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89B1 -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9189B1 KR100669189B1 KR1020030077306A KR20030077306A KR100669189B1 KR 100669189 B1 KR100669189 B1 KR 100669189B1 KR 1020030077306 A KR1020030077306 A KR 1020030077306A KR 20030077306 A KR20030077306 A KR 20030077306A KR 100669189 B1 KR100669189 B1 KR 100669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cover
- cam
- mobile phone
- hinge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커버(2)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하우징(10)과, 휴대폰 본체(1)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캠작동부(21)를 구비한 힌지축(20)과,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와 마찰접촉하여 캠작동부(21)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부(31)를 구비한 힌지캠(30) 및,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캠(30)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힌지스프링(40), 상기 힌지축(20)의 일측 외주면에 마찰부(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2)의 일측에 상기 힌지축(20)의 마찰부(50)와 마찰접촉하는 드럼부(60)를 구비한 제동기구로 구성되어, 커버의 화면부를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된 상태시켜 통화시와는 다르게 눈에 편한 선회각도로 화면부를 주시하면서 키패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the hinge housing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over (2),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inge housing (10) The hinge shaft 20 is coupled to the axial rotation and has a cam operating portion 21 on one side, and the rotation is prevented in the hinge housing 10 so that only the slid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is coupled and at one end thereof. A hinge cam 30 having a cam portion 31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cam operating portion 21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cam operating portion 21 of the hinge shaft 20, and inside the hinge housing 10. The hinge spring 40 for elastically moving the hinge cam 30, the friction part 50 protrudes from one sid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20, and the hinge on one side of the cover 2. A screening part of the cover, comprising a brake mechanism having a drum part 60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50 of the shaft 20. To a standstill at an angle so that it can operate the keypad while watching parts of the screen at a comfortable angle, turning the eye, unlike during the call.
휴대폰, 힌지, 제동, 브레이크, 캠Mobile phone, hinge, braking, brake, cam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의 힌지캠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cam of the cover hing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 힌지캠의 캠선도,3 is a cam diagram of the conventional hinge cam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을 나타낸 일측면도로,5 is a side view showing a hinge ax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정면도,(a) is a front view,
(b)는 (a)의 우측면도,(b) is a right side view of (a),
(c)는 (a)의 좌측면도,(c) is a left side view of (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몸체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몸체를 나타낸 일측면도로,7 is a side view showing a drum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측단면도,(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b)는 (a)의 A-A선 절개단면도,(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a),
(c)는 (a)의 B-B선 절개단면도,(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과 드럼몸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8 is a sid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hinge shaft and the drum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ver hing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의 부분 조립상태를 부분사시도,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assembled state of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의 조립단면도,11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cover hing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의 캠선도로, 12 is a cam line diagram of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힌지캠의 캠선도,(a) is the cam diagram of the hinge cam,
(b)는 드럼부의 전개도,(b) is an exploded view of the drum por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커버의 개폐위치와 마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cove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fri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구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커버1: body 2: cover
10 : 힌지하우징 15 : 회전축10: hinge housing 15: rotating shaft
20 : 힌지축 21 : 캠작동부20: hinge shaft 21: cam operating part
22 : 회전스토퍼 30 : 힌지캠22: rotating stopper 30: hinge cam
31 : 캠부 31a : 제1정지홈31:
31b : 상향 경사면 31c : 하향 경사면31b:
31d : 제2정지홈 31e : 휴지부31d:
31f : 제3정지홈 40 : 힌지스프링31f: 3rd stop groove 40: hinge spring
50 : 마찰부 51 : 스토퍼돌기50: friction portion 51: stopper protrusion
60 : 드럼부 61 : 드럼몸체60: drum 61: drum body
62 : 걸림턱 63 : 스토퍼홈62: jamming jaw 63: stopper groov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타입의 커버를 단말기 몸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upling a folder-type cover to the terminal body.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하우징(10)과,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축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에 캠작동부(21)를 구비한 힌지축(20)과,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축방향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게 되며 일단에 상기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와 마찰접촉하여 캠작동부(21)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부(31)를 구비한 힌지캠(30) 및,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캠(30)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힌지스프링(40)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the hinge device includes a
휴대폰의 커버는 상기 힌지축(20)에 의해 선회하여 개폐되고, 상기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와 상기 힌지캠(30)의 캠부(31)의 작용에 의해 소정의 선회각도 이하에서는 닫힘위치로 급속 선회하고, 소정의 선회각도 이상에서는 열림위치로 급속 선회하게 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of the mobile phone is pivoted by the
한편, 휴대폰에 문자서비스, 게임과 동영상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면서 커버의 화면부를 장시간 주시하면서 키패드를 조작하게 되나, 종래의 커버는 임의의 선회각도에서 정지되지 않아 본체의 키패드와 커버의 화면부가 항상 일정한 열림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구현하는 기능에 따라 화면부를 보는 각도가 맞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고, 자칫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while various functions such as text service, game and video are added to the mobile phone, the keypad is operated while watching the screen portion of the cover for a long time, but the conventional cover is not stopped at an arbitrary turning angle, so the keypad of the main body and the screen portion of the cover are always Since maintaining a constant opening angle, there was a discomfort that the angle of view of the screen portion does not fit according to the function to be implemen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lower the eyesight.
따라서, 힌지캠(30)의 캠선도에 따라 소정의 선회구간에서 강제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힌지장치에서 힌지캠(30)의 캠부(31)는, 커버가 완전 닫힘위치(A)에 있을 때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를 안착시켜 정지시키는 제1정지홈(31a)과, 커버의 완전 닫힘위치(A)에서 소정의 경계위치(B) 사이에 구비된 위로 볼록하게 점차 증가하는 포물선형상의 상향 경사면(31b)와, 상기 경계위치(B)에서 소정의 열림각도만큼의 급속 열림위치(C) 사이에 구비된 위로 볼록하게 점차 하강하는 포물선 형상의 하향 경사면(31c)와, 상기 급속 열림위치(C)에서 상기 캠작동부(21)를 안착시켜 정지시키는 제2정지홈(31d)과, 상기 제2정지홈(31d)에서 완전 열림위치(D) 사이에 구비된 일정한 높이의 휴지부(31e), 상기 휴지부(31e)가 끝나는 완전 열림위치(D)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캠작동부(21)를 완전 열림위치(D)에서 정지시키는 제3정지홈(31f)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ly, a hinge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does not force open or close in a predetermined turning section according to the cam diagram of the
상기 캠부(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선도를 나타내고, A-C구간에서는 힌지스프링(4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신속하게 개폐되고, C-D구간에서는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아 임의의 지점에서 정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제동기구가 구비되지 않아 제대로 정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버를 임의의 선회구간에서 정지시켜 커버의 화면부를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된 상태로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ver hinge device of a mobile phone, which is devised to achieve the object described above, by stopping the cover in any turning section to observe the screen portion of the cover in a stationary state at any angle. Has its purpos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하우징과, 휴대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하우징의 내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캠작동부를 구비한 힌지축과, 상기 힌지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힌지축의 캠작동부와 마찰접촉하여 캠작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부를 구비한 힌지캠 및, 상기 힌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캠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힌지스프링, 상기 힌지축의 일측 외주면에 마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힌지축의 마찰부와 마찰접촉하는 드럼부를 구비한 제동기구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inge hous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inge housing rotatably rotatable cam operation portion A hinge having a hinge shaft provided therein and a cam portion for preventing rotation in the hinge housing and allowing only a slid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and frictionally contacting the cam operating portion of the hinge shaft at one en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cam operating portion. Cam and a hinge spring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hinge housing and elastically moves the hinge cam, a friction portion protrudes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and frictionally contacts the friction portion of the hinge shaft on one side of the cover. It consists of a braking mechanism with a p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버(2)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하우징(10)과, 휴대폰 본체(1)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축(15)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캠작동부(21)를 구비한 힌지축(20)과,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와 마찰접촉하여 캠작동부(21)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부(31)를 구비한 힌지캠(30) 및, 상기 힌지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캠(30)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힌지스프링(40), 상기 힌지축(2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제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Cover hing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13, the
상기 힌지캠(30)의 캠부(31)는 도 4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2)가 완전 닫힘위치(A)에 있을 때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를 안착시켜 정지시키는 제1정지홈(31a)과, 커버(2)의 완전 닫힘위치(A)에서 소정의 경계위치(B) 사이에 구비된 위로 볼록하게 점차 증가하는 포물선형상의 상향 경사면(31b)와, 상기 경계위치(B)에서 소정의 열림각도만큼의 급속 열림위치(C) 사이에 구비된 위로 볼록하게 점차 하강하는 포물선 형상의 하향 경사면(31c)과, 상기 제2정지홈(31d)에서 완전 열림위치(D) 사이에 구비된 일정한 높이의 휴지부(31e), 상기 급속 열림위치(C)에서 상기 캠작동부(21)를 안착시켜 정지시키는 제2정지홈(31d), 상기 휴지부(31e)가 끝나는 완전 열림위치(D)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캠작동부(21)를 완전 열림위치(D)에서 정지시키는 제3정지홈(31f)로 구성되어 있다.The
도 4,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가 완전 닫힘위치(A)에 있을 때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를 제1정지홈(31a)과 제3정지홈(31f)에 동시에 안착시켜 지지하므로 커버(2)를 통하여 상기 캠작동부(21)에 일정한 외력 이상에 작용하지 않은 한 커버(2)는 닫힘상태를 유지하며, 커버(2)가 완전 닫힘위치(A)에서 경계위치(B)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캠작동부(21)는 상향 경사면(31b)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그 위치에서 커버(2)에 힘을 제거하면 캠작동부(21)는 상향 경사면(31b)을 따라 초기 완전 닫힘위치(A)로 복귀한다. 즉, 커버(2)를 "B"위치 이상으로 열지 않으면 커버(2)는 저절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서 닫히게 된다.As shown in Figs. 4, 12 and 13, the
상기 커버(2)가 경계위치(B)를 넘어서게 되면, 캠작동부(21)는 하향 경사면(31c)를 따라 이동하여 제2정지홈(31d)에 안착하여 정지한다. 이 경우 제2정지홈(31d)은 대략 90°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2)를 경계위치(B)보다 더 큰 각도로 열면, 커버(20)는 90°까지 저절로 급속하게 열려서 급속 열림위치(C)에서 정지한다. When the
상기 커버(2)는 열림각도가 90°이상에서 완전 열림위치(D) 까지는 캠작동부(21)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휴지부(31e)를 따라 이동하므로 임의의 위치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그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상기 제동기구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Since the
상기 제동기구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0)의 일측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마찰부(50)와, 상기 커버(2)의 일측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드럼부(6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to 9, the brake mechanism includes a
상기 마찰부(50)는 힌지축(20)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힌지축(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구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드럼부(60)는 링형상의 드럼몸체(61)의 내측벽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구비되고, 힌지축(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20)의 캠작동부(21)가 힌지캠(30)의 휴지부(31e)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마찰부(50)와 마찰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드럼몸체(61)는 상기 커버(2)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축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마찰부(50)는 힌지축(2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힌지축(20)과 함께 휴대폰 본체(1)의 일측에 축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드럼부(60)가 커버(2)의 일측에 형성되어 커버(2)와 함께 선회함으로써 힌지축(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드럼부(60)는 커버(2)가 90°이상에서 완전 열림위치(D)사이의 임의 위치에서 마찰부(50)와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커버(2)에 회전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그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임의로 화면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마찰부(50)와 드럼부(60)는 각각의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드하면서 용이하게 접촉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힌지축(20)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스토퍼(2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드럼부(60)의 일측에 상기 회전스토퍼(22)를 저지하는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회전스토퍼(22)는 커버(2)가 완전 닫힘위치(A)에 있을 때 상기 걸림턱(62)에 저지되어 커버(2)가 본체(1) 쪽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커버(2)가 본체(1)에 압박을 가하지 않게 한다.The rotating
도 14에 제어기구의 다른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chanism is shown in FIG. 14.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는 상기 마찰부(50)에 원주방향을 따라 스토퍼돌기(5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드럼부(60)의 일측에 상기 스토퍼돌기(51)를 수용하는 스토퍼홈(63)이 함입되어 형성된 것이다.In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a
상기 스토퍼돌기(51)는 마찰부(50)가 드럼부(60)를 따라 이동할 때 스토퍼홈(63)에 간헐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커버(2)를 소정의 각도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즉, 상기 스토퍼홈(63)은 드럼부(60)의 내측벽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부(50)의 스토퍼돌기(51)를 수용함으로써 스토퍼홈(63)들의 간격마다 커버(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커버(2)는 90°에서 완전 열림각 사이에서 상기 마찰부(50)와 드럼부(60)와의 마찰력에 의해 정지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돌기(51)와 스토퍼홈(63)의 결합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에 의하면, 커버를 임의의 선회구간에서 정지시켜 커버의 화면부를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된 상태로 주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화시와는 다르게 눈에 편한 선회각도로 화면부를 조정하여 정지시킨 상태에서 키패드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ver hinge apparatus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stopped at an arbitrary turning section so that the screen portion of the cover can be observed in a stationary state at an arbitrary ang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keypad can be operated in a stopped state by adjusting the screen portion at a comfortable turning angl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7306A KR100669189B1 (en) | 2003-11-03 | 2003-11-03 |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7306A KR100669189B1 (en) | 2003-11-03 | 2003-11-03 |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4361U Division KR200340064Y1 (en) | 2003-11-03 | 2003-11-03 | A hinge assembly of a cellular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2381A KR20050042381A (en) | 2005-05-09 |
KR100669189B1 true KR100669189B1 (en) | 2007-01-16 |
Family
ID=3724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73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189B1 (en) | 2003-11-03 | 2003-11-03 |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918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4346B1 (en) * | 2006-09-15 | 2007-08-31 | 주식회사 엠투시스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KR101595358B1 (en) * | 2009-03-13 | 2016-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
2003
- 2003-11-03 KR KR1020030077306A patent/KR1006691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2381A (en) | 2005-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16361B1 (en) |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of toilet seat and cover | |
US20100050384A1 (en) |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669189B1 (en) | Cover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
US6170196B1 (en) | Apparatus for keeping upwardly swinging door of vehicle at desired angle | |
KR200340064Y1 (en) | A hinge assembly of a cellular phone | |
US6802107B2 (en) | Self-locking hinge apparatus with a single stable state | |
JP2004308891A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US20050077308A1 (en) |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KR200357540Y1 (en) | A hinge assembly of a cellular phone | |
JP4768765B2 (en) | Overflow prevention valve device for gas stopper | |
JP2006090502A (en) | Coupling device for damper | |
KR100544767B1 (en) | Hinge device with double cam for folder type cover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2303316A (en) | Hinge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hinge device | |
KR20160123420A (en) | Operating handle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 |
KR100596715B1 (en) | Dual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27983Y1 (en) | Hinge mechanism having dual cam for a folder type cover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 |
KR100993821B1 (en) | Manual and automatic camera lens door opener | |
KR20070099154A (en) | Swing control device of slide & swing type mobile phone | |
KR100801147B1 (en) |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and folder type mobile phone using same | |
KR100849308B1 (en) | Rotation Angle Maintenance Device of Camera Lens Housing for Mobile Phone | |
KR100352173B1 (en) |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spring hinge | |
KR200372886Y1 (en) |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 |
KR100796945B1 (en) | 2-click hinge device for clamshell phone | |
KR100628916B1 (en) | Rotat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CN215226907U (en) | Frying and bak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