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579B1 -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8579B1 KR100658579B1 KR1020050074690A KR20050074690A KR100658579B1 KR 100658579 B1 KR100658579 B1 KR 100658579B1 KR 1020050074690 A KR1020050074690 A KR 1020050074690A KR 20050074690 A KR20050074690 A KR 20050074690A KR 100658579 B1 KR100658579 B1 KR 100658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group
- grouping
- inform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단말기들을 그룹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rouping predetermined terminal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FID, Bluetooth, Zigbee, NFC,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그룹 대표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 및/또는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 전송하고, 그룹 대표자 단말기 또는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수신된 그룹화 확인정보와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transmits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transmits the group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 or another group member terminal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group member terminal may perform terminal grouping based on the received group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의 개요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의 개요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그룹 대표자 단말기 20: 그룹 구성원 단말기(Ⅰ)10: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20: group member terminal (Ⅰ)
30: 그룹 구성원 단말기(Ⅱ) 40: 그룹 구성원 단말기(Ⅲ)30: group member terminal (II) 40: group member terminal (III)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단말기들을 그룹화하고 이를 통해 그룹화된 단말기 사이에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효과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 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luetooth, Zigbee,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effectively communicate by grouping terminal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between the grouped terminals.
199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주변장치와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는 제품들이 상용화되었으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은 점차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되어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변장치들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상품들이 선보이고 있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ctively researched since the 1990s, products that exchange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in relatively short distances have been commercialized. Su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gradually been incorporated in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For example, product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peripheral devices are being introduced.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대표적인 예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luetooth, Bluetooth,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로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RFID 태그가 외부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전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태그정보를 송신하면 RFID 리더(Reader)가 이를 수신함으로써 소정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In brief,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mits tag information by receiving energy from an external radio signal or an RFID tag composed of a transponder chip and an antenna, which is mainly made of a semiconductor, from an external radio signal. The RFID reader is a technology that can transmit information by receiving it.
블루투스(Bluetooth)는 에릭슨과 노키아가 자체 개발해 왔던 휴대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1998년에 인텔, 도시바, IBM과 함께 공개 표준으로 출범시킨 것으로,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금속이 아닌 고체를 통과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보통 10cm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기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를 높일 경우 100m까지도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이다.Bluetooth was launched in 1998 as an open standard with Intel, Toshiba, and IBM to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connects handheld devices with mobile devices that Ericsson and Nokia have developed. It is a standard for radio frequency for data transmission. Bluetooth is a technology that can communicate through solid, not metal,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ithin a distance of 10cm to 10m, and can extend to 100m if the radio wave is increased.
그리고,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무선 통신 기술(예, IEEE 802.1이나 802.15)와는 달리 단순기능이 요구되는 초소형, 저전력, 저가격 시장에 적합한 기술이다.In addition, Zigbee is one of the IEEE 802.15.4 standard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of about 10 to 20 meters in wireless networking in homes, offices, an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eg, IEEE 802.1 or 802.15). Unlike), it is suitable for the ultra-small, low-power, low-cost market that requires simple functions.
마지막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 이내의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424kbps급)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전화번호는 물론 전자상거래 등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Finall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s a kind of contact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transmit data (424kbps) at low power within a distance of 10cm using the frequency of 13.56MHz band. When more than two terminals are in close proximity, it is a technology that ca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e-commerce as well as a telephone number.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한 몇몇 기술 또는 제품들이 선보였지만,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그룹화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다만 간접적으로 위치관리서버나 홈위치등록기(HLR) 등을 통해 특정 단말기와 타 단말기의 위치정보 또는 가입자 정보를 링크하여 관리하는 서비스가 존재하였다.In the past, some technologies or products incorporating su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introduced, but there is no technology for group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them, but indirectly,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or a home location. There has been a service that links and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r subscriber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through a register (HLR).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그룹화하고 이를 통해 그룹화된 단말기 사이에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효과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perform effective communication by grouping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between the grouped terminals. The purpose.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a) 그룹 대표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그룹화 확인정보와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transmitting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group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c)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performing terminal grouping based on the received group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d)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가 상기 단계 c)에서 수행된 단말기 그룹화의 결과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transmits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rouping performed in the step c) to the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ⅰ) 그룹 대표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ⅱ)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 및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ⅲ)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각각 수신된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각각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transmitting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i)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group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ing to a group member terminal of another person; And iv)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respectively performing terminal grouping based on the received group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group memb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ⅳ)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상기 단계 ⅲ)에서 각각 수행된 단말기 그룹화의 결과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그룹 대표자 단말기 및/또는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rouping performed by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group member terminal in the step iii),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o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 or the group member terminal of another pers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단말기 그룹화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그룹 대표자 단말기 또는 그룹 구성원 단말기가 GPS를 이용하여 단말기 위치를 자체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단말기 위치정보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나 그룹 대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단말기 그룹화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erminal grouping process is performe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or the group member terminal itself measures the terminal position using GPS, and the measured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is set to a preset condition. According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another group member terminal or a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thereby performing effective communication using the terminal grouping.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 중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의 개요도이다.First,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를 위하여는, 최초로 단말기 그룹화를 시도하는 그룹 대표자 단말기(10), 그 리고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하나의 단말기 그룹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 30, 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group terminals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본 발명에서 '그룹 대표자 단말기'란 단말기 그룹화를 최초로 시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그룹 구성원 단말기'란 소정의 단말기(그룹 대표자 단말기)로부터 그룹화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그룹화를 허용함으로써 그룹의 구성원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상기 그룹 대표자 단말기와 그룹 구성원 단말기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서로 다른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별개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동일 또는 유사한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황(그룹화 시도 여부)에 따라서 그룹 대표자 단말기로도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그룹 대표자 단말기'와 '그룹 구성원 단말기'라는 용어는 단말기 그룹화 요청을 처음으로 시도하는 단말기를 단순히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ttempts to group terminals for the first time, and 'group member terminal' refers to a group by receiving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terminal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allowing grouping. The term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member of. However, although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the group memb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terminals having different hardware structures for a specific purpose,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or similar hardware structure may be used (grouping attem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and 'group member terminal' are simply used as a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t should be understood to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들의 그룹화를 시도하는 단말기로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그룹화 요청정보'는 단말기의 그룹화를 위한 정보로서, 간단하게는 이를 수신하는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 하여금 그룹화 참석 여부를 전송해 달라는 내용을 포함하며, 복잡하게는 그룹의 분류(종류), 특성, 소개, 기존 구성원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는 표현 그대로 그룹 대표자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으며, 비록 전화번호 대신 단말기 일련번호, 단말기 가입자정보 등을 사용하더라도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위치정보관리서버, 홈위치등록기 등)에 접속함으로써 상대방(그룹 구성원 단말기)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The group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은 그룹 대표자 단말기(10)가 전송하는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다시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기 '그룹화 확인정보'는 단말기 그룹화에 참여 여부를 통지하는 정보로서, 간단하게는 그룹화 참석 또는 불참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복잡하게는 그룹화 요청정보가 다수의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할 경우 그룹선택정보를 포함할 것이며 그룹화 요청정보가 그룹구성원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해당 인적사항(예, 이름, 성별 등)을 포함할 것이다.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는 전술한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이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다. The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로부터 그룹화 확인정보 및 각각의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정보를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그룹화 내용을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뿐만 아니라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도 알 수 있 다. The group
이를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은 그룹 대표자 단말기(10)가 전송하는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가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다시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그룹 대표자 단말기(10)가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하여 그 결과정보를 다시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In summary, the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rouping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roup representa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roup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그룹화 방법의 개요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룹 대표자 단말기(10)가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각각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20,30,40)은 이에 상응하는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다시 전송하는데, 제2 실시예의 그룹 대표자 단말기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의 범위 이내에 있는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로도 상기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예컨대, 식별번호 20으로 표기된 그룹 구성원 단말기(Ⅰ)는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로부터 그룹화 요청정보 및 그룹대표자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그룹화 확인정보 및 그룹구성원단말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며, 무선통신 범위내에 있는 그룹 대표자 단말기(10)뿐만 아니라 타인의 그룹 구성원 단말기(30,40)도 이를 수신한다. 이는 식별번호 30으로 표기된 그룹 구성 원 단말기(Ⅱ) 및 식별번호 40으로 표기된 그룹 구성원 단말기(Ⅲ)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단말기(10,20,30,40) 상호 송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각각 그룹화를 수행하며, 이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대방에게 그룹화 결과정보를 반드시 송신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호간의 그룹화 결과 확인을 위하여 그 결과정보를 다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group
제2 실시예에의 기타 구체적인 기술내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렇게 단말기 그룹화가 형성되면, 그룹 구성원(대표자 포함)들은 이를 이용하여 그룹에 특화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grouping is formed, group members (including representatives) can use the group-specific communication service.
예컨대, 학교나 기업 또는 동호회 등에서 등산을 하는 경우 전체로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각각의 팀별로 그룹을 형성하여(이 경우에는 전술한 그룹분류정보 및 그룹선택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화된 단말기들은 사전 설정된 조건(예, 일정 시간 주기로 또는 목적하는 지점에 도착한 경우 인위적으로)에 따라 GPS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자신의 단말기 위치정보를 동일 그룹의 구성원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럼으로써, 팀장(그룹 대표자)을 포함한 각 구성원들은 다른 구성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일부 구성원이 길을 잃어버리거나 위험한 일에 부딪히는 등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hiking at a school, a company, or a club, a group is formed as a whole or a group is formed for each team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group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group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used). Can be done. In addition, the grouped terminals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a GPS or the like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artificially when the target point is reached), and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 member terminal of the same group. To send. This allows each member, including the team leader, to locate other members, and respond quickly to urgent situations, especially when some members are lost or encounter dangerous work.
또한, 단말기 그룹화를 통하여 그룹화된 구성원(예, 친구, 동료) 사이에 필요한 정보(예, 전화번호 등)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eg, phone number, etc.) between the grouped members (eg, friends, colleagues) through the terminal grouping.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xample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단말기들을 용이하게 그룹화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알림, 전화번호 전송 등의 부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oup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FID, Bluetooth, ZigBee, NFC, and the like.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690A KR100658579B1 (en) | 2005-08-16 | 2005-08-16 |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690A KR100658579B1 (en) | 2005-08-16 | 2005-08-16 |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8579B1 true KR100658579B1 (en) | 2006-12-15 |
Family
ID=3773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690A KR100658579B1 (en) | 2005-08-16 | 2005-08-16 |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857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6023B1 (en) | 2006-12-28 | 2008-03-21 | (주)아이비트 |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n Ad-hoc Networks |
KR100841145B1 (en) * | 2006-10-19 | 2008-06-24 | 엘지노텔 주식회사 | Uplink Rate Control Method and Call Connection Control Method in Digital Repeater |
KR100945098B1 (en) * | 2007-06-19 | 2010-03-02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MIA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1226530B1 (en) | 2005-03-07 | 2013-01-25 |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WO2023018189A1 (en) * | 2021-08-10 | 2023-02-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devices on basis of group account, and device providing same |
-
2005
- 2005-08-16 KR KR1020050074690A patent/KR10065857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530B1 (en) | 2005-03-07 | 2013-01-25 |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KR100841145B1 (en) * | 2006-10-19 | 2008-06-24 | 엘지노텔 주식회사 | Uplink Rate Control Method and Call Connection Control Method in Digital Repeater |
KR100816023B1 (en) | 2006-12-28 | 2008-03-21 | (주)아이비트 |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n Ad-hoc Networks |
KR100945098B1 (en) * | 2007-06-19 | 2010-03-02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MIA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23018189A1 (en) * | 2021-08-10 | 2023-02-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devices on basis of group account, and device provid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671B1 (en) | Power efficient proximity detection | |
EP2137879B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multicast groups based on proximity | |
KR101239022B1 (en) | Auxiliary ap tag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
EP2831620B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 |
US9801011B2 (en) | Tracking RFID object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link | |
US8670759B2 (en) | Communication system | |
US20070026873A1 (en) |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a wireless device locator and related methods | |
CN102832976A (en)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
US20100113001A1 (en) | Systems and Method for Triggering Proximity Detection | |
CN101909020A (en) | Instan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positioning technique | |
KR20070074016A (en) |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barcode reader and RDF recognition fun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CN116830766A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 |
US20200187095A1 (en) | Wi-fi hotspot sharing method for terminal, and terminal | |
KR101603160B1 (en) | Beacon service system using beacon gateway capable of mutuai interworking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beacon signal therefor | |
KR100658579B1 (en) | Terminal Grouping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EP2355368B1 (en) | Telecommunication compon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upling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to an NFC terminal | |
TWI854107B (en) |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pseudo wi-fi access points | |
US8738082B2 (en) | Identity modu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EP326480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 |
CN104113908A (en) | Fusion positioning method based on radio over fiber technology, and fusion positioning system based on radio over fiber technology | |
CN114584923B (en) | Directional friend mak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Mcheick et al. | D2D communication: COVID-19 contact tracing application using wi-fi direct | |
KR101749348B1 (en) | Position Detecting And Message Transferring System For Communication Device in Group | |
Bittins et al. | Multisensor and collaborative localization for diverse environments | |
KR101338872B1 (en) | Message Transfer System and Method between Zone Based Personalized Service Enabled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