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6119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119B1
KR100666119B1 KR1019990051332A KR19990051332A KR100666119B1 KR 100666119 B1 KR100666119 B1 KR 100666119B1 KR 1019990051332 A KR1019990051332 A KR 1019990051332A KR 19990051332 A KR19990051332 A KR 19990051332A KR 100666119 B1 KR100666119 B1 KR 10066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te
common electrode
liquid crystal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215A (ko
Inventor
이규수
박진호
박용은
강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1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215A/ko
Priority to US09/911,084 priority patent/US68226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1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게이트 오프 전압에 영향을 받아서 스윙(Swing)되는 공통전극 전압을 피드백 회로를 통하여 피드백하여 데이터 신호에 상관없이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컨트롤함으로써 공통전극 전압을 안정화시키고, 그에 따라서 캐패시턴스 성분에 커플링된 게이트 오프 전압을 안정화시켜서 액정 패널의 화면 블럭화 현상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통전극과 접속 가능한 위치에서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공통전극 전압을 공통전극 전압 출력을 위한 비교기에 입력하여 비교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공통전극 전압의 스윙을 조절하고, 그 결과 공통전극에 캐패시턴스 요소로 커플링된 게이트 오프 라인에 전류를 공급하여 게이트 오프 신호의 안정화를 꾀한 것이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접회로 별로 휘도 차가 발생되어 불럭화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표시부의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표시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표시부에 공통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로써 구성되는 피드백 회로
도 6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위한 파형도
도 7은 공통전극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공통전극 전압이 포지티브와 네가티브 상태일때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게이트 오프 전압이 가변되는 것을 나타내는 파형도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부의 게이트 오프 전압에 영향을 받아서 스윙(Swing)되는 공통전극 전압을 피드백 회로를 통하여 피드백하여 데이터 신호에 상관없이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컨트롤함으로써 공통전극 전압을 안정화시키고, 그에 따라서 캐패시턴스 성분에 커플링된 게이트 오프 전압을 안정화시켜서 액정 패널의 화면 블럭화 현상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력의 소비량이 적고 경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최근 산업전반에 걸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대표적으로 휴대형 컴퓨터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광학적 모듈과 표시부와 이들을 내장하고 고정하는 수용부로 구성된다.
이들 중 표시부는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이 접착되고 이들 사이에 액정이 밀봉된 액정패널과, 부품들을 실장하고 배선이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실장하면서 인쇄회로기판과 액정패널 간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표시부는 액정패널을 대화면으로 구성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실장 부피를 줄이고자 다양한 방법으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인쇄회로기판들 중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갖지 않는 액정표시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99-13650호에 개시된 바 있다.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갖지 않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플렉시블 서키트 상에 실장되고, 복수 개의 플렉시블 서키트가 TFT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물리적 접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 및 복수의 제 어신호를 각 드라이브 집적회로로 전송하기 위한 배선들은 액정패널의 TFT 기판의 에지(edge)를 경유하도록 설계되고, 배선의 길이와 면적 및 두께는 저항을 고려하여 신호가 왜곡되지 않을 정도로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TFT 기판과 플렉시블 서키트를 경유하는 배선은 도달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되며, 인접한 배선을 포함하는 요소들과 커플링되어서 캐패시턴스를 갖게된다. 그에 따라서 배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게이트 온/오프 신호는 저항과 캐패시턴스에 의한 지연 특성을 가지면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다른 진폭으로 입력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게이트 오프 전압에 두드러지게 발생된다.
상술한 배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은 표시부가 도트 반전 방식으로 구동될 때는 공통전극 전압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인 도트 반전 패턴에서는 인접한 픽셀 간의 전류 보상 효과로 인하여 게이트 오프 라인이나 공통 전극에 전류의 변화가 크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수직 방향의 라인 간에 블랙과 화이트 라인이 한번씩 번갈아서 표시되는 버티컬 스트라이프 패턴(Vertical Stripe Patten)과 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픽셀 간의 전류 보상 효과가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데이터 라인과 커플링에 의한 교류 전류가 게이트 오프 라인과 공통전극에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서 게이트 오프 전압과 공통전극 전압이 스윙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결국, 게이트 오프 라인으로 연결되는 배선의 길이 차에 따른 저항의 차로 인하여 게이트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다른 지연 특성을 가지며, 특히, 게이트 오프 전압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보상되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 오프 전압의 스윙에 공통전극 전압의 스윙이 따라서 스윙되고, 그 결과 공통전극 전압이 불안정함에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의하여 분할되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면에서 희미한 휘도 차이가 발생되는 블럭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의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통전극 전압의 피드백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블럭화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면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 광학적 모듈, 상기 광학적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상기 화면을 형성하는 표시부 및 상기 광학적 모듈과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 신호와 게이트 온/오프 신호와 공통전극 전압 및 복수의 제 1 제어신호들을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 1 제어신호들에 포함된 제 2 제어신호로써 소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인가하는 소스 신호 변환 수단, 상기 게이트 온/오프 신호와 상기 제 1 제어신호들에 포함된 제 3 제어신호로써 게이트 온 신호와 게이트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인가하는 게이트 신호 변환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피드백하여 출력되는 공통전극 전압을 컨트롤함으로써 게이트 오프 전압의 진폭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게이트 전압 안정화 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압 안정화 수단은, 상기 액정패널의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위치로부터 제 1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제 1 피드백 전압 검출 수단, 정전압을 소정 레벨으로 조절하여 기준전압으로 입력하는 기준 전압 인가 수단, 상기 제 1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최소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레벨으로 분압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공통전압으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는 출력을 제 1 피드백 전압과 합성하여 피드백하는 루프를 더 가지며, 상기 제 1 피드백 전압 검출 수단이 오픈되면 출력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는 위치는 게이트 측 또는 소스 측 중 선택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표시부(200)와, 광학적 모듈(300) 및 수용부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수용부는 샤시(400) 및 커버(500)로 구분된다.
표시부(200)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며, 광학적 모듈(300)은 광학시트류(310), 도광판(320), 램프 어셈블리(330), 반사판(340) 및 몰드프레임(350)으로 구분된다.
램프 어셈블리(330)는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도시되지 않음)에서 발광되는 광을 제공하며, 도광판(320)은 측면의 램프 어셈블리(33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일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반사판(34)은 도광판(320)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광학시트류(310)는 반사판(340)에서 반사되는 광을 조절하여 직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광학적 모듈(300)에 포함되는 부품들은 몰드 프레임(350)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광학적 모듈(300)의 상부에 표시부(200)가 구성되고, 후술될 표시부(200)의 인쇄회로기판(230)은 폴딩(folding)되어서 몰드 프레임(350)의 후면에 조립되고, 후술될 플렉시블 서키트(210)는 몰드 프레임(350)의 측면에 실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00)와 광학적 모듈(300)은 조립되어서 샤시(400)와 커버(500) 내부에 조립된다. 이때 커버(500)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어서 상술한 표시부(200)와 광학적 모듈(300) 및 샤시(400)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표시부(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부(200)는 플렉시블 서키트(210)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 인쇄회 로기판(230) 및 액정패널(260)로 구성되며, 액정패널(260)은 상부의 컬러필터기판(250)과 하부의 TFT 기판(240)이 접합되고, 컬러필터 기판(250)과 TFT 기판(24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이며, 이격된 공간은 액정이 주입되어서 밀봉된 상태이다.
여기에서, 인쇄회로기판(23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와 제어신호들로써 데이터 신호와 게이트 온/오프 신호 및 기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와 플렉시블 서키트(210)로 인가하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는 소스 신호 변환 수단으로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실장하면서 데이터 신호와 기타 제어신호에 포함된 계조전압 등을 인가받아서 소스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패널(260)에 인가하고, 플렉시블 서키트(210)는 게이트 신호 변환 수단으로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실장하면서 게이트 신호와 그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서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을 액정패널(260)에 인가한다.
그리고, TFT 기판(240)의 직각으로 대응되는 한 쌍의 에지(edge) 중 제 1 에지에는 플렉시블 서키트(210)이 부착되고, 제 2 에지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가 부착되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는 인쇄회로기판(260)과 접착된다. 물론 이들 간에는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인쇄회로기판(260)과 플렉시블 서키트(210)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배선(281, 282, 283)들이 형성되며, 배선(281, 282, 283)들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와 TFT 기판(240) 상의 제 1 에지 및 제 2 에지를 거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가 실장된 플렉시블 서키트(210)에 접속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배선(283)은 최근접 게이트 플렉시블 서키트(210)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연결되며, 배선(282)은 그 다음 게이트 플렉시블 서키트(210)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연결되고, 배선(281)은 제일 먼 게이트 들렉시블 서키트(210)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4의 위치별로 공통전극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화면(700)을 기준으로 상부 좌측 P1, 상부 우측 P2의 위치에 공통전극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좌측 하부 P3의 위치에서 화면(700) 즉 액정패널(260)에 인가된 공통전극 전압의 피드백을 위한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피드백을 위한 공통전극 전압의 검출은 도 4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소스 측인 제 1 에지 또는 게이트 측인 제 2 에지 중 공통전극과 접속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위치로부터 검출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로써 액정패널(260)의 상부 좌측 P1 위치와 상부 우측 P2 위치에 각각 공통전극 전압 Vp1과 Vp2가 인가되며, 좌측 하부 P3위치에서 피드백을 위한 검출 전압 Vp3가 검출되는 것으로 설정되면, 도 5와 같은 실시예가 피드백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피드백 회로는 인쇄회로기판(230)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0) 상에 구현될 수 있고, 피드백 저항 Rf1에 연결되는 배선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들을 경유하여 피드백 회로가 위치한 곳까지 연장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의하여 도 5의 피드백 회로는 정전압 AVdd가 저항 R1, 가변저항 VR 및 저항 R2에 의하여 분압되고, 가변저항 VR과 저항 R2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이 비교기(800)의 포지티브 단자에 인가되며, 비교기(800)의 출력은 액정패널(260)의 상부 좌측 P1위치에 공통전극 전압 Vp1로써 인가된다. 그리고, 전압 Vp1과 정전압 AVdd의 전위차가 저항 Rc1 및 Rc2에 의하여 분압되어 인가되며, 그 결과 레벨이 조절된 정전압 Vp2가 액정패널(260)의 상부 우측 P2위치에 공통전극 전압 Vp2로써 인가된다.
한편, 이때 비교기(800)의 출력은 피드백 저항 Rf2를 통하여 네가티브 단자에 피드백되고, 비교기(800)의 네가티브 단자에는 액정패널(26)의 좌측 하부 P3위치에서 검출된 전압 즉 피드백 저항 Rf2에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 Vp3가 합성된다.
상술한 바 도 5의 피드백 회로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인가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 간의 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액정패널(260)의 각 단위 화소들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을 통하여 도 6과 같이 데이터 신호 V+, V-와 게이트 온/오프 전압 Von, Voff를 인가받으며, 공통전극으로는 공통전극 전압 Vcom이 인가된다.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면 이에 커플링된 게이트 오프 라인과 공통전극에 교류 전류가 흘러서 스윙이 발생되며, 각 단위 화소들에 연결되는 게이트 오프 라인과 공통전극은 액정 캐패시턴스, 스토리지 캐패시턴스 및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하여 서로 커플링된 상태이기 때문에 게이트 오프 신호의 스윙에 공통전극 전압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도 7과 같이 Voff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서 극명히 알 수 있듯이 공통전극 전압 Vcom이 게이트 오프 전압 Voff와 거의 같은 진폭과 지연 특성을 가지면서 스윙된다.
그리고, 게이트 오프 전압 Voff의 스윙은 도 8의 (A)와 (B)와 같이 포지티브 상태 또는 네가티브 상태인 경우에 각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서로 다른 진폭(Voff1, Voff2, Voff3)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의 피드백 회로를 통하여 공통전극 전압의 왜곡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압 Vp3이 피드백 저항 Rf1를 통하여 비교기(800)의 네가티브 단자(-)에 인가되며, 비교기(800)의 포지티브 단자(+)에는 저항 R1, R2 및 가변저항 VR에 의하여 레벨이 분압되어 결정된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비교기(800)는 포지티브 단자(+)와 네가티브 단자(-)의 전압차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으로 하고, 만약 피드백 저항 Rf1 쪽 라인이 오픈되어도 출력의 피드백 저항 Rf2에 의하여 출력이 안정화된다.
그에 따라서 공통전극 전압 Vp1이 출력되며, Vp2는 정전압 AVdd와의 전위차가 저항 Rc1과 저항 Rc2에 의하여 분압된 값으로 레벨이 결정되어서 출력된다.
결국, 공통전극 전압 Vp1과 Vp2의 출력이 피드백에 의하여 조절되고, 게이트 오프 전압 Voff는 공통전극 전압의 조절된 출력으로써 각 캐패시턴스 성분의 커플링에 의하여 전류가 공급되므로 스윙이 조절되며, 그 결과 도 8과 같은 게이트 전압의 진폭 차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에서, 비교기(800)의 기준전압은 저항 R1, 가변저항 VR 및 저항 R2 의 분압에 의하여 결정되며, 가변저항 VR을 이용하여 기준전압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플리커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레벨이 결정되면 비교기(8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저항 Rf1, Rf2를 통하여 피드백되는 전압으로써 출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교기(800)의 출력은 공통전극 전압 Vp1, Vp2로 출력된다.
이때 실시예의 구성에서 피드백 저항 Rf1은 배선 저항을 포함하여 피드백 루프에 직렬로 연결된 모든 저항 성분을 대표하는 것이며, 피드백 저항 Rf2는 피드백 저항 Rf1을 통한 피드백 루프가 오픈된 경우일 때도 비교기(800)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저항 성분이고 저항값은 Rf1의 10배 정도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항 Rc1, Rc2는 공통전압 Vp1과 Vp2가 차등한 값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패널의 특성에 따라서 이들 저항 Rc1, Rc2의 저항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실제 패널에 적용될 때는 저항 Rc1을 100Ω 이하로 설정해야 게이트 블록에 대한 마진(Margin)을 넓게 가질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전극 전압 Vp1, Vp2가 안정화되면, 각종 캐패시터 성분에 의하여 커플링된 게이트 오프 라인의 게이트 오프 전압이 공통전극 전압을 따르게되며, 그에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간에 지연특성에 따른 도 8과 같은 진폭의 차가 보상된다.
그러므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인가되는 게이트 오프 신호의 진폭이 동일해지며, 그에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별로 휘도차가 발생되어서 화면이 블록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이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대응되는 부분 별로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깨끗한 화질로 원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면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 광학적 모듈;
    상기 광학적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상기 화면을 형성하는 표시부; 및
    상기 광학적 모듈과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 신호와 게이트 온/오프 신호와 공통전극 전압 및 복수의 제 1 제어신호들을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 1 제어신호들에 포함된 제 2 제어신호를 이용해 소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인가하는 소스 신호 변환 수단,
    상기 게이트 온/오프 신호와 상기 제 1 제어신호들에 포함된 제 3 제어신호를 이용해 게이트 온 신호와 게이트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인가하는 게이트 신호 변환 수단, 및
    상기 액정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공통전극 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공통전극 전압을 컨트롤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오프 신호의 진폭을 안정화시키는 게이트 전압 안정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압 안정화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부터 검출된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제 1 피드백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 1 피드백 전압 검출 수단;
    정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기준전압으로 입력하는 기준 전압 인가 수단;
    상기 제 1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서로 다른 레벨로 분압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공통전극 전압으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출력을 제 1 피드백 전압과 합성하여 피드백하는 루프를 더 가지며, 상기 제 1 피드백 전압 검출 수단이 오픈되면 출력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의 피드백 루프의 저항값은 상기 제 1 피드백 전압 검출 수단의 저항값 보다 8배 내지 12배 큰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인가 수단은 정전압이 인가되는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과 가변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플리커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정전압과 상기 비교기의 출력 전압의 전위차가 인가되는 직렬 연결된 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는 위치는 게이트 측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는 위치는 게이트 측의 마지막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대응되는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전압을 검출하는 위치는 소스 측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90051332A 1999-11-18 1999-11-18 액정표시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6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332A KR100666119B1 (ko) 1999-11-18 1999-11-18 액정표시장치
US09/911,084 US6822632B2 (en) 1999-11-18 2001-07-2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332A KR100666119B1 (ko) 1999-11-18 1999-11-1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15A KR20010047215A (ko) 2001-06-15
KR100666119B1 true KR100666119B1 (ko) 2007-01-09

Family

ID=1962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332A Expired - Lifetime KR100666119B1 (ko) 1999-11-18 1999-11-1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22632B2 (ko)
KR (1) KR100666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19B1 (ko) * 2002-07-12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15239B1 (ko) * 2003-06-11 200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973805B1 (ko) * 2003-07-14 201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95639B1 (ko) * 2003-12-30 2010-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385581B2 (en) * 2004-03-11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ing voltag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voltage control method
KR101037083B1 (ko) * 2004-03-30 2011-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102017B1 (ko) * 2004-03-31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온 전압 발생 방법 및 장치
KR101016290B1 (ko) * 2004-06-30 2011-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0604058B1 (ko) * 2004-09-24 2006-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류/직류 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01167314B1 (ko) * 2005-06-29 2012-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09039B1 (ko) * 2005-10-13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186079B1 (ko) * 2005-12-15 2012-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5026738B2 (ja) * 2006-05-31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KR101194647B1 (ko) * 2006-06-30 2012-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극 구동회로
US7768490B2 (en) * 2006-07-28 2010-08-03 Chunghwa Picture Tubes, Ltd. Common voltage compensation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354977B (en) * 2007-04-18 2011-12-2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and opto-electronic apparatus
KR101493491B1 (ko) 2008-09-03 2015-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384634B2 (en) * 2008-09-24 2013-02-26 Apple Inc. Display with reduced parasitic effects
TWI447691B (zh) * 2011-11-11 2014-08-01 Au Optronics Corp 觸發源極驅動器的方法
KR20130139586A (ko)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버퍼 회로,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및 상기 출력 버퍼 회로의 동작 방법
TWI474309B (zh) * 2012-07-25 2015-02-2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顯示裝置及其共用電壓電路模組
CN103676276B (zh) * 2013-12-12 2016-08-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992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용 계조 전압 발생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3477A (en) * 1989-08-31 1994-02-01 Sharp Kabushiki Kaisha Common driver circuit
JP3288142B2 (ja) * 1992-10-20 2002-06-04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872511B2 (ja) * 1992-12-28 1999-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共通電極駆動回路
KR0130368B1 (ko) * 1994-07-21 1998-04-09 구자홍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장치
JP3106078B2 (ja) * 1994-12-28 2000-11-0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駆動用電源
JPH09218388A (ja) * 1996-02-09 1997-08-19 Hosiden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474194B1 (ko) * 1996-03-14 2005-08-0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장치및이를이용한전자기기
KR100271092B1 (ko) * 1997-07-23 2000-11-01 윤종용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US6300926B1 (en) * 1998-04-27 2001-10-09 Hitachi,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TWI228610B (en) * 1998-07-31 2005-03-01 Toshiba Corp Flat panel display unit
KR100590746B1 (ko) * 1998-11-06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다른공통전압을가지는액정표시장치
KR100326880B1 (ko) * 1999-09-21 2002-03-1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992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용 계조 전압 발생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15A (ko) 2001-06-15
US6822632B2 (en) 2004-11-23
US20020024484A1 (en)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119B1 (ko) 액정표시장치
US666118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3578439B (zh) 包括公共电压补偿电路的液晶显示装置
US6946804B2 (en) Display device
KR10098357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50190171A1 (en) Display device and device of driving light source therefor
US6160605A (en) Display device with particular external connections
JP200322315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501684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35503B1 (ko) 귀환 회로부가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US102993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60000933A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US20030011547A1 (en) Image display device
JPH11160677A (ja) 液晶表示装置
US8384634B2 (en) Display with reduced parasitic effects
US8730214B2 (en) COG panel system arrangement
KR10130800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13403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07115A (ko) 티.에프.티. 표시장치
JP404038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液晶コントローラ
KR20170079200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9990051224A (ko) 액정표시장치의 공통 전압 조절회로
KR100617877B1 (ko) 물결 현상 방지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KR100613654B1 (ko) 소스 드라이브 ic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50145641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5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