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421B1 -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4421B1 KR100664421B1 KR1020060002916A KR20060002916A KR100664421B1 KR 100664421 B1 KR100664421 B1 KR 100664421B1 KR 1020060002916 A KR1020060002916 A KR 1020060002916A KR 20060002916 A KR20060002916 A KR 20060002916A KR 100664421 B1 KR100664421 B1 KR 100664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eld
- business card
- information
- character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015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2—Layout analysis of documents structured with printed lines or input boxes, e.g. business forms or tab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명함 인식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명함 인식 방법은, a)명함의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 b)명함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해당 필드의 정보가 표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필드별 후보 영역을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참조하여 추출하는 단계; d)필드별 후보 영역 중 최우선순위를 갖는 필드 후보 각각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각각 추출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명함 데이터 인식이 가능하고 필요한 필드에 대한 선택적 명함 인식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using a provided camera, the method of recognizing a business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etting character not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field of a business card; b) extracting a text area from a business car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ode; c) extracting a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which is estimated to have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ield to be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z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d) extracting character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field candidate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candidate fields for each field; And e) integrating extracted character information, respectively. This enables faster and more accurate card data recognition and selective card recognition for required fields.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명함 인식을 위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for recognizing a general business card,
도 2는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camer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명함의 일반적인 필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a general field structure of a business card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명함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aster and more accurate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the provided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명함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candidate region extraction step for each field of FIG. 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i 는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명함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7A-7I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ctual business car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단계를 보 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candidate region extraction step for each field of FIG. 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인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한 후 필요한 정보만을 보다 신속하게 추출하여 문자 데이터화할 수 있는 명함인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take a business card using a camera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extra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more quickly to text data It relates to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일반적으로, 만나는 상대방으로부터 명함을 건네 받으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전화전호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명함으로부터 필요한 내용을 키패드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여 저장한다. In general, when a business card is passed from the other part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irectly inputs and stores the necessary contents from the business card by using the keypad using a telephone call editing menu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개인정보 관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많은 수작업을 필요로 하게 한다. 더욱이 사용자가 지인들로부터 받은 명함이 많을 경우,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리해야 한다면 입력되는 데이터의 정확성이나 관리도 그 만큼 힘들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Suc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requires a lot of manual work fo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if the user has a lot of business cards received from acquaintan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r management of the input data is difficult as much if you need to organize them manually.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함으로써, 명함을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a method of storing a business card in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proposed by photographing a business card using a camera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ognizing the photographed image using a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문자 인식이란, 종이와 같은 일정한 면을 갖는 영역에 기록된 문자들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판독 및 식별하여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Character recognition refers to a technology of reading and identifying characters recorded in a certain area such as paper by using a mechanical device and converting them into code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computer.
일반적으로, 문자인식장치는 광전변환장치, 인식처리장치, 기억장치,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광전변환장치는 지면의 문자를 전압파형으로 변환하고 이때 지면의 2차원 도형인 문자의 형상은 TV와 같은 방식인 주사(scan)에 의해 전압 파형의 시계열 변화인 1차원 신호로 변환한다. 기억장치는 인식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연산 제어 프로그램과, 인식한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표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식처리장치는 기억장치 상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광전변환장치를 통해 미지의 문자를 입력하여 처리하고, 같은 기억장치 내의 표준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일치도가 높은 패턴에 해당되는 문자의 종류를 미지 문자의 글자 종류로 인식한다. 출력장치는 인식된 문자를 컴퓨터나 그 밖의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한다. In general, a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s composed of a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 recognition processing device, a memory device, and an output devic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nverts a character of the ground into a voltage waveform, an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haracter, which is a two-dimensional figure of the ground, is converted into a one-dimensional signal which is a time series change of the voltage waveform by a scan, which is a TV-like method. The storage device stores arithmetic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recognition processing device and data representing a recognized shape in a specific form. The recognition processing device inputs and processes unknown characters through a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nder the control of a program on the storage device, and compares the type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with the highest match with the standard pattern in the same storage device. Recognize it as a letter type. The output device transfers the recognized characters in a form that is easy to transfer to a computer or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문자인식장치로는 인쇄문자와 필기문자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 필기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태블릿(tablet), 특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마크판독기(Optical Mark Reader: OMR), 바코드, 자기잉크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등이 있다. Th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that can recognize both printed and handwritten characters, a tablet that can recognize handwritten characters, and an optical mark reader that can recognize special characters ( Optical Mark Reader (OMR), Barcode,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도 1은 일반적인 명함 인식을 위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for recognizing a general business card.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키패드에 마련된 조작키들(32,34)을 이용하여 카메라(10)를 통해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화면(20)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된 이미지로부터 문자 인식 기능을 통해 문 자를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정보를 명함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한 명함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As illustrated, the portable terminal captures an image of a business card through the
도 2는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camera.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10)를 통해 명함을 촬영하여 명함 이미지를 독출한다(S11). 휴대용 단말기는 독출한 명함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S13). 여기서 영상 처리란, 촬영영상을 인식에 용이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로서, 이진화 및 잡영 제거등이 포함된다.First, the portable terminal photographs a business card through the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처리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한다(S15). 휴대용 단말기는 추출한 문자 영역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S170). 휴대용 단말기는 모든 문자 영역에 대한 문자 인식을 통해 각 필드의 정보를 추출한다(S18).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최종적으로 추출한 정보를 화면(20)에 표시한다(S19). The portable terminal extracts a text area from the image processed business card image (S15).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character recognition on the extracted text area (S170). The portable terminal extracts information of each field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for all text areas (S18).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finally extrac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20 (S19).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방법은 문자를 인식할 때 명함 이미지의 문자 영역에 대해 범용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존의 명함 인식 방법은 명함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 외에 불필요한 정보들까지 포함된 전체 명함 이미지의 문자 영역에 대해 문자 인식을 수행하기 때문에, 문자 인식 시간 및 명함 정보의 추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rd recogni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performs universal character recognition on the character area of the card image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erefore, the existing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performs character recognition on the text area of the entire business card image including un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to be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so that the text recognition time and the extraction time of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take much time. have.
게다가, 프로세서의 속도가 빠른 일반 컴퓨터(PC)에서는 문자 인식 속도가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의 방법으로 명함을 인식할 경우 느 린 명함 인식 속도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 시켜 명함 인식 기능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speed is not a big problem in a general computer (PC) that has a high speed of a processor, but a portable terminal may cause inconvenience to a user due to a slow business card recognition speed when a business card is recogniz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reduces the utilization of the recognition function.
뿐만 아니라, 종래의 명함 인식 방법은 필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체 명함 이미지에 대해 문자 인식을 처리한 후 인식 결과에 따라 문자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문자 인식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character data is col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after text recognition is processed for the entire business card im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field,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rror in character recognition occu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인식할 때 보다 빠른 명함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faster when a business card is recognized using a provided camer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인식할 때, 필드의 종류에 따라 보다 정확한 명함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more accurately according to the type of field when recognizing a business card using a provided camera.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명함의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 b)명함 인식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해당 필드의 정보가 표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필드별 후보 영역을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참조하여 추출하는 단계; d)상기 필드별 후보 영역 중 최우선순위를 갖는 필드 후보 각각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상기 각각 추출 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명함 인식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setting character display characteristics for each field of the business card; b) extracting a text area from a business car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ode; c) extracting a candidate area for each field, which is estimated to have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ield to be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 notation for each field; d) extracting character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field candidate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candidate fields for each field; And e) integrating the extracted character informa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명함 인식 방법은, 상기 통합한 문자 정보로 구성되는 명함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명함 데이터에 대한 수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명함 데이터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on the screen business card data consisting of the integrated character information; And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business card data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when a correction command for the displayed business card data is input.
또한, 본 실시예의 명함 인식 방법은, 상기 통합한 문자 정보로 구성되는 명함 데이터 및 상기 수정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명령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the business card data consisting of the integrated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modified business card data according to a storage command.
본 실시예의 명함 인식 방법은, 상기 a) 단계 후, 상기 명함의 전체 필드들 중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필드를 설정하는 추출필드 설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상기 설정된 추출필드에 대응하는 필드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The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extraction field setting step of setting a field including information to be obtained from all the fields of the business card after step a). Accordingly, in step c), the field candidat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extraction field is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 writing characteristic of each field.
상기 명함의 필드는, 회사 마크, 회사명, 부서/직책, 이름, 및 상세정보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상세정보 필드는,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핸드폰번호, 홈페이지 주소, 및 이메일 주소 필드로 구성된다. The field of the business card is composed of a company mark, a company name, a department / title, a name, and a detailed information field. The detailed information field includes a postal code, address, telephone number, fax number, mobile phone number, homepage address, and e-mail address field.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은, 상기 회사 마크가 상기 명함 이미지의 맨 왼쪽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회사명은 상기 명함 이미지의 맨 위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부서/직책이 상기 회사명 필드 영역의 아래 영역에 위치하며 글자 크기가 작고 "/" 또는 빈칸으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이름이 상기 소속/직책 필드 영역의 아래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글자의 크기가 크고 명함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며 간격을 두고 한 글자씩 표시되며, 상기 상세정보가 이름 필드 영역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여 작은 글씨로 그룹화되어 표시된 패러그래프 형태를 갖는다. The field-specific character notation property is that the company mark is located at the top left of the business card image, the company nam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business card image, the department / job title is below the company name field area Located in the area, the letter size is small and separated by "/" or blank, the name is located below or to the right of the belonging / title field area and the letter size is large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business card. Letters are displaye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name field area and is grouped into small letters to have a displayed paragraph form.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은, 상기 상세정보 필드 중, 상기 우편번호가 "-"를 기준으로 3개의 숫자들이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주소가 상기 우편번호 필드 영역 다음에 표시되며 시 또는 도로 시작하며,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 필드 영역 아래쪽에 위치하며 국가 또는 지역 번호로 시작하며, 상기 팩스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필드 영역 아래 또는 옆에 위치하여 상기 전화번호 필드와 동일한 국가 또는 지역 번호로 시작하는 숫자가 표시되고, 상기 핸드폰번호가 상기 팩스번호 필드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지정번호로 시작하는 숫자로 구성되며, 상기 홈페이지 주소가 "http" 또는 "www"를 포함하는 문자로 표시되며, 상기 이메일 주소가 특수문자 "@"를 포함하는 영문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성을 갖는다. The character notation characteristic of each field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three digits based on the "-" in the detailed information field, and the address is displayed after the zip code field area and starts with a city or a road. A number starting at the bottom of the address field area and starting with a country or area code, and the fax number starting at or below the phone number field area and starting with the same country or area code as the phone number field Is displayed, the mobile phone number is located below the fax number field area and consists of a number starting with the mobile operator specified number, the homepage address is displayed as a letter including "http" or "www", The e-mail address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in English including the special character "@".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인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명함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명함의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명함 인식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문자영역 추출부;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해당 필드의 정보가 표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필드별 후보 영역을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참조하여 추출하는 필드후보영역 추출부; 상기 필드별 후보 영역 중 최우선순위를 갖는 필드 후보 각각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문자정보 추출부; 및 상기 각각 추출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여 명함 데이터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using the provided camera,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program for recognizing the business card and the character display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of the business car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text are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ext area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ode; A field candidate reg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which is estimated to have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ield to be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 marking characteristic of each field; A charact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field candidate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candidate fields for each field; And a control unit for integrating the extracted character information and storing the extracted character information as the business card data in the storag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명함의 전체 필드들 중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추출 필드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필드후보영역 추출부는 상기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상기 설정된 추출 필드에 대응하는 필드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sets an extraction field including information to be obtained from all the fields of the business card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and stores the extraction field. Accordingly, the field candidate region extracting unit extracts a field candidat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t extraction fiel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 notation characteristic of each fiel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한 명함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명함 데이터에 대한 수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명함 데이터를 수정하여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ntegrated business card data on the screen, and when a correction command for the displayed business card data is input, the controller modifies and displays the business card data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함의 필드별 문자 배열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명함 인식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해당 필드의 정보가 표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필드별 후보영역을 상기 필드별 문자 배열패턴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필드별 후보영역에 표기된 각각의 문자 특성에 대응하여 인식 가능한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 추출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명함 인식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etting the character array pattern for each field of the business card; Extracting a text area from a business car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a business card recognition mode; Extracting, by reference to the character array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field, a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which is estimated to have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ield to be extracted from the business card image; Extracting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by applying a recognizable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characteristic indicated in the extracted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And integrating the extracted character informa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정보 추출단계에서는, 추출된 필드별 후보 영역이 한글도 표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필드 후보 영역인 경우에는 한글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드 후보 영역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별 후보 영역이 영어 또는 숫자로 표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필드 후보 영역인 경우에는 각각 영어 또는 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각각 적용하여 필드 후보 영역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Preferably, in the character information extracting step, when the extracted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is a field candidate region in which Hangul is also expected to be marked, character information of the field candidate region is extracted by applying a Hangul recognition algorithm to extract character information. If the extracted candidate field for each field is a field candidate area expected to be represented in English or numbers, character information of the field candidate area is extracted by applying an English or numeric recognition algorithm,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단계는, 상기 추출된 문자 영역에 대해 문자들 간의 줄 간격, 각 라인의 높이, 문자열 정렬 방식(내용 추가) 등을 고려하여 문자 표시 영역별로 블록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블록별로 문자 표시 라인의 특성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한 라인별 특성에 따라 필드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각 필드에 대해 문자 표시 특성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표시 특정에 따라 상기 필드별 후보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andidate region extraction step for each field may be divided into blocks for each character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line spacing between the characters, the height of each line, a string sorting method (content addition), and the like for the extracted character region. step; Checking a characteristic of a text display line for each of the divided blocks; Estimating a type of field according to the checked line-specific characteristic; Checking character display characteristics for each of the estimated fields; And determining the candidate area for each field according to the character display specification.
상기 명함의 필드는, 회사 마크, 회사명, 부서/직책, 이름, 및 상세정보 필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필드는,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핸드폰번호, 홈페이지 주소, 및 이메일 주소 필드 등일 수 있다. The field of the business card may be a company mark, a company name, a department / title, a name, a detail information field, and the like. The detailed information field may be a postal code, address, telephone number, fax number, mobile phone number, homepage address, and e-mail address field.
본 발명에 따르면,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가 표시된 필드 후보 영역을 기 설정된 필드별 배열패턴정보 또는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한 후 이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명함 정보를 얻어냄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명함 이미지의 문자 영역으로부터 필드별 문자 특성에 따라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를 추정한 후 이에 대한 문 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보다 정확한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명함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추출필드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정보를 기초로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 영역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후보 필드에 대해서만 문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racting a text area with respect to an image of a business card and extracting a field candidate area on which information to be extracted is displayed with reference to preset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field or character information for each field, the text information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card information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from the card more quickly. In addition, by estimating a field candidate to extract the charac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from the character region of the card image and extrac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reof,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through more accurate character recognition. In addition, by setting an extraction field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in advance and extracting only the field candidate area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the text information is extracted only for the extracted candidate field. Only bays can be acquired quick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명함의 일반적인 필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field structure of a business card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은 맨 왼쪽 상단에 표시된 회사 마크(41), 회사 마크(41)의 오른쪽 및 명함의 최상단에 표시되는 회사명(42), 회사명(42)의 아래쪽 가운데에 위치하며 주변 글자 크기보다 크고 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44), 이름(44)의 왼쪽 또는 위쪽에 표시된 부서/직책(43), 및 이름(44) 아래쪽에 위치하며 작은 글씨로 하나의 패러그래프를 형성하고 있는 상세정보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business card is locat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company mark (41) displayed at the top left, the right of the company mark (41) and the top of the business card (42), the bottom of the company name (42). The
상세정보는 "-"를 기준으로 3개의 숫자들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우편번호(45), 시 또는 도로 시작하는 주소(46), 지역번호로 시작하는 전화번호(47), 전화번호(47) 아래에 위치하는 팩스번호(48), 이동통신 사업자 지정번호로 시작하는 핸드폰번호(49), 및 "@"를 포함하는 영문이 표시된 이메일 주소(50)로 구성된다. The details are based on the postal code (45) with three numbers separated by "-", the address starting with the city or road (46), the phone number starting with the area code (47), and the phone number (47) below. It consists of a fax number (48) located at, a mobile phone number (49) starting with a mobile operator specified number, and an e-mail address (50) displayed in English includ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명함 이미지 전체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하지 않고, 문자 영역을 필드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문자 인식의 속도 및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area is divided by field type without increas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of the entire business card image,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명함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aster and more accurate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a camera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카메라부(120), 영상처리부(140), 표시부(160), 무선통신부(220), 데이터 처리부(240), 오디오 처리부(260), 키입력부(310), 저장부(330), 문자영역 추출부(350),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 및 문자정보 추출부(390)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명함 이미지에 대한 필드별 문자 인식을 통한 정보 추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명함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필드에 대한 문자 인식을 통한 정보 추출을 제어한다. The
카메라부(12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별도로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120)는 입력되는 촬영 명령에 따라 명함을 촬영하고, 촬영한 명함 이미지 데 이터를 영상처리부(140)로 출력한다. The
영상처리부(140)는 카메라부(120)에서 출력되는 명함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로 변환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케메라부(120)에서 출력되는 명함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잡음 이미지를 제거하고,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사이즈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4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처리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The
표시부(160)는 영상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명함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6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60)는 명함 이미지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텍스트 형태의 명함 정보를 필드별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무선통신부(220)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 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통신부(220)는 입력되는 송신 대상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또한 무선통신부(2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데이터 처리부(24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모듈, 및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모듈 등을 구비한다. The
오디오 처리부(26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60)는 데이터 처리부(24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6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240)로 출력한다.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6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명함 이미지에 대응하여 추출된 명함의 필드별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키입력부(3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310)는 명함에 대한 촬영 및 촬영된 명함 이미지에 대한 필드별 문자 정보 추출을 제어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키입력부(310)는 입력되는 해당 명령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The
저장부(330)는 프로그램 저장부, 데이터 저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면에 표시된 문자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정보로 추출하기 위한 문자 인식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330)에는 명함으로부터 얻고자하는 정보의 필드가 설정된 추출필드 설정정보, 및 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필드별 명함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330)에는 해당 명함들의 일반적인 타입을 분석하여 설정된 명함의 필드별 배열 패턴정보가 저장된다. The
문자영역 추출부(3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명함 이미지로부터 문자가 표시된 문자 영역을 추출한다.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명함의 필드별 배열 패턴정보를 참조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해당 필드의 후보 영역을 우선순위별로 추출한다. 이에 따라 명함의 문자 인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설정된 추출필드 설정정보에 따라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의 후보 영역을 우선순위별로 추출한다.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명함에 기재되는 필드별 문자 특성을 참조하여, 설정된 추출필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필드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필드별 문자 특성 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candidate
명함에 표시되는 필드의 종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사 마크(41), 회사명(42), 부서/직책(43), 이름(44), 및 상세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세정보는 우편번호(45), 주소(46), 전화번호(47), 팩스번호(48), 핸드폰번호(49), 이메일 주소(50), 및 회사 홈페이지 주소를 들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type of field displayed on the business card consists of a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가 추출하고자 하는 문자 정보가 포함된 필드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구체적인 예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다. A detailed example of extracting the field candidate region includ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to be extracted by the field
제어부(100)는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에서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보 필드의 문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문자정보 추출부(3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에서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확인 명령을 입력받아, 최종 선택된 필드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문자정보 추출부(3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문자정보 추출부(39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에서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에 표시된 문자 정보를 문자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자정보 추출부(390)는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할 때, 필드 후보 영역 각각에 기재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자 특성(한글, 영어, 숫자 등)에 대응하여, 해당 필드 후보 영역에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The text
예를 들어,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이 한글 필드(예를 들어, 한글 명함의 경우에 이름 필드라고 판단되는 후보 영역)인 경우, 문자정보 추출부(390)는 한글 인 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한 필드 후보 영역이 영어 및 숫자로 구성된 필드(예를 들어, 전화 번호,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등)인 경우, 문자정보 추출부(390)는 영어/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For example, if the extracted field candidate region is a Korean field (eg, a candidate region determined to be a name field in the case of a Korean business card), the character
따라서,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 이외의 필드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필드 영역에 대해서도 해당 필드 영역에 기재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자 패턴에 대한 인식 알고리즘을 먼저 적용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인식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gnition of the field reg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to be extracted, and to apply the recognition algorithm for the character pattern that is expected to be described in the field region for the field region first, thereby recognizing the required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제어부(100)는 문자정보 추출부(390)에서 각 필드로부터 추출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여 명함 정보를 화면에 표시 및 저장 명령에 따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The
따라서,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가 표시된 필드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이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명함 정보를 얻어냄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명함 이미지의 문자 영역으로부터 필드별 문자 특성에 따라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를 추정한 후 이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보다 정확한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명함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추출필드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정보를 기초로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 영역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후보 필드에 대해서만 문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 Therefore, by extracting the text area and extracting the field candidate area on which the information to be extracted is displayed, and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on the card image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from the card by acquiring the card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quickly. In addition, by estimating a field candidate to extract the charac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from the character region of the card image and extrac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reof,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through more accurate character recognition. In addition, by setting an extraction field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in advance and extracting only the field candidate area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the text information is extracted only for the extracted candidate field. Only bays can be acquired quickl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명함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business car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00)는 키입력부(310)를 통해 명함 인식 명령에 따라, 전면에 놓여진 명함을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하여 명함 이미지를 독출한다(S110). 제어부(100)는 독출한 명함 이미지로부터 잡음 이미지를 제거하고 문자 인식에 적합한 형태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140)를 제어한다(S120). 제어부(100)는 영상 처리된 명함 이미지를 표시부(16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명함 이미지로부터 해당 필드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통합하여 명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표시부(16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First, the
제어부(100)는 문자영역 추출부(350)를 제어하여 영상 처리된 문자 이미지에 대해 문자가 표시된 영역을 추출한다(S130). 문자 영역이 추출되면, 제어부(100)는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를 제어하여 추출된 문자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추출필드 설정정보에 따라 추출하고자 하는 문자가 표시된 필드별 후보 영역을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S140). 이때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필드별 배열패턴정보 또는 필드별 표시되는 문자 특성을 참조하여 필드별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The
필드별 후보 영역이 추출되면, 제어부(100)는 후보 영역들로부터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최종 필드 영역을 결정하고, 문자정보 추출부(390)를 제어하여 결정된 필드 영역에 표시된 문자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문자 인식 알고리즘(한글, 영어,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자(한글, 영어,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정보를 추출한다(S150). When the candidate area for each field is extracted, the
이 때, 추출된 필드별 후보 영역이, 이름 필드와 같이, 한글도 표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필드 후보 영역인 경우에, 문자정보 추출부(390)는 한글 인식 알고리즘을 먼저 적용하여 필드 후보 영역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된 필드별 후보 영역이 영어 또는 숫자로 표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필드 후보 영역인 경우에, 문자 정보 추출부(390)는 각각 영어 또는 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먼저 적용하여 필드 후보 영역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At this time, when the extracted candidate candidate area for each field is a field candidate area in which Hangul is expected to be marked like the name field, the character
제어부(100)는 문자정보 추출부(390)에서 각 필드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문자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명함 정보를 생성한다(S160). 제어부(100)는 통합한 명함 정보를 필드별로 해당 위치를 배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170). 표시된 명함 정보에 대하여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표시된 명함 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S180). 여기서, 제어부(100)는 표시된 명함 정보에 대한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명함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The
따라서,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가 표시된 필드 후보 영역을 필드별 배열패턴정보 또는 필드별 문자표시특성을 기초로 추출한 후 추출한 필드 영역에 표시된 문자 특성에 대응하는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명함 정보를 얻어냄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extracting the text area for the image of the business card and extracting the field candidate area on which the information to be extracted is displayed based on the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field or the character display property for each field, the character field displayed on the extracted field area is applied. By apply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to extract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finally obtain the car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the character card from the business car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a 내지 도 7i 는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명함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candidate region extraction step of FIG. 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I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ctual business car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cable. Figure is shown.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6에 적용되는 명함의 예들이 도시된 도 7a 내지도 7i 를 통해 실제 명함의 주요 정보들의 배열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FIG. 6,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main information of the actual business car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I, which show examples of the business card applied to FIG. 6.
도면에서 도 7a 내지 도 7c는 명함의 라인 정렬 방식 특성에 따른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이름 및 주요 정보들이 왼쪽 정렬 방식으로 표시된 예이고, 도 7b는 가운데 정렬 방식으로 표시된 예이며, 도 7c는 오른쪽 정렬방식으로 표시된 예이다. 이러한 정렬 방식에 따른 명함의 라인 정렬 방식 특성 및 이에 따라 표시되는 이름 및 주요정보들의 표시 특성을 포함하는 배열패턴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7A to 7C illustrate examples of line alignment method characteristics of a business card. 7A is an example in which names and main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left-aligned manner, FIG. 7B is an example in middle-aligned manner, and FIG. 7C is an example in right-alignment manner. The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line alignment schem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card according to the alignment scheme and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name and the main information displayed thereon is stored in the
도 7d 내지 도 7i는 명함의 라인 배열 방식 특성에 따른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d 내지 도 7f는 이름 및 주요 정보들이 상하로 배열되어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도 7g 내지 도 7i는 좌우로 배열되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배열 방식에 따른 명함의 라인 배열 방식 특성 및 이에 따라 표시되는 이름 및 주요정보들의 표시 특성을 포함하는 배열패턴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7D to 7I illustrate examples according to a line arrangement method characteristic of a business card. Specifically, FIGS. 7D to 7F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names and main information are arranged up and down, and FIGS. 7G to 7I ar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The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line arrangement method characteristic of the business car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method and the display characteristic of the name and the main information displayed thereon is stored in the
이에 따라,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상기와 같은 명함의 필드별 배열패턴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된 필드 영역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el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 단계(S1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필드별 배열패턴정보를 참조하여 필드 후보 영역을 추출할 없는 경우에 적용된다.Hereinafter, the candidate field extraction step S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G. 6 is applied when the field candidate region cannot be extracted with reference to the array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field.
제어부(100)는 필드별 후보 영역의 추출을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를 제어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가 필드별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추출된 문자 영역에 대해 문자들 간의 줄 간격, 각 라인의 높이, 문자열 정렬 방식 등을 이용하여 문자 표시 영역별로 블록을 구분한다(S61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eld candidate
이때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구분된 블록별로 문자 표시 라인의 특성을 체크한다(S630).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포함된 블록은 일반적으로 주소, 팩스, 휴대전화번호, 및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하는 라인들이 다른 라인들에 비해 상하 라인 간에 근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수의 라인을 포함하거나 가로로 가장 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인별 특성을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를 통해 체크한다. At this time, the field candidate
라인별 특성을 체크한 후,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체크한 라인별 특성에 따라 필드의 종류를 추정한다(S650). 예를 들어,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가로로 가장 긴 라인에 대해서는 주소 필드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After check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line, the field candidate
필드의 종류를 추정한 후,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해당 필드의 문자 표시 특성을 체크한다(S670). 예를 들어, 한글 이름 필드는 일반적으로 명함에서 다 른 필드와의 라인 간격, 위치, 폰트 크기, 문자 간격 등에서 다른 필드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글 이름필드 영역의 아래와 같은 특징을 기초로 필드의 표시 특성을 체크할 수 있다. After estimating the type of field, the field candidate
첫째, 이름 필드는 다른 정보 필드 영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문자 영역간 간격이 비교적 넓고 일정하다. 둘째, 이름이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 보통 2~4개의 문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격이 일정하다. 셋째, 이름이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직위나 부서 등과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일한 필드 영역의 문자 후보 영역들 사이에 높이차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직위나 부서 등의 문자 영역이 이름 문자 영역보다 높이가 작다. 넷째, 이름 필드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작은 직위나 부서 등의 라인이 위 또는 아래에 존재할 수 있다. First, the name field is higher in height than other information field areas, and the spacing between character areas is relatively wide and constant. Second, if a name exists alone, it is usually composed of two to four character areas, with a constant interval. Third, if the name does not exist alone, it may exist together with the position or department, in which case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 candidate areas of the same field area. Generally, the text area such as title or department is smaller than the name text area. Fourth, the name field may have a line with a relatively small title or department above or below.
또한 상세정보필드(전화, 팩스, 휴대전화, 이메일 정보 등)는 인식 후에는 각 필드별로 구분되는 키워드나 문자 구성 등의 필드 판별에 사용 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인식 전에는 필드 가판별에 사용할 수 있는 뚜렷한 특징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이들 필드들은 명함에서 주로 함께 모여 라인 블록을 이루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이들 필드들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상세정보필드들이 포함된 라인 블록 영역을 찾는데 사용 가능한 특징들의 예이다. In addition, detailed information fields (telephone, fax, mobile phone, e-mail information, etc.) can be used to determine fields such as keyword and character composition that are separated by each field after recognition. The distinctive features are hard to find. However, these fields are mainly gathered together in a business card to form a line block,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se fields by utilizing such a feature.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the features that can be used to find a line block area that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fields.
첫째, 블록 영역에 가장 많은 수의 라인을 포함한다. 둘째, 첫 번째 특징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전화번호, 휴대폰, 팩스 정보 등이 연속하여 배열된 라인이나 주소 라인 등의 명함에서 추출된 라인들 중에서 가장 가로의 길이가 긴 라인을 포 함하게 된다. 셋째, 다른 라인에 비해 문자 영역의 수가 많다.First, the block area contains the largest number of lines. Secondly, if the first characteristic is not satisfied, the longest horizontal line is included among lines extracted from a business card such as a line or an address line in which telephone numbers, mobile phones, and fax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arranged. Third, the number of character areas is larger than other lines.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이러한 필드별 특성들을 참조하여 인식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필드 후보영역을 결정한다(S690).The field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필드별 후보영역 추출단계(S140)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필드별 배열패턴정보를 참조하여 필드 후보 영역을 추출할 수 없고 라인별 체크 특성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 가능한 일예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candidate region for each field S140 of FIG. 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applicable to a case in which a field candidate region cannot be extracted with reference to field-specific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and a check characteristic for each line is difficult.
먼저,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명함 이미지의 맨 위의 중앙 부위에서 맨 처음 인식되는 영역을 "회사명" 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1). First,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회사명"필드후보 영역의 아래 영역에 위치하며 글자 크기가 작고 "/"로 구분되어 문자가 표시된 영역을 "소속/직책" 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2). 다만, 이 때, "/" 대신에 빈칸이 소속과 직책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회사명" 필드후보 영역의 아래 영역에 위치하고, 글자크기가 작은 영역이 빈칸에 의해서 분리된 영역을 "소속/직책" 필드 후보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소속/직책" 필드후보 영역의 아래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글자의 크기가 크고 명함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며 간격을 두고 한 글자씩 표시된 영역을 "이름"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3). The field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이름"필드후보 영역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여 작은 글씨로 그룹화되어 표시된 패러그래프 영역을 "상세정보" 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 The field candidate
보다 상세하게,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를 기준으로 3개의 숫자들이 구분되어 표시된 영역을 "우편번호" 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4). In more detail,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우편번호" 필드후보 영역 다음에 표시되며 시 또는 도로 시작하는 영역을 "주소" 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5).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주소"필드후보 영역 아래쪽에 위치하며 국가 또는 지역 번호로 시작하는 숫자 표시 영역을 "전화번호"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6).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전화번호" 필드후보 영역 아래 또는 옆에 위치하며, "전화번호"필드후보 영역과 동일한 국가 또는 지역 번호로 시작하는 숫자가 표시된 영역을 "팩스번호"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7). The field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팩스번호"필드후보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사업자 지정번호로 시작하는 숫자 영역을 "핸드폰번호"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8).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핸드폰번호" 필드후보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며 특수문자 "@"를 포함하는 영문으로 표시된 영역을 "이메일 주소"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S149). The field candidate
필드후보영역 추출부(370)는 "http" 또는 "www"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홈페이지 주소"필드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 The field candidate
상기와 같이 필드의 특성에 따른 명함 이미지에서의 표시 영역 및 문자 특성을 기초로 해당 영역에 대한 필드후보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field candidate area for the corresponding area is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가 표시된 필드 후보 영역을 기 설정된 필드별 배열패턴정보 또는 필드별 문자 표기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한 후 이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하여 명함 정보를 얻어냄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racting a text area with respect to an image of a business card and extracting a field candidate area on which information to be extracted is displayed with reference to preset arrangement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field or character information for each field, the text information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card information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from the card more quickly.
또한 명함 이미지의 문자 영역으로부터 필드별 문자 특성에 따라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를 추정한 후 이에 대한 문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보다 정확한 문자 인식을 통한 명함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estimating a field candidate to extract the charac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from the character region of the card image and extrac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reof,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ard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through more accurate character recognition.
뿐만 아니라, 명함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추출필드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정보를 기초로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필드 후보 영역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후보 필드에 대해서만 문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명함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tting an extraction field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card in advance and extracting only the field candidate area for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the text information is extracted only for the extracted candidate field. Only bays can be acquired quickly.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916A KR100664421B1 (en) | 2006-01-10 | 2006-01-10 |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
PCT/KR2007/000158 WO2007081147A1 (en) | 2006-01-10 | 2007-01-09 |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or recognizing name card and method thererof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916A KR100664421B1 (en) | 2006-01-10 | 2006-01-10 |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4421B1 true KR100664421B1 (en) | 2007-01-03 |
Family
ID=3786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2916A Active KR100664421B1 (en) | 2006-01-10 | 2006-01-10 |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4421B1 (en) |
WO (1) | WO2007081147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946B1 (en) * | 2017-02-02 | 2017-11-13 | 에스비주식회사 | Enterprise reput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
KR102134024B1 (en) | 2018-12-31 | 2020-07-15 | 주식회사 딥비전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Recognizing Name Card |
KR20200112465A (en) | 2019-03-22 | 2020-10-05 | 엄춘호 | Smart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smart information input system |
US20210319248A1 (en) * | 2018-08-27 | 2021-10-14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Ocr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9354B2 (en) | 2005-03-24 | 2017-09-19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scanned data |
US9576272B2 (en) | 2009-02-10 | 2017-02-21 | Kofax,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
US8774516B2 (en) | 2009-02-10 | 2014-07-08 | Kofax,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
US9349046B2 (en) | 2009-02-10 | 2016-05-24 | Kofax, Inc. |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
US9767354B2 (en) | 2009-02-10 | 2017-09-19 | Kofax, Inc. | Global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validation, and normalization |
US8958605B2 (en) | 2009-02-10 | 2015-02-17 | Kofax,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document validity |
US8374646B2 (en) | 2009-10-05 | 2013-02-12 | Sony Corporation | Mobile device visual input system and methods |
US9349063B2 (en) | 2010-10-22 | 2016-05-24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oken data with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US10146795B2 (en) | 2012-01-12 | 2018-12-04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
US9165187B2 (en) | 2012-01-12 | 2015-10-20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
US9355312B2 (en) | 2013-03-13 | 2016-05-31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objects in digital images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
US9208536B2 (en) | 2013-09-27 | 2015-12-08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geometric reconstruction of captured image data |
US20140316841A1 (en) | 2013-04-23 | 2014-10-23 | Kofax, Inc. | Location-based workflows and services |
EP2992481A4 (en) | 2013-05-03 | 2017-02-22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objects in video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
WO2015073920A1 (en) | 2013-11-15 | 2015-05-21 | Kofax,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mposite images of long documents using mobile video data |
CN106170798A (en) * | 2014-04-15 | 2016-11-30 | 柯法克斯公司 |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pansion for context-sensitive workflows |
US9760788B2 (en) | 2014-10-30 | 2017-09-12 | Kofax, Inc. | Mobile document detection and orientation based on reference object characteristics |
US10242285B2 (en) | 2015-07-20 | 2019-03-26 | Kofax, Inc. | Iterative recognition-guided thresholding and data extraction |
US10467465B2 (en) | 2015-07-20 | 2019-11-05 | Kofax, Inc. | Range and/or polarity-based thresholding for improved data extraction |
US9779296B1 (en) | 2016-04-01 | 2017-10-03 | Kofax, Inc. | Content-based detection and three dimensional geometric reconstruction of objects in image and video data |
US11062176B2 (en) | 2017-11-30 | 2021-07-13 | Kofax, Inc. | Object detection and image cropping using a multi-detector approach |
US10452904B2 (en) * | 2017-12-01 | 2019-10-2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lockwise extraction of document metadat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2696A (en) | 2000-11-10 | 2002-05-24 | Hitachi Ltd | Mobile terminal |
KR20040023498A (en) * | 2002-09-11 | 2004-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 image in picture screen |
KR20050017316A (en) * | 2003-08-12 | 2005-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honebook In A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
KR20050061172A (en) * | 2003-12-18 | 2005-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hone number automatic storing arr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maging device |
KR20050077840A (en) * | 2004-01-28 | 2005-08-04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ethod of perceiving imag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83790B2 (en) * | 2003-08-06 | 2009-12-16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KR100459074B1 (en) * | 2004-08-05 | 2004-12-03 |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 Method for recognizing name card by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2006
- 2006-01-10 KR KR1020060002916A patent/KR100664421B1/en active Active
-
2007
- 2007-01-09 WO PCT/KR2007/000158 patent/WO20070811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2696A (en) | 2000-11-10 | 2002-05-24 | Hitachi Ltd | Mobile terminal |
KR20040023498A (en) * | 2002-09-11 | 2004-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 image in picture screen |
KR20050017316A (en) * | 2003-08-12 | 2005-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honebook In A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
KR20050061172A (en) * | 2003-12-18 | 2005-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hone number automatic storing arr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maging device |
KR20050077840A (en) * | 2004-01-28 | 2005-08-04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ethod of perceiving imag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946B1 (en) * | 2017-02-02 | 2017-11-13 | 에스비주식회사 | Enterprise reput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
US20210319248A1 (en) * | 2018-08-27 | 2021-10-14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Ocr system |
US11972197B2 (en) * | 2018-08-27 | 2024-04-30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OCR system |
KR102134024B1 (en) | 2018-12-31 | 2020-07-15 | 주식회사 딥비전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Recognizing Name Card |
KR20200112465A (en) | 2019-03-22 | 2020-10-05 | 엄춘호 | Smart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smart information inpu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81147A1 (en) | 2007-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4421B1 (en) | Handheld terminal and business card recognition method for business card recognition using equipped camera | |
US20010044324A1 (en) | Cellular telephone | |
US20150278621A1 (en) | Camera Based Method For Text Input And Keyword Detection | |
KR101078086B1 (en) |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an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 |
US20080137958A1 (en) | Method of utiliz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convert image character into text and system thereof | |
KR10054773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ddress book i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 |
KR100736342B1 (en) | Mobile terminal device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 |
WO2006136914A1 (en) |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ile naming with ocr | |
KR20060050746A (en) | How to process document images taken with the camera | |
US958223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form document fill-in via image processing | |
US8760486B2 (en) | Method for providing phone book using business card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 |
US20070019248A1 (en) |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business ca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20180262634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tting-value set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setting-value setting program | |
JP417732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4800144B2 (en) | Character string determination device, character string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 string determin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2001008072A (en) | Electronic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633231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gesture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retrieval func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 |
JP6019872B2 (en) | Data kit | |
KR101024433B1 (en) | How to save mobile terminal and his phone number automatically | |
CN101499260B (en) | Picture book reading apparatus on mobile equipment | |
JP2005044052A (en) | Portabl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 |
JP4251643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program | |
JP2008021173A (en) |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electronic mail system | |
CN103186778A (en) | A method of quickly obtaining stock price information of target companies through mobile phones | |
CN100530217C (en) | Word ident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