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970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706B1
KR100669706B1 KR1020040008632A KR20040008632A KR100669706B1 KR 100669706 B1 KR100669706 B1 KR 100669706B1 KR 1020040008632 A KR1020040008632 A KR 1020040008632A KR 20040008632 A KR20040008632 A KR 20040008632A KR 100669706 B1 KR100669706 B1 KR 10066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hassis base
panel
coupling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573A (ko
Inventor
김석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706B1/ko
Priority to US11/016,733 priority patent/US20050174301A1/en
Priority to JP2005019038A priority patent/JP4160566B2/ja
Priority to CNB2005100081387A priority patent/CN100538778C/zh
Publication of KR2005008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7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구조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분리된 구성부품의 재활용도가 향상되며, 장치의 휨 및 비틀림 강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의 결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샤시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 패널 20...제 2 패널
3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0...방열시트
50...샤시베이스 51...가이드 핀
61...회로기판 62...배선
63...구동소자 100...탈부착 구조물
100a...제 1 결합부 100b...제 2 결합부
100c...프레임부 110...접착수단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분리된 구성부품의 재활용도가 향상되며, 휨 및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박형이면서,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CRT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의 결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패널(110) 및 제 2 패널(120)이 접합되어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앙면테이프(145) 및 방열시트(140)를 개재하여 샤시베이스(15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샤시베이스(15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방열판 역할을 한다.
또한, 샤시베이스(150)는 유리재질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지지구조 역할을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을 위해, 그 측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별도로 마련된 보강부재(160)가 설치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샤시베이스(150)의 배면에는 패널(130)을 구동하는 구동소자(163)와, 복수의 회로소자(미도시)가 탑재된 회로기판(161)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소자(163)에 접속되는 배선(162) 등이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샤시베이스(150) 또는 그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소자(163)나 배선(162) 등에 불량이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고가의 패널(130)이 재활용될 수 있도록, 샤시베이스(150)와 패널(130)을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분리작업은 양면테이프(145)의 점착성을 제거하기 위해, 250도 이상의 고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열하는 열공정 및 주걱 등을 삽입하여 패널(130)과 샤시베이스(150)를 분리하는 수작업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리작업은 고온에서 진행되는 결과, 작업환경이 열악할 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145) 및 방열시트(140)의 접착력으로 인해, 국부적으로 비분리된 부분이 존재하게 되고, 또한, 패널(130)에 잔존하는 양면테이프(145)나 방열시트(140)는 일일이 칼로 긁어내야 하는 등 패널(130) 분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분리작업 중에 패널(130)이 손상당하는 경우에는 보수가 요구되거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재활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분리된 샤시베이스(150)와 양면테이프(145) 및 방열시트(140)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므로, 자원이 낭비되고, 산업폐기물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산업폐기물과 관련하여, 그 성분에 따라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해, 분리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는 수입에 대해 제한을 가하는 추세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문제는 더욱 그 해결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치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분리된 구성부품의 재활용도가 향상되는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휨 및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는 개선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 부착 구조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기계적인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샤시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형성되면 패널 에지부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절곡된 것으로, 상기 샤시베이스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시베이스에 절곡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단부는 라운딩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배선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절곡된 것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절곡된 것으로, 상기 샤시베이스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우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접착수단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기계적인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샤시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접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볼트체결이나, 나사체결, 또는, 후크체결될 수 있다.
후크체결되는 경우,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대응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탈부착 구조물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부마다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두 측부에 구비된 탈부착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시트(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가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20)이 접합되어 구비된다.
방전이 실행되는 패널(30)에서는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 배면에 샤시베이스(50)를 결합하여, 패널(30)의 방열을 촉진한다. 이를 위해, 샤시베이스(50)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소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샤시베이스(50)는 패널(30)의 지지구조로써, 강도보강을 위해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샤시베이스(50)는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는 방열시트(40)가 개재된다. 상기 방열시트(40)로는 실리콘 글라스, 실리콘 방열시트, 아크릴계 방열감압 접착제시트, 우레탄계 방열감압 접착제시트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샤시베이스(50)의 배면에는 패널(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소자(63)와,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된 회로기판(61) 및 구동소자(63)와 패널(30)을 접속하는 배선(62) 등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를 결합하는 탈부착 구조물(100)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수단(11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30) 배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상기 제 1 결합부(100a)와 대략 직교되게 형성되어, 기계적인 체결방식, 예를 들어, 볼트체결에 의해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에 결합된다.
도 3에는 이러한 탈부착 구조물(100)이 장치의 상측 및 하측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좌측, 우측 측부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탈부착 구조물(100)에 의해 장치가 조립되면, 샤시베이스(50) 또는 그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소자(63)나 배선(62)의 불량으로 인해 패널(30)과 샤시베이스(50)를 분리할 경우, 제 2 결합부(100b)의 기계적인 체결, 예를 들어, 볼트체결을 해체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분리된 샤시베이스(50), 방열시트(40), 접착수단(110) 등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작업 중에 패널(30)이 손상당할 위험이 없으므로, 분리된 패널(30)의 보수가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샤시베이스(50)의 보강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된 탈부착 구조물(100)은 장치의 휨 및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휨이나 비틀림 하중에도 불구하고, 패널(30)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샤시베이스(50)의 강도보강을 위한 별도의 보강부재(160, 도 2 참조)가 요구되지 않는바, 이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제조공정의 단축이 가능하다. 특히, 탈부착 구조물(100)에 의해 강도보강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조물(100)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00b)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원하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페놀, 에폭시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 구조물(100)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면서도 상대적으로 경량 재질인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면, 보강부재의 제거 내지 감축이 가능하므로, 경량화에 유리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 및 구동소자(63)를 연결하는 배선(62)이 탈부착 구조물(100)의 상부를 통해 샤시베이스(50) 배면으로 연장설치되므로, 커팅을 통해 예리하게 형성된 샤시베이스(50)의 에지면에 의한 배선(6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탈부착 구조물(100)이 커팅이 요구되지 않는 사출공정 등으로 제조되면, 배선(62)이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패널(30)에 부착된 상태로 샤시베이스(50)와 분리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패널(30)과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며,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배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 2 결합부(100b)는 상기 제 1 결합부(100a)와 대략 수직으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와 접하고, 상기 샤시베이스(50)에 볼트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는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부(100a,100b)가 힌지결합되면, 구조물(100)의 재질 특성에 따른 제한을 받지않고, 예를 들어, 수직으로 원활히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100b)는 라운딩된 일단부를 구비하므로, 그 상부를 통해 회로기판(61)으로 연장되는 배선(62)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제 2 결합부(100a,100b) 및 프레임부(100c)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100a,100b)는 프레임부(100c)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수단(11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에 의해 패널(30) 배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샤시베이스(50) 단부에 접하여, 기계적인 체결방식, 예를 들어, 나사체결에 의해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부착 구조물 및 샤시베이스가 기계적인 체결방식인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샤시베이스 또는 배선 등의 불량으로 인해 장치의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 단순히 나사를 풀름으로써, 패널과 샤시베이스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00a)와 제 2 결합부(100b)는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에는 걸림홀(100b`)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샤시베이스(50)의 상면에는 가이드 핀(51)이 형성된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2 결합부(100b)를 회전시켜, 가이드 핀(51)이 걸림홀(100b`)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샤시베이스(50)에 후크체결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100a)는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배면에 접합된다.
이와 같이, 제 2 결합부(100b)와 샤시베이스(50)가 기계적인 체결방식인 후크체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샤시베이스(50) 또는 그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소자(63)나 배선(62) 등에 불량이 발생하여, 샤시베이스(50)의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 단순히, 힌지결합된 제 2 결합부(100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체결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제 2 결합부(100a,100b) 및 프레임부(100c)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100c)는 샤시베이스(50) 절곡부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 기 제 1, 제 2 결합부(100a,100b)는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데, 제 2 결합부(100b)는 프레임부(100c)에 힌지구조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배면에 접합된다. 또한, 걸림홀(100b`)이 형성된 제 2 결합부(100b)는 절곡부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핀(51)에 후크결합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샤시베이스(50)의 상측 및 하측 측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각 측부에 구비되는 탈부착 구조물(10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패널(30, 도 11 참조) 및 회로기판(61)을 접속하는 배선(62) 사이에 단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부(100c)와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부(100a,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패널(30) 및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수단(11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에 의해 패널(30) 배면에 접합된다. 또한, 제 2 결합부(100b)는 프레임부(100c)에 힌지결합되어 절곡부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핀(51)에 후크체결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부(100c)는 패널(30) 상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이동이나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패널(30) 에지부가 효 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전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 2 결합부(100b)는 제 1 결합부(100a)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와 접하고, 볼트체결에 의해 절곡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패널(30) 상부를 가로질러 샤시베이스(50)로 연장형성됨으로써, 패널(30) 에지부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합부(100a,100b)들은 탈부착 구조물(100)의 재질에 제한받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결합부(100a,100b)가 원활히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결합부(100b)가 라운딩된 일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제 2 결합부(100b)와 샤시베이스(50) 사이에 개재되는 배선(6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장치의 측부를 덮는 프레임부(100c)와,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전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기계적인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 일단에 나사체결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제 1 결합부(100a)와 상기 제 1 결합부(100a)에 힌지결합된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부(100b)에는 걸림홀(100b`)이 형성되고,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에는 상기 걸림홀(100b`)에 대응되는 가이드 핀(51)이 형성된다.
또한, 도 1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전면에 부착되고, 힌지결합된 제 2 결합부(100b)를 회전시켜, 가이드 핀(51)이 걸림홀(100b`, 도 16 참조)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 2 결합부(100b)의 후크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홀(100b`)과 가이드 핀(51)의 후크체결은 절곡부 상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 저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탈부착 구조물(100)은 장치의 측부를 덮는 프레임부(100c)와,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절곡된 제 1 결합부(100a) 및 상기 프레임부(100c)와 힌지결합된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 합부(100a)는 접착수단(110)에 의해 패널(30) 전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에는 걸림홀(100b`, 도 16 참조), 샤시베이스(50)의 절곡부 저면에는 가이드 핀(51)이 각각 형성되어 후크체결이 이루어진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도 19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및 하측 측부에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프레임부(100c)와,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된 제 1 결합부(100a) 및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00b)는 배선(62) 사이의 간격에 형성됨으로써, 패널(30, 도 20 참조) 및 회로기판(61)을 연결하는 배선(62)이 원활히 소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접착수단(11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30) 전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기계적 체결방식, 예를 들어, 나사체결에 의해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된다.
도 19에는 이러한 탈부착 구조물(100)이 장치의 상측과 하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좌, 우측 측부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탈부착 구조물(100)이 구비되면, 샤시베이스(50) 또는 그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소자(63)나 배선(62)의 불량으로 인해, 패널(30)과 샤시베이스(50)를 분리하는 경우, 제 2 결합부(100b)의 기계적 체결상태를 해체함으로써, 예를 들어, 단순히 나사를 풀름으로써, 패널(30)과 샤시베이스(50)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탈부착 구조물(100)은 패널(30)에 부착된 상태로 샤시베이스(50)와 분리된다.
또한, 탈부착 구조물(100)이 구비됨으로써, 샤시베이스(50)의 휨 및 비틀림 강성이 보강될 수 있는바, 샤시베이스(50)에 별도의 보강부재(160,도 2 참조)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탈부착 구조물(100)로 인해 강도보강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도 19에서 볼 수 있듯이, 강도보강을 위해 샤시베이스(50)에 절곡부(도 2 참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공정의 단축 및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 경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 2 결합부(100b) 및/또는 이로부터 절곡되어 샤시베이스(50)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100c)는 증가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도 2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및 하측 측부에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 구조물(100)은 프레임부(100c)와, 상기 프레임부(100c)에서 절곡된 제 1 결합부(100a) 및 상기 프레임부(100c)와 단차 를 형성하는 제 2 결합부(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결합부(100b)는 배선(62) 사이의 간격에 형성됨으로써, 패널(30, 도 21 참조) 및 회로기판(61)을 연결하는 배선(62)이 원활히 소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 1 결합부(100a)는 접착수단(11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30) 전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00b)는 기계적인 체결방식, 예를 들어, 나사체결에 의해 샤시베이스(50)에 결합된다.
이러한 탈부착 구조물(100)이 구비되면, 패널(30)과 샤시베이스(50)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강도보강의 효과를 통해, 별도의 보강부재 및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고도,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탈부착 구조물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측부마다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고, 둘 이상의 측부에 구비된 탈부착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구성부 품의 재활용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부착 구조물과 샤시베이스의 결합이 기계적인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지는바, 단순히 이러한 체결상태를 해소함으로써, 장치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리작업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분리된 구성부품, 예를 들어, 샤시베이스나 방열시트 또는 양면테이프 등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리작업에 의한 패널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패널의 보수 등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의 절감이 가능하다.
둘째, 휨 및 비틀림에 대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측부에 탈부착 구조물이 설치됨으로써, 휨 및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는바, 강도보강을 위해 샤시베이스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의 제거 내지 감축이 가능하다. 더욱이, 강도보강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경우, 샤시베이스 측부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제거가 가능하다.
셋째, 패널 에지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부착 구조물의 일부가 패널 측부를 덮도록 구비됨으로써, 장치의 이동이나 유통 중에 발생하는 충격에 불구하고, 패널 에지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넷째, 배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과 구동소자를 접속하는 배선이 탈부착 구조물을 따라 연장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샤시베이스의 커팅면에 의한 배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화상이 구현되는 전방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 방향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샤시베이스에 기계적인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부에는 꺾여진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단부는 라운딩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화상이 구현되는 전방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샤시베이스에 기계적인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구조물;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테이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후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대응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 또는 프레임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4 측부를 갖는 장방형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각 측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구조물은 4 측부를 갖는 장방형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적어도 2 측부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40008632A 2004-02-10 2004-0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632A KR100669706B1 (ko) 2004-02-10 2004-0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1/016,733 US20050174301A1 (en) 2004-02-10 2004-12-21 Plasma display module
JP2005019038A JP4160566B2 (ja) 2004-02-10 2005-01-2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CNB2005100081387A CN100538778C (zh) 2004-02-10 2005-02-07 等离子显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632A KR100669706B1 (ko) 2004-02-10 2004-0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573A KR20050080573A (ko) 2005-08-17
KR100669706B1 true KR100669706B1 (ko) 2007-01-16

Family

ID=3482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6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706B1 (ko) 2004-02-10 2004-0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74301A1 (ko)
JP (1) JP4160566B2 (ko)
KR (1) KR100669706B1 (ko)
CN (1) CN1005387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622B1 (ko) * 2004-04-2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샤시베이스의 제조 방법
KR100649186B1 (ko) * 2004-08-24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29B1 (ko) * 2004-09-2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117313B2 (ja) * 2004-10-11 2008-07-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83751B1 (ko) * 2005-01-12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07007398A1 (ja) * 2005-07-12 2009-01-29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49216B1 (ko) * 2005-07-21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32B1 (ko) * 2005-08-3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59108B1 (ko) * 2005-11-12 2006-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59574B1 (ko) * 2006-04-11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91948B1 (ko) 2006-09-27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배선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배선 형성방법
KR100822207B1 (ko) * 2006-11-02 2008-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섀시의 부착 방법 및 분리 방법
JP4825654B2 (ja) * 2006-12-15 2011-11-3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粘着性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5142586B2 (ja) * 2007-05-11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2242445A (ja) * 2011-05-16 2012-12-10 Sony Corp 表示装置
CN102522289B (zh) * 2011-12-30 2014-12-17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中前基板与后基板的分离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137A (ja) 1998-06-12 200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122565A (ja)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93116A (ja) 1999-04-08 2000-10-20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保持具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保持方法
JP2002140019A (ja) 2000-11-01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357A (en) *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EP1231590A3 (en) *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4587B2 (ja) *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983120B2 (ja) * 2001-07-30 2007-09-26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Icチップの実装構造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50207B1 (ko) * 2002-08-22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137A (ja) 1998-06-12 200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122565A (ja)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93116A (ja) 1999-04-08 2000-10-20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保持具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保持方法
JP2002140019A (ja) 2000-11-01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8778C (zh) 2009-09-09
CN1655211A (zh) 2005-08-17
JP2005227771A (ja) 2005-08-25
JP4160566B2 (ja) 2008-10-01
US20050174301A1 (en) 2005-08-11
KR20050080573A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7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492578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20406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107156A1 (en) Backplane,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571747B2 (ja) 表示装置
JP2000305477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8096666A (ja) 表示パネル、表示機器および部品取付基板
US20020127363A1 (en) Display apparatus
US20090033221A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6371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0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80038888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60387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856461B1 (ko) 화상출력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출력장치
US20070230097A1 (en) Cover plat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3388333B (zh) 一种oled显示装置
JPH11344937A (ja) 液晶表示装置
KR1006273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6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46544B1 (ko) 샤시 베이스 및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4953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05818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KR101072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