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99B1 -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0099B1 KR100670099B1 KR1020060011550A KR20060011550A KR100670099B1 KR 100670099 B1 KR100670099 B1 KR 100670099B1 KR 1020060011550 A KR1020060011550 A KR 1020060011550A KR 20060011550 A KR20060011550 A KR 20060011550A KR 100670099 B1 KR100670099 B1 KR 100670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stone
- road boundary
- block
- support block
- wedge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도로 경계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 경계석의 높이와 평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o adjust the height and parallelism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operation, which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It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로 경계석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받침 블록과;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 면과 상기 도로 경계석의 하측 면의 사이에 접하면서 삽입되어 상기 받침 블록과 상기 도로 경계석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쐐기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쐐기 블록의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의 높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mprising: a support block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cluding a wedge block inser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ad boundary ston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road boundary stone, by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wedge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nd level of the road boundary stone can be easily adjust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도로 경계석 시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받침 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support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쐐기 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wedge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로 경계석 받침대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시공 구조의 측면도;5 and 6 are side views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shown in FIG. 4;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받침 블록 및 쐐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wedge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 받침대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8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shown in Figure 7a to 7c; And,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공 구조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the construction shown in FIG. 8.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5 : 받침 블럭 16 : 경사면10, 15: support block 16: inclined surface
17 : 상단부 20, 25 : 쐐기 블록17:
26 : 경사면 27 : 상측면26: inclined surface 27: upper side
30 : 경계석 40 : 콘크리트30: boundary stone 40: concrete
50 : 바닥면 60 : 거푸집50: bottom surface 60: formwork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도로 경계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 경계석의 높이와 평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support the load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djust the height and parallelism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보도와 차도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다.In general, the road boundary stone is a structure installed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driveway. The road boundary stone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natural stone such as granite or pressing and curing concrete by pressing to separate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도 1은 종래의 도로 경계석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도로경계석(130)은 바닥면(15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바닥면(150)을 다진 후, 일정높이를 만들기 위하여 바닥면(150) 위에 제 1 콘크리트(141)를 도로경계석(130)이 배치될 위치에 적당히 타설한 후, 이것이 굳어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되었을 때(적당한 유동성도 가지고 있는 상태) 도로경계석(130)을 제 1 콘크리트(141)의 위에 올려놓는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structure. Referring to Figure 1, the
도로경계석(130)의 높이 및 수평도는 제 1 콘크리트(141)가 채 굳지 않은 상 태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도로경계석(130)의 높이 및 수평도 등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며 제 1 콘크리트(141)가 완전히 양생하기 전에 일정한 굳기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가능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없어서, 특히 낮은 온도에서의 시공에서는 작업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고 일정한 시공 품질을 유지할 수 없었다. 제 1 콘크리트(141)의 완전 양생 후 경계석(130)을 설치하려면 경계석(130)의 수평 및 선형 작업이 어렵고, 또 제 1 콘크리트(141)의 강도가 저하되고 부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height and horizontality of the
그리고 제 1 콘크리트(141) 위에 도로경계석(130)이 놓이고, 위치를 조절한 후 제 2 콘크리트(142)가 완전히 굳으면, 양측에 측구 거푸집(161,162)을 형성하고 양측에 각각 제 2 콘크리트(143) 및 제 3 콘크리트(144)를 부어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제 1 콘크리트(141), 제 2콘크리트(143), 제 3콘크리트(144)의 세 개의 덩어리로 분리되어 타설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설계 도면과 동일하게 시공하기가 곤란하다. 특히 거푸집(162)을 설치하면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시공이 어려워지고, 거푸집(162)을 설치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자재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다짐을 할 수 없어서 양질의 콘크리트가 될 수 없으므로, 시공 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가 지나치게 많고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도로 경계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 경계석의 높이와 평행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can support the load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an adjust the height and parallelism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also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받침 블록과;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 면과 상기 도로 경계석의 하측 면의 사이에 접하면서 삽입되어 상기 받침 블록과 상기 도로 경계석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쐐기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쐐기 블록의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의 높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road boundary stone, comprising: a support block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cluding a wedge block inser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ad boundary ston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road boundary stone, by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wedge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nd level of the road boundary stone can be easily adjusted.
나아가 상기 쐐기 블록의 측단면은 일측면(선단부)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쐐기 형상으로 되어, 상기 받침 블록과 상기 도로 경계석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ide end surface of the wedge block has a wedge shape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constantly from one side (front end) to the other side, and is easily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road boundary stone.
나아가 상기 쐐기 블록의 측단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쐐기 블록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end surface of the wedge block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so that str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at the tip portion of the wedge block.
또한 상기 쐐기 블록의 일측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블록의 일측면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쐐기 블록이 상기 받침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surface of the wedge block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correspondingly, on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wedge block is formed of the suppor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나아가 상기 쐐기 블록의 경사면과 상기 받침 블록의 경사면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edge block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is the same.
나아가 상기 쐐기 블록 및 상기 받침 블록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을 소정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aid wedge block and the said support block are made by cutting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도로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 상에 소정 높이를 갖는 받침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 블록과 소정 간격을 두고 도로 경계석을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받침 블록과 상기 도로 경계석의 사이에 쐐기 형상의 쐐기 블록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받침 블록, 쐐기 블록 및 도로 경계석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comprising: arranging a support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a floor; Placing a road boundary stone at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bloc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 block; Inserting a wedge shaped wedge block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road boundary stone; And placing concrete around the support block, the wedge block, and the road boundary stone.
나아가, 상기 쐐기 블록은 두 개로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좌우 양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쐐기 블록의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의 수평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wedge block is two, it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ad boundary ston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wedge block, adjusting the level of the road boundary stone.
상기 쐐기 블록의 일측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 블록의 일측면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쐐기 블록의 경사면과 상기 받침 블록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면서, 상기 쐐기 블록을 상기 받침 블록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wedge block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correspondingly,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support of the wedge block. 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moving the wedge block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while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block contact each other.
상기 쐐기 블록을 상기 받침 블록의 경사면 상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에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수평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도로 경계석의 수평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djusting the level of the road curbstone on an uneven floor by rotating the wedge block at an angle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It is characterized by easy to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받침 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받침 블록(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로 경계석(30; 도 4 참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40; 도 5 참조)의 성질에 변화를 주지 않는 플라스틱, 콘크리트 혹은 고밀도 스티로폼의 재질로 구성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그리고 도 2를 참고하면, 받침 블록(10)의 규격은 경계석(30)의 규격과 관련하여 정해지며, 가로(A)가 약 100mm, 세로(B)는 약 150±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높이(H)는 바닥면(50; 도 5 참조)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되나, 일반적으로 종래의 제 1 콘크리트(141; 도 1 참조)의 높이보다 약 20mm 정도 낮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referring to Figure 2, the siz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쐐기 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쐐기 블록(20)은 대략 단면이 삼각기둥 내지 사각기둥(단면이 사다리꼴인 사각기둥)을 옆으로 눕혀 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받침 블록(10)과 동일하게 플라스틱, 콘크리트 혹은 고밀도 스티로폼으로 구성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wedge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쐐기 블록(20)은 그 측단면이 삼각형 형태 또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쐐기 블록(20)의 측단면은 일측면(선단부; 21)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소위 ‘쐐기’형상으로 구성된다. 쐐기 블록(20) 의 측단면을 삼각형 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 선단부(21)가 비교적 뾰족하게 돌출되나, 도 3과 같이 측단면을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 선단부(21)가 비교적 뭉툭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공 중에 선단부(21)가 받침 블록(10) 또는 경계석(30) 등과 부딪치면서 마모 또는 파손될 위험이 감소하게 된다. 쐐기 블록(20)의 규격은, 도 3을 참고하면, 가로(A) 및 세로(B)가 각각 50mm, 높이는 (H)가 약 30mm, (h; 선단부 측의 높이)가 약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로 경계석 받침대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시공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s 5 and 6 is a side view of the construction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ures 4 to 6, look 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닥면(50) 상에 콘크리트(141, 142; 도 1 참조)를 타설하지 않고, 받침 블록(10)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 때 도로 경계석(30)을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각 도로 경계석(30)마다 두 개씩의 받침 블록(1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로 경계석(30)의 세로 길이(B; 도 1 참조)에 따라 도 5와 같이 받침 블록(10)을 두 개씩 배치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받침 블록(10)을 한 개씩 배치할 수도 있다.The
그 후 받침 블록(10)의 상측에 받침 블록(10)과는 소정 간격을 두고 도로 경계석(30)을 위치시킨다. 이 때는 인력 또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각 도로 경계석(30)을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도로 경계석(30)의 높이, 수평, 선형 등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이 도로 경계석(30)과 받침 블록(10)의 사이에 쐐기 블록(20)을 삽입한다. 물론 이 때 쐐기 블록(20)의 선단부(21)가 도로 경계석(30) 및 받침 블록(10)의 중심측을 향하도록 삽입하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도로 경계석(30)의 좌우 양측에서 받침 블록(10)을 각각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쐐기 블록(20)이 삽입되고 나면, 도로 경계석(30)이 받침 블록(10) 및 쐐기 블록(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도로 경계석(30)을 지지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여도 도로 경계석(30)이 안정되게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 바닥면(50)이 평탄하지 않는 등의 원인으로, 도로 경계석(30)의 높이, 수평, 선형 정도가 맞지 않을 경우, 좌우 쐐기 블록(20)의 각각의 삽입된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도로 경계석(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After the
도로 경계석(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한 후에, 받침 블록(10), 쐐기 블록(20) 및 도로 경계석(30)의 주위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이 때 콘크리트(40)를 타설해야 할 부분 근처에 거푸집(6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40)의 자재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position of the
한편,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에서 받침 블록 및 쐐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우선 쐐기 블록(25)의 형상은 역시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받침 블록(15)의 구조는 일측면이 바닥면(50; 도 8 참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16)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 받침 블록(15)의 경사면(16)과 맞닿는 쐐기 블록(25)의 일측면인 경사면(26)도 바닥면(50; 도 8 참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구조이다.Meanwhile, FIGS. 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wedge block in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 7A to 7C, first, the shape of the
상기 쐐기 블록(25)의 경사면(26)이 바닥면(50)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받침 블록(15)의 경사면(16)이 바닥면(50)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7a에 도시된 받침 블록(15)과 쐐기 블록(25)은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의 플라스틱, 콘크리트 또는 고밀도 스티로폼 재질의 블록을 바닥면(5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각도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angle at which the
도 7a에 점선으로 도시된 선을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을 절단할 경우에는 받침 블록(15)과 쐐기 블록(25)이 각각 동일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것이나, 도 7a에 실선으로 도시된 선을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받침 블록(15)의 상단부(17)가 뾰족하지 않고 다소 뭉툭하게 형성되므로, 상단부(17)에 응력이 집중되어 마모 또는 마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cutting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along the line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7A, the supporting
이와 같은 구조로 받침 블록(15)과 쐐기 블록(25)을 구성할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 경계석(30)의 높이 및 수평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 받침대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공 구조의 측면도이다.When the supporting
도 7b 및 도 8을 참고하면, 바닥면(50)에 받침 블록(15)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도로 경계석(30)마다 받침 블 록(15)을 두 개씩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받침 블록(15)과 소정 간격을 두고 도로 경계석(30)을 지지하면서 위치시키고, 도로 경계석(30)과 받침 블록(15)의 사이에 쐐기 블록(25)을 삽입한다. 이 때 받침 블록(15)의 경사면(16)과 쐐기 블록(25)의 경사면(26)이 서로 맞닿도록 삽입하고, 도 7b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쐐기 블록(25)을 받침 블록(15)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로 경계석(30)의 높이를 조정한다.Referring to FIGS. 7B and 8, the supporting
그런데 도 9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바닥면(50)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받침 블록(15)은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50)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쐐기 블록(25)을 받침 블록(15)에 대하여 도 7c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쐐기 블록(25)의 상측면(27)을 도로 경계석(30)과 평행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9, the
그리고 이 상태에서 받침 블록(15), 쐐기 블록(25) 및 경계석(30)의 주위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40)를 타설하기 전에 받침 블록(15)의 경사면(16)과 쐐기 블록(25)의 경사면(26)에 접착제(미도시)를 발라 받침 블록(15)과 쐐기 블록(25)을 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40)를 타설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concrete 40 may be poured around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도로 경계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 경계석의 높이와 평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 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support the load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adjust the height and parallelism of the road boundary ston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longs to the claims of th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550A KR100670099B1 (en) | 2006-02-07 | 2006-02-07 |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550A KR100670099B1 (en) | 2006-02-07 | 2006-02-07 |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0099B1 true KR100670099B1 (en) | 2007-01-17 |
Family
ID=3801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15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0099B1 (en) | 2006-02-07 | 2006-02-07 |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009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644B1 (en) * | 2006-08-09 | 2007-06-28 | 신춘우 | Construction of boundary stone using prosthesis |
KR100973411B1 (en) | 2009-12-16 | 2010-07-30 | 이종인 | Construction support for boundary stone on road |
KR100994602B1 (en) * | 2008-05-24 | 2010-11-15 | 박청민 | Construction support of road boundary stone |
KR102086287B1 (en) * | 2019-06-03 | 2020-03-06 | 정영길 |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59642B1 (en) | 2021-04-26 | 2022-02-08 | 서병군 | Road gutter and boundary stone integrat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06
- 2006-02-07 KR KR1020060011550A patent/KR1006700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644B1 (en) * | 2006-08-09 | 2007-06-28 | 신춘우 | Construction of boundary stone using prosthesis |
KR100994602B1 (en) * | 2008-05-24 | 2010-11-15 | 박청민 | Construction support of road boundary stone |
KR100973411B1 (en) | 2009-12-16 | 2010-07-30 | 이종인 | Construction support for boundary stone on road |
KR102086287B1 (en) * | 2019-06-03 | 2020-03-06 | 정영길 |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59642B1 (en) | 2021-04-26 | 2022-02-08 | 서병군 | Road gutter and boundary stone integrat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0099B1 (en) | Road 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58356B1 (en) | Road boundary stone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form rail and jig | |
US7334962B1 (en) | Monolithic pour cr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 |
CN102605700B (en) | Plastic curb | |
RU2403333C2 (en) | Paving stones, method of their laying for pavement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 |
CN102071614B (en) | Stone block road construction method and guiding rule for same | |
KR20110089604A (en) | Sidewalk block fixing frame | |
KR20170012906A (en) | Concrete placing equipment, construction method of outlet and boundary stone using this | |
JP5370634B2 (en) | Acoustic road construction method | |
KR100432863B1 (en) | Method for dry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road boundary stone supporting device | |
KR200272863Y1 (en) |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 |
KR200447023Y1 (en) | Base block for installing sidewalk boundary stone | |
JP2000240002A (en) | Concrete block for paving | |
KR100432862B1 (en) |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 |
JP3510519B2 (en) | Concrete block for paving | |
KR101231153B1 (en) | A connection structure of boundary stone of road | |
KR200452831Y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road boundary stone | |
KR200272862Y1 (en) |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 |
KR101264870B1 (en) | Boundary stone install device and its method | |
CN110258229A (en) | A kind of concrete prefabricated combination road surface | |
KR101199902B1 (en) | Coupler of the road boundary stone | |
CN114508021B (en) | Pedestrian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16304B1 (en) | Road boundary stone for easy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164646Y1 (en) | Boundary block | |
JP3147160U (en) | Guardrail props prevent weeds from grow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