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6177B1 -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177B1
KR100656177B1 KR20050014646A KR20050014646A KR100656177B1 KR 100656177 B1 KR100656177 B1 KR 100656177B1 KR 20050014646 A KR20050014646 A KR 20050014646A KR 20050014646 A KR20050014646 A KR 20050014646A KR 100656177 B1 KR100656177 B1 KR 100656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thermal power
power plant
flooring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567A (ko
Inventor
안지환
박진구
한기천
전소연
유광석
한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05001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177B1/ko
Priority to PCT/KR2005/001900 priority patent/WO2006090955A1/en
Publication of KR2006009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1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50Zeolites wherein inorganic bases or salts occlude channels in the lattice framework, e.g. sodalite, cancrinite, nosean, hauy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중 바닥재를 통해 환경정화용 다공체인 제올라이트를 합성하여 토양이나 수질 내 중금속 또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제거제로 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폐기물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은, 화력발전소용 보일러 바닥에 쌓이는 바닥재를 알칼리 용액과 반응시켜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올라이트 합성단계 이전에 상기 바닥재를 90~110 ℃에서 22~26시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바닥재를 100㎛ 이하 입도로 분쇄하는 바닥재 전처리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화력발전소, 바닥재, 제올라이트, 양이온교환능력, 중금속 흡착제

Description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Method for synthesizing NaP1-zeolite using coal-fired power plant bottom ash}
도 1은 화력발전소 바닥재의 입도분포 결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의해 80℃에서 NaOH 농도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X선 회절분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의해 120 ℃에서 NaOH 농도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X선 회절분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의해 150 ℃에서 NaOH 농도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X선 회절분석도.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력 발전시 발생되는 바닥재를 재활용 가능한 제올라이트로 합성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원료로 하여 발전하는 화력발전소는 석탄의 연소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탄을 소정의 크기로 분쇄, 즉 미분탄을 합성하여, 이 미분탄을 보일러에 공급하여 연소시킴과 동시에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생산한 후, 생산된 수증기를 증기터빈에 공급함으로써, 발전을 하게 된다.
특히, 석탄에는 통상적으로 2 ~ 15% 정도의 불연성 회분, 즉 석탄회가 함유되어 있다. 이에, 미분탄을 보일러에 공급하면, 미분탄의 대략 20%에 함유된 석탄회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용융되며 여러 입자가 응결되어 보일러의 하부로 배출되고, 미분탄의 대략 80%는 각 입자별로 연소되어 연소가스 흐름에 따라 비산하여 비산된 미분탄에 함유된 석탄회는 전기집진기 등과 같은 집진장치에 포집된다.
한편, 보일러의 하부로 배출되는 석탄회는 바닥재(bottom ash)라고 불리운다. 상기 바닥재는 그 입경이 대략 100㎛ ~ 수 ㎝ 정도로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큰 덩어리는 1㎝이하로 파쇄하여 해수와 함께 매립장으로 이송하여 매립된다.
또한, 유동층 보일러로부터 비산하여 전기집진기에서 포집되어 배출되는 석탄회는 비산재(fly ash)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비산재는 그 평균 입경이 대략 30㎛ ~ 60㎛이고, 최대 입경은 100㎛ 이하이다.
따라서, 화력발전소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석탄회의 바닥재는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며, 또한 매립 처리시 매립장 건설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향후 발전량이 늘어남에 따라 매립장 증축에 필요한 부지확보 및 건설에 대한 인근 주민과의 마찰 등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골재 대용이나 시멘트 첨가재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몇몇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건조 등 처리 공정의 문제와 해수에 포함된 염소성분이 콘크리트 내의 철근 부식을 유발하는 등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데에는 경제적으로나 공정 및 최종 산물의 품질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력발전을 위한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석탄회 중 바닥재를 매립하지 않고 이를 이용하여 환경정화용 다공체인 제올라이트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한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은, 화력발전소용 보일러 바닥에 쌓이는 바닥재를 알칼리 용액에 혼합하여 제올라이트를 합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력발전을 위한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바닥재를 이용한 제올라이트 합성을 위해 알칼리 수열합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NaOH 농도와 온도를 변화시켜 양이온교환능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NaP1형의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2M 이하의 NaOH 농도와 120 ℃ 이하의 반응 온도에서 비교적 높은 결정성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비교적 양이온 교환능력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Hydroxy-sodalite는 120 ℃이하의 반응온도 및 3M 이상의 NaOH에서 합성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원료가 아닌 폐자원인 화력발전소 바닥재의 전체 혹은 일부분을 선별하여 NaOH 등 알칼리 용액과 반응시키거나 수열합성하여 양이온교환능력이 높은 NaP1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능력(CEC: cation exchange capacity)이 수십배이상 향상되기 때문에 토양이나 수질 내 중금속 또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제거제로 활용함으로써 대량 매립처분되고 있는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폐기물 의 실질적인 재활용 및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은 바닥재 전처리 단계, 바닥재와 알칼리 용액(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재 전처리 단계는 바닥재 건조단계와 분쇄단계로 이루어지며,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바닥재의 화학조성을 통해 바닥재를 제올라이트의 원료로 사용가능한 가를 확인하였다.
표 1은 화력발전소 바닥재의 화학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바닥재는 실리카(SiO2)가 43.39%, 알루미나(Al2O3)가 23.08%로 제올라이트 합성 원료로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의 화학조성(단위:중량%)
화학조성 화력발전소 바닥재
SiO2 43.39
Al2O3 23.08
Fe2O3 13.90
CaO 9.04
MgO 0.86
K2O 0.41
Na2O 0.55
TiO2 1.41
MnO 0.22
P2O5 0.15
강열감량 6.58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S10) 바닥재 전처리. 화력발전을 위한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어 보일러 바닥에 쌓이는 바닥재를 수거하여 90~110 ℃ 바람직하게 100 ℃에서 22~26시간 바람직하게 24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바닥재를 분쇄밀을 이용하여 100㎛ 이하 입도로 분쇄한다. 상기 바닥재의 화학조성을 통해 상기 바닥재를 제올라이트의 합성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바닥재를 제올라이트로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바닥재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바닥재를 건조한 후 100㎛ 이하로 분쇄하여 제올라이트 합성 원료로 사용하며, 그 입도분포를 도 1에 나타내었다.
(S20) 제올라이트 합성. 상기 (S10) 바닥재 전처리 공정을 통해 전처리된 바닥재를 통해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기 위하여 알칼리 수열합성법을 이용한다. 알칼리용액 중 하나인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바닥재를 혼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제 올라이트를 합성한다.
제올라이트의 합성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력발전소 석탄회의 수열반응에 의한 제올라이트 합성은 크게 ① 용해(dissolution) ② 응축 및 겔화(condensation & gelation) ③ 결정화(crystallization)의 3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용해반응에서는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OH-에 의해 석탄회의 Si와 Al 성분이 용출되므로 석탄회의 입자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변한다. 응축과 겔화 반응에서는 용출된 Si4+와 Al3+ 이온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aluminosilicate) 겔(gel) 형태로 되어 석탄회의 표면을 큰 박편(flake) 처럼 덮으면서 제올라이트 결정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때, NaOH 농도와 온도를 달리하면서 제올라이트를 합성한 결과 NaOH 농도와 온도에 따라 제올라이트 성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NaOH 농도와 온도에 따른 제올라이트의 생성상은 다음과 같다.
NaOH 농도 및 반응온도에 따른 제올라이트 생성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 2, 3, 4, 5 M의 NaOH 용액을 합성하여 125mL의 각 용액과 바닥재 20g을 혼합한 후 80 ℃, 120 ℃, 150 ℃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24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반응용기는 반응기 내부를 테프론으로 코팅한 스테인레스 스틸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S30) 합성된 제올라이트 건조. 상기 (S20) 제올라이트 합성단계를 통해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70~90 ℃ 바람직하게 80 ℃에서 11~13시간 바람직하게 12시간 건조한다.
표 2는 NaOH 용액의 농도, 반응시간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나타낸 것으로, 80 ℃의 온도에서는 2M의 NaOH 농도까지 NaP1 만이 존재하다가 3 M 이상부터는 hydroxy-sodalite가 생성되어 2가지 이상의 제올라이트 상이 존재하기 시작하였으며, 3M의 NaOH에서는 hydrxoy-sodalite 외에 faujasite 상도 생성되었다. 120 ℃에서도 2M의 NaOH 농도까지는 NaP1만이 생성되었지만, 3M의 NaOH 농도부터는 hydroxy-sodalite와 tobermorite가 생성되어 3가지 제올라이트 상이 혼재하였다. 150 ℃에서는 1M의 NaOH 농도부터 NaP1, hydroxy-sodalite 및 tobermorite가 혼재하였고, 3M의 NaOH 농도 이상에서는 NaP1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았다. 제올라이트는 결정구조에 따라 무수히 많은 광물상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 원료, 합성방법 및 조건에 따라 결정상이 달라지게 되며, 상술한 NaP1, hydrxoy-sodalite, faujasite, tobermorite는 광물상에 따라 구분된 제올라이트의 종류를 나타낸다.
[표 2] 합성조건에 따라 생성된 제올라이트
번호 NaOH 용액의 농도(M) 반응시간 (시간) 반응온도( ℃) 합성상
1 1 24 80 P1
2 2 24 80 P1
3 3 24 80 P1,HS,F
4 4 24 80 P1,HS
5 5 24 80 P1,HS
6 1 24 120 P1
7 2 24 120 P1
8 3 24 120 P1,HS,T
9 4 24 120 P1,HS,T
10 5 24 120 P1,HS,T
11 1 24 150 P1,HS,T
12 2 24 150 P1,HS,T
13 3 24 150 P1,HS,T
14 4 24 150 HS,T
15 5 24 150 HS,T
P1=NaP1, HS=hydroxy-sodalite, F=faujasite, T=tobermorite
도 2는 80 ℃에서 NaOH 농도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에 대한 X-선 회절분 석 결과이다. 2θ=28°부근에서 NaP1의 주 피크가 관찰되는데, 2M의 NaOH 농도까지 피크 강도가 증가하다 3 M부터 다시 감소하였다. 3M에서는 2 θ=6° 부근에서 faujasite의 피크를 볼 수 있다. 또한 2 θ=24 ° 부근에서 hydrxoy-sodalite의 피크를 볼 수 있는데, NaOH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피크강도가 증가하였다. Original minerals인 quartz와 mullite는 NaOH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기가 감소하였다. 도 3은 120℃에서 합성된 제올라이트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80 ℃에서와 마찬가지로 NaP1의 주피크가 2M의 NaOH 농도까지 증가하다가 3M부터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3M의 NaOH 농도부터는 2 θ=7.5 ° 및 30 ° 전후로 tebermorite가 생성되어 농도에 따라 그 강도가 증가하였다. 150℃에서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X-선 회절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80 ℃ 및 120 ℃에서와는 달리 NaP1 주 피크 강도는 NaOH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고, 1M의 NaOH 농도부터 관찰되는 hydroxy-sodalite 상의 피크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반응온도 및 NaOH 용액의 농도에 따라 24시간 반응시켜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능력(CEC, Cation Exchange Capacity)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능력
구 분 재 료 반응온도( ℃) NaOH 용액의 농도(M) CEC(meq/100g)
비교예 바닥재 - - 2
활성탄 - - 4
천연 제올라이트 - - 54
본발명 합성 제올라이트 80 1M 70
2M 110
3M 120
4M 110
100 1M 105
2M 140
3M 145
4M 100
120 1M 130
2M 160
3M 115
4M 80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능력은 매우 우수하여 토양이나 수질 내 중금속 또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제거제로 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폐기물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에 의하면, 기존에 해수에 매립 처분되고 있는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공기로 냉각하여 일부 혹은 전체를 분쇄하거나 원상태 그대로 환경정화용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며, 합성된 제올라이트는 양이온교환능력(CEC : cation exchange capacity)이 기존 제올라이트보다 수십배 이상 향상되기 때문에 토양이나 수질 내 중금속 또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제거제로 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폐기물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화력발전소용 보일러 바닥에 쌓이는 바닥재를 90~110 ℃에서 22~26시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바닥재를 100㎛ 이하 입도로 분쇄하는 바닥재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바닥재를 2M~3M의 NaOH 용액에 혼합하여 80℃~100℃에서 상온상압 또는 수열합성하여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70~90 ℃에서 11~13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KR20050014646A 2005-02-22 2005-02-22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56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4646A KR100656177B1 (ko) 2005-02-22 2005-02-22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PCT/KR2005/001900 WO2006090955A1 (en) 2005-02-22 2005-06-18 Method for synthesizing zeolite using coal-fired powerplant bottom 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4646A KR100656177B1 (ko) 2005-02-22 2005-02-22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67A KR20060093567A (ko) 2006-08-25
KR100656177B1 true KR100656177B1 (ko) 2006-12-13

Family

ID=3692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4646A Expired - Lifetime KR100656177B1 (ko) 2005-02-22 2005-02-22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6177B1 (ko)
WO (1) WO200609095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103A1 (de) 2009-08-17 2011-03-03 Epel Co., Ltd. Katalysator für die Konversion von Leichtö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von
KR101167235B1 (ko) * 2010-07-15 2012-07-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제올라이트 및 메조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제올라이트 및 메조 세공 실리카물질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1602926B1 (ko) 2015-10-23 2016-03-11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경석을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KR101602933B1 (ko) 2015-11-05 2016-03-11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화력발전소의 바닥재를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KR20240040985A (ko) 2022-09-22 2024-03-29 삼두종합기술주식회사 펠릿형 암모니아 흡착소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79B1 (ko) * 2007-02-22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저회를 골재로 한 모르타르, 콘크리트 및 토공재료에서의중금속 용출 방지 방법
KR102067491B1 (ko) * 2018-12-14 2020-01-17 주식회사 부강테크 오·폐수 처리를 위한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9854B1 (en) * 1998-06-12 2001-10-09 Teruo Henmi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zeolite
JP3431499B2 (ja) * 1998-06-12 2003-07-28 彰男 逸見 人工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JP3420081B2 (ja) * 1998-10-02 2003-06-23 三重県 ゴミ焼却灰からの吸着剤の製造方法
JP3090657B1 (ja) * 1999-08-09 2000-09-25 伸子 蓮山 ゼオライト製造方法およびゼオライト製造装置
US6599494B2 (en) * 1999-08-19 2003-07-29 K.E.M.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rtificial zeolite by a slurry reaction method
JP2003012322A (ja) * 2001-06-29 2003-01-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ニウム製造工場と光ファイバ製造工場から排出される廃棄物のゼロエミッション型有効利用法および製造されたゼオライ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103A1 (de) 2009-08-17 2011-03-03 Epel Co., Ltd. Katalysator für die Konversion von Leichtö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von
US9061914B2 (en) 2009-08-17 2015-06-23 Epel Co., Ltd Catalyst for recovering light o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167235B1 (ko) * 2010-07-15 2012-07-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제올라이트 및 메조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제올라이트 및 메조 세공 실리카물질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1602926B1 (ko) 2015-10-23 2016-03-11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경석을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KR101602933B1 (ko) 2015-11-05 2016-03-11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화력발전소의 바닥재를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KR20240040985A (ko) 2022-09-22 2024-03-29 삼두종합기술주식회사 펠릿형 암모니아 흡착소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0955A1 (en) 2006-08-31
KR20060093567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niolo et al. Fly ash-based geopolymers containing added silicate waste. A review
Narattha et al. Phase characterizations, physical properties and strength of environment-friendly cold-bonded fly ash lightweight aggregates
Lancellotti et al. Alkali activation processes for incinerator residues management
Miyake et al.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zeolite composite materials from coal fly ash
KR20220078555A (ko) 철광석 정광 공정으로부터 유래한 모래 광미로부터 분말화 소듐 실리케이트를 수득하는 공정
Nguyen et al. Leaching behavior and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geopolymer synthesized from red mud and fly ash
Chindaprasirt et al.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pervious fly ash geopolymer concrete for neutralization of acidic wastewater
KR101702122B1 (ko) 인공경량골재의 제조방법
Khater et al. Geopolymeriz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and study of their stability upon firing treatment
KR100656177B1 (ko) 화력발전소 바닥재를 이용한 NaP1형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Wajima et al. Synthesis of zeolite X from waste sandstone cake using alkali fusion method
Chen et al. Emission reduction process for dechlorinating flue‐gas desulfurization gypsum and reducing wastewater effluents: Application prospects from laboratory‐scale studies
Moukannaa et al. Investigation of different paper mill ashes as potential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CN101565287B (zh) 一种免烧墙体材料及其制备方法
Krasnyi et al. Fly ash as technogenic raw material for producing refractory and insulating ceramic materials
Ambrus et al. Utilis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power plant fly ash
Plawecka et al. Geopolymers based on plasma incineration waste as a material for circular economy
KR100713686B1 (ko) 폐콘크리트 미분을 이용한 다공성 규산칼슘 경화체
EP4265582A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carbonated mineral component, carbonated mineral component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hydraulic binder
Hu et al. LOWERED TEMPERATURE RESOURCE RECYCLING OF PAPER SLUDGE USING A CO-MELTING TECHNOLOGY.
JP3692443B2 (ja) 石炭ガス化スラグを用いたハイドログロシュラーの製造方法
Gautam et al. Calcium Oxide
Miao et al. Reutilizing paper mill sludge as humidity regulating material by hydrothermal solidifying
Syahyadi et al. Characterization of geopolymer binder using Sidoarjo mud
Ikumapayi et al. Effects of vibratory disc milling time on the physi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oal fly ash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