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243B1 -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 Google Patents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6243B1 KR100656243B1 KR1020050065211A KR20050065211A KR100656243B1 KR 100656243 B1 KR100656243 B1 KR 100656243B1 KR 1020050065211 A KR1020050065211 A KR 1020050065211A KR 20050065211 A KR20050065211 A KR 20050065211A KR 100656243 B1 KR100656243 B1 KR 100656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light
- emergency
- touch
- situation
- light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등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에 위치시킴으로써 긴급 상황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상등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 부주의를 미리 방지하고, 급제동이나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과의 표시를 위한 비상등 점멸시 스위치 조작을 하면 자동으로 상황을 분석하여 그 상황에 알맞게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표현해줄 수 있도록 한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비상등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와;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여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비상등 제어부와; 비상등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에 대응하게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비상 램프부로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positioned on the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to provide speed and convenience to the driver's switch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o prevent inadvertent operation due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operation, and to display the apple to the driver of the sudden braking or subsequent vehicle. When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flashing light for the switch to automatically analyze the situation and the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device that can be expressed by varying the number of flashing emergency ligh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for inputting an emergency light operation signal; An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time pressed by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to determine a sudden braking situation or an etiquette situation and differentially control the number of flashes of the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a one-touch auto flasher for a vehicle emergency light is implemented as an emergency lamp unit that performs a flashing operation by changing the number of flashes in response to a sudden braking situation or an etiquette situ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상등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mergency light switch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방법을 보인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 20 : 비상등 제어부10: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20: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21 : 입력 감지부 22 : 마이컴21: input detection unit 22: microcomputer
23 : 출력 제어기 24 : 릴레이23: output controller 24: relay
30 : 비상 램프부30: emergency lamp unit
본 발명은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등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에 위치시킴으로써 긴급 상황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상등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 부주의를 미리 방지하고, 급제동이나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과의 표시를 위한 비상등 점멸시 스위치 조작을 하면 자동으로 상황을 분석하여 그 상황에 알맞게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표현해줄 수 있도록 한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placing the emergency light switch on the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to provide promptness and convenience to the driver's switch oper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to inadvertently operate the driver according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operation. If the switch is operated in the event of emergency braking for apologies for sudden braking or follow-up vehicle, the vehicle automatically analyzes the situation and expresses differently the number of flashing of the emergency lamp according to the situation.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비상등은 차량의 운행시 갑작스런 차선변경 및 돌발상황에서 비상등을 점등시켜 후방 또는 측방의 차량에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데 있으며, 비상등을 점멸하는 스위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대쉬보드에 장착된다. 따라서 주행중 차선 변경 후 및 돌발상황에서 비상등을 점등시키기 위해서 운전자는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오른손을 움직여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In general, emergency lights are used to alert people to vehicles in the rear or side by turning on emergency lights in sudden lane changes and accident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switches for flashing emergency lights are mounted on the dashboar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 Therefore, the driver checks the position of the switch and moves the right hand to press the switch to turn on the emergency light after a lane change and a sudden situation during driving.
이때 운전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안 전방이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전방추돌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스위치의 위치와 운전자의 오른손 위치와는 다소간의 거리가 있어 긴급상황 발생에 대한 대처가 늦어져 후방 차량 등에 의해 후방 추돌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the driver is out of the driver's field of vision while the driver checks the position of the switch,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collision accide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witch position and the driver's right hand position is a little longer. There was a high risk of a rear collision accident due to a lower rear vehicle.
한편, 차량운전 중에 누구라도 부득이한 급차선 변경 등 앞, 뒤 여유가 비교적 적은 상태에서 차선변경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뒤 차량에 미안하다거나 감사하다는 등의 표시를 적시에 한다면 운전자들 간에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불쾌감과 이로 인한 마찰을 극소화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선팅을 하지 않은 승용차는 뒷차량에 손을 들어 보임으로써 이러한 운전상의 예의를 표시할 수 있겠으나 승용차를 제외한 다른 차량들과 야간운전의 경우엔 손을 들어 뒤차에 예를 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대신 대체로 비상등 점멸을 2-5회 정도 실시하여 이를 뒷차량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riving a vehicle, anyone may change lanes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margins are relatively small, such as an unavoidable change of a lane of a vehicle. This can minimize possible discomfort and the resulting friction. In this case, passengers who do not have a suntight can show such driving manners by raising their hands in the rear vehicle, but in the case of night driving with other vehicles except passenger cars, it is impossible to raise their hands in the rear vehicle. As a rule, two to five flashings of the emergency light can be displayed on the rear vehicle.
이때 비상등 점멸을 2-5회 정도 할 경우, 운전자는 주행중 전방주시에서 벗어나 계기판 또는 그 옆에 부착된 비상등 버튼을 찾아 약 1-3초가량 켰다가 잠시 후 비상등 버튼을 다시 눌러 꺼야하는 위험과 번거로움에 놓이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짧은 시간이지만 전방이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전방추돌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스위치의 위치와 운전자의 오른손 위치와는 다소간의 거리가 있어 긴급상황 발생에 대한 대처가 늦어져 후방 차량 등에 의해 후방 추돌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if the emergency light blinks about 2-5 times, the driver should move away from the front aisle while driving, find the emergency light button attached to the instrument panel or the side, turn it on for about 1-3 seconds, and press the emergency light button again after a while. This is a short time, but because the front is out of the driver's field of view,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collision, and there is a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witch and the driver's right hand, so that the emergency response is delayed. There was a high risk of a rear collision accident due to a lower rear vehicle.
주지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에서 비상등 스위치 조작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비상등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위치에 설치하거나 비상등을 점멸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비상등을 오프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operating an emergency light switch in a general vehicle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position or the device turns off the emergency light automatically after a certain time while the emergency light is flashing. Was proposed.
즉,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31241호(고안의 명칭: 터치타이머를 이용한 비상점멸등의 순간 점등 및 자동 소등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31289호(고안의 명칭: 터치 타이머를 이용한 비상점멸등의 순간 점등 및 자동 소등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0584호(고안의 명칭: 차량용 비상등의 점멸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37654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05381호( 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 구동장치)에 주지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에서 비상등 점멸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내용이 제안되었다.That is,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1241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esignated name: instant lighting and automatic extinguishing device of emergency flashing light using touch timer),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1289 (designated name: Touch Instantaneous lighting and automatic extinguishing device of emergency flashing light using timer),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10584 (designation name: flashing device for vehicle emergency lights), 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37654 Name: Car emergency light lighting device),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0005381 (Designation name: car direction indicator and emergency light driving device) All problems that can occur when emergency light blinks in general vehicles The technical content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그러나 주지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비상등 조작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주고, 비상등 점멸 후 자동으로 비상등을 오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운전자의 비상등 스위치 한 번 조작으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급정지의 위급 상황인지 아니면 차선 변경 등에 따른 사과나 감사의 표시로 비상등을 점멸했는지를 인지시켜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well known, by providing the emergency light operation switch to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to provid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emergency light after flashing the emergency light, the driver's emergency light One operation of the switch does not allow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to know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of emergency stop or if the emergency light flashes with a sign of apology or thanks for the lane change.
예를 들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과나 감사의 표시를 할 경우에는 통상 비상등을 2 - 5회 정도만 점멸시키게 되며, 위급상황일 경우에는 위급 상황이 해제될 까지 충분히 비상등을 점멸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멸시켜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For example, to apologize or express gratitude to a driver in a rear vehicle, the emergency light usually flashes only two to five times. In an emergency, the emergency light must be flashed long enough to release the emergency. In some case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emergency light can not be automatically flashed selective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에 적용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disadvantage that occurs in the emergency light automatic flasher applied to the conventional vehicl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등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에 위치시킴으로써 긴급 상황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상등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 부주의를 미리 방지하도록 한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 flasher, which provides a quick and convenient operation for switching a driver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prevents inadvertent operation due to an emergency light switch operation by placing an emergency light switch on a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lever.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제동이나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과의 표시를 위한 비상등 점멸시 스위치 조작을 하면 자동으로 상황을 분석하여 그 상황에 알맞게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표현해줄 수 있도록 한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flashes for the display of apologies to the driver of a sudden braking or subsequent vehicle, switch operation automatically analyzes the situation and can be represented by varying the number of flashing of the emergency light appropriately for the situation It is to provide a one-touch flas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는,"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비상등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와;A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urn indicator operation lever to input an emergency light operation signal;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여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비상등 제어부와;An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time pressed by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to determine a sudden braking situation or an etiquette situation and differentially control the number of flashes of the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상기 비상등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에 대응하게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비상 램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mergency lamp unit for performing a flashing operation by varying the number of flashe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braking situation or etiquette situation.
상기에서, 비상등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짧으면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면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emergency light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tiquette situation if the time pressed by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shor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emergency braking state when the pressed time of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방법"은,"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비상등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가 조작되면 그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analyzing a pressed time of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when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urn indicator operation lever and inputs an emergency light operation signal;
상기 제1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짧으면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judging as an etiquette situation if the pressed time of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short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step;
상기 제1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면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A third step of judging as a sudden braking situation if the pressed time of the emergency light switch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step;
상기 제2단계 및 제3 단계에서 판단된 상황에 대응하게 비상등을 차등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비상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ourth step of driving the emergency lamp by generating a pulse for differentially blinking the emergency light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determine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방법"은,In addition,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비상 램프를 구동시킨 후 비상 램프의 점멸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비상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멸되지 않았을 경우 에러 정보를 내부 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fter the emergency lamp is driven, searching for a flashing state of the emergency lamp and storing error information in an internal ROM when the emergency lamp is not normally flashed.
또한, 상기 제4단계는,In addition, the fourth step,
상기 상황 판단 결과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 램프를 3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판단 결과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 램프를 10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tiquett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ituation determination generates a pulse for flashing the emergency lamp three tim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raking situ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pulse for blinking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a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참조부호 10은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비상등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은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여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비상등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상기 비상등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제동 상황 또는 에티켓 상황에 대응하게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비상 램프부를 나타낸다.Here,
상기에서 비상등 제어부(20)는,In the above, the emergency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21)와; a) 상기 입력 감지부(21)에 의해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지는 시간을 검색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b) 상기 판단한 상황에 대응하게 비상 램프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c) 상기 비상 램프부(30)에 전달되는 램프 구동신호가 피드백되어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에러일 경우 내부 램에 에러 정보로 저장하는 마이컴(22)과; 상기 마이컴(22)에서 출력되는 펄스에 대응하게 상기 비상 램프 구동을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제어기(23)와; 상기 출력 제어기(23)에서 발 생한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상 램프부(30)내의 비상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24)로 구성된다.A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 fl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먼저,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를 기준으로 왼쪽 편에 설치되는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40)의 일단에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one-touch
운전자는 차량 운전을 하면서 급제동이나 긴급 차선 변경을 한 경우,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요하거나 미안하거나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고자 할 경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40)의 일단에 설치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를 누르게 된다. 상기에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40)의 일단에 설치됨으로써,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도모해준다. 여기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는 누른 상태에서 손을 띄게 되면 자동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운전자는 급제동으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요하는 것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를 조금 길게 누르고, 이와는 달리 에티켓 상황으로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안하다거나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를 짧게 누르게 된다.When the driver makes a sudden braking or emergency lane change while driving a vehicle, and wants to express caution, sorry or thanks to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urn indicator operation lever 40 ( 10) will be pressed. Since the one-touch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조작되면 비상등 제어부(20)는 이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게 비상등 램프부(30)내의 비상 램프(31 ~ 38)를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When the one-touch
즉, 비상등 제어부(20)내의 입력 감지부(21)는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눌러지게 되면 분압저항(R1)(R2)에 의해 전압(VCC)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고, 이로써 그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어 마이컴(22)의 입력단에는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이컴(22)은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을 하게 된다.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내부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눌러지는 시간을 체크 한다. 그리고 그 눌러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급제동 상황인지 아니면 에티켓 상황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에티켓 상황은 갑작스러운 차선 변경으로 인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안함을 표시하거나 옆 차로에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양보 등을 하여 차선 변경에 도움을 준 경우 감사의 표현을 위한 상황을 나타낸다. 즉,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을 검사하고, 그 검사한 시간과 상황 판단을 위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예를 들어, 0.6sec)을 비교하여 대소 여부에 따라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마이컴(22)은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짧으면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면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한 상황에 대응하게 비상 램프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펄스는 급제동 상황일 경우 비상 램프를 10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이고, 에티켓 상황일 경우 비상 램프를 3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나타낸다. That is, when the one-touch
출력 제어기(23)는 상기 마이컴(22)에서 출력되는 펄스에 대응하게 상기 비 상 램프 구동을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릴레이(24)는 상기 출력 제어기(23)에서 발생한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상 램프부(30)에 공급되는 전원(배터리 공급 전원)을 단속하여 비상 램프(31 ~ 38)를 점멸시키게 된다.The
상기 마이컴(22)은 상기 비상 램프부(30)에 전달되는 램프 구동신호를 피드백하여 분석하게 되고, 그 결과 에러로 판단될 경우 비상 램프의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내부 램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40)의 일단에 설치되어 비상등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조작되면 그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는 제1단계(S11, S12)와; 상기 제1단계(S12)의 분석 결과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0.6sec)보다 짧으면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단계(S12)의 분석 결과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0.6sec)보다 길면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한 후 그 판단된 상황에 대응하게 비상등을 차등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비상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2단계(S13, S14)와; 상기 비상 램프를 구동시킨 후 비상 램프의 점멸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비상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멸되지 않았을 경우 에러 정보를 내부 롬에 저장하는 단계(S15 ~ S1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one-touch
상기 제2단계(S13, S14)는,The second step (S13, S14),
상기 상황 판단 결과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 램프를 3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판단 결과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 램프를 10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tiquette situation is determined as the situation determination result,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pulse for blinking the emergency lamp three time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raking situation is generated, a pulse for blinking the emergency lamp ten times is preferabl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vehicle emergency light one-touch automatic fl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단계 S11에서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40)의 일단에 설치된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조작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 확인 결과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가 조작되면 단계 S12에서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을 분석하게 된다.First, in step S11, it is checked whether the one-touch
이 분석 결과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0.6sec)보다 짧으면 에티켓 상황으로 판단하고, 단계 S13으로 이동하여 비상 램프를 3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pressed time of the one-touch
또한,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10)의 눌러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0.6sec)보다 길면 급제동 상황으로 판단하고, 단계 S14로 이동하여 비상 램프를 10회 점멸시키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ssing time of the one-touch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에티켓 상황시 비상 램프를 3회 점멸시키고, 급제동시 10회 점멸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필요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lamp flashes three times in the etiquette situation, and has been described as flashing ten times in the sudden braking. This can be easily changed by simple operation as needed.
한편, 단계 S15 또는 단계 S16에서는 펄스를 생성하여 비상 램프를 구동시킨 후 비상 램프의 점멸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비상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멸되지 않았 을 경우 단계 S17에서 에러 정보를 내부 롬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에러 정보는차량정비시 다이어그너시스(Diagnosis)스캐너 및 차량내부에 별도의 식별장치를 제공하여 이러한 에러정보에 의해 추후 비상 램프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5 or step S16 to generate a pulse to drive the emergency lamp, search for the flashing state of the emergency lamp and if the emergency lamp is not flashing normally, the erro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nternal ROM in step S17. Such error informa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by a failure scanner in the future by providing a diagnosis scanner and a separate identification device inside the vehicle.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비상등 스위치를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비상등 스위치 조작에 따른 편리함과 안정성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one-touch emergency light switch in the direction indicator light operation lever position there is an effect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according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operation to the driver.
또한, 급제동이나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과의 표시를 위한 비상등 점멸시 스위치 조작을 하면 자동으로 상황을 분석하여 그 상황에 알맞게 비상등의 점멸 회수를 달리하여 표현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operation when the emergency light blinks for the display of an apology to the driver of the emergency braking or the subsequent vehicle is automatically analyzed to express the situation by varying the number of flashing of the emergency light appropriately for the situa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211A KR100656243B1 (en) | 2005-07-19 | 2005-07-19 |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211A KR100656243B1 (en) | 2005-07-19 | 2005-07-19 |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6243B1 true KR100656243B1 (en) | 2006-12-13 |
Family
ID=3773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5211A Expired - Lifetime KR100656243B1 (en) | 2005-07-19 | 2005-07-19 |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6243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9237B1 (en) * | 2019-07-19 | 2020-02-19 | 김지혜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 lamp |
US11021117B2 (en) | 2014-11-24 | 2021-06-01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1135968B2 (en) | 2019-03-28 | 2021-10-05 | Ess-Help, Inc. |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
US11518298B2 (en) | 2019-03-15 | 2022-12-06 | ESS-Help, lnc. |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
US11590887B2 (en) | 2019-03-15 | 2023-02-28 | Ess-Help, Inc. |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US11904765B2 (en) | 2018-12-11 | 2024-02-20 | Ess-Help, Inc. | Enhanc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
US11981254B2 (en) | 2019-03-15 | 2024-05-14 | Ess-Help, Inc. |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US12109938B2 (en) | 2019-08-12 | 2024-10-08 | Ess-Help, Inc. |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azardous vehicle and road conditions |
-
2005
- 2005-07-19 KR KR1020050065211A patent/KR1006562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4638B2 (en) | 2014-11-24 | 2022-12-13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1021117B2 (en) | 2014-11-24 | 2021-06-01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1332088B2 (en) | 2014-11-24 | 2022-05-17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1511686B2 (en) | 2014-11-24 | 2022-11-29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2263784B2 (en) | 2014-11-24 | 2025-04-01 | Ess-Help, Inc.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US11904765B2 (en) | 2018-12-11 | 2024-02-20 | Ess-Help, Inc. | Enhanc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
US11518298B2 (en) | 2019-03-15 | 2022-12-06 | ESS-Help, lnc. |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
US11590887B2 (en) | 2019-03-15 | 2023-02-28 | Ess-Help, Inc. |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US11981254B2 (en) | 2019-03-15 | 2024-05-14 | Ess-Help, Inc. |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US11135968B2 (en) | 2019-03-28 | 2021-10-05 | Ess-Help, Inc. |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
US11938862B2 (en) | 2019-03-28 | 2024-03-26 | Ess-Help, Inc. |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
KR102079237B1 (en) * | 2019-07-19 | 2020-02-19 | 김지혜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 lamp |
US12109938B2 (en) | 2019-08-12 | 2024-10-08 | Ess-Help, Inc. |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azardous vehicle and road condi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0002B2 (en) | In-vehicle lighting apparatus having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in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parts thereof | |
US8049610B2 (en) | Vehicle warning system | |
US20080172154A1 (en) | Operation guiding device for on-vehicle accessory | |
KR20230104672A (en) | How to activate your vehicle's ambient lighting system | |
KR100656243B1 (en) | Vehicle emergency light one touch flasher | |
KR101823937B1 (en) | Apparatus for vehicle safety | |
US11780366B2 (en) | Vehicle status indicator | |
KR20180136851A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river sleepiness | |
KR101743144B1 (en) |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 |
KR101594562B1 (en) |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 |
JP3224121U (en) | Vehicle thanks display device | |
KR20200104530A (en) | Car check st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LED daytime runing light | |
JPH07323783A (en) | Safety device for vehicle | |
KR200431152Y1 (en) | Vehicle deceleration display device | |
JP3224312U (en) | Vehicle thanks display device | |
JP2016168919A (en) | Vehicle that warns against hazard state in vehicle compartment | |
JP6962021B2 (en) | A blinking control device for a turn signal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inking control device. | |
KR101250663B1 (en) | Method fo display for door open and sudden brake force in vehicle | |
KR200300405Y1 (en) | Rear lighting apparatus use of automobile side-view mirror | |
KR920004187Y1 (en) | Automatic On / Off Control Circuit of Automobile Lamp | |
KR100556264B1 (en) | Vehicle rear light and control method | |
JP2024165303A (en) |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KR20080075666A (en) | Brake lamp flashes by vehicle tilt and light sensor | |
KR101483441B1 (en) | An apparatus of automatically turning on/off hazard lamp for a car using displacement current and method thereof | |
JP2023072537A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