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691B1 -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7691B1 KR100657691B1 KR1020040106250A KR20040106250A KR100657691B1 KR 100657691 B1 KR100657691 B1 KR 100657691B1 KR 1020040106250 A KR1020040106250 A KR 1020040106250A KR 20040106250 A KR20040106250 A KR 20040106250A KR 100657691 B1 KR100657691 B1 KR 100657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audio signal
- external audio
- exter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77—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instructions or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외부 오디오 신호까지도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의 녹음 선택키를 조작한 이후부터 외부 오디오 신호를 저장 매체에 녹음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소정 시간동안의 오디오 녹음이 가능한 버퍼링 메모리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일 때, 녹음 선택키의 조작과 관계없이 일정 시간 동안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일시적으로 자동 녹음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상의 녹음 모드를 실행할 때, 녹음이 선택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 녹음된 부분까지 통상의 녹음 모드로 인식하여 저장 매체에 녹음함으로써, 어떠한 순간,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녹음 목적의 외부 소음을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reliably record even an external audio signal generated instantaneousl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tional method of recording an external audio signal to a storage medium after a user operates a recording selection key of a portable digital recorder. Unlike the method, by using a buffering memory capable of recording audio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external noise is above a predetermined level, the external audio signal is temporarily recorded automatic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selection key. When the normal recording mod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portion recorded automatically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and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recording is selected can be instantaneously generated at any moment and in any situation. I can record the external noise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reliably will b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녹음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의 소음 정도에 따른 버퍼링 녹음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정상 녹음을 자동적/적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 adaptively performing buffered recor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noise level and normal recording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2 : 소음 측정 블록 104 : 제어 블록102: noise measurement block 104: control block
106 : 오디오 처리 블록 108 : 절환 스위치106: audio processing block 108: changeover switch
110 : 버퍼링 저장 블록 112 : 저장 매체110: buffering storage block 112: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디지털 녹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녹음기 및 그 녹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recorder and a recording method suitable for converting and storing an audio signal flowing from the outside through a microphone or the like into digital data.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자기 테이프 등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녹음기가 아닌 휴대용의 디지털 녹음기(일명,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rder))의 사용이 다방면에서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녹 음기에서는 저장 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use of portable digital recorders (also known as voice recorders) rather than analog type recorders using magnetic tapes and the like has been widely spread in various fields. In the musical instrument, a semiconductor memory is mainly used as a storage medium.
상술한 종래의 전형적인 디지털 녹음기는 탑재된 마이크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즉, 음성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오디오 압축 방식 등을 통해 압축한 다음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데, 이러한 저장 매체로의 오디오 신호 저장은 통상적으로 디지털 녹음기의 조작 패널 등에 구비된 녹음 선택키 등의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digital recorder described above converts an analog audio signal (i.e., an audio signal including voice, etc.) coming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mounted microphone or the like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s the converted digital audio signal into a digital field. It compresses through a known audio compression scheme and the like, and stores it in a storage medium. The audio signal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rough user operations such as a recording selection key provided in an operation panel of a digital recorder.
특히, 랜덤하게 발생하는 순간 순간의 소리를 녹음하는 것이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는 경박단소화된 디지털 녹음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field where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sound of the moment occurs randomly, the use of light and short digital recorder is becoming commo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조작 패널에 구비된 녹음 선택키를 눌러야만 녹음 모드를 실행하는 전형적인 디지털 녹음기의 경우,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녹음 필요에 대해 사용자가 녹음 선택키 조작 행동을 신속하게 취하지 못하거나 혹은 순간적인 녹음이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외적 사정으로 인해 사용자가 바로 녹음 선택키를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경우 녹음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일부 놓치게 되는 경우 등이 흔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순간적인 녹음 실패는 결국 사용자들의 서비스 욕구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ypical digital recorder which executes the recording mode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recording selection key provided on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quickly perform the recording selection key manipulation action for the instantaneous recording need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user cannot operate the recording selection key due to various external circumstances even though the recording is not necessary or momentary, it is common to miss a part that needs to be recorded. In the end, this momentary recording failure is finally expressed as a dis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needs of users.
따라서, 순간적인 녹음이 필요할 때 녹음 선택키의 조작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혹은 시간대)의 오디오를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는 기술적 기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순간적인 녹음 기법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기법도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Therefore, even if a momentary recording is required,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selection key is slightly delayed, a technical technique that can reliably record audio of a desired portion (or time zone) is urgently needed. No proposals for record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외부 오디오 신호까지도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는 디지털 녹음기 및 그 녹음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digital recorder and a recording method capable of reliably recording even an external audio signal generated in a mo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 및 압축하여 녹음하는 디지털 녹음기로서,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 그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압축하여 버퍼링 저장 블록에 일시 저장하는 수단과, 외부 조작 수단으로부터 녹음 선택키 신호가 제공될 때, 그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녹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된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는 저장 매체와, 상기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 및 녹음 제어신호와 녹음 해제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며, 상기 녹음 제어신호가 발생할 때, 상기 버퍼링 저장 블록에 일시 저장된 녹음 내용을 인출하여 상기 녹음 선택키 신호에 대응하는 녹음 데이터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 함께 녹음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녹음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recorder for recording and converting an external audio signal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input means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an external audio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means.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xceed a predetermined level by measuring a level of the signal; and in response to a buffered record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ly generated when the level of the external audio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Means for digitally compressing an external audio signal and temporarily storing it in a buffering storage block; and in response to a recording control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ly when a recording selection key signal is provided from an external operation means, the compressed digital external audio signal. A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a signal, and the buffered recording control signal and the recording control Controls the generation of a call and a recording release signal, and when the record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fetches recording contents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ing storage block and records them together in the storage medium as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selection key signal. It provides a digital recorder comprising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 및 압축하여 녹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 버퍼링 녹음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압축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3 과정과, 녹음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녹음 모드를 수행하여 압축된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저장 매체에 녹음함과 동시에 상기 일시 저장된 녹음 내용을 인출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함께 저장하는 제 4 과정과, 녹음 해제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녹음 모드를 대기 모드를 변환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녹음기의 녹음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verting and compressing an external audio signal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input means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recording the same. 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a leve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by measuring a level; and when the level of the external audio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 buffered recording mode is performed to digitally convert the external audio signal. A second process of compressing and storing temporarily, a third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es whenever the level of the external audio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nd a recording selection key signal is inputted When the recording mode is performed, the compressed digital external audio signal i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And a fourth process of extracting the stored recording contents and storing them together in the storage medium, and a fifth process of switching the recording mode to a standby mode when a recording release key signal is input. .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의 녹음 선택키를 조작(선택)한 이후부터 외부 오디오 신호를 저장 매체에 녹음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소정 시간동안의 오디오 녹음이 가능한 버퍼링 메모리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오디오 신호)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일 때, 녹음 선택키의 조작과 관계없이 일정 시간 동안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일시적으로 자동 녹음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상의 녹음 모드를 실행할 때, 녹음이 선택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 녹음된 부분까지 통상의 녹음 모드로 인식하여 저장 매체에 녹음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A key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the aforementioned conventional method of recording an external audio signal to a storage medium after the user operates (selects) the recording selection key of the portable digital recorder, audio record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s possible. When the external noise (audio signal) is over the predetermined level using the buffering memory, the external audio signal is temporarily recorded automatically for a certain tim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selection key, and the normal recording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en executed,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technical means by recognizing the recording mode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up to the portion automatically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recording is se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녹음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소음 측정 블록(102), 제어 블록(104), 오디오 처리 블록(106), 절환 스위치(108), 버퍼링 저장 블록(110) 및 저장 매체(112)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recor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도 1을 참조하면, 소음 측정 블록(102)은 도시 생략된 마이크 등의 외부 오디오 입력 수단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오디오 신호의 소음 레벨을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예컨대, 25㏈, 30㏈ 등) 이상일 때 이를 체크하여 그에 상응하는 검출신호를 제어 블록(1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다음에, 제어 블록(104)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소음 측정 블록(102)으로부터 소음 검출신호가 제공될 때 이에 응답하여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오디오 처리 블록(106) 및 절환 스위치(108)로 각각 전달함으로써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일시적으로 녹음(저장)되도록 제어(즉, 버퍼링 녹음 모드의 실행)하고, 또한 도시 생략된 조작 패널로부터 녹음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녹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오디오 처리 블록(106) 및 절환 스위치(108)로 각각 전달함으로 써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저장 매체(112)에 녹음되도록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더욱이, 제어 블록(104)은 조작 패널로부터 녹음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녹음 선택키 신호의 입력 전에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인출한 후 사용자가 녹음을 선택한 외부 오디오 신호로 인식하여 저장 매체(112)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블록(104)은 버퍼링 녹음 모드를 실행하는 중에 소음 측정 블록(102)으로부터 소음 검출 해제신호가 제공될 때,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버퍼링 녹음 해제신호를 발생하여 외부 오디오 신호가 더 이상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저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Further, when the record select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panel, the
또한, 오디오 처리 블록(106)은, 예를 들면 A/D 변환기, 오디오 압축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라인 L11을 통해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제공되는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 혹은 녹음 제어신호 등에 응답하여, 도시 생략된 외부 오디오 입력 수단(예컨대,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오디오 압축 방식을 통해 소정의 압축률로 압축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이어서, 절환 스위치(108)는 오디오 처리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버퍼링 저장 블록(110) 혹은 저장 매체(112)로 절환 제공하는 것으로, 라인 L13을 통해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가 제공될 때 접점 a-b를 연결하여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버퍼링 저장 블록(110)으로 전달하고, 라인 L13을 통해 녹음 제어신호가 제공될 때 접점 a-c를 연결하여 디지털의 외부 오디오 신 호를 저장 매체(112)로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다음에, 버퍼링 저장 블록(110)은 제어 블록(104)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절환 스위치(108)의 접점 a-b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5초, 10초 또는 15초 동안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외부 오디오 신호가 들어올 경우 가장 먼저 저장된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버리는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의 외부 오디오 신호만을 저장한다.Next, the
또한, 저장 매체(112)는 제어 블록(104)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절환 스위치(108)의 접점 a-c를 통해 제공되는 압축된 외부 오디오 신호를 저장(녹음)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장 매체(112)로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녹음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소음 정도에 따른 버퍼링 녹음과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정상 녹음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performing buffered recording according to the external noise level and normal recording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using the digital rec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의 소음 정도에 따른 버퍼링 녹음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정상 녹음을 자동적/적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 adaptively performing buffered recor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noise level and normal recording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의 전원이 온인 상태일 때(단계 202), 제어 블록(104)에서는 소음 측정 블록(102)으로부터 소음 검출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4). 즉, 소음 측정 블록(102)을 통해 측정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가 기 설정된 소정 레벨(N ㏈) 이상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206). 즉, 단계(206)에서는 소음 검출을 위한 기준 레벨이 30㏈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도시 생략된 외부 노이즈 입력 수단 등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오디오 신호가 30㏈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2, when the power of the portable digital recorder is on (step 202), the
상기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외부 오디오 신호가 기 설정된 N ㏈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버퍼링 녹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그 결과 절환 스위치(108)의 접점이 a-b로 절환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106)을 통해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저장(버퍼링 녹음 모드의 실행)된다(단계 208). 이러한 버퍼링 녹음 모드의 실행은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버퍼링 녹음 해제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지속된다.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가 버퍼링 녹음 모드 혹은 녹음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제어 블록(104)에서는 도시 생략된 외부 조작 수단으로부터 녹음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10),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녹음 선택키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녹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그 결과 절환 스위치(108)의 접점이 a-c로 절환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106)을 통해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저장 매체(112)에 녹음(정상 녹음 모드의 실행)된다(단계 212).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portable digital recorder performs the buffered recording mode or the recording standby mode, the
이때, 제어 블록(104)에서는 녹음 선택키 신호에 따라 정상 녹음 모드를 실행하기 이전에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일시적으로 녹음되어 있던 이전 시간동안의 녹음 내용을 버퍼링 저장 블록(110)으로부터 인출하여 저장 매체(112)에 함께 저장한다. 이때, 버퍼링 저장 블록(110)으로부터 저장 매체(112)로 펌핑되는 녹음 내용은 더 이상 필요치 않기 때문에 버퍼링 저장 블록(110)으로부터 자동으로 버려진다(클리어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버퍼링 저장 블록(110)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 시간동안의 녹음 내용을 정상 녹음 내용으로 하여 저장 매체(112)에 저장(펌핑)하는 것은 사용자가 녹음 선택키 조작을 순간적으로 늦게 하여 녹음을 원했던 외부 소음의 일부를 순간적으로 놓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어떠한 순간,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녹음 목적의 외부 소음을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recording (pumping) of the previous recording time stored in the
이어서, 단계(214)에서는 외부 조작 수단으로부터 녹음 해제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녹음 해제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라인 L11 및 L13을 통해 녹음 해제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저장 매체(112)로의 오디오 녹음을 중단, 즉 현재의 정상 녹음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환시킨다(단계 216).Subsequently, i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녹음 모드를 수행할 때마다 녹음 모드를 실행하기 이전에 버퍼링 저장 블록에 일시적으로 녹음되어 있던 이전 시간동안의 녹음 내용을 인출하여 저장 매체에 함께 저장(녹음)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순간,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녹음 목적의 외부 소음을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the recording mod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recording contents for the previous time which wer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buffering storage block before the recording mode is executed are retrieved and stored together in the storage medium (recording).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cord the external noise of the recording purpose that occurs momentarily at any moment and in any situation.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의 녹음 선택키를 조작한 이후부터 외부 오디오 신호를 저장 매체에 녹음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소정 시간동안의 오디오 녹음이 가능한 버퍼링 메모리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일 때, 녹음 선택키의 조작과 관계없이 일정 시간 동안의 외부 오디오 신호를 일시적으로 자동 녹음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상의 녹음 모드를 실행할 때, 녹음이 선택되기 이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 녹음된 부분까지 통상의 녹음 모드로 인식하여 저장 매체에 녹음함으로써, 어떠한 순간,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녹음 목적의 외부 소음을 확실하게 녹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recording an external audio signal to a storage medium after the user operates the recording selection key of the portable digital recorder, a buffering memory capable of audio record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s possible. When the external noise is higher than the preset level, the external audio signal is temporarily recorded automatically for a certain tim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selection key, and when the normal recording mod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recording is selected. By automatically recording the recorded part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for the preset time before the recording, it can record the external noise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that occurs momentarily at any moment and in any situation. Can effectively meet the various service needs of users. Th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6250A KR100657691B1 (en) | 2004-12-15 | 2004-12-15 |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6250A KR100657691B1 (en) | 2004-12-15 | 2004-12-15 |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7464A KR20060067464A (en) | 2006-06-20 |
KR100657691B1 true KR100657691B1 (en) | 2006-12-14 |
Family
ID=3716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62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691B1 (en) | 2004-12-15 | 2004-12-15 |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76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72181A (en) | 2023-11-16 | 2025-05-23 | 박혜인 | Recorded file storage and processing device using Bluetooth and its control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9788A (en) * | 1995-04-08 | 1996-11-25 | 구자홍 | Recording device of digital answering machine |
JPH09181657A (en) * | 1995-12-26 | 1997-07-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Mobile body identification device |
KR970050475A (en) * | 1995-12-26 | 1997-07-29 | 배순훈 | Televideo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based on volume |
KR100270293B1 (en) | 1991-11-26 | 2000-10-16 | 사토 게니치로 | Recording device and video device using the same |
-
2004
- 2004-12-15 KR KR1020040106250A patent/KR1006576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0293B1 (en) | 1991-11-26 | 2000-10-16 | 사토 게니치로 | Recording device and video device using the same |
KR960039788A (en) * | 1995-04-08 | 1996-11-25 | 구자홍 | Recording device of digital answering machine |
JPH09181657A (en) * | 1995-12-26 | 1997-07-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Mobile body identification device |
KR970050475A (en) * | 1995-12-26 | 1997-07-29 | 배순훈 | Televideo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based on volu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72181A (en) | 2023-11-16 | 2025-05-23 | 박혜인 | Recorded file storage and processing device using Bluetooth and its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7464A (en) | 200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9412B1 (en) | Alarm fun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with inertial sensor | |
US2006019532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storing important information | |
US20160165346A1 (en) |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recording apparatus | |
KR100657691B1 (en) | Digital recorder and its recording method | |
KR101036232B1 (en) | DATA PROCESSING METHOD FOR AUDIO PLAYBACK, AUDIO PLAY METHOD, AND AUDIO PLAYER | |
JP2011150060A (en) | Recording device | |
US20120051550A1 (en) | Sound recording device, sound playback device, and sound recording/playback device | |
US8670530B2 (en) | Methods and devices to retrieve voice messages | |
JPH09147472A (en) | Video and audio reproducing device | |
JPH1049191A (en) | Speech speed converter | |
JP4248636B2 (en) | Voice recording device | |
JP7544539B2 (en) | Display System | |
JP4429885B2 (en) | Recording control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 |
JP2002287800A (en) | Speech signal processor | |
JPH09270168A (en) | Recording device with audio compression function | |
KR20090108234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in a digital recorder | |
JPH075900A (en) | Voice recording device | |
KR100371648B1 (en) | record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inserting a voice and method thereof | |
JP2000206993A (en) | Voice recorder, voice reproducing device and voice processing device | |
KR100589616B1 (en) | Suitdown device for digital video recorders | |
KR100557100B1 (en) |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 |
KR20020076051A (en) | Portable Digital Voice Recorder | |
JPH0950364A (en) | Voice-starting recording device | |
JPH06244922A (en) |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 |
KR960042591A (en) | Accompaniment key automatic adjustment circuit according to microphone input signal in karaoke VCR and its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