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8914B1 -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914B1
KR100668914B1 KR1020020063049A KR20020063049A KR100668914B1 KR 100668914 B1 KR100668914 B1 KR 100668914B1 KR 1020020063049 A KR1020020063049 A KR 1020020063049A KR 20020063049 A KR20020063049 A KR 20020063049A KR 100668914 B1 KR100668914 B1 KR 10066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device
cam
lever
force
sepa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791A (ko
Inventor
손경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914B1/ko
Priority to US10/406,238 priority patent/US6978903B2/en
Publication of KR2004003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9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06F3/0677Optical disk device, e.g. CD-ROM, DV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중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확장기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외부 힘이 작용되는 분리레버와, 상기 분리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을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연동에 의한 캠 작용으로 상기 확장기기의 락킹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와, 상기 확장기기의 락킹력 해제 이상의 분리레버 회전시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락킹력이 해소된 확장기기를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복합형 컴퓨터가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고 있는 스텐드부 즉, 상기 스텐드부 내에 결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레버 회전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 내에서 원할히 분리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 스텐드, 확장기기, 확장기기 분리장치

Description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Device for separation to expansion unit of docking station}
도 1 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되는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 내에 장착된 카드 이젝트 기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 는 카드 이젝트 기구 사시도.
도 3b 는 카드 이젝트 기구의 작동 전 상태의 사시도.
도 3c 는 카드 이젝트 기구의 인출편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d 는 인출편 인출에 따른 카드 받이체 이동으로 카드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인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의해 확장기기가 스텐드 내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
도 7b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확장기기를 체결하고 있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
도 7c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가 확장기기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 스텐드부 510. 스텐드 케이스
520. 무게 중심 플레이트 525. 스텐드 힌지부
530. 원통 힌지부 535. 슬라이딩 스위치
540. 확장기기 분리장치 541. 분리레버
544. 연동부재 549. 확장기기 고정부재
551. 확장기기 탈리부재 560. 스텐드부 메인보드
570. 확장기기 700. 웹 패드 시스템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복합형 컴퓨터가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고 있는 스텐드부 즉, 상기 스텐드부 내에 결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레버 회전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 내에서 원할히 분리시킬 수 있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편리하게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닥킹 스테이션은 각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휴대용 컴퓨터의 형태 또는 특수한 사용목적, 구동상태에 맞게 별도의 닥킹 스테이션을 설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구조의 경우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각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중 일예로,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전자기기의 기능확장장치(특개평 5-189086호, 이하 닥킹 스테이션이라 함)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기능확장장치가 포함되어 1996년 3월 22일자로 등록된 전자기기, 전자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카드 형상 전자부품 및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확장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시스템(등록번호 제 97328 호)이 대한민국 특허공보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닥킹 스테이션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특개평 5-189086호)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이하, 휴대용 컴퓨터라 함)(1)가 장착된 장착부(22)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휴대용 컴퓨터(1)의 기능을 확장한 확장수단(17)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확장수단(17)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6)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22)에 장착된 컴퓨터 커넥터(12)가 착탈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본체 커넥터(26)와, 상기 본체 커넥터(26)가 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의 계탈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커넥터(26)가 고정되는 커넥터 홀더(28)와, 상기 커넥터 홀더(28)를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의 계탈 방향에 따라서 대기 위치와 밀어 넣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16)에 고정된 커넥터 홀더(28)를 상기 대기 위치로 향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해 상기 커넥터 홀더(28)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32)과, 상기 가압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32)과 대향되게 고정되며, 상기 가압수단을 통해 커넥터 홀더(28)가 고정된 상기 지지 브라켓(32)이 상기 계탈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 프레임(40)과,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제 1 수직부(32b)에 다수 관통된 가이드 홀(38)에 삽착되어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고정되는 가이드 슬리브(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태로 형성된 판 스프링(4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16) 장착부(22) 소정위치에는 과전류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의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어스 유닛(70)이 다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닥킹 스테이션 내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상기 본체(16)를 분리시키는 이젝트 기구(미도시)만 존재할 뿐, 상기 본체(16) 내에는 상기 휴대 용 컴퓨터(1)의 기능을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수단 즉, 하드 디스크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는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1) 내에 장착된 플로피 디스크 등을 분리시키는 카드 이젝트 기구를 대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드 이젝트 기구(115)는 도 3a 내지 도 3d(상기 도 3a 내지 도 3d 는 특개평 5-189086호가 포함된 특허 등록 제 97328 호에 기재된 도면 및 부호 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수용부(108) 내에 배설되며, 삽입구(107)를 통해 삽입된 카드 형상의 전자부품(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을 받는 카드 받음체(116)와, 상기 받음체(116)에 대하여 삽입 위치와 인출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전자부품의 삽입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인출편(12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편(125)의 경우, 상기 카드 받음체(116) 소정위치에 장공형태로 절개된 접속수단(슬릿)(128)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편(125)의 인출시, 상기 인출편(125)의 궤지부(127)가 상기 접속수단(128)의 소정길이만큼 이동된 후, 상기 이동이 종료된 인출편(125)에 의해 상기 카드 받음체(116)가 연이어 휴대용 컴퓨터(1)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젝트 기구(115)의 경우, 좁은 폭으로 절개 형성된 조작용 개구부(106)에 삽입되어 있는 인출편(125)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용 개구부(106)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편(125)을 잡은 다음, 상기 인출편(125)을 잡아 당겨 상기 조작용 개구부(106)로부터 상기 인출편(125)을 휴대용 컴퓨터(1) 외부로 인출시키고, 이와 같이 인출된 인출편(125)을 더욱 잡아당기 게 되면, 상기 카드 받음체(116)의 접속수단(128) 길이만큼 인출된 인출편(125)에 의해 상기 카드 받음체(116)가 연이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1) 외부로 인출되는 등의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상기 카드 이젝트 기구(115)를 연동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카드 이젝트 기구(115)의 구성요소인 인출편(125)을 휴대용 컴퓨터(1)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용 개구부(106)로 두 개의 손가락을 포개 삽입한 다음, 상기 인출편(125)을 잡아 당겨야 하기 때문에, 상기 좁은 공간인 조작용 개구부(106)로 포갠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편(125)을 잡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의 조작용 개구부(106)로 포갠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편(125)을 잡는 경우, 손가락이 얇고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들은 가능할 수 있지만, 손가락이 비교적 굵거나 두꺼운 남성의 경우, 상기 조작용 개구부에서 삽입시키기가 어려워 상기 인출편(125)을 원할히 인출시키기 힘든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 인출편(125)을 강한 힘으로 잡아당길 경우, 합성수지재의 시트형태로 형성된 인출편(125)이 상기 카드 받음체(116)의 접속수단(128)에 걸려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인출편(125)이 파손될 경우, 상기 카드 형상의 전자부품을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1)의 A/S 가 필요함과 동시에, 상기 A/S에 대한 수리비로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카드 이젝트 기구 및 그 구성에 의한 작동과정은 각 제조 회사에서 제조된 휴대용 컴퓨터의 형태 또는 특수한 사용목적, 구동상태에 맞게 설계 제작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기 각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이젝트 기구의 구성을 비교하여 서로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모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복합형 컴퓨터가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고 있는 스텐드부 즉, 상기 스텐드부 내에 결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레버 회전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 내에서 원할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확장기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외부 힘이 작용되는 분리레버와, 상기 분리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을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연동에 의한 캠 작용으로 상기 확장기기의 락킹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와, 상기 확장기기의 락킹력 해제 이상의 분리레버 회전시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락킹력이 해소된 확장기기를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로 구성된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발명인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는, 스텐드부(500) 하단 전면(全面)에 장착 고정된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분리레버(541)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 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레버 하단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분리레버(541)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버(541) 하단 반원부(542)가 회전하면서 1차 캠부(545)를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이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연동되는 연동부재(544)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상기 연동부재(544)의 연동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544)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와 접촉된 경사캠(550)이 상기 2차 캠부(54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레버(541)의 반원부(542)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542)의 원주면에 의해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570)를 상기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는, 도 4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드 케이스(510) 중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 고정된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에 장착되어 레버(541)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스텐드부(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 즉, 상기 스텐드부(500) 내의 스텐드부 메인보드(560)에 결합된 확장기기(570)를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우선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가 결합된 스텐드부(5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텐드부(500)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511)와 하부 케이스(512)로 이루어진 스텐드 케이스(510)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의 무게에 의해 닥킹 스테이션(4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 고정되는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아암 안착부(521)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 고정되어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와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각각 나사로 고정되는 스텐드 힌지부(525)와;
상기 스텐드부(500)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암부(60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삽착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530)와;
상기 원통 힌지부(530) 전방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600)의 밀착시 상기 아암부(600)의 스위치 접촉홈(630)에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200)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하는 슬라이딩 스위치(535)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레버(541)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스텐드부(500) 별도의 통신 및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이 결합된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23)은 아암 안착부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565)는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의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의 경우, 아암부(600) 회전시,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긁힘현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상단에 삽착되며,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는 표면 경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 고정되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은 오목하고, 외측은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 타측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531)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가 상기 스텐드(500)의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를 회전할 경우,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 되면서 발생된 미세한 아연가루들이 상기 스텐드부(5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 등에 나쁜 영향이 미치게 되면서 스텐드부(500)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상부 커버(511) 상단에는 확장기기(570)나 또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5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휨 방지 플레이트(511a)가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511a)의 경우, 무게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511)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하부 케이스(51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CD-ROM이나 FDD Drive 등 컴퓨터 확장기기(570)를 삽착시킬 수 있는 확장기기 삽착홀(5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는 상기 확장기기(570)가 상기 삽착홀(513) 내부로 원할히 삽착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부재(514)가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양측에는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 내삽된 확장기기(570)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접지형태로 접지시키는 텐션 접지부재(51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는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아연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내에 형성된 삽입돌기(51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삽입돌기(514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레일 삽입홀(522)과 삽입돌기 삽입홀(52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는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 즉, 아암 안착부(521)에 아암부(600)를 결합시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가 평면형태로 형성된 제 1 힌지부재(526)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힌지부재(526)에 삽착 고정된 제 2 힌지부재(527)로 이루어져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재(526) 및 상기 제 2 힌지부재(527)의 원통부분에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5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착돌기(5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텐드부(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다단의 캠 작용을 통해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 즉,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일측에 확장기기 분리장치(540)가 장착 고정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세부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레버(541)는,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기 위한 요소들의 다단 캠 작용이 전개될 수 있도록 외부 힘이 작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레버(541)의 회전력이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에 작용될 수 있도록 레버(541) 하단에 소정 반경의 반원부(5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부재(544)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소정길이의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부재(544) 일측엔 상기 분리레버(541)의 반원부(542)와 면착되어 상기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연동부재(544)가 하방(확장기기 분리방향)으로 작용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1차 캠부(5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동부재(544) 타측엔 상기 확장기기(570)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의 경사캠(550)과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2차 캠부(5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544)에는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홀(547)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547)의 경우,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레버(541) 하단의 반원부(542)와 상기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 쪽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570)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544)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570)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력이 해제되는 구조로서, 상기 고정부재(549) 일측면엔 상기 연동부재(544) 타측의 2차 캠부(546)와 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사캠(5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549) 타측면엔 상기 확장기기(570)를 고정하는데 이용되 는 고정캠(55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레버(541)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 이상의 분리레버(541) 회전시, 상기 분리레버(541)의 반원부(542) 하단 원주면에 의해 소정각도로 연동되면서 상기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 역시,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되어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상기 분리레버(541) 회전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연동될 수 있도록 삽입홀(5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552)의 경우,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분리레버(541) 회전에 의한 상기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의해 확장기기가 스텐드 내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확장기기를 체결하고 있는 확장 기기 고정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c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가 확장기기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가 스텐드부(500)에 형성된 확장기기 삽착홀(513)을 통해 삽입되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드부(500) 내의 스텐드부 메인보드(5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분리레버(5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41)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반원부(542)가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542)와 면착되어 있는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를 연동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에 의해 연동된 상기 연동부재(544)는 경사캠(550)이 형성된 확장기기 고정부재(549)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연동부재(544)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가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의 경사캠(550)에 밀착되면서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확장기기(570)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켰던 소정각도 이상으로 상기 분리레버(5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41) 하단 반원부(542)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분리레버(541) 상단에 장착된 별도의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를 소정각도로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에 의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570)가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를 통해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서 확장기기(570)가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분리레버(541)에 작용하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분리레버(541) 및 연동부재(544),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에 설치된 스프링(543)(548)(5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캠 작용을 통한 CD-ROM이나 FDD Drive 등의 확장기기(570) 분리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본 발명의 확장기기 분리장치는,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복합형 컴퓨터가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고 있는 스텐드부 즉, 상기 스텐드부 내에 결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레버 회전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 내에서 원할히 분리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무게 중심 플레이트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분리레버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는, 상기 확장기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 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레버 하단 반원부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분리레버와;
    상기 분리레버의 소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버 하단 반원부가 회전하면서 1차 캠부를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이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연동되는 연동부재와;
    상기 분리레버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상기 연동부재의 연동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와 접촉된 경사캠이 상기 2차 캠부와의 캠 작용을 통해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와;
    상기 분리레버의 소정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레버의 반원부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의 원주면에 의해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를 상기 스텐드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레버의 하단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연 동부재의 1차 캠부에 작용시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 요소들의 다단 캠 작용이 전개될 수 있도록 소정 반경의 반원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 일측에는 상기 분리레버의 반원부와 면착되어 상기 반원부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연동부재가 하방(확장기기 분리방향)으로 작용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1차 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재 타측에는 상기 확장기기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의 경사캠과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2차 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에는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에 삽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분리레버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레버 하단의 반원부와 상기 연동부재의 1차 캠부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 쪽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동부재 타측의 2차 캠부와 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사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에는 상기 확장기기를 고정하는 고정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에는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에 삽착되어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상기 분리레버 회전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가 연동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확장기기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분리레버 회전에 의한 상기 반원부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기 분리장치.
KR1020020063049A 2002-04-04 2002-10-16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6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049A KR100668914B1 (ko) 2002-10-16 2002-10-16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US10/406,238 US6978903B2 (en) 2002-04-04 2003-04-04 Apparatus for receiving module for use in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049A KR100668914B1 (ko) 2002-10-16 2002-10-16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791A KR20040033791A (ko) 2004-04-28
KR100668914B1 true KR100668914B1 (ko) 2007-01-12

Family

ID=3733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8914B1 (ko) 2002-04-04 2002-10-16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66B1 (ko) * 2018-01-17 2019-03-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Rf 송수신기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송수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048A (ja) * 1992-09-17 1994-04-15 Sony Corp Icメモリカードのイジェクトロック装置
US5319519A (en) * 1992-11-20 1994-06-07 Summatec Computer Corporation Housing with latch and ejection mechanism air portable hard disk drive
US5499925A (en) * 1992-03-06 1996-03-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device
KR19990014207A (ko) * 1997-07-28 1999-02-25 가따오까 마사따까 Ic 카드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925A (en) * 1992-03-06 1996-03-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device
JPH06104048A (ja) * 1992-09-17 1994-04-15 Sony Corp Icメモリカードのイジェクトロック装置
US5319519A (en) * 1992-11-20 1994-06-07 Summatec Computer Corporation Housing with latch and ejection mechanism air portable hard disk drive
KR19990014207A (ko) * 1997-07-28 1999-02-25 가따오까 마사따까 Ic 카드용 커넥터
US6033242A (en) * 1997-07-28 2000-03-07 Alps Electric Co., Ltd. IC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791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89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US5862468A (en) Device for moving and detaching a panel
US5836563A (en) Mobile phone holder
US20030223201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dule for use in computer
US20090090757A1 (en) Cradle for automobile
JPH07104884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US754057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20220174834A1 (en) Chassis and cage thereof
US7835146B2 (en) Coupl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668914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US20090090821A1 (en) Cradle for automobile
US6657857B2 (en) Disk drive assembly with a disk drive module rotatable on a chassis between an exposed position and a concealed position
KR100873261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고정구조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20040037508A (ko) 닥킹 스테이션의 스텐드 힌지부 마찰방지구조
KR20040033793A (ko) 닥킹 스테이션의 휨 방지용 스텐드 커버구조
US20080023370A1 (en) Cassette storage device
KR100858608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0183591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101429039B1 (ko) 급지카세트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H09258868A (ja) 携帯用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キーボード装置
AU746968B2 (en) Cam assisted ejection handle for a removable drive carrier
JP3482801B2 (ja) 空気調和機のグリル着脱装置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KR100504787B1 (ko) 차량 및 휴대 겸용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역전 모드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