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9456B1 -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456B1
KR100669456B1 KR1020040097952A KR20040097952A KR100669456B1 KR 100669456 B1 KR100669456 B1 KR 100669456B1 KR 1020040097952 A KR1020040097952 A KR 1020040097952A KR 20040097952 A KR20040097952 A KR 20040097952A KR 100669456 B1 KR100669456 B1 KR 10066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talyst
fuel cell
nanocarbon
carb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919A (ko
Inventor
김희탁
권호진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456B1/ko
Priority to DE602005020238T priority patent/DE602005020238D1/de
Priority to EP05111288A priority patent/EP1667271B1/en
Priority to JP2005340578A priority patent/JP4907163B2/ja
Priority to US11/288,887 priority patent/US20060115711A1/en
Priority to CNB2005101373170A priority patent/CN100399610C/zh
Publication of KR2006005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4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기재, 상기 전극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기공층, 및 상기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 및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촉매의 표면적이 커서, 적은 양의 촉매를 사용하면서도, 전극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연료전지의 성능을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연료전지, 촉매, 표면적, 나노카본, 전극, 막-전극 어셈블리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ELECTRODE FOR FUEL CELL,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MME}
도 1a는 촉매를 증착시키기 전의 전극기재의 개략적 단면도.
도 1b는 촉매를 증착시킨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스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압-전류밀도 곡선을 보인 그래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표면적을 가져 전극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 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 전지,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고분자 전해질형 또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 전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이들 중 근래에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탁월하며 작동 온도가 낮고 아울러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을 가지며,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 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PEMFC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택(stack), 개질기(reformer), 연료 탱크, 연료 펌프 등을 구비한다. 스택은 연료 전지의 본체를 형성하며,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한다.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를 스택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이 PEMFC는 연료 펌프의 작동으로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하고, 이 개질기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며, 스택에서 이 수소와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 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한편, 연료 전지는 액상의 메탄올 연료를 직접 스택에 공급할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방식의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개질기가 배제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세퍼레이터(Separator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으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 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고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전극"이라고 한다)이 밀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연료를 애노드 전극에 공급하고, 산소를 캐소드 전극에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과 각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애노드 전극에서는 연료의 전기 화학적인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캐소드 전극에서는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이 때 생성되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와 열 그리고 물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 전극은 통상적으로 백금(Pt) 촉매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백금은 고가의 귀금속이므로 다량 사용할 수 없는 문 제가 있으며, 종래에는 백금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백금을 탄소에 담지시킨 것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탄소에 담지된 백금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매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백금의 저장량에 한계가 있으며, 촉매층과 전해질막의 접촉상태가 좋지 못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막-전극 어셈블리의 촉매층 내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우수한 전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막-전극 어셈블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촉매의 표면적이 넓어 전극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극기재, 상기 전극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기공층, 및 상기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 본에 코팅된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되는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및 전극기재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되는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및 전극기재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극기재의 표면에 미세기공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합성하기 위한 제1 촉매를 도입하고;
상기 제1촉매 상에 탄소 소스(source)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성장시키고;
상기 나노카본에 제2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합성하기 위한 제1 촉매를 도입하고;
상기 제1촉매 상에 탄소 소스(source)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성장시키고;
상기 나노카본에 제2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층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면에 전극기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료전지의 막-전극 어셈블리용 금속 촉매로는 대부분 고가의 귀금속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금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연료전지의 성능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촉매를 기재에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시키는 증착법이 있다. 그러나, 촉매가 증착되는 기재의 비표면적에 따라 촉매층의 표면적이 결정되며, 촉매층의 표면적이 낮은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출력 특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촉매가 증착되는 기재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전극기재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킨 후, 촉매를 코팅함으로써 금속 촉매층의 두께를 얇게 하고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비표면적을 극대화시킨 전극기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b는 상기 전극기재의 표면에 촉매를 코팅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100)은 전극기재(101), 상기 전극기재(101)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기공층(102), 및 상기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103)과 상기 나노카본(103)에 코팅된 촉매(105)을 포함하는 촉매층(107)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기재(101)는 전극(100)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연료 및 산소를 촉매층(107)에 전달해주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기재(101)는 탄소계 전극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천(carbon cloth), 탄소 펠트(carbon felt)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기재는 가스를 촉매층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 므로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전극기재의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은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7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확산층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에는 지지체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며, 10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료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전극기재(101)의 표면에는 반응가스 확산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미세기공층(102)(microporous layer: MPL)이 존재한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은 표면조도(Roughness factor: 미세기공층의 표면적을 미세기공층의 넓이로 나눈 값)이 5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조도가 5미만인 경우에는 그 위에 성장된 나노카본의 수가 적으며 100보다 큰 경우의 표면조도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은 가스를 균일하게 촉매층에 공급하고 촉매층에 형성된 전자를 고분자 전해질 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은 도전성 분말, 예를 들어 탄소 분말, 흑연, 플러렌(fullerene; C60),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활성 탄소,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파이버, 카본 나노와이어 등과 같은 나노카본, 카본 나노혼(carbon nano-horn) 또는 카본 나노링(carbon nano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은 1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8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의 두께가 1 ㎛ 미만인 경우에는 연료 및 가스 확산의 효과가 미미하며,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료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는 나노카본(103)과 상기 나노카본(103)의 표면에 코팅된 촉매(105)을 포함하는 촉매층(107)이 형성된다.
상기 나노카본(103)은 카본 나노튜브(CNT), 카본 나노파이버(carbon nano fiber), 카본 나노와이어(carbon nano wire), 카본나노혼, 또는 카본나노링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카본(103)은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카본(103)은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서 직접 성장된다.
또한, 상기 나노카본(103)은 1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50 내지 5000 n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카본(103)의 직경은 작을수록 좋으나, 직경이 1 nm 미만인 나노카본은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직경이 5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적 증가의 효과가 적다. 또한, 상기 나노카본(103)의 길이가 50 nm 미만인 경우에는 나노카본의 표면적이 낮으며, 5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체확산이 어려우며, 나노카본 표면에 전체적으로 촉매가 코팅되기 어렵다.
상기 촉매층(107)는 0.05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카본층의 두께가 0.05 ㎛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적 증가의 효과가 미미하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표면적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전극을 두껍 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촉매층(107)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것이 바람직하며, 0.001 내지 0.2 mg/cm2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1 내지 0.05 mg/cm2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107)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이 0.001 mg/cm2 미만인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효율이 충분하지 못하며, 0.5 mg/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매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촉매층(107)의 기공도가 감소하여 가스확산이 저해될 수 있다.
통상 연료전지에서 촉매층은 촉매, 바인더, 및 용매를 혼합한 슬러리를 전극기재에 습식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바람직한 연료전지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촉매의 단위면적당 함량이 0.5 mg/cm2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카본에 촉매층을 형성하여 촉매의 단위면적 당 함량을 이보다 훨씬 작은 양으로 함유시키면서도 충분한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층(107)에 포함되는 촉매의 비표면적은 10 내지 500 m2/g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500 m2/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연료전지의 산화/화원반응은 촉매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비표면적이 클수록 연료전지의 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이 10 m2/g미만인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며, 500 m2/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 촉매층(107)은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 백금, 루테늄, 오스뮴, 또는 백금과 다른 전이금속의 합금의 금속 촉매(105)를 나노카본(103)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상기 백금과 합금을 이루는 전이금속으로는 Ru, Os, Co,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또는 Z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은 나노카본의 표면에 코팅되며, 스퍼터링(sputtering),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법,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온빔 증발법(electron beam evaporation), 진공 열 증발법(vaccum 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전자선 증발법 (e-beam evaporation) 등의 증착법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극기재(101)의 표면에 미세기공층(102)을 형성한다. 상기 전극기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와 같은 발수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은 도전성 분말,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전극기재에 코팅하여 제조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코폴리머(PVdF-HFP),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과 같은 알코올, 물,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 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코팅공정은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딥코팅법, 실크 스크린법, 페인팅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는 나노카본(103)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나노카본 합성용 제1 촉매를 도입한다. 상기 제1촉매로는 Fe, Ni, Co, Y, Pd, Pt, Au,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또는 전이금속, 이들 전이 금속의 합금 또는 이들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탄화물(carbide), 붕화물(boride),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 Fe, Ni, 이들의 합금 또는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탄화물(carbide), 붕화물(boride),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촉매의 도입방법으로는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용사(thermal spray),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카본(103)이 높은 표면적을 가지기 위해서는 나노카본(103)이 성장되는 기재(substrate)의 표면적이 크고 균일하여야 한다. 탄소 페이퍼, 탄소 천, 탄소펠트와 같은 전극 기재는 불균일한 표면을 제공하므로 나노카본(103)의 표면적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나노카본(103)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극기재(가스확산층)에 미세기공층(102)이 형성된 기재를 사용한다.
상기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 나노카본(103)을 성장시키기 위한 제1촉매를 도입하고, 상기 제1촉매 상에 탄소 소스(source)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제공하면서 제1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local heating)하여 나노카본(103)을 미세기공층(102)의 표면에서 직접 합성하여 성장시킨다.
상기 탄소 소스 가스로는 에틸렌, 아세틸렌, 메탄 등의 탄화수소 가스, 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탄소 소스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와 함께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국부적인 가열은 마이크로웨이브 방사, 전자기 유도 가열, 레이저 가열, 고주파(RF)의 가열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나노카본의 합성은 촉매에 의한 나노카본 합성이 이루어지는 반응기; 반응가스 공급부; 제1촉매를 가열하는 국부가열부를 포함하는 합성장치에 미세기공층이 형성된 전극기재를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나노카본을 증착법으로 기재위에서 직접 합성하면 600℃ 이상의 고온에서 실시하여야 하므로 전극기재의 발수처리에 사용된 고분자나 미세기공층 형성시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가 분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상온(25℃) 이나 저온에서 나노카본을 성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카본에 제2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한다. 제2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또는 백금과 다른 전이금속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백금과 합금을 이루는 전이금속으로는 Ru, Os, Co,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또는 Z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촉매의 코팅 은 스퍼터링(sputtering),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법,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온빔 증발법(electron beam evaporation), 진공 열 증발법(vaccum 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전자선 증발법 (e-beam evaporat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방법이 상기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방법 중에서 2가지 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2촉매를 코팅한 다음 상기 제1촉매는 제거되는 것이 촉매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촉매의 제거방법으로는 산처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처리에 사용되는 산으로는 질산, 황산, 염산, 아세트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배치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코팅하고 여기에 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한 다음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면에 전극 기재를 배치하여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나노카본의 코팅 및 촉매의 코팅은 앞에서 설명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고분자 전해질막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성장시 키기 위하여 나노카본 합성용 제1 촉매를 도입한다. 상기 제1촉매로는 Fe, Ni, Co, Y, Pd, Pt, Au,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또는 전이금속, 이들 전이 금속의 합금 또는 이들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탄화물(carbide), 붕화물(boride),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 Fe, Ni, 이들의 합금 또는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탄화물(carbide), 붕화물(boride),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촉매의 도입방법으로는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용사(thermal spray),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성장시키기 위한 제1촉매를 도입하고, 상기 제1촉매 상에 탄소 소스(source)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제공하면서 제1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local heating)하여 나노카본을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서 직접 합성하여 성장시킨다.
상기 탄소 소스 가스로는 에틸렌, 아세틸렌, 메탄 등의 탄화수소 가스, 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탄소 소스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와 함께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국부적인 가열은 마이크로웨이브 방사, 전자기 유도 가열, 레이저 가열, 고주파(RF)의 가열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나노카본의 합성은 촉매에 의한 나노카본 합성이 이루어지는 반 응기; 반응가스 공급부; 제1촉매를 가열하는 국부가열부를 포함하는 합성장치에 고분자 전해질 막을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나노카본을 증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 막 위에서 직접 합성하면 600℃ 이상의 고온에서 실시하여야 하므로 고분자 전해질 막이 분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상온(25℃) 이나 저온에서 나노카본을 성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에 형성된 나노카본에 제2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한다. 제2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또는 백금과 다른 전이금속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백금과 합금을 이루는 전이금속으로는 Ru, Os, Co,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또는 Z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촉매의 코팅은 스퍼터링(sputtering),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법,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온빔 증발법(electron beam evaporation), 진공 열 증발법(vaccum 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전자선 증발법 (e-beam evaporat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방법이 상기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방법 중에서 2가지 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2촉매를 코팅한 다음 상기 제1촉매는 제거되는 것이 촉매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촉매의 제거방법으로는 산처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처리에 사용되는 산으로는 질산, 황산, 염산, 아세트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및 전극기재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10)는 고분자 전해질막(110)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10)의 양 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100, 100')을 포함한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10)에서, 고분자 전해질막(1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전극(100)을 애노드 전극 전극(또는 캐소드 전극 전극)이라 하고,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전극(100')을 캐소드 전극 전극(또는 애노드 전극 전극)이라 한다. 애노드 전극 전극은 연료로부터 수소이온과 전자를 생성시키는 산화반응을 일으키고,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애노드 전극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이온을 캐소드 전극 전극으로 이동시키며, 캐소드 전극 전극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받은 수소이온과 외부로부터 공급된 산소로부터 물을 생성시키는 환원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10)은 수소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는 세퍼레이터가 배치되어 촉매층에 연료와 산소를 촉매층에 공급함으로써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형성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스택을 이룬다. 도 3은 이러한 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스택(1)은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10)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시스템은 인산형, 고분자 전해질형 또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일 수 있으며, 특히 고분자전해질형 또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카본블랙 3g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0.2g을 용매로 물 20g에 첨가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PTFE로 발수처리된 탄소천(carbon cloth)의 표면에 도포하여 미세기공층이 형성된 탄소천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세기공층에 제1촉매로 Fe를 스퍼터링법으로 0.02mg/cm2의 양으로 분산시켰다. Fe가 분산된 탄소천을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가 장착된 반응기의 석영 보트에 올려놓고 상온 대기압 하에서 탄소소스 가스로 아세틸렌 가스와 아르곤 가스를 상온의 반응기에 20분 동안 도입하여 10nm의 직경을 가지는 카본 나노튜브를 2000nm 성장시켰다. 이때 마이크로웨이브가 Fe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되도록 하였다.
상기 카본 나노튜브에 Pt 금속을 증착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극을 20wt%의 질산에 2시간동안 담그어 잔류하는 Fe를 제거하였다. 제조된 전극의 Pt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5 mg/cm2이었고, 표면적은 35 m2/g이었다.
상기 전극을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막(Nafion 112)(DuPont사의 NafionTM)의 양면에 배치하여 접합시킴으로써,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한 후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하여 단위 셀을 제조한 후 이를 적층하여 도 3에 도시된 스택을 제조하였다. 이 스택에 연료탱크와 연료펌프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원과 공기펌프를 연결하여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1 촉매로 Ni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의 Pt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7 mg/cm2이었고, 표면적은 40 m2/g이었다.
실시예 3
나노카본으로 카본 나노 파이버를 성장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의 Pt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6 mg/cm2이었고, 표면적은 45 m2/g이었다.
실시예 4
나노카본으로 카본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의 Pt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9 mg/cm2이었고, 표면적은 50 m2/g이었다.
실시예 5
나노카본으로 카본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의 Pt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8 mg/cm2이었고, 표면적은 50 m2/g이었다.
비교예 1
두께 200㎛인 탄소천(carbon cloth)의 표면에 Pt를 스퍼터링 증착하여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 200㎛인 탄소천(carbon cloth)의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카본 나노튜브를 성장시킨 다음 Pt를 스퍼터링 증착하여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연료전지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50% 가습된 공기와 수소를 공급하였으며 back pressure는 없으며 60도에서 운전시켰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전압-전류밀도 곡선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공층에 나노카본을 직접 성장시키고 여기에 금속 촉매를 코팅한 실시예 1의 연료전지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 동일 전압에서 훨씬 우수한 전류밀도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촉매의 표면적이 커서, 적은 양의 촉매를 사용하면서도, 전극반응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8)

  1. 전극기재;
    상기 전극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기공층; 및
    상기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기재는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천(carbon cloth), 및 탄소 펠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재는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은 1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은 탄소 분말, 흑연, 플러렌(fullerene; C60),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활성 탄소, 나노카본, 카본 나노혼(carbon nano-horn) 및 카본 나노링(carbon nano r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0.05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카본 나노튜브(CNT), 카본 나노파이버(carbon nano fiber), 카본 나노와이어(carbon nano wire), 카본 나노혼, 및 카본나노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직접 성장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1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나노카본의 표면에 금속 촉매의 증착에 의하 여 형성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는 스퍼터링(sputtering),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법,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온빔 증발법(electron beam evaporation), 진공 열 증발법(vaccum 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및 전자선 증발법(e-beam evaporati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증착법에 의하여 증착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연료전지용 전극.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1 내지 0.05 mg/cm2인 연료전지용 전극.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은 10 내지 500 m2/g 인 연료전지용 전극.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Ru, Os, Co, Pd, 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18. 고분자 전해질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전극
    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 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1.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및
    전극기재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직접 성장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어셈블리.
  26.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 전지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및 폴리(2,5-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 시스템.
  29.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카본과 상기 나노카본에 코팅된 촉매층; 및 전극기재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상기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원; 및
    상기 산소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원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30. 전극기재의 표면에 미세기공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합성하기 위한 제1 촉매를 도입하고;
    상기 제1촉매 상에 탄소 소스(source) 가스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촉매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나노카본을 성장시키고;
    상기 나노카본에 제2촉매를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기재는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천(carbon cloth) 및 탄소 펠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재는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은 1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층은 탄소 분말, 흑연, 플러렌(C60),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활성 탄소, 나노카본, 카본 나노혼(carbon nano-horn) 및 카본 나노링(carbon nano r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촉매는 Fe, Ni, Co, Y, Pd, Pt, Au, 이들의 합금 및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탄화물(carbide), 산화물, 붕화물, 질화물, 황화물, 황산염, 및 질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촉매는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용사(thermal spray), 및 스퍼터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도입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소스 가스는 탄화수소 가스,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적 가열은 마이크로웨이브 방사, 전자기 유도 가열, 레이저 가열, 고주파(RF)의 가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실시 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0.05 내지 1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카본 나노튜브(CNT), 카본 나노파이버(carbon nano fiber), 카본 나노와이어(carbon nano wire), 카본나노혼, 및 카본나노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나노카본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미세기공층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성장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카본은 1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면적당 함량은 0.001 내지 0.5 mg/cm2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는 촉매의 단위무게당 비표면적은 10 내지 500 m2/g 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나노카본에 촉매를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스퍼터링(sputtering),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법,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온빔 증발법(electron beam evaporation), 진공 열 증발법(vaccum 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및 전자선 증발법(e-beam evaporati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법으로 증착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촉매층에서 제1촉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촉매는 산처리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KR1020040097952A 2004-11-26 2004-11-26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52A KR100669456B1 (ko) 2004-11-26 2004-11-26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DE602005020238T DE602005020238D1 (de) 2004-11-26 2005-11-25 Elektrode für Brennstoffzelle, ein diese Elektrode enthaltendes Brennstoffzellensystem,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EP05111288A EP1667271B1 (en) 2004-11-26 2005-11-25 Electrode for fuel cell,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5340578A JP4907163B2 (ja) 2004-11-26 2005-11-25 燃料電池用電極、これを備えた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US11/288,887 US20060115711A1 (en) 2004-11-26 2005-11-28 Electrode for fuel cell,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B2005101373170A CN100399610C (zh) 2004-11-26 2005-11-28 燃料电池的电极以及包括它的燃料电池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52A KR100669456B1 (ko) 2004-11-26 2004-11-26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19A KR20060058919A (ko) 2006-06-01
KR100669456B1 true KR100669456B1 (ko) 2007-01-15

Family

ID=3609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456B1 (ko) 2004-11-26 2004-11-26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15711A1 (ko)
EP (1) EP1667271B1 (ko)
JP (1) JP4907163B2 (ko)
KR (1) KR100669456B1 (ko)
CN (1) CN100399610C (ko)
DE (1) DE602005020238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55B1 (ko) 2007-01-25 2008-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담지 촉매, 상기 담지 촉매의 제조 방법 및상기 담지 촉매를 포함한 연료 전지
CN105597565A (zh) * 2016-03-11 2016-05-25 天津工业大学 聚四氟乙烯电催化多孔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3299B1 (en) 2001-05-17 2004-04-20 Zyv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nanotubes
US20040034177A1 (en) 2002-05-02 2004-02-19 Jian Chen Polymer and method for using the polymer for solubilizing nanotubes
US6905667B1 (en) 2002-05-02 2005-06-14 Zyvex Corporation Polymer and method for using the polymer for noncovalently functionalizing nanotubes
KR100827861B1 (ko) 2003-05-22 2008-05-07 지벡스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엘엘씨 나노복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296576B2 (en) 2004-08-18 2007-11-20 Zyvex Performance Materials, Llc Polymers for enhanced solubility of nanomaterial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EP1829141B1 (en) * 2004-12-09 2013-05-29 Nanosys, Inc. Nanowire-base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or fuel cells
US8278011B2 (en) 2004-12-09 2012-10-02 Nanosys, Inc. Nanostructured catalyst supports
US7939218B2 (en) * 2004-12-09 2011-05-1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US7842432B2 (en) 2004-12-09 2010-11-3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KR100684797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5110836B2 (ja) * 2006-09-11 2012-12-26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燃料電池用触媒電極、それを用いた、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JP5138914B2 (ja) * 2006-09-25 2013-02-06 株式会社東芝 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
CN100521328C (zh) * 2006-09-29 2009-07-2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燃料电池用气体扩散层及其制备
EP1932805A1 (de) * 2006-12-15 2008-06-18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Flächengebilde enthaltend Kohlenstoffnanoröhrch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0801470B1 (ko) * 2007-02-15 2008-02-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 종이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고, 그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사용하여 백금을담지시킨 백금 나노촉매의 제조방법과 그 백금 나노촉매
WO2008124167A1 (en) 2007-04-10 2008-10-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arge storage devices containing carbon nanotube films as electrodes and charge collectors
US20080280067A1 (en) * 2007-05-10 2008-11-13 Feng Chia University Method of forming a carbon film on a metal substrate at a low temperature
US8450026B2 (en) * 2007-05-24 2013-05-28 Intematix Corporatio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an electrocatalyst/electrolyte assembly supported by a nano-structured material
KR100901846B1 (ko) * 2007-09-11 2009-06-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나노튜브 직접성장법과 백금 나노촉매의 담지를 위한화학기상증착법을 적용한 연료전지용 셀룰로스 전극의제조방법, 셀룰로스 전극 및 셀룰로스 섬유의 연료전지용전극으로서의 용도
US20100189990A1 (en) * 2007-09-19 2010-07-29 Breault Richard D High thermal conductivity electrode substrate
KR100878751B1 (ko) * 2008-01-03 2009-0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셀룰로스 섬유를 이용한 촉매지지체, 이의 제조방법,촉매지지체 표면에 직접성장된 탄소나노튜브 및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나노금속 촉매가 담지된 담지촉매 및이의 제조방법
CN102187411A (zh) * 2008-09-04 2011-09-14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提高能量密度和功率密度的电荷存储装置结构
US8273486B2 (en) 2009-01-30 2012-09-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tecting a PEM fuel cell catalyst against carbon monoxide poisoning
DK2433475T3 (da) 2009-05-19 2021-05-10 Oned Mat Inc Nanostrukturerede materialer til batterianvendelser
JP5595515B2 (ja) * 2009-11-25 2014-09-24 コミサリア ア レネルジィ アトミーク エ オ ゼネ ルジイ アルテアナティーフ 多孔質基板上におけるナノ組織化電極の製造
CN102656730B (zh) * 2009-12-14 2015-08-05 原子能与替代能源委员会 电化学反应器以及整合入所述反应器中的活性层
US20110205688A1 (en) 2010-02-19 2011-08-25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Multilayer Carbon Nanotube Capacitor
CN102190288A (zh) * 2010-03-07 2011-09-21 张镜 物体表面纳米粒子处理技术(直接法)
CN102270761A (zh) * 2010-06-03 2011-12-07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柔性一体化有机自由基电极的制备方法
CN101924202B (zh) * 2010-09-08 2012-09-05 武汉理工大学 单根纳米线电化学器件及其组装、原位表征的方法
EP2667437B1 (en) 2011-01-18 2018-01-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6016036B2 (ja) * 2011-05-13 2016-11-02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1392B1 (ko) * 2011-07-13 2014-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GB201116713D0 (en) * 2011-09-28 2011-11-09 Johnson Matthey Plc Catalyst
CN102664246B (zh) * 2012-04-12 2014-11-26 南昌大学 超薄锂离子电池
CN102664270B (zh) * 2012-04-12 2014-10-29 南昌大学 锂离子纸电池
US9153822B2 (en) * 2012-08-14 2015-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Nano-structured thin film catalyst
US20150162619A1 (en) * 2013-10-24 2015-06-11 Snu R&Db Foundation Electrode catalyst,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including same
CN103762366B (zh) * 2013-11-25 2016-01-20 国家电网公司 一种碳纳米管复合电极制备方法
CN107078308B (zh) * 2014-11-11 2021-06-01 东丽株式会社 气体扩散电极基材及气体扩散电极基材的制造方法
KR20170129885A (ko) * 2015-03-24 2017-1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공성 전극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화학 전지 및 액체 흐름 배터리
JP6182741B2 (ja) * 2015-12-15 2017-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装置用電極、電解装置、及び電解生成物を生成する方法
JP6352955B2 (ja) * 2016-01-08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燃料電池用電極触媒の製造方法
CN106099123B (zh) * 2016-07-16 2019-01-29 中国科学院亚热带农业生态研究所 一种用于微生物燃料电池的藻膜阴极的制备方法
US10573899B2 (en) * 2016-10-18 2020-02-25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having an electrode with differing hydrophilicity on opposing faces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20190341623A1 (en) * 2018-05-01 2019-11-07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Carbon coated nano-materials and metal oxide 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193111B2 (ja) * 2018-07-31 2022-12-20 グローバル・リンク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電極又はカーボンナノホーン電極及び電極製造方法
JP2020019980A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グラヴィトン 電気分解装置及び電極製造方法
JP7281158B2 (ja) * 2018-07-31 2023-05-25 グローバル・リンク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及び電極製造方法
KR102664090B1 (ko) * 2018-08-20 202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쉘을 지닌 금속 나노입자 및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전극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11293259A (zh) * 2020-02-26 2020-06-16 中航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池隔膜及锂离子电池
SE545366C2 (en) * 2021-02-05 2023-07-18 Smoltek Ab An electrolyz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talyst supported on a nanostructure
CN114824272B (zh) * 2022-04-14 2024-10-18 广东氢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纳米纤维/炭黑复合微孔层及其制备方法
US20240124993A1 (en) * 2022-10-18 2024-04-18 Plug Power Inc. Sputtering-based catalyst deposition on particles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catalyst layer
CN118308708B (zh) * 2024-05-16 2025-03-14 浙江普乐斯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利用pecvd制备氮掺杂的碳杆阵列的方法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757A (ko) * 1992-03-20 1993-10-20 이태희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이러한 전극의 제조방법
WO2002017427A1 (en) 2000-08-22 2002-02-28 Catalytic Materials, Ltd Graphite nanofiber catalyst systems for use in fuel cell electrodes
WO2002075831A1 (fr) 2001-03-19 2002-09-26 Nec Corporation Électrode de pile à combustible, et pile à combustible pourvue de cette électrode
KR20060001630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396A (en) * 1979-09-27 1981-10-06 Prototech Company Thin carbon-cloth-based electrocatalytic gas diffusion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the same
US4835074A (en) * 1987-09-25 1989-05-30 The Electrosynthesis Company, Inc. Modified carbons and electrochemical cells containing the same
US5636437A (en) * 1995-05-12 1997-06-1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abricating solid carbon porous electrodes from powders
US5879827A (en) * 1997-10-10 1999-03-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talyst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US5910378A (en) * 1997-10-10 1999-06-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DE69829933T2 (de) * 1997-11-25 2005-09-2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Kyoto Elektrode aus Festpolymerelektrolyt-Katalysator Kompositen, Elektrode für Brennstoffz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Elektroden
US6103077A (en) * 1998-01-02 2000-08-15 De Nora S.P.A.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for gas diffusion electrodes and electrode components
US6967183B2 (en) * 1998-08-27 2005-11-22 Cabot Corporation Electrocatalyst powders, methods for producing powders and devices fabricated from same
US6287717B1 (en) * 1998-11-13 2001-09-1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with improved power outputs
FR2788168A1 (fr) * 1998-12-30 2000-07-07 Messier Bugatti Electrode a diffusion gazeuse supportant un catalyseur de reaction electrochimique
US6713034B2 (en) * 2000-01-27 2004-03-30 Mitsubishi Rayon Co., Ltd. Porous carbon electrode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rbon fiber paper
US6589682B1 (en) * 2000-01-27 2003-07-08 Karen Fleckner Fuel cells incorporating nanotubes in fuel feed
GB0016752D0 (en) * 2000-07-08 2000-08-30 Johnson Matthey Plc Electrochemical structure
KR100382879B1 (ko) * 2000-09-22 2003-05-09 일진나노텍 주식회사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탄소 나노튜브합성장치.
TW515129B (en) * 2000-09-29 2002-12-21 Sony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TW515128B (en) * 2000-09-29 2002-12-21 Sony Corp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1336996B1 (en) * 2000-10-31 2012-05-2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Electrode for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WO2002041432A1 (en) * 2000-11-14 2002-05-23 Fullerene Usa, Inc. Fuel cell
JP3608053B2 (ja) * 2001-01-16 2005-01-05 昭和電工株式会社 電池用触媒組成物、ガス拡散層及びこれらを備えた燃料電池
WO2002073722A1 (fr) * 2001-03-08 2002-09-19 Sony Corporation Corps d'electrode a diffusion de gaz, procede de fabrication du corps d'electrode et dispositif electrochimique
US7189472B2 (en) * 2001-03-28 2007-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Fuel cell, electrode for fuel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55208B2 (ja) * 2001-03-29 2005-06-02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9952B2 (ja) * 2001-10-04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材料の製造方法
TWI236486B (en) * 2001-10-10 2005-07-21 Mitsui Chemicals Inc Crosslinkable aromatic resin having protonic acid group, and ion conductive polymer membrane, binder and fuel cell using the resin
US6686308B2 (en) * 2001-12-03 2004-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pported nanoparticle catalyst
KR100759547B1 (ko) * 2002-07-29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탄소나노튜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WO2004109837A2 (en) * 2002-10-31 2004-12-16 Carbon Nanotechnologies, Inc. Fuel cell electrode comprising carbon nanotubes
JP4461695B2 (ja) * 2003-03-24 2010-05-12 東レ株式会社 多孔質炭素電極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77697B2 (ja) * 2003-04-09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分子膜電極接合体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4337406B2 (ja) * 2003-06-03 2009-09-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US7351444B2 (en) * 2003-09-08 2008-04-01 Intematix Corporation Low platinum fuel cell 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8211593B2 (en) * 2003-09-08 2012-07-03 Intematix Corporation Low platinum fuel cells, 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658675B1 (ko) * 2004-11-26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757A (ko) * 1992-03-20 1993-10-20 이태희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이러한 전극의 제조방법
WO2002017427A1 (en) 2000-08-22 2002-02-28 Catalytic Materials, Ltd Graphite nanofiber catalyst systems for use in fuel cell electrodes
WO2002075831A1 (fr) 2001-03-19 2002-09-26 Nec Corporation Électrode de pile à combustible, et pile à combustible pourvue de cette électrode
KR20060001630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55B1 (ko) 2007-01-25 2008-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담지 촉매, 상기 담지 촉매의 제조 방법 및상기 담지 촉매를 포함한 연료 전지
US8017282B2 (en) 2007-01-25 2011-09-13 Samsung Sdi Co., Ltd. Carbon nanotube, support catalyst, method of preparing the support catalyst and a fuel cell comprising the support catalyst
CN105597565A (zh) * 2016-03-11 2016-05-25 天津工业大学 聚四氟乙烯电催化多孔膜及其制备方法
CN105597565B (zh) * 2016-03-11 2018-02-27 天津工业大学 聚四氟乙烯电催化多孔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15711A1 (en) 2006-06-01
KR20060058919A (ko) 2006-06-01
DE602005020238D1 (de) 2010-05-12
CN1790783A (zh) 2006-06-21
JP4907163B2 (ja) 2012-03-28
EP1667271A1 (en) 2006-06-07
CN100399610C (zh) 2008-07-02
EP1667271B1 (en) 2010-03-31
JP2006156387A (ja)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456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0658675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CN101136480B (zh) 燃料电池用膜电极组件,其制备方法及燃料电池系统
US20070099069A1 (en) Catalyst for a fuel cell,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US9346673B2 (en) Electrode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electrode
CN101183718B (zh) 用于燃料电池的阴极催化剂、其制备方法以及包含它的膜电极组件和燃料电池
JP4786453B2 (ja) 燃料電池カソード用触媒、こ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019298A (ja)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アセンブリー,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膜−電極アセンブリーの製造方法
EP1843425B1 (en)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201816B1 (ko) 막-전극 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68479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839372B1 (ko) 연료 전지용 촉매의 제조 방법
JP4846371B2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CN100377396C (zh) 燃料电池的电极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它的膜电极组件和燃料电池系统
KR10061223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814844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035620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0578977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1147204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105700A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여료전지 시스템
KR20060022870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KR20060102029A (ko)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