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445B1 -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9445B1 KR100669445B1 KR1020060025668A KR20060025668A KR100669445B1 KR 100669445 B1 KR100669445 B1 KR 100669445B1 KR 1020060025668 A KR1020060025668 A KR 1020060025668A KR 20060025668 A KR20060025668 A KR 20060025668A KR 100669445 B1 KR100669445 B1 KR 100669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bridge
- propulsion
- upper structure
- mov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연속압출공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가설함에 있어서, 추진 단위별로 제작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현장 여건 및 경제성 등으로 인하여 교량 의 추진고(추진고:推進高)에서 조립 제작되지 못하고 추진고와 높이차를 가지고 조립 제작되는 경우, 교량 가설을 위한 각종 중량물 이송장비 및 가시설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대형 교량을 연속적으로 가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using the continuous extrusion method of the bridg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produced by the propulsion unit is not assembled and manufactured in the propulsion height of the bridge due to the site conditions and economic efficiency, etc. When assembled and manufactured with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driving heigh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large-scale bridges continuously and safely by effectively constructing various weight transfer equipment and temporary facilities for bridge construction.
본 발명에서는, 지면에서 제작되어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교량 시,종점 방향으로 가설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일정높이의 추진고를 갖는 추진용 가설벤트로 이동시키는 구조로서, 지면에서 제작된 상기 상부구조물을 추진용 가설벤트의 상단까지 경사 인양할 수 있도록 추진 높이에서 지면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지지구조물이 상기 가설벤트의 일 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에는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를 따라 승,하강하는 인양구조물이 놓여 있어; 승,하강되는 상기 인양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상부구조물이 추진용 가설벤트로 인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경사인양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사인양구조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을 추진용 가설벤트로 경사인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idge is made in the ground by the continuous extrusion method, the bridg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ridge structure to move to the propulsion tent having a propulsion height of a certain height, the propulsion of the upper structure manufactured from the ground A plurality of inclined support structures inclined downward from the propulsion height to the ground to be inclined to the upper end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vent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vent; The lifting support structure has a lifting structure that lifts and lower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An inclined lifting structure of a bridge upper structure is provided by the lifting structure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lifting the upper structure as a propulsion v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clined lifting the upper structure by using the inclined lifting structure as a propulsion ven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압출공법을 이용하여 장대 교량을 시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추진용 가설벤트로 이동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ong bridge using a general continuous extrusion method, a view showing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moved to the propulsion vent.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인양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2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ridge immediately befor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경사지지구조물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인양구조물의 상부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3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located on top of the lifting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경사지지구조물 부분의 확대도이다.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3A.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양구조물이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이동레일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ifting structure is raised along the inclined moving rail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경사지지구조물 부분의 확대도이다. 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4A.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구조물이 추진용 가설벤트로 인양된 후, 횡방향 이동되어 교량 추진지점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is moved to the bridge propulsion point laterally moved afte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서 상부구조물이 추진용 가설벤트의 상단으로 이동된 상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pulsion vent in FIG.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6 is a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3A.
도 7a는 본 발명에 구비된 경사이동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7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ilt shift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경사이동수단의 이동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vement operation of the inclined movement means shown in FIG. 7A.
도 8a는 본 발명에 구비된 수평이동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8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수평이동수단의 이동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B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ement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unit illustrated in FIG. 8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상부구조물 12 : 추진용 가설벤트10: upper structure 12: temporary construction vent
14 : 현장부지 20 : 경사지지구조물14: site site 20: inclined support structure
22 : 경사이동레일 24 : 경사이동반력대22: inclined movement rail 24: inclined movement reaction zone
26 : 개구홈 28 : 경사이동수단26: opening groove 28: inclined movement means
30 : 인양구조물 32 : 슬라이딩프레임30: lifting structure 32: sliding frame
34 : 수평이동수단 36 : 제 1수평이동레일34: horizontal moving means 36: the first horizontal moving rail
38 : 지지프레임 40 : 인양지점 38: support frame 40: lifting point
42 : 제 2수평이동레일 50,60 : 유압클램프42: second horizontal moving
52,62 : 실린더 54 : 바디52,62: cylinder 54: body
56: 유압잭 58: 롤러56: hydraulic jack 58: roller
본 발명은 장대 교량의 가설공법 중 하나인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ILM"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추진 단위별로 조립제작되는 상부구조물이 여러 가지 현장 여건으로 인하여 교량 가설 높이와 고저차를 두고 제작되는 경우, 현장부지에서 제작된 교량 상부구조물을 추진 높이까지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킴에 있어, 대형 중량물 이송장비 및 가설장비를 대거 투입하여 운용하지 않더라도 상부구조물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부구조물을 추진용 가설벤트의 추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부 구조물의 추진을 위하여 배치된 각종 건설장비 및 구조물 등과 상호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량 상부구조물의 경사인양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경사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extrusion method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 that is on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ong bridge, more specifically, due to the various site conditions of the superstructure assembled by the propulsion unit in the field When the bridge is built with the height and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manufactured at the site site up to the propulsion height, the upper structure is safe even if large-scale heavy load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emporary equipment are not put in opera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propulsion position of the propulsion vent vent, while mov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propulsion position of the propulsion vent, the various construction equipment and structures arranged for the propulsion of the upper structure, etc. Slope lifting structure of a new type of bridge superstructure and its use It relates to a lifting slope way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ILM을 이용하여 장대 교량을 시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추진용 가설벤트(12) 상단으로 인양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ILM에서는, 추진 단위별로 제작된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최종 교량 가설 높이와 유사하게 결정되는 교량 추진 높이에서 교량의 시,종점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순차 추진시켜 교량을 완성하게 된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long bridge using a general ILM, and shows the shape of the bridge immediately before the
이러한 ILM을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서 교량의 추진 위치 후방에는 상부구조물(10)에 대한 조립 제작과 추진하기 위한 현장부지(14)가 조성되는데, 상기 현장부지(14)가 현장 여건 및 경제성 등으로 인하여 교량 추진 높이로 조성되지 못하는 경우, 추진용 가설벤트(12)가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상단 높이와 유사한 추진 높이를 이루도록 가설하여 추진고(추진고:推進高)를 확보하게 된다.In order to construct a bridge using the ILM, a
이와 같이 조성된 상기 현장부지(14)에서 조립 제작된 상부구조물(10)은, 추진용 가설벤트(12)로 이동된 후, 후방에서 별도의 추진수단을 교량 시,종점 방향으로 순차 추진시켜 최종적으로 교량을 완성하게 된다.The
종래의 경우, 상기 현장부지(14)에서 조립 제작된 상부구조물(10)을 추진용 가설벤트(12)로 인양시킬 때, 이미 조립 제작된 상부구조물(10)을 인양하기 위하여 크레인 등의 각종 중량물 이송장비가 대거 투입되어야 하며, 이들 중량물 이송장비의 현장동원 가능성 및 운용방법 등이 교량의 추진 단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각종 중량물 이송장비들이 대거 투입될 경우, 중량물 이송장비들의 운용에 따른 사용료가 막대하여 공사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이송장비의 작업 반경에 따른 소요 현장부지 증대, 지반 지지력확보를 위한 지반 개량 등에 공사비용의 추가 발생이 불가피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lifting the
또한, 상부구조물(10)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중량물 이송장비들이 근거리에 밀집되는 경우, 이러한 장비들의 현장 운용에 많은 제약이 발생하 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구조물(1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교량 가설을 위한 연속추진을 수행함에 있어서 공사기간이 지연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eavy load transport equipment is concentrated in close proximity to move the
또한, 상부구조물(10) 가설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교량의 추진 단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중량물 이송장비의 규모는 증가되고, 이에 따른 상기 장비의 작업반경 증가로 인하여 상호 운용상 중량물 이송장비간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충돌에 의한 장비의 파손 시에는 대부분이 고가의 장비이므로 막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eavy weight transfer equipment is increased so that the propulsion unit of the bridge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pper structure (10) hypothesis, the weight transfer equipment for interoper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working radius of the equipmen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two is very high, and when the equipment is damaged by the collision, since most of the expensive equipment, huge financial loss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현장부지로부터 추진용 가설벤트로 경사 및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이동경로 및 이동반경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사인양구조 및 이를 이용한 경사인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mov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from the site site to the propulsion vents inclined and horizontal,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path and radius of the upper structure, and also the safety of the upper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clined lifting structure which can be continuously and quickly and continuously moved and an inclined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ILM에 따라 교량의 시,종점 방향으로 추진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추진용 가설벤트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현장부지에서 조립 제작된 상기 상부구조물을 가설벤트로 경사 인양할 수 있도록 추진 높이에서 지면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지지구조물이 상기 가설벤트의 일 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에는 경사 인양되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를 따라 승,하강하는 인양구조물이 놓여 있어; 승,하강되는 상기 인양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상부구조물이 추진용 가설벤트로 인양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경사인양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ructure for mov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prope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tart and end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ILM to the propulsion temporary vent, the construction of the superstructure assembled on the site site A plurality of inclined support structures inclined downward from the propulsion height to the ground to be inclined to be lifted by a vent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mporary vent;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lifting structure which lifts and lower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inclined and lifted;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e inclined lifting structure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is lifted by the propulsion vents by the lifting structure to be raised and lowe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에서 경사지지구조물은, 길이 및 경사각을 가진 경사이동레일이 상부 양측에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가설벤트의 추진 높이에서 지면으로 경사져 있고, 양편 경사이동레일의 사이에 인양구조물을 승,하강시키는 경사이동수단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경사이동시 발생하는 경사반력을 별개의 반력구조물로 전달시키기 위한 경사이동반력대가 지나가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the inclined moving rail having a length and an inclination angle are arranged in parallel at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upper inclined from the propulsion height of the temporary vent to the ground, between the two inclined moving r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movement reaction zon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nclined movement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structure and transmitting the inclined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inclined movement to a separate reaction force structure passes.
상기한 구성에서, 현장부지에는 경사지지구조물을 구성하는 경사이동레일과 경사이동반력대가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지하로 연장 설치되도록 지면으로부터 깊이를 가진 개구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양구조물이 지면으로부터 개구홈의 내부로 하강되도록 하여 상부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상호 간섭 및 충돌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te site is formed with an opening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ground so that the inclined movement rail and the inclined movement reaction band constituting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extends underground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the lifting structure is an opening groove from the ground By lowering to the inside of the mutual interference and collis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uperstructure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에서 인양구조물은,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이동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딩프레임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수평이동수단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1수평이동레일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lifting structure, the sliding frame which slides along the inclined moving rail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is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support for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means whil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on the upper spaced from the sliding frame One horizontal moving rail may be configured in a horizontal arrangement.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사 인양구조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을 경사인양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현장부지에서 조립 제작된 상기 상부구조물을 추진용 가설벤트로 경사 인양할 수 있도록 추진 높이에서 지면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지지구조물을 상기 가설벤트의 일 측에 복수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에는 경사 인양되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를 따라 승,하강하는 인양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을 따라 하강되어 있는 인양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구조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인양구조물을 상기 경사지지구조물을 따라 상승 이동시켜 상부구조물을 가설벤트의 추진 높이로 경사 인양하는 단계; 및 인양구조물에 의해 인양된 상기 상부구조물을 교량 추진 지점까지 교량 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양방법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ilting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inclined lifting structure, specifically, from the height from the propulsion height to the ground so that the upper structure assembled and assembled at the site site can be inclined lifting with a propulsion vent. Installing a plurality of downwardly inclined support structures on one side of the temporary vent; Installing, on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a lifting structure which supports a bottom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inclined and lifted up and down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Moving the upper structure to be positioned above the lifting structure lowered along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Moving the lifting structure up and down along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to incline and lift the upper structure to the propulsion height of the temporary vent; And horizontally moving the superstructure lifted by the lifting structure horizontally in the bridge direction to the bridge propulsion point.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인양구조 및 경사인양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 및 도 2b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인양구조물(30)의 상부에 위치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인양구조물(30)의 상부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지구조물(20)의 경사이동레일(22)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5a 및 도 5b는 상부구조물(10)이 추진용 가설벤트(12)로 이동된 후 교량 추진 지점까지 횡방향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상태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Figures 2a to 5b is a view showing each step of the inclined lifting structure and the inclined lif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just before the
도 2a, 도 2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추진용 가설벤트(12)의 일측에 접하도록 경사지지구조물(20)이 설치되는데,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은, 상부구조물(10)의 종방향 길이 내의 범위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은, 가설벤트(12)의 추진 높이에서 현장부지(1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경사이동레일(22), 상기 경사이동레일(2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경사이동수단(28)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경사이동시, 발생하는 경사반력을 개구홈(26)내의 반력구조물로 전달시키기 위한 경사이동반력대(24), 및 상기 경사이동레일(22)을 지지하는 수직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2a, 2b and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의 경사이동레일(22)과 경사이동반력대(24)가 지하로 연장될 수 있도록, 현장부지(14)에는 개구홈(26)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을 구성하는 경사이동레일(22)과 경사이동반력대(24)가 개구홈(26)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개구홈(26)은 후술하는 인양구조물(30)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 위에는 인양구조물(30)이 놓여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인양구조물(30) 위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놓이게 되어 상부구조물(1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을 따라 안전하게 가설벤트(12)로 인양된다. The lifting
도 4b에는 상기 인양구조물(30)의 일실시예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 는데,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인양구조물(30)에는, 상기 경사지지구조물(20)의 경사이동레일(22)의 상면에 각각 놓여 슬라이드 타입으로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딩프레임(3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양구조물(30)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제 1수평이동레일(36)이 수평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2)과 제 1수평이동레일(36) 사이에는 상기 제 1수평이동레일(36)을 수평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8)이 구비되어 있다. Figure 4b is shown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lifting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2)에는 후술하는 경사이동수단(28)이 밀어줄 수 있는 인양지점(40)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2)이, 경사이동레일(22)을 이루는 2개의 경사진 경로를 따라 서로 평행한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인양지점(40)은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2)의 2개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경사이동수단(28)이 상기 인양지점(40)을 밀게 되어 상기 인양구조물(30)을 이동시키게 된다. The sliding
한편, 상기 인양구조물(30)의 제 1수평이동레일(36)에는 수평이동수단(34)이 구비되어 상부구조물(10)이 상기 제 1수평이동레일(36)을 따라 상기 가설벤트(12)로 수평 이동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horizontal moving
다음에서는 앞서 설명된 경사인양구조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경사 인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rocess of tilting the
ILM에 의하여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 1을 통해 설명되었듯이 현장부지(14)에서 상부구조물(10)의 조립 제작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제작이 완료된 상부구조물(10)은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장비에 실려 상기 인양구조물(30)의 상부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인양구조물(30)은 현장부지(14)에 형성된 개구홈(26) 내에 위치해 있으므로 상기 상부구조물(10)은 단지 상기 개구홈(26) 위의 위치에 놓인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상부구조물(10)이 개구홈(26) 위, 즉 인양구조물(30)의 상부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지지구조물(20)에 구비되어 있는 경사이동수단(28)이 경사이동반력대(24)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양구조물(30)을 상승시키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이동수단(28)이 인양구조물(30)의 인양지점(40)을 밀게 되어 상기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지구조물(2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In constructing the bridge by the ILM, first,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이와 같이, 현장부지(14)의 개구홈(26)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지구조물(20)을 따라 점차 상승 이동하면서, 상부구조물(1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인양구조물(30)의 제 1수평이동레일(36)에 구비되어 있던 수평이동수단(34)이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인양구조물(30) 위에 놓이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지구조물(20)을 따라 계속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부구조물(10)은 수평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As such, the lifting
인양구조물(30)의 제 1수평이동레일(36)이 가설벤트(12)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 2수평이동레일(42)과 동일 높이까지 인양구조물(30)이 올라가게 되면 상기 인양구조물(30)의 상승이 멈추게 된다.When the lifting
위와 같이 인양구조물(30)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10)이 추진용 가설벤트(12) 방향으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교량의 추진지점에 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10)이 교량 추진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인양구조물(30)에 구비된 수평이동수단(34)이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수평하게 밀게 된다. 즉, 상기 수평이동수단(34)이 상기 인양구조물(30) 상단의 제 1수평이동레일(36)과 추진용 가설벤트(12) 상단의 제 2수평이동레일(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상부구조물(10)이 교량의 추진 지점까지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상기 상부구조물(10)이 교량 추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구조물(10)의 배후에서 별도의 교량 추진장비를 이용 교량의 시.종점방향으로 교량을 추진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반복된 상부구조물(10)의 순차적인 추진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교량이 완성된다.When the
도 7a에는 상기 경사이동수단(28)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상기 경사이동수단(28)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8a에는 상기 수평이동수단(34)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상기 수평이동수단(34)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상기 경사이동수단(28)과 수평이동수단(34)에 대한 동작설명을 통하여 인양구조물(30)이 승,하강되는 과정과 상부구조물(10)이 교량의 추진 지점으로 신속히 이동되는 과정을 더욱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일 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사이동수단(28) 및 수평이동수단(34)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을 가진 이동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A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clined movement means 28 in a perspective view, and in FIG. 7B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clined movement means 28 is shown. Meanwhile, FIG. 8A shows an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means 34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8B show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means 34. 7A, 7B, 8A, and 8B illustrate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경사이동수단(28)은, 경사지지구조물(20)의 경사이동반력대(24)의 양측면을 강하게 압지방식으로 잡아줄 수 있는 유압클램프(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대응하는 유압클램프(50)간에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52)로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경사이동수단(28)은, 상기 유압클램프(50)간에 클램핑/언클램핑을 서로 번갈아 반복하면서 실린더(52) 로드의 왕복동작에 따른 신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경사지지구조물(20)의 경사이동반력대(2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이동수단(28)의 일측 유압클램프(50)가 인양구조물(30)의 슬라이딩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된 인양지점(40)을 밀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인양구조물(30)이 경사지지구조물(2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7A and 7B, the inclined movement means 2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수평이동수단(34)은, 상부구조물(1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유압잭(56)이 바디(54)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고,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롤러(58)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디(54)와, 그 일측에 배치된 유압클램프(60) 사이에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62)가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34 shown in Figures 8a and 8b, the
위와 같이 구성된 수평이동수단(34)이 제 1수평이동레일(36)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유압클램프(60)가 제 1수평이동레일(36)을 따라 클램핑/언클램핑을 반복 하게 되면서, 실린더(62) 로드가 왕복동작하여 신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34)이 인양구조물(30) 상단의 제 1수평이동레일(36))과 가설벤트(43) 상단의 제 2수평이동레일(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When the horizontal moving means 3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first horizontal moving
본 발명에 따른 경사인양구조 및 이를 이용한 경사인양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지상에서 제작된 상부구조물(10)을 추진 지점까지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상부구조물(10)이 이동시 각종 이송장비 혹은 가설벤트(12) 등과 야기될 수 있는 간섭이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clined lifting structure and the inclined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fore, chang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추진용 가설벤트의 일 측에 경사를 가지는 경사지지구조물이 설치되고, 상부구조물이 경사지지구조물의 경사를 따라 가설벤트로 직접 경사 인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부구조물을 추진 지점까지 옮기기 위한 각종 중량물 이송장비 및 가설장비를 대거 투입하여 사용하지 않더라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교량를 가설할 수 있게 되어 교량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pport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pulsion temporary vent, and the upper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is directly inclined and lift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tructure. Therefore, even without using a large amount of various weight transfer equipment and construction equipment for mov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propulsion poi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dge safely and quickly continuously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ridge.
또한, 위와 같이 각종 중량물 이송장비들이 투입이 최소화되어 중량물 이송장비들의 운용에 따른 공사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종래와 같이 중량물 이송장비들을 일시에 투입 동원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되고, 아울러 대규모 인양 계획에 따른 장비간의 충돌이나 이동 제약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of various heavy weight transportation equipments is minimiz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vy weight transportation equipments, and the difficulty of mobilizing the heavy weight transportation equipments at a time is eliminated as in the prior art, and at the same time a large lifting plan Conflicts and movement constraints can also be eliminat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668A KR100669445B1 (en) | 2006-03-21 | 2006-03-21 |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668A KR100669445B1 (en) | 2006-03-21 | 2006-03-21 |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9445B1 true KR100669445B1 (en) | 2007-01-16 |
Family
ID=380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5668A Active KR100669445B1 (en) | 2006-03-21 | 2006-03-21 |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944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987B1 (en) | 2008-10-31 | 2009-06-26 | 현대스틸산업주식회사 | Arch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tinuous extrusion method |
KR101243776B1 (en) | 2011-11-18 | 2013-03-15 | 태광중건설 주식회사 |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or bridge |
KR20170021051A (en) | 2015-08-17 | 2017-02-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Transportation system |
US20210040755A1 (en) * | 2018-03-09 | 2021-02-11 | Peri Gmbh | Supporting devic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rrangement consisting of at least two such supporting devices, incremental launch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 supporting a load element using such a support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78655A (en) * | 1988-04-27 | 1989-11-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Mobile work bench device for inclined face |
JPH01278656A (en) * | 1988-04-27 | 1989-11-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Mobile work bench device for inclined face |
-
2006
- 2006-03-21 KR KR1020060025668A patent/KR1006694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78655A (en) * | 1988-04-27 | 1989-11-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Mobile work bench device for inclined face |
JPH01278656A (en) * | 1988-04-27 | 1989-11-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Mobile work bench device for inclined fa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987B1 (en) | 2008-10-31 | 2009-06-26 | 현대스틸산업주식회사 | Arch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tinuous extrusion method |
KR101243776B1 (en) | 2011-11-18 | 2013-03-15 | 태광중건설 주식회사 |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or bridge |
KR20170021051A (en) | 2015-08-17 | 2017-02-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Transportation system |
US20210040755A1 (en) * | 2018-03-09 | 2021-02-11 | Peri Gmbh | Supporting devic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rrangement consisting of at least two such supporting devices, incremental launch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 supporting a load element using such a supporting device |
US11988002B2 (en) * | 2018-03-09 | 2024-05-21 | Peri Se | Supporting devic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rrangement consisting of at least two such supporting devices, incremental launch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load element using such a suppor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10274B (en) | Pipe jacking pipeline butt joint device and method | |
CN107725078B (en) | Mining face crossheading circulation self-moving advanced support system and track self-moving system | |
KR100669445B1 (en) | Slope lifting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slope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09594777B (en) | 3D printing method and equipment for building blocks | |
CN112757968A (en) | Lifting type mobile contact net supporting device, mobile contact net and operation method | |
WO2025026413A1 (en) | Material distribution unit, longitudinal-bar material distribution apparatus and longitudinal-bar material distribution method | |
CN112323657A (en) | Integrated prefabricated bridge dismantling machine and prefabricated bridge dismantling method | |
US8025462B2 (en) | Displaceable platform structure and method of the displacement thereof | |
CN216141148U (en) | All-round steady movement's portal crane | |
JP5315718B2 (en) |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 |
CN114000437A (en) | Continuous pushing and deviation rectifying system for steel box girder | |
KR200227769Y1 (en) | movable hoist equipment | |
KR101203079B1 (en) |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ilm having function of continuous extrusion of upper girder and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using it | |
JPH09235707A (en) | Self-climbing device for lifting tower structures | |
CN214423296U (en) | Special equipment for erecting prefabricated parts | |
CN111891585B (en) | Container structure easy for hoisting and positioning heavy goods | |
CN210710588U (en) | Hoisting system for prefabricated trenches in confined spaces with limited height | |
CN114988301A (en) | A track-type movable tower crane suitable for a steel platfor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19015151A (en) | Demolition system for existing structures | |
CN210439083U (en) | Maglev track panel transportation and pushing system | |
CN211813333U (en) | Self-moving system of super-large mining height equipment train | |
CN120007328A (en) | Three-telescopic-tube sliding support and supporting method thereof | |
CN215150291U (en) | Lifting machine and concrete prefabricated part production line with same | |
CN219096537U (en) | Lifting type mobile contact net supporting device and mobile contact net | |
CN103243677A (en) | Assembly apparatus of long and large steel plate unit and movement method of long and large steel plate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