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9140B1 -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40B1
KR100669140B1 KR1020040017897A KR20040017897A KR100669140B1 KR 100669140 B1 KR100669140 B1 KR 100669140B1 KR 1020040017897 A KR1020040017897 A KR 1020040017897A KR 20040017897 A KR20040017897 A KR 20040017897A KR 100669140 B1 KR100669140 B1 KR 10066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key
control unit
remote control
hot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805A (ko
Inventor
이이천
박종호
최운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04001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1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유닛과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방법 및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제어유닛 상에 특정 채널을 나타내는 임의의 핫키를 지정하고 해당 핫키를 입력함에 따라 특정 채널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제어유닛과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 방법 및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은 다수의 키가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가 눌려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독출되어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원격제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유닛에는 특정 방송국의 특정 채널로 한번의 입력으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핫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키는 특정 방송 채널이 표시된 방송국 채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격제어유닛, 핫키

Description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METHOD FOR CHANGING CHANNEL BY USING HOT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TV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제어유닛 11 ; 전원 키
12 ; SBS 채널키 13 ; MBC 채널키
14 ; 키 매트릭스 15 ; 음량 키
16 ; 채널 키 17 ; ◎키
18 ; TV 키 30 ; 튜너부
31 ; 음성IF부 32 ; 영상IF부
33 ; 외부입력1 34 ; 외부입력2
35 ; 음성스위칭부 36 ; 영상스위칭부
37 ; 음성처리부 38 ; 영상처리부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제어유닛 상에 특정 채널을 나타내는 임의의 핫키를 지정하고 해당 핫키를 입력함에 따라 특정 채널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기기에는 다양한 외부 입력이 존재하고 있으며, 시청할 수 있는 채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어, 공중파 TV 신호가 있으며, 외부입력으로서 "스카이 라이프"와 같은 위성방송 채널, 비디오 플레이어 및 DVD 신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채널 및 외부 입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채널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위성방송 채널을 시청 중에 바로 공중파 TV 채널인 "SBS"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DVD 시청중에 바로 공중파 TV 채널인 "MBC"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현재, 다수의 채널으로서 공중파 TV 채널이 있으며,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통해 영화 채널, 뮤직 채널, 의료 채널, 교육 채널, 뉴스 채널등 각각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 채널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스카이 라이프"와 같은 위성 방송 채널은 "MBC" 나 "SBS"와 같은 공 중파 TV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카이 라이프"를 시청 중에 "MBC TV"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입력 버튼 및 다수의 채널 버튼을 입력하여야만 원하는 채널로 이동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다수의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채널(예를들면, MBC 방송)을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방송 채널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한번의 입력으로 해당 방송 채널로 전환되도록 하여 원하는 방송을 즉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제어유닛과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 방법 및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 방법은 특정 방송국의 특정 채널로 한번의 입력으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방송국의 특정 채널을 나타내는 핫키와 임의의 키를 동시에 입력함으로써 핫키의 설정모드 키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 선택 키 및 채널 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핫키를 입력함으로써, 핫키 설정을 종료하는 저장 키가 입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모드 키 또는 저장 키가 입력된 경우 LED가 점멸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은 원격제어유닛에서 특정 입력의 특정 채널을 나타내는 키 코드가 대응된 핫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핫키에 대응되는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송출되는 단계; 및 외부입력 및 채널이 전환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키 코드는 외부입력 선택을 위한 키 코드 및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입력 및 채널의 전환은 위성방송 채널과 공중파 TV 채널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과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 방법 및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10)에는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되는데, 예를들어, 전원 키(11), 채널 키(16), 음량 키(15), 키 매트릭스(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유닛(10)에는 특정 방송국 채널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국 채널키(12)(13)가 구비된다.
상기 방송국 채널키(12)(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SBS 채널키"(12)와 "MBC 채널키"(13)가 예시될 수 있다.
원격제어유닛(10)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독출된 후 적외선이나 RF신호 형태로 송출되어 TV나 각종 전자제품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SBS 채널키"(12)와 "MBC 채널키"(13)에 대해서도 특정 키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방송국 채널키(12)(13)를 입력하면 방송국 채널 "SBS"와 "MBC"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코드가 적외선 형태로 송출된다.
이때, 송출되는 키 코드에는 외부입력을 선택하는 키 코드와, 방송국 채널을 나타내는 키 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외부입력을 나타내는 키 코드와 방송국의 채널을 나타내는 키 코드는 시청 지역에 따라, 또는 TV의 생산자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들어, LG전자의 TV 제품의 경우 공중파 방송(MBC 또는 SBS)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0"에 대응하는 키 코드가 송출되어야 하고, 서울지역에서 MBC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11"에 대응하는 키 코드가 송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MBC 키(13)를 입력하는 경우 "011"에 대응하는 키 코드가 송출되도록 하면 일회적인 핫키 입력으로 원하는 방송국의 특정 채널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즐겨 시청하는 방송으로 채널을 전환하기 위하여 다수의 키를 입력하여야 했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격제어유닛(10)에 형성된 방송국 채널키(12)(13)를 한번만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채널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특히, 이는 다수의 외부입력 및 채널이 존재하는 TV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유닛에서 일회적인 키입력을 통해 특정 방송국의 특정 채널로 바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원격제어유닛의 설정이 필요하고 도 2에는 핫키 설정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방송국 채널키(12)(13)와 ◎키(17)를 동시에 입력하면, TV 키(18)의 LED가 점멸된다. 여기서, ◎키(17)는 설정과정을 예고하는 키의 실시예로서 상기 ◎키(1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100)(S110) 예를들어, 방송국 채널키(12)(13)와 키 매트릭스(14)의 0번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 원격제어유닛의 설정 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MBC 방송에 대해 핫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MBC 키"(13)와 임의의 설정키(예를들면, 상기 ◎키)를 함께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TV 키(18)의 LED가 점멸되었다는 것은 설정 모드로 진입했음을 확인하는 표시이다.
다음으로 입력 선택 키 및 채널 키를 입력한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선택 키는 현재 디스플레이 상태가 TV입력이나 외부입력1,2,3 중의 하나에 있는 경우, MBC 키(13)에 대해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MBC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입력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들어, 상기 MBC 방송의 입력이 공중파 "TV 입력"인 경우, "TV 입력"을 나타내는 키 매트릭스(14)의 "0"키가 입력되도록 한다.
다만, 특정 "입력"을 선택함에 있어 입력되어야 하는 키의 종류는 TV의 생산자에 따라 틀려질 수 있다.
그리고, "MBC 키"(13)의 설정의 경우에 MBC 방송 채널의 채널 번호를 입력한다. 방송 채널 번호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예를들면 MBC 방송을 서울에서 시청하는 경우 "11"을 입력한다.
따라서, "MBC 키"(13)의 설정을 위한 입력으로서, "TV 입력"을 나타내는 키와 "MBC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키를 입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MBC 키(13)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 내용이 저장되면서 설정 과정이 마무리된다. 이때, TV 버튼의 LED가 점멸되면서 핫키 설정 과정이 마무리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유닛(10)상에 특정 방송의 채널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핫키(HOT KEY)가 구비되고, 상기 핫키가 TV의 생산자에 따라 또는 TV의 시청 지역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성방송이나, TV의 다른 채널을 시청 중 "MBC 키"를 입력하는 경우 바로 "MBC"방송으로 채널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다수의 외부 입력이 구비된 TV의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이다.
먼저, 안테나, 케이블, 유선 등으로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튜너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튜너부(30)를 통해 수신된 방송을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음성IF부(31) 및 영상IF부(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입력1(33)과 외부입력2(34)가 구비되어 비디오 신호, DVD 신호 및 스카이 라이프와 같은 위성방송 신호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음성스위칭부(35)와 영상스위칭부(3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영상신호는 음성처리부(37)와 영상처리부(38)를 통해 처리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TV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유닛(10)의 방송국 채널키(12)(13)를 입력하면, 예를들어 MBC 키(13)를 입력하면 튜너부(30)와 음성스위칭부(35) 및 영상 스위칭부(36)가 작동되면서 MBC 방송으로 바로 채널이 전환된다. 다만,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격제어유닛(1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 및 이에 따라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됨은 자명하다.
즉, 방송국 채널키(12)(13)에는 특정 방송의 특정 채널을 시청하기 위한 외부입력 선택 코드와 채널 코드가 대응되어 있어, 메모리에 저장된 키 코드가 독출 되어 적외선 형태로 송출됨으로써 특정 방송 채널으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방송 채널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한번의 입력으로 해당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격제어유닛에서 특정 입력의 특정 채널을 나타내는 키 코드가 대응된 핫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핫키에 대응되는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송출되는 단계; 및
    외부입력 및 채널이 전환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키 코드는 외부입력 선택을 위한 키 코드 및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입력 및 채널의 전환은 위성방송 채널과 공중파 TV 채널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8. 삭제
KR1020040017897A 2004-03-17 2004-03-17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6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97A KR100669140B1 (ko) 2004-03-17 2004-03-17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97A KR100669140B1 (ko) 2004-03-17 2004-03-17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05A KR20050092805A (ko) 2005-09-23
KR100669140B1 true KR100669140B1 (ko) 2007-01-15

Family

ID=3727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897A Expired - Lifetime KR100669140B1 (ko) 2004-03-17 2004-03-17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61B1 (ko) * 2005-11-28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05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221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정보 제공방법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NO315300B1 (no) Fjernstyringsanordning for å styre et fjernsynssystem
JPH08140003A (ja) 画像受信制御装置および画像受信制御方法
KR101295301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054931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US20080244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phanumeric Channel-Changing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KR100669140B1 (ko)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JP4235662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KR101010870B1 (ko)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튜너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입력
JPH1023344A (ja) 放送受信装置
KR101276833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KR100735190B1 (ko) 방송 편성 정보 안내 방법 및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KR100633090B1 (ko) 디지털 tv의 제어방법
JPH11164221A (ja) 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598200B1 (ko) 채널 전환 방법
KR20110052085A (ko)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 및 그것의 채널 리스트 표시 방법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KR20040013905A (ko) 연속 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100004244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프로그램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1080417B1 (ko)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0244763A (ja) Catvホームターミナ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214

Appeal identifier: 2006101005718

Request date: 20060703

Patent event date: 2006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703

Appeal identifier: 2006101005713

Request date: 20060703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60703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6101005713

Request date: 2006070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70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1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1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