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7459B1 -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459B1
KR100657459B1 KR1020030093329A KR20030093329A KR100657459B1 KR 100657459 B1 KR100657459 B1 KR 100657459B1 KR 1020030093329 A KR1020030093329 A KR 1020030093329A KR 20030093329 A KR20030093329 A KR 20030093329A KR 100657459 B1 KR100657459 B1 KR 10065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derground
pipes
sewer pip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832A (ko
Inventor
김문용
Original Assignee
김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용 filed Critical 김문용
Priority to KR102003009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4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관을 함께 매설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지중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격리된 제 1 및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받치도록 지지하는 플렉시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이다.
하수관 지중선

Description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Drain pipe supporter with inserting multiple earth lines}
도 1 은 일반적인 하수관 내의 광케이블 공급용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슬리브를 설치하는 상태를 하수관로 내에서 보인 도면,
도 3 은 하수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지중관 매설용 기술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센서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 수용관 20;제 2 수용관 30;연결판 41, 41-1, 42, 42-1;전도판
본 발명은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을 받치면 서 동시에 지중관을 매설 가능토록 하는 공간을 가지는 수용관을 하수관의 길이방향 양측에 오도록 하고, 각 수용관은 일정폭의 연결판에 지지되도록 하며, 연결판은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하여, 하수관로를 연결판에 안치시킬 때 각 수용관이 하수관로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여 수용관의 이탈을 막아 안정적인 지중관의 매설을 가능토록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관은 전선이나 광케이블, 전화선 등 사용자마다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바,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기술의 예로는 도 1 에서 광케이블 고정부재를 가지는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2 에서 도 1 의 슬리브를 자주차에 설치하여 하수관 내부로 투입시킨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도3은 광케이블 고정부재를 가지는 슬리브에 의해 하수관로 내부에 광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로,
먼저, 유동성을 가지는 스틸 슬리브(110)에 광케이블(200)을 설치할 수 있는 구멍
(122)이 형성된 고정부재(121)를 가지는 러버 슬리브(120)를 씌운다.
상기와 같이 스틸 슬리브(110)와 러버 슬리브(120)가 조립되어서된 슬리브
(100)를 CCTV 카메라(301)를 가지는 자주차(300)의 감합기(302)에 설치한다.
상기 슬리브(100)를 CCTV 카메라(301)를 가지는 자주차(300)에 끼울 때에는 뒷바퀴를 뺀 상태에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CCTV 카메라(301)를 가지는 자주차(300)의 감합기(302)에 슬리브(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분리되었던 바퀴를 조립한 후, 하수도관으로 도 2 와 같이 투입시킨다. 이때, CCTV 카메라(301)를 통해 하수관로(400)내의 상황을 살피면서 주 행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주차(300)에 의해 슬리브(100)를 하수관로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슬리브(100)가 위치되어진 상태에서 CCTV 카메라(301)를 가지는 자주차(300)의 감합기(302)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키게 되는데, 상기 감합기(302)가 팽창되어지면, 감합기(302)에 설치되어진 유동성을 가지는 스틸 슬리브(110)가 확관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스틸 슬리브(110)가 확관되어질 때 겹쳐진 양단부(112) 걸림훅크(113)가 서로 걸림 고정되어 스틸 슬리브(110)가 확관되어 하수관로 내벽에 러버 슬리브(120)가 밀착 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진 러버 슬리브(120)의 고정부재(121)에 형성된 구멍(122)에 광케이블(200)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유동성을 가지는 스틸 슬리브(110)의 외주면으로 씌워지는 러버 슬리브(120)의 소정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그 부위에 광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 러버 슬리브(120)를 CCTV 카메라를 가지는 자주차의 감합기 상에 설치하여 하수관로 내부로 자주차를 투입시킨 후, 에어공급으로 팽창되어지는 감합기를 팽창시켜 감합기에 설치되어진 슬리브가 하수관로 내부에 고정되어지게 한 것으로서, 하수관로에 설치되어진 러버 슬리브(120)에 형성된 광케이블 고정부재의 구멍(122)에 광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통신관로 포설 없이 지하에 폭넓게 포설되어 있는 하수관로망을 이용하여 광케이블 통신망을 구축함과 동시에 광케이블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 고정에 따른 작업시간 및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하수관에 설치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새로이 설치하는 관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새로이 설치하는 관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설치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이 설치하는 관에 별도로 전선관을 필요치 않는 기술이 개발되었는바, 도 4 는 케이블 홀이 형성된 하수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 는 도 4 의 결합상태 단면도로, 합성수지로 성형된 본체(102) 및 뚜껑(103)으로 구성된 하수관(101)에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블(104)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케이블홀(105)을 형성하고, 상기 하수관(101)을 서로 연결시 생기는 틈새를 막도록 U자형 이음연결구(106)로 구성한다. 이는 도 4 에서와 같이 하수관(101)을 매립할 경우 먼저 하수관 틈새를 막는 U자형 이음연결구(106)를 매립한다.
이때,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U자형 이음연결구(106)가 매립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구멍(107)을 형성하고 이 고정구멍(107)에 나사못을 관통시켜 매립면의 땅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하수관(101)의 틈새를 U자형 이음연결구(106)와 결합하여 막고, 하수관 본체(102)에 뚜껑(103)을 덮는다.
이 상태에서 하수관 본체(102) 및 뚜껑(103)에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블(104)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케이블홀(105)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홀(105)에 전선용 케이블(104)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수관과 전선용 케이블(104)을 동시에 매립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홀(105)의 모양은 다양한 전선형태에 맞추어 □, △, ○, ◇,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수관(101)과 케이블(104)을 설치 후 또 다른 케이블을 설치할 경우 상기 하수관 본체(102)의 외벽 상단양측에 또 다른 케이블홀(10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케이블홀(105a)에 케이블(104)을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뚜껑등과 같이 하수관의 상부에 케이블홀을 가지는 구성이어서, 국내 토목 공사의 현실을 감안할 때 다른 지중매설물 설치 공사를 할 때 포크레인 등으로 찍히기도 하여 설치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유지 보수나 절단의 우려가 많은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을 새로이 매설할 때 하수관을 받치면서 동시에 지중관 매설을 가능토록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중관을 매설함과 동시에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밀착 받치도록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관 매설용 수용관을 2개 구분하여 설치하되 이들이 플렉시블한 연결판을 통하여 일전 간격을 유지하도록 기능 하므로 2개의 관을 하나의 부품으로 이동 가능토록 하여 설치가 용이한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관에 전도판을 설치하여 누수를 중앙 관제소에서 인식하여 예방을 가능토록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지중관 매설용 수용관을 2개 구비하고, 이들 관이 일정 폭을 가지는 플렉시블 연결판을 통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하수관을 지중관 위에 놓았을 때 지중관 매설용 수용관이 하수관을 감싸도록 잘 지탱되게 한다. 또한 연결판에는 센서 결합용 전도판을 설치하여 필요한 센서를 쉽게 부착 가능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지중관을 함께 매설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지중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격리된 제 1 및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받치도록 지지하는 플렉시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연결판에 길이방향으로 누수 등을 인식하는 센서 부착용 전도판을 설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 외관은 수평 기준대를 안치시키는 사각관 인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 지중에 설치하는 본 발명의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위에 하수관로(400)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및 제 2 수용관(10,20)을 플렉시블한 연결관(30)으로 연결하고, 연결관(30)에는 전도판(41,42)을 설치한다. 상기 전도판(41,42)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관(10,20)으로 도통하는 전도판(41-1, 42-1)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전도판(41-1)(42-1)은 별도의 도선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기는 연결판(30)이 플렉시블하여 하수관로(400)을 안치시키면 하수관로(400)의 외부 저면을 감싸는 형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는 주위의 흙이나 돌로부터 각 수용관(10,20)을 하수관로(400)에 밀접시켜 보호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매설장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활용 원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용관(20)에는 필요한 지중관(예를 들어 광케이블선, 전화선 등)을 각 수용관(21-24)에 구분하여 매설토록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관(10)에는 전선케이블을 매설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는 전선 케이블의 경우 유도 자계 등을 고려하여 다른 지중선과 격리 매설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20) 외관은 사각관 형태인바, 이는 수평을 인식하는 도구인 통상의 수평기준대를 표면에 놓고 사용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단면도로, 각 수용관(10,20)을 플렉시블한 연결판(30)이 지지하도록 하되 하수관로(400)의 외부 저면과 당접하여 긴착력을 가지고 지중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판(30)에 설치되는 전도판(41,42)은 하수관로(400)의 외주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누수시 전기적 상태의 변화를 가지고 누수를 확인 가능토록 기능 한다. 상기 표현한 하수관로(400)는 하수관뿐만 아니라 상수관용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도면에서는 하수관을 연결하는 수단의 도시는 생략하였는바, 이는 요철결합이나 링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판(30)은 휘어져 하수관로(400)의 외주연에 밀착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중량이 작은 하수관로도 사용 가능하게 아래로 만곡 휘어진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초기에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8 은 도 6 및 도 7 에 보인 전도판(41,42)을 전선화하여 도시하고, 전도판(41,42)에 설치 가능한 센서(S1-Sn)(T1-Tn)의 연결 상태를 예시하고, 편리상 단위 하수관로(400)는 점선으로 나타낸다. 아울러 전도판(41-1, 42-1)은 상기 대응하는 전도판(41,42)과 도통 가능토록 구성하거나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50)은 중앙 제어부, (51)은 중앙 제어부(50)의 제어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경보부 이다. 물론 필요시 센서로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지피에스 등의 위성을 통한 위치 인식도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 발명은 하수관로(400)를 매설하기 전에 땅을 원하는 깊이로 파고 먼저 모래를 깐 다음 도 6 과 같이 먼저 일정 길이의 하수관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를 안치시킨다음, 각 수용관 위에 통상의 수평기준대를 대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각 수용관(10,20)을 지지하는 연결판(30)의 중앙 부위에 형성한 전도판(41,42)에 위치 인식용 센서(S1;누수 인식용 습도센서)(T1;온도 변화 인식용 온도센서)를 각각 도통 가능토록 단위 하수관로(400) 마다 설치한다(물론 일정 거리마다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수관로(400)를 연결판(30)의 중앙 부위에 오도록 내려놓는다. 그러면 하수관로(400)의 하중에 의하여 연결판(30)이 휘게되고 동시에 하수관로(400)의 외주연과 떨어져 있던 각 수용관(10,20)이 도 7 과 같이 하수관로(400)의 외주연에 밀착하게 된다. 이는 하수관로(400)의 좌우 이동을 막는 스토퍼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각 수용관(10,20)으로는 전선이나 광케이블, 전화선 등의 각종 지중선을 매설하여, 단 한번의 하수관 매설로 각종 지중관의 설치(동시 설치나 추후 설치 모두 가능)를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한번의 굴착공사로 상하수관의 매설되어 각종 지중관을 매설 가능토록 함으로 추가 지중선 매설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빈번한 굴착공사로 인한 교통불편의 문제를 없앨 수 있고, 굴착으로 인한 분진과 소음으로부터 해방되어 환경문제와 민원발생 및 지하저장물의 파손과 안전문제를 줄일 수 있어 사회간접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동시적인 공동망 구축으로 인하여 중복투자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8 과 같이 전도판(41,42)을 설치하였기에, 누수와 하재 중의 하나가 발생하여 센서(S,T)의 출력이 나오거나 저항치가 변할 경우 이를 중앙 제어부(50)에서 인식하고 경보부(51)로 경보를 함으로써, 중앙 관리소에서 하수관로의 이상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보수 시간을 단축하고, 위치 인식을 위한 시간을 줄여 경비 절감에 기여한다. 물론 센서를 무선 신호를 사용하면 기존의 지피에스등을 통한 위치 추적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상,하수관로를 안치시키는 매설장치로 제 1 및 제 2 수용관과, 각 수용관을 일체로 지지하는 연결판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 수용관을 이루도록 기능하고, 각 수용관을 지지하는 연결판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여 상,하수관로를 초기 설치시 바로 휘어 각 수용관이 상,하수관로에 붙어지도록 기능함으로써, 각 수용관이 상,하수관로 외주연에서 이탈하지 않고 설치되어 안정적인 지중관 매설을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한번의 상,하수관로 매설과 동시에 각종 지중관을 동시에 매설 가능토록 기능하여, 지중관을 별도로 매설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사회 간접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는 지금은 비록 지중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여도, 추후 설치할 경우에도 빈 수용관에 맨홀 등을 이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지중관 매설시마다 별도로 굴착공사를 하는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굴착공사로 인한 교통불편과 분진 및 소음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민원발생 및 지하저장물의 파손과 안전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하수관로의 누수 등이 있어도 연결판을 통하여 쉽게 인식 가능토록 하여 초기 보수를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위치를 파악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유리하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매설장치를 폴리에틸렌 등의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재활용재질을 사용할 경우, 자원 재생을 유도하고, 그로 인한 원가절감의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수용관의 표면을 평평한 사각 형태로 만들어 수평을 측정하는 수준대를 놓고 쉽게 수평을 잡을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수평을 이루는 상하수관로를 매설 가능토록 한다.

Claims (3)

  1. 지중관을 함께 매설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지중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격리된 제 1 및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받치도록 지지하는 플렉시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길이방향으로 누수를 인식하는 센서 부착용 전도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용관 외관은 수평 기준대를 안치시키는 사각관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KR1020030093329A 2003-12-18 2003-12-18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KR10065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29A KR100657459B1 (ko) 2003-12-18 2003-12-18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29A KR100657459B1 (ko) 2003-12-18 2003-12-18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32A KR20050061832A (ko) 2005-06-23
KR100657459B1 true KR100657459B1 (ko) 2006-12-13

Family

ID=372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329A KR100657459B1 (ko) 2003-12-18 2003-12-18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4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575A (ko) * 1995-05-18 1996-12-19 박정서 암거 집배수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575A (ko) * 1995-05-18 1996-12-19 박정서 암거 집배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3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2678C (en) Method for laying data cables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a communal gas, pressure or waste-water pip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waste-water drain and a service shaft
US50448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service pipe outlet transversely connected to a lined main pipe
EP0145752B1 (en) Pipe coupling
US51509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service pipe outlet transversely connected to a lined main pipe
CA2412794A1 (en) Utility sidewalk
JP2018528127A (ja) 流体保持構造
KR100761338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US4653958A (en) Modular secondary containment kit for housing pipelines
US20010010781A1 (en) Method of laying data cables and the like in underground pipes and pipe-cable combinations
KR100657459B1 (ko)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WO2019092423A1 (en) Kerb drainag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kerb drainage system
US10527194B2 (en) Piping equipped with a sensing member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EP2166391B1 (en) Splice box and marking device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KR19990055739A (ko) 지하관로의 위치 탐지방법
KR200412513Y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CN205300589U (zh) 一种水电厂大坝观测装置
JP5787814B2 (ja) 保護部材およびダクトスリーブ
KR102710781B1 (ko) 지하매설물의 배관 데이터 통신 시스템
JP2881166B2 (ja) 野外電気照明・電飾装置等の野外電気装置の埋設基礎兼中継ハンドホールとこれを使用の野外電気装置の埋設取付と電気ケーブル中継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