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0556B1 -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 Google Patents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556B1
KR100660556B1 KR1020050047109A KR20050047109A KR100660556B1 KR 100660556 B1 KR100660556 B1 KR 100660556B1 KR 1020050047109 A KR1020050047109 A KR 1020050047109A KR 20050047109 A KR20050047109 A KR 20050047109A KR 100660556 B1 KR100660556 B1 KR 10066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rag
frame
plunger spring
ball plu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205A (ko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주)주호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호상사 filed Critical (주)주호상사
Priority to KR102005004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556B1/ko
Priority to PCT/KR2005/002425 priority patent/WO2006129900A1/en
Publication of KR2006012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5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드랙노브홀과,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의 바깥쪽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중심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부에 상기 나사공이 나사결합되어 프레임의 일측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노브 몸체와;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 들 중 어느 하나의 드랙노브홀에 끼워지는 볼플런져 스프링과; 상기 볼플런져 스프링이 상기 노브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서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노브몸체의 일측에 끼워지는 노브 커버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드랙 조정노브의 일회전으로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넓은 범위의 가감력을 얻을 수가 있다.
프레임, 푸시볼, 드랙노브홀, 볼플런져 스프링, 회전방지핀

Description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Drag Knob in Fly Re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부착된 플라이 릴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부착된 프레임에서 드랙이 풀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부착된 프레임에서 드랙이 걸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임 5; 푸시볼
6; 중심축 7; 너트
9; 회전방지핀 10; 노브 몸체
11; 나사공 12; 드랙노브홀
15; 마찰판 20; 볼플런져 스프링
30; 노브 커버
본 발명은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랙 노브의 일회전으로 드랙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 릴에는 스플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드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드랙장치에는 낚시줄이 스플에서 풀리는 속도를 가감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일측에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형성된다.
위와 같은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106060호에 개시된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주축(110)의 외주 상에 형성한 수나사부(119)에 드랙 조정노브(160)를 끼우고, 상기 드랙 조정노브(16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웨이브 와셔(165)와 제3와셔(164)를 통해 플런져(13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플런져(134)는 제2와셔(106)와 디스크플레이트(104)를 통해 원웨이 어셈블리(1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고, 상기 원웨이 어셈블리(120)는 제1와셔(102)와 제1리테이너 어셈블리(150)을 압착하면서 주축의 어깨부(113)에 압박을 가하여 소망하는 드랙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위의 발명은 드랙 조정노브(160)의 축방향 이송을 한정토록 함에 있어서, 드랙 조정노브(160)의 후단에 형성한 제2오목부(162) 내에 돌출형성된 주축(110)의 수나사부(119)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제1축보호캡(166)을 끼워서, 상기 제1축보호캡(166)의 설치되는 위치에 의해서 드랙 조정노브(160)의 축방향 이송을 제한토록 하고 있으므로 드랙 조정노브(160)가 주축(110)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량을 알 수 없게 되어 드랙의 조정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신속하게 드랙을 조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나사의 일회전으로 얻을 수 있는 드랙의 조정 범위를 가장 바람직한 범위로 셋팅하기 위해서는 제1축보호캡(166)이 주축상의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어야 하나 상기 제1축보호캡(166)을 주축상의 요구되는 수나사부(119)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조립상의 번거로움이 있게 되며, 조립시 셋팅을 하지 아니하고 조립하는 경우에는 그 나사 체결시점이 양산의 경우 제품마다 상이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망의 조정 범위 밖으로 드랙이 셋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랙 조정노브로 드랙을 조정함에 있어서 드랙 조정노브의 일회전으로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넓은 범위의 가감력을 얻게 하며, 조립시 드랙을 셋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과 장치가 없더라도 드랙의 조정범위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드랙의 조정이 가능한 제품을 양산토록 할 수 있는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는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드랙노브홀과,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의 바깥쪽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중심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부에 상기 나사공이 나사결합되어 프레임의 일측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노브 몸체와;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 들 중 어느 하나의 드랙노브홀에 끼워지는 볼플런져 스프링과; 상기 볼플런져 스프링이 상기 노브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서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노브몸체의 일측에 끼워지는 노브 커버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브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상기 드랙노브홀들을 둘러싸면서 그 내측에는 원주상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환형의 판상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의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부착된 플라이 릴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가 부착된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 몸체(10)와, 볼플런져 스프링(20)과, 노브 커버(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 몸체(10)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공(1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나사공(11)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드랙노브홀(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12)의 바깥쪽으로는 내부에 수용공간(13a)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환형의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공(11)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축(6)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부(6a)가 나사결합되어 끼워지게 되고, 이때 상기 중심축은 프레임(2)의 일측에 너트(7)에 의해서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 몸체(10)를 중심축(6)의 외주에 끼워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노브 몸체(10)는 중심축(6)의 축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되게 되며, 그에 따라 노브몸체(10)와 인접하여 프레임(2)과의 사이에 설치된 푸시볼(5)이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마찰판(15)을 서로 밀착되게 하거나 이완되도록 한다.
상기 드랙노브홀(12)은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공(1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10개의 드랙노브홀(12)이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랙노브홀(12)이 위치하는 원주상의 대응되는 프레임(2)의 일지점에는 도 2b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몸체(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핀(9)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브 몸체(10)는 도 2a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쪽의 반대쪽 면, 즉 프레임(2)이 인접되는 쪽의 면에 상기 드랙노브홀(12)들을 둘러싸면서 그 내측에는 원주상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환형의 판상체(14)가 형성되며, 상기 판상체(14)는 노브몸체(10)가 회전될 때, 푸시볼(5)이 안정적으로 중심축(6)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하여 준다. 미설명 부호 4(도 2b 및 도 5)는 프레임의 허브에 형성되는 푸시볼홈이다.
상기 볼플런져 스프링(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21)과 볼(22)과 플런져(23)로 이루어져 노브 몸체(10)에 형성한 다수의 드랙노브홀(12) 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랙노브홀(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볼플런져 스프링(20)이 어느 하나의 드랙노브홀(12)에 끼워지게 되면, 노브 몸체(10)가 회전할 때, 노브 몸체(10)와 함께 볼플런져 스프링(20)도 함께 회전을 하다가 볼플런져 스프링(20)이 프레임(2)의 허브(2a)에 돌출형성된 회전방지핀(9)에 걸리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플런져 스프링(20)이 회전방지핀(9)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서 노브 몸체(10)도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노브 몸체(10)는 볼플런져 스프링(20)과 회전방지핀(9)의 작용에 의해서 일회전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8(도 5)은 프레임의 허브에 형성되는 클릭 사운드홈이다.
상기 노브 커버(30)는 볼플런져 스프링(20)이 상기 노브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3a) 내에서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노브몸체(10)의 일측에 끼워지며, 그 내측의 중앙에 형성한 홈(31)에 나선부를 형성하여 상기 나선부가 나사공 (11)의 외주에 형성한 숫나사부(11a)와 나사결합을 하도록 하면, 노브 몸체(10)가 풀려져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 그 외측에 일자형으로 홈(32)을 형성하여, 상기 홈(32)에 동전과 같은 것을 끼워서 돌리게 되면 별도의 공구가 없더라도 노브 커버(30)를 노브 몸체(10)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일측에 돌출고정된 중심축(6)의 나사부(6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노브 몸체(10)의 회전에 따라 노브 몸체(10)가 중심축(6)의 축방향 즉, 도 3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볼플런져 스프링(20)과 노브 몸체(10)와 프레임(2) 사이에 위치하는 푸시볼(5)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찰판(15)들의 압박상태를 해지하게 되므로 프레임(2)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풀(3, 도 1)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되게 된다. 상기 마찰판(15)들의 작용에 의해 스풀(3)을 회전시키는 구체적인 내용은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랙 노브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 몸체(10)의 축방향 이송에 따라 볼플런져 스프링(20)과 노브 몸체(10)와 프레임(2) 사이에 위치하는 푸시볼(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찰판(15)들을 압박하게 되고, 계속해서 드랙 노브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찰판(15)이 최대로 압박되는 상태가 되어 최종적으로 프레임(2)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풀(3, 도 1)이 한쪽 방향의 회전은 자유롭지만, 다른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지 않은 드랙 설정 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를 이용하여 드랙의셋팅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드랙 조정노브가 프레임(2)의 중심축(6)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상태까지의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프레임(2)의 허브(2a)에 돌출형성한 회전 방지핀(9)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노브 몸체(10)를 프레임(2)의 중심축(6)에 끼우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느 정도의 회전 후에는 노브 몸체(1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며(이 상태는 드랙이 설정된 상태임),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방지핀(9)의 왼쪽에 위치하는 드랙노브홀(12)에 볼플런져 스프링(20)을 도 5의 a로 표시되는 위치에 끼우고 노브 커버(30)를 덮게 되면, 노브 몸체(10)는 시계방향의 회전은 위에서 설명한 회전이 멈춘 위치, 즉 드랙이 설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지만, 반시계방향의 회전 즉, 도 5의 c 방향으로는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브 몸체(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도 5의 화살표 c 와 같이 회전시키면, 볼플런져 스프링(20)은 노브 몸체(10)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함께 회전되다가 노브 몸체(10)가 일회전 되는 시점 즉, 도 5의 b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볼플런져 스프링(20)이 프레임(2)의 허브에 돌출형성된 회전방지핀(9)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볼플런져 스프링(20)은 회전방지핀(9)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서 노브 몸체(10)도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드랙이 완전히 풀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다시 스풀에 드랙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드랙 조정노브를 도 5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드랙 조정노브는 점차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드랙노브홀(12)에 삽입된 볼플런져 스프링(20)도 드랙 조정노브의 회전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계속해서 노브 몸체(10)를 회전시키면, 볼플런져 스프링(20)이 도 5의 a위치까지 이르러서 회전방지핀(9)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가능하지 않게 되어 드랙 조정노브의 회전도 멈추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드랙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드랙 조정노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플런져 스프링(20)과 회전방지핀(9)의 작용에 의해서 도 5의 a로 표시된 위치에서 도 5의 b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방지핀(9)을 사이에 두고 일회전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되게 되며, 드랙 조정노브가 도 5의 a로 표시된 위치에 오게 되면 드랙이 작용하는 위치가 되고, 반대로 드랙 조정노브가 도 5의 b로 표시되는 위치에 오게 되면, 드랙이 완전히 풀리는 위치가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랙 조정노브는 드랙 조정노브의 일회전으로 드랙이 설정되는 위치와 완전히 풀리는 위치까지 드랙의 조정 범위를 간편하고도 정확하게 설정토록 할 수가 있고, 또 위와 같이 드랙의 조정범위를 각각의 제품마다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따른 드랙 설정의 오차를 줄일 수가 있어 동일한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에 의하면, 드랙 조정노브의 일회전으로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넓은 범위의 가감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조립시 드랙을 셋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과 장치가 없더라도 드랙의 조정범위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드랙의 조정이 가능한 제품을 양산토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드랙노브홀과,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의 바깥쪽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중심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부에 상기 나사공이 나사결합되어 프레임의 일측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노브 몸체;
    상기 다수의 드랙노브홀 들 중 어느 하나의 드랙노브홀에 끼워지는 볼플런져 스프링; 및
    상기 볼플런져 스프링이 상기 노브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서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노브몸체의 일측에 끼워지는 노브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상기 드랙노브홀들을 둘러싸면서 그 내측에는 원주상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환형의 판상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KR1020050047109A 2005-06-02 2005-06-02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Active KR10066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09A KR100660556B1 (ko) 2005-06-02 2005-06-02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PCT/KR2005/002425 WO2006129900A1 (en) 2005-06-02 2005-07-26 Drag knob of fly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09A KR100660556B1 (ko) 2005-06-02 2005-06-02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05A KR20060125205A (ko) 2006-12-06
KR100660556B1 true KR100660556B1 (ko) 2006-12-22

Family

ID=3748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09A Active KR100660556B1 (ko) 2005-06-02 2005-06-02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0556B1 (ko)
WO (1) WO20061299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44B1 (ko) 2006-12-13 2008-03-06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KR100944451B1 (ko) 2009-09-04 2010-02-25 (주)리버런 플라이 릴 스풀의 회전제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59B1 (ko) * 2009-03-17 2009-12-30 강석운 스풀의 회전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라이 리일
WO2018013446A1 (en) * 2016-07-12 2018-01-18 The Orvis Company, Inc. Reel for a fly rod with dra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040Y1 (ko) 1998-03-23 2000-07-01 박창호 프라이릴의 디스크 드래그 장치
JP2000228936A (ja) 1999-02-12 2000-08-2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0308445A (ja) 1999-04-27 2000-1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KR100466532B1 (ko) 2003-01-16 2005-01-15 주식회사 바낙스 플라이 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US6209815B1 (en) * 2000-04-17 2001-04-03 Ligi Tool And Engineering, Inc. Left and right drag adjustable fishing reel
JP2001352875A (ja) * 2000-06-12 2001-12-2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ロントドラグ機構
JP4307905B2 (ja) * 2003-05-21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調整つま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040Y1 (ko) 1998-03-23 2000-07-01 박창호 프라이릴의 디스크 드래그 장치
JP2000228936A (ja) 1999-02-12 2000-08-2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0308445A (ja) 1999-04-27 2000-1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KR100466532B1 (ko) 2003-01-16 2005-01-15 주식회사 바낙스 플라이 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44B1 (ko) 2006-12-13 2008-03-06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WO2008072860A1 (en) * 2006-12-13 2008-06-19 Juho Corporation Fly reel
KR100944451B1 (ko) 2009-09-04 2010-02-25 (주)리버런 플라이 릴 스풀의 회전제한장치
WO2011028052A3 (ko) * 2009-09-04 2011-07-14 (주)리버런 플라이 릴 스풀의 회전제한장치
CN102480933A (zh) * 2009-09-04 2012-05-30 河水奔流株式会社 飞钓轮线轴的旋转限制装置
US8651410B2 (en) 2009-09-04 2014-02-18 River Runs Co., Ltd. Rotation-restricting device for a fly reel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9900A1 (en) 2006-12-07
KR20060125205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1653B (zh) 双轴承渔线轮的抛饵控制机构
US4905537A (en) Speed-changing device for a bicycle
EP3033941B1 (en) Dual-bearing reel
US8308097B2 (en) Click sound generating device for bait reel
TW201302058A (zh) 雙軸承捲線器的離心制動裝置
KR100809444B1 (ko) 플라이 릴
US9578860B2 (en) Fly reel with ratcheting drag system
KR100660556B1 (ko) 플라이 릴의 드랙 조정노브
US6412720B1 (en) Dual-bearing reel brake device and drag cover attachment structured therefor
US20040050990A1 (en) Centrifugal brake apparatus of bait cast reel
US11172661B2 (en) Fishing reel having movable inertia brake
JPH04262726A (ja) 魚釣りリールのクリック機構
KR100745549B1 (ko) 플라이 릴
JP2020010650A (ja) 釣り用リール
US11172663B2 (en) Fishing reel provided with fixed constant brake and movable inertial force brake
US3958771A (en) Fishing reel
KR20130004510U (ko)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JP2017114597A (ja) 巻取カラー
US6446894B1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US2306259A (en) Fishing reel
US4813626A (en) Drag control device in spinning type fishing reel
US5197690A (en) Drag actu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US2833384A (en) Shoe mounting for centrifugal clutch
CN210671768U (zh) 新型线轮结构
KR102236845B1 (ko) 플라이 릴의 드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