR20040103209A (ko) * 2003-05-31 2004-12-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103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146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502B2 (ja) 表示装置用電源回路、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7348956B2 (en) Peripheral driver circuit of liquid crystal electro-optical device
US7333586B2 (en) Shift register
KR20230106558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165842B1 (ko) 모바일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417859B (zh) 閘極驅動器及其運作方法
CN104269141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10102404A1 (en) Low Power Driving Method for a Display Panel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WO2009101877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117512B2 (en) Gate shift register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CN118430429A (zh) 控制显示屏的方法及其控制电路
KR101441392B1 (ko) 쉬프트 레지스터를 갖는 표시장치
US6677937B1 (en) Driving method for display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uch a method
CN109215588B (zh) 显示装置和驱动显示面板的方法
JP2005122142A (ja) 予備充電が選択的に行われる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12446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70529B1 (ko) 영상 신호 드라이빙 방법
CN100468498C (zh) 发光面板显示装置
KR100806247B1 (ko) Lcd 패널 구동 방법
KR102151058B1 (ko) 게이트 펄스 변조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125538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14170957B (zh) 一种发光二极管显示驱动实现方法
US12266322B2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control device
KR100969627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4176423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