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946B1 -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7946B1 KR100667946B1 KR1020050024500A KR20050024500A KR100667946B1 KR 100667946 B1 KR100667946 B1 KR 100667946B1 KR 1020050024500 A KR1020050024500 A KR 1020050024500A KR 20050024500 A KR20050024500 A KR 20050024500A KR 100667946 B1 KR100667946 B1 KR 100667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econdary battery
- uneven portion
- protrusion
- electrod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를 통해 방출되는 이차전지의 열 방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양극판, 음극판 및 이 양,음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so as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discharged through the case, the case in which the electrode group is built, the case of the case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side.
케이스, 요철부, 굴곡부, 돌기, 열방출 Case, irregularities, bends, protrusions, heat dissip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각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와 그 케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원통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 하여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at can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ase.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셀을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is not rechargeable.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ed in a pack form is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amcorder, and a high-capacity battery in units of dozens of battery cells is connected to a motor such as a hybrid car. It is widely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은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Th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and rectangular shapes, and an electrode group (or a wound group) wound around a vortex through a separator (separator) between the band-lik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Jelly roll) is installed in a case, and a cap assembly in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formed is installed in the case to constitute a battery.
그리고, 상기 양, 음극판은 전지 작용시 발생되는 전류를 집전하기 위한 역할로서 도전성 리드 단자가 각기 부착되고, 이 도전성 리드 단자는 전극군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각기 양, 음극판에 발생된 전류를 양, 음극 단자로 유도하게 된다.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each have a conductive lead terminal attached to each other to collect current generated during battery operation, and the conductive lead terminals are attached to the electrode group by welding or the like, respectively. This leads to the negative terminal.
이러한 이차 전지는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방열시키게 되는 데, 이차 전지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The secondary battery radiates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and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important enough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If heat is not released properl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may cause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performance and, in severe cases, a risk of explosion.
특히, 상기 이차 전지가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나 자동차용(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의 고유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applied as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for driving a motor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 electric scooter, or an automobile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ged and discharged with a large current. Heat is generated and rises to significant temperatures, which affects the cell's inherent properties, which degrades the cell's inherent performance. Therefore, heat dissipation is most importa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를 통해 방출되는 이차전지의 열 방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emitted through a case.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 방출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maximizing a heat dissipation area by improving a structure of a c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차 전지는, 케이스의 표면에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상기 요철부는 케이스 표면을 거칠게 가공함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미세한 굴곡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스 표면의 거칠기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uneven portion may be formed of a fine curved portion irregularly formed by roughly processing the case surface, wherein the degree of roughness of the case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상기 요철부는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미세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neven parts may be formed of minute protrusions regularly arranged at intervals.
여기서 상기 돌기는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이에 따라 굴곡부나 돌기에 의해 늘어나는 표면적 만큼 케이스 전체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열 방출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entire case increases as much as the surface area increased by the bent portion or the protrus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eat released.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요철부를 이루는 굴곡부 또는 돌기는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표면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진 굴곡부 또는 돌기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or the protrusion forming the uneven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and the bent portion or the protrusion made of a separat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case surface.
상기 케이스 표면에 굴곡부 또는 돌기가 별도로 부착설치되는 경우 상기 굴곡부와 돌기는 케이스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케이스보다 열 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bent portion or protrusion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the bent portion and the protrus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or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case.
또한, 상기 굴곡부 또는 돌기는 케이스의 전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or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ase.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operated by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Ca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 전지와 그 케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cas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는 세로(도면의 X 축 방향)로 긴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는 거칠게 가공되어 미세한 굴곡부(21)가 형성된 케이스(11)에, 절연 물질인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 및 음극판을 권취해서 형성한 각형의 전극군을 삽입하고, 케이스(11)의 개방된 부분을 캡 플레이트(30)로 밀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일 예로, 상기 전극군(미도시)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격리판을 순차적으로 개재하고, 이를 횡권축을 중심으로 말아서 젤리롤 형태로 형성한 다음에, 이를 프레스와 같은 가압 수단으로 프레싱해서 각형으로 형성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electrode group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n sequence, and rolled around the transverse crimp to form a jelly roll form, and then pressed by a pressing means such as a press to form a square To this end, many techniques are already disclos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below.
이처럼 형성된 전극군의 양극판 및 음극판은 상기 캡 플레이트(30)에 설치된 전극 단자(31,3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group thus forme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그리고, 캡 플레이트(30)는 상기 케이스(11)의 개구부(11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제조되며, 양, 음극용 전극 단자(31,32)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양, 음극용 전극 단자(31,32)는 캡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11)의 외부로 돌출되게 각각 고정되어 있다.The positive and
이에 추가해서,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설정된 압력에서 파손되어 가스를 방출하는 것으로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는 벤트부(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그리고, 케이스(11)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니켈이 도금된 스틸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테프론과 같은 고분자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그 형상은 각형의 전극군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11a)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연속적으로 소정의 거칠기로 가공된 굴곡부(21)가 형성되어 외기와 접하는 케이스(11)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And, the
이하 설명에서 상기 굴곡부(21)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가공되어 요부와 철부가 불규칙적인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urved portion 21 is defined as meaning that the surface is roughly processed so that recesses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in irregular sizes and shapes.
상기 케이스(11)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금속의 표면처리공정을 통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굴곡부(21)의 거칠기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 않는다.In order to roughly process the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케이스(11)의 표면적이 굴곡부(21)에 의해 증대되어 케이스(11)는 대기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전극군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대기중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미세한 돌기(22)가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케이스(11)에, 절연 물질인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 및 음극판을 권취해서 형성한 각형의 전극군을 삽입하고, 케이스(11)의 개방된 부분을 캡 플레이트(30)로 밀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the
즉, 상기 케이스(11)는 외기와 접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미세한 돌기(22)가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돌기(22)는 전지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된 삼각단면형태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돌기(2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3은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돌기(23)가 케이스(1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돌기(22,23)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구조이외에 사각단면형태나 사다리꼴 단면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tructures of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통형 이차 전지(50)와 그 케이스(51)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ylindrical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50)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원통형태로 감긴 전극군(미도시됨)과, 전해액과 함께 전극군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고 외표면에는 거칠게 가공되어 미세한 굴곡부(71)가 형성된 원통형태의 케이스(51), 가스켓을 매개로 상기 케이스(51)의 개구부 상단에 설치되고 케이스(51)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60)와, 상기 전극군의 양극판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설치되는 외부단자(61)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51)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군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걸쳐 상기 굴곡부(71)가 형성된다.The
상기 굴곡부(71)에 대해서는 케이스(51)의 구조와 더불어 뒤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상기 캡 조립체(60)는 외부 단자(61)를 갖는 캡 플레이트와, 케이스(51)와 캡 플레이트를 절연시키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설정된 압력 조건에서 파손되어 가스를 방출함으로써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는 밴트 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표면에 소정의 거칠기로 가공되는 상기 굴곡부(71)는 케이스(51) 표면에서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요부와 철부가 그 크기와 형태에 있어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외기와 접하는 케이스(51)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스(51)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금속의 표면처리공정을 통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굴곡부(71)의 거칠기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 않는다.In order to roughly process the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케이스(51)의 표면적이 굴곡부(71)에 의해 증대되어 케이스(51)는 대기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전극군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대기중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원통형 이차전지(5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1)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5 and 6 illustrate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미세한 돌기(72)가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즉, 상기 케이스(51)는 외기와 접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미세한 돌기(72)가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돌기(72)는 전지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앙부가 돌출된 삼각단면형태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돌기(7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6은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돌기(73)가 원통형 케이스(51)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돌기(72,73)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구조이외에 사각단면형태나 사다리꼴 단면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tructures o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방열 면적을 극대화시켜 방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maximized to improv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heat may be quickly dissipated.
이에 따라 전지의 신뢰성을 높이고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and to prolong the life of the battery.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500A KR100667946B1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
US11/388,650 US7601458B2 (en) | 2005-03-24 | 2006-03-24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US12/560,359 US8685559B2 (en) | 2005-03-24 | 2009-09-15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500A KR100667946B1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2660A KR20060102660A (en) | 2006-09-28 |
KR100667946B1 true KR100667946B1 (en) | 2007-01-11 |
Family
ID=3762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4500A Expired - Lifetime KR100667946B1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79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30085A1 (en) * | 2020-06-26 | 2021-12-29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624B1 (en) | 2012-03-15 | 2018-06-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
CN217009338U (en) * | 2022-04-19 | 2022-07-19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6791A (en) * | 1994-04-22 | 1995-11-10 | Hitachi Koki Co Ltd | Storage battery cover |
JPH1125932A (en) * | 1997-06-27 | 1999-01-29 | Mitsubishi Cable Ind Ltd | Heat radiating structure for sealed battery |
KR20060026601A (en) * | 2004-09-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KR20060037845A (en) * | 2004-10-28 | 2006-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
2005
- 2005-03-24 KR KR1020050024500A patent/KR10066794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6791A (en) * | 1994-04-22 | 1995-11-10 | Hitachi Koki Co Ltd | Storage battery cover |
JPH1125932A (en) * | 1997-06-27 | 1999-01-29 | Mitsubishi Cable Ind Ltd | Heat radiating structure for sealed battery |
KR20060026601A (en) * | 2004-09-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KR20060037845A (en) * | 2004-10-28 | 2006-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30085A1 (en) * | 2020-06-26 | 2021-12-29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US12362442B2 (en) | 2020-06-26 | 2025-07-15 | Samsung Sdi Co., Ltd. | Button ce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2660A (en) | 200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03582C (en) |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0365860C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0649561B1 (en)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KR101023103B1 (en) | Secondary battery | |
US20060024578A1 (en) | Secondary battery | |
US20050287429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0599795B1 (en) | Secondary battery | |
US7919206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US20050158620A1 (en) | Secondary battery | |
US20050221178A1 (en) | Electrode packag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JP4918242B2 (en) | Secondary battery | |
JP2014531128A (en) | Cap assembly with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 and cylindric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JP5186647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12236B1 (en) |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Assembly Used in the Same | |
CN101399369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922351B1 (en) | Secondary battery | |
US7485392B2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mpact buffer function | |
KR100667945B1 (en) | Secondary battery | |
US20060068273A1 (en) | Cap assembly having a vent plate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same | |
KR20060102854A (en) | Electrode plate of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is electrode plate | |
KR100667946B1 (en) | Secondary Battery and Its Case | |
KR20080028091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8486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709252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804695B1 (en) |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