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6791B1 -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791B1
KR100666791B1 KR1020050078526A KR20050078526A KR100666791B1 KR 100666791 B1 KR100666791 B1 KR 100666791B1 KR 1020050078526 A KR1020050078526 A KR 1020050078526A KR 20050078526 A KR20050078526 A KR 20050078526A KR 100666791 B1 KR100666791 B1 KR 10066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eed pipe
fuel feed
fuel tank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상단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움직이지 않게 장착되는 연료피드파이프에 승하강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연료탱크의 바닥면이 변형되면서 연료피드파이프의 하단에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그 변형량만큼 연료피드파이프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연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탱크 바닥면과 접하여 연료를 흡입하는 흡입기를 하단에 갖는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피드파이프를 연료탱크 상단에 부착된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연료피드파이프와, 상기 흡입기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로 분리 형성하고,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를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의 분리된 부위 및 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밀봉케이스로 밀봉하여,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만이 밀봉케이스의 내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를 제공한다.
연료탱크, 연료피드파이프, 연료흡입기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Fuel feed pipe for fuel tank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탱크 및 그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피드파이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연료탱크의 변형에 따른 연료피드파이프의 연료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피드파이프 10a : 제1연료피드파이프
10b : 제2연료피드파이프 12 : 연료탱크
14 : 연료센더 16 : 브라켓
18 : 연료흡입기 20 : 스프링
22 : 밀봉케이스 24 : 상부몸체
26 : 하부판체 28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상단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채로 움직이지 않게 장착되는 연료피드파이프에 승하강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연료탱크의 바닥면이 변형되면서 연료피드파이프의 하단에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그 변형량만큼 연료피드파이프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연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젤 차량에서는 엔진부압을 이용하여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피딩하기 때문에 연료펌프 자체가 없다.
연료펌프가 있는 차량에서는 모듈타입을 적용하여 연료탱크내의 연료 잔량을 적게 할 수 있지만, 커먼레일 엔진에서 모듈 타입 적용시 리턴되는 고온 연료를 재 사용하기 때문에 모듈 타입을 적용 할 수 없으므로, 브라켓 타입의 연료센더를 채택하고 있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탱크 및 그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피드파이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피드파이프(10)가 연료센더(14)와 함께 연료 탱크(12)의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바, 연료탱크(12)의 상단에 부착된 원형의 브라켓(16)에 의하여 상기 연료피드파이프(10)는 연료센더(14)와 함께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 연료피드파이프는 연료탱크의 변형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연료피드파이프를 최초 설치시, 그 하단부에 부착된 흡입기가 연료탱크 바닥면에 최적의 간격으로 설정하지 못하면, 연료탱크 바닥에 잔존하는 미사용 연료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외부 충격 등의 원인으로 연료탱크가 바닥면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연료피드파이프의 흡입기는 본래의 제자리에 그대로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기와 연료탱크의 바닥면간의 거리가 커지게 되고, 결국 연료탱크 바닥에 잔존하는 연료를 흡입기가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여 미사용 연료의 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도 4a 참조).
셋째, 외부 충격 등의 원인으로 연료탱크의 바닥면이 위쪽으로 순간 변형되는 경우, 연료탱크 바닥면이 바로 위의 연료피드파이프의 흡입기를 가격하여 연료피드파이프도 함께 변형되는 단점이 있고, 이렇게 연료피드파이프가 변형되면 복원 이 불가하여 연료탱크 바닥에 잔존하는 미사용 연료의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도 4b 참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의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부착되는 연료피드파이프의 흡입기를 승하강 가능한 구조로 적용하여, 연료탱크의 바닥면이 처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흡입기가 하강하고, 연료탱크 바닥면이 위쪽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흡입기가 위쪽으로 승강하여 항상 연료탱크 바닥면과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며 잔존 연료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 바닥면과 접하여 연료를 흡입하는 흡입기를 하단에 갖는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피드파이프를 연료탱크 상단에 부착된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연료피드파이프와, 상기 흡입기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로 분리 형성하고,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를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의 분리된 부위 및 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밀봉케이스로 밀봉하여,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만이 밀봉케이스의 내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밀봉케이스는 제1연료피드파이프에 고정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제2연료피드파이프가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판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판체는 시일(seal)이 개재되어 서로 기밀유지되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2연료파이프의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판체의 상면 또는 저면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피드파이프(10)가 연료센더(14)와 함께 연료탱크(12)의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바, 연료탱크(12)의 상단에 부착된 원형의 브라켓(16)에 의하여 상기 연료피드파이프(10)는 연료센더(14)와 함께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연료피드파이프(10)의 하단에는 연료탱크(12) 바닥면과 거의 맞닿아 있는 연료흡입기(18)가 장착되어 있어, 연료탱크(12)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까지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피드파이프(10)를 제1연료피드파이프(10a)와 제2연료피드파이프(10b)로 절개하여 분리하는 바, 그 분리 부위는 연료흡입기(18)의 바로 위쪽 위치가 된다.
이때, 상기 제1연료피드파이프(10a)는 연료탱크(12) 상단에 부착된 브라켓(16)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료피드파이프(10b)는 상기 연료흡입기(18)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분리된 제1연료피드파이프(10a)와 제2연료피드파이프(10b)간을 다시 스프링(20)으로 연결하고, 이 스프링(20)으로 연결된 부위를 밀봉케이스(22)로 감싸주게 된다.
상기 밀봉케이스(22)는 저면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상부몸체(24)와, 이 상부몸체(24)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하부판체(26)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24)에는 제1연료피드파이프(10a)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하부판체(26)에는 제2연료피드파이프(10b)의 상단이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4)와 하부판체(26)의 결합부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하여 시일(미도시됨)이 개재된다.
한편, 상기 제2연료피드파이프(10b)의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판체(26)의 상면 또는 저면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28)가 상하로 이격되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연료피드파이프가 연료탱크 변형시 그 변형량만큼 상하로 승하강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2연료피드파이프(28)의 하단에 부착된 연료흡입기(18)는 변형전의 연료탱크(12)의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연료탱크(12)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까지 흡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첨부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2)의 바닥면에 처짐 현 상과 같은 변형이 발생된 경우, 상기 연료탱크(12) 바닥면의 처짐 변형량만큼 상기 연료흡입기(18)도 하강하게 된다.
즉, 연료흡입기(18)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20)이 늘어나게 되고 동시에 제2연료피드파이프(10b)가 하부판체(26)를 통과하며 하강 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연료흡입기(18)가 연료탱크(12)의 처짐 바닥면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료탱크(12) 바닥면이 처지게 되더라도, 연료흡입기(18)가 연료탱크(12) 바닥면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연료탱크(12)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2)의 바닥면이 외부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경우, 상기 연료탱크(12) 바닥면의 상승 변형량만큼 상기 연료흡입기(18)도 승강하게 된다.
즉, 연료탱크(12)의 바닥면이 상승하면서 연료흡입기(18)를 밀어올리게 되고, 동시에 제2연료피드파이프(10b)가 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밀봉케이스(22)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에, 상기 연료탱크(12) 바닥면이 볼록하게 상승하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연료흡입기(18)가 연료탱크(12) 바닥면에 계속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연료탱크(12)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의 바닥면 변형량 만큼 연료흡입기가 동일하게 승하강되어, 항상 연료탱크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의하면, 연료탱크의 바닥면 변형량만큼 연료흡입기 및 연료피드파이프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탱크의 변형에 따른 연료흡입기 및 연료피드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의 바닥면이 변형되더라도, 연료탱크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연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Claims (3)

  1. 연료탱크 바닥면과 접하여 연료를 흡입하는 흡입기를 하단에 갖는 연료피드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피드파이프를 연료탱크 상단에 부착된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연료피드파이프와, 상기 흡입기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로 분리 형성하고,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를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료피드파이프의 분리된 부위 및 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밀봉케이스로 밀봉하여,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제2연료피드파이프만이 밀봉케이스의 내외부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케이스는 제1연료피드파이프에 고정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제2연료피드파이프가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판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판체는 시일(seal)이 개재되어 서로 기밀유지되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파이프의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판체의 저면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KR1020050078526A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26A KR100666791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26A KR100666791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791B1 true KR100666791B1 (ko) 2007-01-09

Family

ID=3786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5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791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14U (ko) * 1991-09-24 1993-04-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오일필터 고정장치
JPH06317134A (ja) * 1993-03-19 1994-11-15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内燃機関のオイル用又は燃料用フィルタ
JPH08322958A (ja) * 1995-06-01 1996-12-10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2004068769A (ja) 2002-08-09 2004-03-0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オイル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14U (ko) * 1991-09-24 1993-04-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오일필터 고정장치
JPH06317134A (ja) * 1993-03-19 1994-11-15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内燃機関のオイル用又は燃料用フィルタ
JPH08322958A (ja) * 1995-06-01 1996-12-10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2004068769A (ja) 2002-08-09 2004-03-0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オイルフィル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388B2 (en) Apparatus for press-fitting a bearing cap into a cylinder block
JP3849512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供給モジュール取付構造
EP3599121B1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JP4359806B2 (ja) 燃料供給装置
EP1397266B1 (en) Fitting structure of a window molding
US6644289B2 (en) Fuel supply apparatus
JP4257657B2 (ja) ポンプモジュール
JP4313289B2 (ja) 燃料タンクのポンプモジュール構造
KR100666791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피드파이프 구조
JP6580401B2 (ja) キャニスタ
CN201330667Y (zh) 翻车阀总成
CN216344130U (zh) 一种单向阀及真空泵装置
CN100564096C (zh) 汽车燃油箱压力调节装置
CN212376768U (zh) 机车侧喷油泵可见油量式回油管
CN204140248U (zh) 一种带双向阀的油箱盖碳罐
CN214662035U (zh) 用于密封腔的吸真空机构
KR101074517B1 (ko) 연료펌프모듈용 방진부재
CN213450618U (zh) 一种燃气发动机气缸盖罩
CN219080498U (zh) 一种具有防负压装置的无塔供水器
CN212202216U (zh) 一种膨胀水箱压力盖、膨胀水箱及车辆
CN105804893B (zh) 一种用于车载油气回收装置的真空缓压阀
CN211500846U (zh) 一种燃油系统保护阀及汽车
CN220904911U (zh) 车辆
CN214534146U (zh) 一种液压离合器排气口密封盖
KR100535501B1 (ko) 장착 자유도를 가지는 연료펌프 모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