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331B1 - Secondary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9331B1 KR100669331B1 KR1020050007022A KR20050007022A KR100669331B1 KR 100669331 B1 KR100669331 B1 KR 100669331B1 KR 1020050007022 A KR1020050007022 A KR 1020050007022A KR 20050007022 A KR20050007022 A KR 20050007022A KR 100669331 B1 KR100669331 B1 KR 100669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battery module
- fixing member
- secondary battery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전지와 전지 격벽간의 정렬을 보다 손쉽게 하여 단위 전지와 전지 격벽간 정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가 적층된 전지 집합체의 양 끝에 배치되는 앤드플레이트, 상기 앤드플레이트를 가압 체결하는 연결로드와 너트, 상기 앤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전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end plat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assembly in which the unit cells are stacked to more easily align the unit cells and the battery partitions to prevent misalignment between the unit cells and the battery partitions. A secondary battery module is provided between a connection rod and a nut that press-fits the end plate, and a restric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end plate and the position plate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unit battery.
규제부, 고정부재, 홈, 지지홈, 관통홀Regulating part, fixing member, groove, support groove, through ho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전지와 격벽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of a battery and a partition wall when a unit cell is connected to form a battery module.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 secondary battery is a low-capacity battery that is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camcorders. It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motor.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and rectangular shapes.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the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one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modu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out) is made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cel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ich are each connected in series. The unit cell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the case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the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sealed, the cap assembly protrudes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를 일렬로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 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Each unit cell is arranged in a row, and a battery module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nd installing a conductor between nuts through a screwed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그런데 각각의 단위전지는 작동 시에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고, 다수의 단위 전지로 구성된 상기 전지 모듈의 경우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each unit cell generates heat internally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in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function only when it is possible to easily release heat generated.
이에 종래의 전지 모듈은 전지 모듈내의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 수개의 단위 전지를 나란히 배열하고 각 단위 전지 사이에는 냉매가 유통할 수 있 는 통로가 형성된 전지격벽을 설치하여 냉매를 유통시킴으로써 단위 전지를 냉각시키고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In order to dissipate heat in a battery module,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rranges several unit cells side by side in a housing, and installs cell partition walls having passages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there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s cooled and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unit cells.
그런제 종래의 전지격벽의 경우 전지 모듈 조립시 단위 전지와 전지격벽 간에 상호 위치규제가 어려워 위치가 제대로 맞지 않고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part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battery partition is difficult to assemble when the battery module is assembled, the position does not fit properly and assembly failure occurs.
이와 같이 종래의 전지 모듈은 전지와 전지격벽 간의 정렬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특허 HEV(Hybrid Electric Vehicle)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 모듈과 같이 수십개의 단위 전지가 적층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As such, since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is very difficult to align between a battery and a battery partition wall,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and when dozens of unit cells are stacked, such as a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ed to a patented hybrid electric vehicle (HEV). This problem becomes even larger.
또한, 상기와 같이 전지와 전지격벽간의 정렬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전지 모듈의 경우 전지와 전지격벽간에 위치가 균일하지 않게 되고 이는 조립불량으로 연결되어 전지 모듈의 성능저하의 요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lignm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battery partition is difficult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the position between the battery and the battery partition is not uniform, which leads to poor assembly, which cause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battery modu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전지와 전지 격벽간의 정렬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단위 전지와 전지 격벽간 정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to align the unit cell and the battery partition wall,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from misalignment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battery partition wall. In provid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가 적층된 전지 집합체의 양 끝에 배치되는 앤드플레이트, 상기 앤드플레이트를 가압 체결하는 연결로드와 너트, 상기 앤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 어 상기 단위 전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end plates disposed at both ends of a battery assembly in which the unit cells are stacked, connecting rods and nuts for press-fitting the end plates, and the end plates. It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unit battery.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전지 집합체의 측면에 접하는 평탄부와, 이 평탄부의 마주보는 선단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이 체결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end plate includes a flat portion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to a distal end of the flat portion, and the connecting rod penetrate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규제부는 전지 집합체의 일측면에 접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의 접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전지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 전지가 끼워지는 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gulat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a groov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nit battery to accommodate the unit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가 상부를 향하도록 세웠을 때 상기 단위 전지의 바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fix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unit battery when the terminal of the unit battery is oriented upward.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는 단위 전지의 바닥쪽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위 전지의 양 측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bottom side of the unit battery and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 ends of the unit battery.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위 전지의 하단이 홈에 끼워져 그 위치가 규제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wer end of the unit battery can be regulated its position.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절연재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다.And the fixing part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preferably a plastic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그 사이로 냉각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전지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partition wall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unit cells between the unit cells to distribute the cooling medium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홈과 홈 사이의 간격은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설치되는 전지격벽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한다.The interval between the groove and the groove of the fixing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artition wall installed between the unit cells.
따라서 단위 전지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전지격벽은 홈과 그 사이에 놓여져 위치가 규제되면서 단위 전지와 전지격벽의 높이가 균일하게 맞춰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ell and the cell partition wall installed therebetween are placed between the grooves and the grooves are regulated, whereby the height of the unit cell and the cell partition wall can be uniformly matched.
한편, 상기 규제부를 이루는 고정부재와 상기 앤드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로드 위에 놓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mber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end plate constituting the regulating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is placed on the connecting rod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nd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앤드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연결로드가 안착되는 지지홈이 상기 연결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od is a support groove for mounting the connecting rod for fastening the end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로드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상기 연결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fixing member is a through hol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is f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od.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는 앤드플레이트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can be easily installed between the end plate.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that operates by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Can be u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에서는 전지모듈의 냉각방식으로 공기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of using air as a cooling method of the battery modu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위 전지(11)와,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 전지 사이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고 단위 전지(1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전지격벽(13), 상기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13)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14)의 양 측단에 밀착설치되는 앤드플레이트(20), 상기 앤드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앤드플레이트(20)를 조여 전지 집합체(14)를 고정하는 연결로드(24)와 연결로드(24)에 체결되는 너트(25)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large
상기 앤드플레이트(20)는 단위 전지(11) 또는 전지격벽(13)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평탄부(21)와, 이 평탄부(2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2)에는 상기 연결로드(24)가 관통되도록 홀(2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평탄부(21)의 상단이라 함은 도 1에서와 같이 단위 전지(11)의 단자(12)가 상부를 향하도록 단위 전지(11)를 세웠을 때,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평탄부(21) 위쪽을 의미하며 하단이라 함은 하부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Herein, the upp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22)는 평탄부(21)의 양 선단에 두 개씩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결부(22)의 개수에 대해서는 중앙에 한 개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astening
또한, 상기 연결로드(24)는 볼트 형태로 상기 전지 집합체(14)와 두 개의 앤드플레이트(20)의 적층 길이에 충분히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선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25)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상기한 구조의 앤드플레이트(20)는 상기 전지 집합체(14)의 양측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체결부(22)의 홀(23)을 통해 연결로드(24)를 각각 관통시키고 일측 체결부(22)의 홀(23)을 통해 돌출된 연결로드(24)의 선단에 너트(25)를 체결함으로써 전지 집합체(14)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The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10)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상기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13)이 놓여지고 그 위치가 규제되는 고정부재(30)가 더욱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의 단위 전지(11)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전지격벽(13)이 이루는 전지 집합체(14)가 놓여지도록 전지 집합체(14)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3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위에 상기 전지격벽(13)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의 홈(31)은 단위 전지(11)가 안착되도록 이 단위 전지(1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상기 홈(31)의 깊이는 단위 전지(11)가 걸릴 수 있는 정도면 되며 그 수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depth of the
그리고 상기 홈(31) 사이 즉, 상기 돌출부는 전지격벽(13)이 위치하는 공간으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전지격벽(13)의 두께와 대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이와같이 상기 전지 집합체(14)를 이루는 각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13) 이 상기 고정부재(30) 위에 설치됨에 따라 각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13)의 위치가 균일하게 맞춰질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한편, 도 2는 본 전지 모듈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30)는 전지 집합체(14)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앤드플레이트(20) 사이에서 앤드플레이트(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24) 위에 놓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 the fixing
즉, 상기 앤드플레이트(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22)의 홀(23)을 통해 각각 연결로드(24)가 관통되어 너트(25)로 체결 조립됨으로써 전지 집합체(14)를 고정하게 되는 데,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로드(24) 위에 놓여져 상태로 상기 연결로드(24)가 고정부재(30)를 받쳐 지지하고 있게 된다.That is, the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로드(24)의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연결로드(24)와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로드(24)가 놓여지는 지지홈(3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a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0)는 지지홈(32)이 연결로드(24)에 놓여져 연결로드(24)가 지지홈(32) 내로 안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로드(24) 위에 놓여질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그 위에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13)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한편, 도 4는 본 고정부재(3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fixing member (30).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30)는 상단에 단위 전지(11)가 놓여지 도록 홈(3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로드(24)가 관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3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fixing
여기서 상기 관통홀(33)은 앤드플레이트(20)의 체결부(22)에 설치되는 연결로드(2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Here, the through
이와같이 고정부재(30)에 관통홀(3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는 관통홀(33)을 통해 연결로드(24)에 설치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로드(24)가 두 개의 앤드플레이트(20)에 장착됨으로써 고정부재(30)의 결합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forming the through
상기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battery for HEV requiring high output / large capacity, but its u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HEV.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모듈 조립시 모듈내에 설치되는 각 단위 전지와 전지격벽 간의 위치가 균일하게 맞춰져, 단위 전지 정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battery module is assembled, the positions between the unit cells installed in the module and the battery partition wall are uniformly aligned,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unit battery alignment work.
또한,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내의 각 단위 전지와 전지격벽의 정렬상태를 양 호히 하여 각 단위 전지의 냉각조건을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cell and the battery partition wall in the battery module can be aligned properly, thereby providing uniform cooling conditions for each unit cell.
또한, 전지모듈 내의 각 단위 전지와 전지격벽의 조립 불량에 따른 전지 파손 등을 방지하여 전지 모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attery breakage due to poor assembly of each unit battery and the battery partition in the battery module,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022A KR100669331B1 (en) | 2005-01-26 | 2005-01-26 | Secondary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022A KR100669331B1 (en) | 2005-01-26 | 2005-01-26 | Secondary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119A KR20060086119A (en) | 2006-07-31 |
KR100669331B1 true KR100669331B1 (en) | 2007-01-15 |
Family
ID=3717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022A Expired - Lifetime KR100669331B1 (en) | 2005-01-26 | 2005-01-26 | Secondary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93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7222B1 (en) * | 2009-11-16 | 2011-12-21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end plate structure |
US9083029B2 (en) | 2009-12-23 | 2015-07-14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KR101680709B1 (en) * | 2010-11-12 | 2016-12-1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case |
-
2005
- 2005-01-26 KR KR1020050007022A patent/KR10066933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119A (en) | 2006-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8697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JP4858726B2 (en) | Secondary battery holding structure | |
KR101909215B1 (en) | Battery submodule carrier, battery submodule, battery system and vehicle | |
KR100949333B1 (en) | Battery module | |
KR10094933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20150104686A1 (en) | Battery and Cell Block for a Battery | |
EP2515361B1 (en) | Battery unit | |
US20230112307A1 (en) | Battery pack | |
KR100669424B1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Modules | |
KR20060102851A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JP2007048750A (en) | Battery module | |
KR20170022783A (en) | Battery module | |
KR100627394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1256063B1 (en) | Battery module | |
KR100669468B1 (en) | Partition wall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90050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69333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84764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rod for fixing unit battery | |
KR101201813B1 (en) | Battery module | |
KR100590049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unit cell fixing plate | |
KR10066933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070025735A (en) | Partition wall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27343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58677B1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Modules | |
KR10069663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