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7375B1 -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375B1
KR100657375B1 KR1020060041871A KR20060041871A KR100657375B1 KR 100657375 B1 KR100657375 B1 KR 100657375B1 KR 1020060041871 A KR1020060041871 A KR 1020060041871A KR 20060041871 A KR20060041871 A KR 20060041871A KR 100657375 B1 KR100657375 B1 KR 10065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mposition
extract
weight
parts
oleic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정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Priority to KR102006004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3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마늘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및 올레인산이 강화된 기능성 닭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는 일반 닭고기에 비해 맛이 좋고, 닭고기의 지방 성분 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높여주며, 특히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춰 동맥경화 예방에 유용한 올레인산(oleic acid)의 함량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인진쑥, 오가피, 마늘, 추출물, 활성탄, 목초액

Description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a Domestic Fowl Having Enhanced Oleic Acid Using Feed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arlic and Acanthopanax}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마늘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및 올레인산이 강화된 기능성 닭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 성장으로 인한 식습관의 변화로 쌀, 보리와 같은 곡류의 소비는 줄고, 육류와 우유 가공 식품(유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외식이 잦아지고, 소위 웰빙(well-being)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양질의 육류와 유제품의 공급이 필수적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사료 단가, 전염병과 적조 현상, 그리고 안전성의 보장이 없는 수입 육류의 저가 공세로 인해 우리의 축산농민과 양식어민들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사료 효율이 좋고, 육 질을 향상시키며, 산유량을 증대시켜 주는 고기능성 사료를 개발하여 우리 축산농민 및 양식어민들에게 공급한다면 가격이나 품질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등록특허 제10-0528313호). 상기 특허에 따른 조성물은 육류의 세포 성장뿐만 아니라, 단백질 생성 촉진, 지방 분해 촉진, 포유류 동물의 젖 분비 촉진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육류의 맛과 질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한편, 계육(鷄肉)이라고도 하는 닭고기는 전 세계적으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즐겨 찾는 보양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닭고기는 수육에 비해 연하고 맛과 풍미가 담백하며 조리하기 쉽고 영양가도 높아 폭넓은 요리에 사용된다.
최근 소비자들의 입맛이 까다로워지고, 고급스러워 지는 것에 발맞추어 상기 폭넓은 요리에 사용되는 닭의 맛의 개선 및 영양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많이 이용되고 있는 닭의 맛과 영양의 개선을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올레인산(oleic acid)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및 올레인산이 강화된 기능성 닭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닭에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인산(oleic acid)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0.1 내지 120중량부 포함하고, 전체 사료 중량의 0.1%로 섞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사료조성물은 활성탄 및 목초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활성탄 및 목초액의 추출물을 각각 0.1 내지 5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사료조성물은 가시오가피, 호로파, 속단, 구기자, 홍화씨, 두충, 백복령, 복분자, 토사자, 인삼, 녹각 및 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로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의 공급은 7일 이상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총 지방산 중 올레인산 함량이 43~48%인 올레인산 강화 기능성 닭고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필수 구성성분인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은 국화과(Compositae) 쑥에 속하는 초본형 낙엽 관목으로서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며, 특유의 향기로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인진쑥의 성분으로는 정유, 방향족 oxycarbonic acid, esculetin 6-methylether, esculetin 7-methylether, 배당체인 scopolin등이 알려져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 esculetin 6-methylether(scopoletin)이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인진쑥은 황달, 간염, 구내염, 비강염, 피부병, 변비, 설사, 복통, 요통, 천식 등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민간요법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필수 구성성분인 마늘은 살균 작용, 효소 작용, 단백질 작용에 관여하여 암세포의 영양 흡수 및 증식 등의 대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필수 구성성분인 오가피(Acanthopanax)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는 식물로 학명은 아칸토파낙스(Acanthopanax)이다. 오가피의 주요 성분은 근피와 수피에 isofraxidin, sesamin, friendelin, olysaccharides 및 eleutheroside A, B, C, D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eleutheroside I, K, L, M 및 iwujianosides A, B, C, D등이 분리 동정 되었으며, 일반 성분으로 잎과 뿌리에 비타민 및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당뇨, 결핵, 고혈압, 저혈압 및 동맥경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활성탄은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을 말하고, 목초액은 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되어 떨어지는 것을 채취한 것을 말한다. 상기 활성탄과 목초액은 농업에서는 농약 대신 이용하며, 축산업에서는 분뇨 냄새나 악취를 제거할 때 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물질로서, 무좀·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목초액의 경우, 벌레나 뱀에게 물렸을 때, 화상·당뇨병·빈혈에 민간요법으로 이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조성물의 제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마늘, 오가피(Acanthopanax)를 상온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약 5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각각의 분쇄물 1kg에 70% 에탄올 500㎖을 가하고, 30℃에서 48시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액체 성분을 모두 증발시켜, 본 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인 인진쑥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인 활성탄 및 목초액을 준비하였다.
하기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조된 인진쑥 추출물 500g, 마늘 추출물 10g 및 오가피 추출물 10g을 혼합하여, 사료 조성물 1을 제조하였고, 상기 사료 조성물 1에 활성탄 10g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료 조성물 2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 2에 목초액 10g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료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사료 조성물 1 인진쑥 추출물(500g)+마늘 추출물(10g)+오가피 추출물(10g)
사료 조성물 2 사료 조성물 1+활성탄(10g)
사료 조성물 3 사료 조성물 2+목초액(10g)
시험예 1: 성분별 분석결과대조군
1-1: 닭의 사육
본 실험에 사용한 닭은, 21일령의 병아리 2400마리(양지부화장, 경기)를 선별하여 35일 동안 사육하였다. 상기 닭 중, 600마리는 닭 사육용 고형 사료(퓨리나코리아)를 자유섭취 시켰으며, 음수는 상수도를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600마리는 상기 고형 사료(퓨리나 코리아)에 상기 실시예 1의 사료 조성물을 전체 중량의 0.1%로 섞어서 자유섭취 시켰고, 600마리는 실시예 2의 사료 조성물을 전체 중량의 0.1%로 섞어서 자유섭취 시켰으며, 나머지 600마리는 실시예 3의 사료 조성물을 전체 사료 중량의 0.1%로 섞어서 자유섭취 시켰다.
1-2: 관능검사
계육에 대한 관능검사는 5명의 검사요원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1-1에서 사육한 각각의 그룹에서 닭 3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끓는 물에 익혀 일체의 양념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고, 관능검사의 분석항목은 다즙, 연도 및 향미 3 가지였으며, 측정기준은 1(매우 나쁘다)부터 6(매우 좋다)까지로 하여 측정하였다(표 2). 모든 관능검사 결과는 95% 신뢰수준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사료만을 공급한 닭에 비해, 사료 조성물 1 내지 3을 전체 사료의 0.1 중량%로 섞어서 공급한 닭의 관능 검사치가 높았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인진쑥 추출물, 마늘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활성탄 및 목초액 조성물로 제조된 사료 조성물 3을 공급한 닭의 관능 검사치가 가장 높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에 의뢰하여 시험분석한 결과에 의한 것이다.
분석항목명\시료명 일반닭 사료조성물 1 사료조성물 2 사료조성물 3
다즙 4.6 5.1 5.2 5.6
연도 5.2 5.2 5.4 5.8
향미 4.1 5.0 5.3 5.6
합계 4.6 5.1 5.3 5.66
1-3: 닭의 성분 조사
1-3-1: 닭의 조성분 조사
1-1에서 사육한 각각의 그룹에서 닭 3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닭가슴살을익히지 않은 상태로 갈아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공급한 닭과, 일반닭의 성분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분석항목명\시료명 일반닭 사료 조성물 1 사료 조성물 2 사료 조성물 3
수분 (%) 73.74 74.40 74.73 75.23
조단백 (%) 23.53 23.50 23.16 22.76
조지방 (%) 0.13 0.17 0.08 0.12
조회분 (%) 1.10 1.11 1.09 1.09
1-3-2: 닭의 지방산 성분 분석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에 의뢰하여 닭의 지방 종류를 상세히 분석하여 보았다. 표 4는 닭의 다리지방을 추출하여 시험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섭취한 올레인산 강화 닭은 일반닭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았고, 또한, 지방산 성분 중 올레인산의 함량이 43~48%로 일반닭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시료명 일반닭 사료 조성물 1 사료 조성물 2 사료 조성물 3
포화 지방산 34.88 32.94 30.32 24.96
불포화 지방산 65.12 67.06 69.68 75.04
합계 (%) 100.00 100.00 100.00 100.00
Myristic acid 1.13 1.22 1.10 1.18
Palmitic acid 22.46 24.98 23.11 25.10
Palmitoleic acid 4.76 4.92 5.52 6.63
Stearic acid 7.35 7.80 6.55 6.67
Oleic Acid 38.90 43.77 47.03 47.18
Vaccenic acid 0.00 0.00 0.00 0.00
Linoleic acid 14.44 15.26 14.69 11.84
γ-Linoleic acid 0.72 0.26 0.21 0.00
Linolenic acid 1.01 0.85 0.78 0.69
Eicosenoic acid 0.42 0.37 0.42 0.41
Eicosadienoic acid 0.46 0.14 0.16 0.30
Eicosatrienoic acid 0.46 0.11 0.12 0.00
Arachidonic acid 4.71 0.34 0.32 0.00
Eicosapentaenole acid 0.53 0.00 0.00 0.00
Docosateraenoic acid 1.34 0.00 0.00 0.00
Docosapentaenoic acid 0.43 0.00 0.00 0.00
Docosahexaenoic acid 0.89 0.00 0.00 0.00
합계 (%) 100.00 100.00 100.00 100.00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인산(oleic acid)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레인산 함량이 강화된 기능성 닭고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닭고기는 일반 닭고기에 비해 맛을 좋고, 닭고기의 지방 성분 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높여주며, 특히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춰 동맥경화 예방에 유용한 올레인산(oleic acid)의 함량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Acanthopa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닭에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인산(oleic acid)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0.1 내지 120중량부 포함하고, 전체 사료 중량의 0.1%로 섞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활성탄 및 목초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활성탄 및/또는 목초액의 추출물을 각각 0.1 내지 5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은 가시오가피, 호로파, 속단, 구기자, 홍화씨, 두충, 백복령, 복분자, 토사자, 인삼, 녹각 및 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인진쑥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로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의 공급은 7일 이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총 지방산 중 올레인산 함량이 43~48%인 올레인산 강화 기능성 닭고기.
KR1020060041871A 2006-05-10 2006-05-10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871A KR100657375B1 (ko) 2006-05-10 2006-05-10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871A KR100657375B1 (ko) 2006-05-10 2006-05-10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375B1 true KR100657375B1 (ko) 2006-12-14

Family

ID=3773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8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375B1 (ko) 2006-05-10 2006-05-10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94B1 (ko) 2007-08-06 2008-11-21 김선기 한방산란강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9596B1 (ko) 2007-05-07 2009-01-21 이용기 가금류 사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96B1 (ko) 2007-05-07 2009-01-21 이용기 가금류 사료 조성물
KR100869394B1 (ko) 2007-08-06 2008-11-21 김선기 한방산란강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2363C (zh) 猪用绿色预混饲料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ydın et al.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essential oil isolated from orange peel (Citrus sinensis L.) to broiler diets on the performance
CN104543476A (zh) 一种竹林养淮北麻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550810A (zh) 一种红黑茶与竹叶山楂混合环保绿色型茶饲料
KR20080086719A (ko) 산야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산용 발효 조성물
Amad et al. Moringa (M. oleifera) leaf meal in diets for broilers and laying hens: A review
CN106900641A (zh) 一种土鸡的养殖方法
KR100855755B1 (ko) 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및 가금육을사용한 신규한 면류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CN105076728A (zh) 富硒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771016A (zh) 一种猪用中药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100657375B1 (ko)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CN107494938A (zh) 一种提高肉牛免疫力的中草药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307229B (zh) 一种改善淘汰蛋鸡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543484A (zh) 一种竹林养双莲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076701A (zh) 一种多效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124267A (zh) 一种易消化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97727A (ko)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Okwu et al. Studies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of the seeds of African oil bean tree (Pentaclethra macrophylla Benth)
KR20080079162A (ko) 치아시드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합사료와, 그것을사용한 닭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지는 닭고기
KR102141788B1 (ko)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CN101623058A (zh) 一种育肥羔羊甘草风味中草药饲料添加剂
Jiang et al. The Health Benefits of Red Beetroot and its Potential use in Poultry Industry using Probiotic Fer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