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6045B1 - 내마모 파이프 - Google Patents

내마모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045B1
KR100656045B1 KR1019990064357A KR19990064357A KR100656045B1 KR 100656045 B1 KR100656045 B1 KR 100656045B1 KR 1019990064357 A KR1019990064357 A KR 1019990064357A KR 19990064357 A KR19990064357 A KR 19990064357A KR 100656045 B1 KR100656045 B1 KR 10065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ar
layer
base layer
resist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815A (ko
Inventor
박우진
조정환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0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4Reinforc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펌프차량의 내마모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는 기지층(12)과, 상기 기지층(12)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외곽층(14) 및, 상기 기지층(12)과 외곽층(14)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계 충격흡수층(16)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어 마찰이 되는 상기 기지층(12)은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격흡수층(16)은 신축성이 뛰어나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계열로 이루어지므로써, 엘보우형 내마모 파이프가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얻게 되는 것이다.
콘크리트펌프카, 내마모파이프, 엘보우, 충격흡수층

Description

내마모 파이프{Consume resisting pip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파이프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엘보우형 내마모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마모파이프 12 : 기지층
14 : 외곽층 16 : 충격흡수층
20 : 내마모파이프
본 발명은 내마모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계의 충격흡수층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콘크리트 펌프카에 장착되어 골재이송시 발생되는 마찰에 대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내마모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는 건축물 또는 구축물의 공사중에 필요한 콘크리트를 높은 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것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압력 을 이용하여 호퍼에 있는 콘크리트를 다수개의 직선형 파이프와 엘보우형 파이프로 길다랗게 연결설치된 수송관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의 작업장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높은 곳까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수송관은 높은 건물의 건조를 위해서는 상당한 길이가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길이에 따라 적재된 다수개의 직선형 파이프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45도나 90도로 구부러진 엘보우형 내마모파이프(20)를 서로 죠인트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이트가 유압실린더로 부터 발생된 높은 압력으로 분사될 때 콘크리이트내에 있는 자갈과 모래는 빠른 속도로 수송관 내를 통과하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엘보우형 파이프를 통과할 때 직선형 파이프보다도 엘보우형 파이프에 큰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갈과 모래가 스치고 지나면서 심한 마모를 일으키기 때문에 엘보우는 내충격성과 함께 내마모성도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이송관에 사용되는 내마모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된 고크롬주강은 조직에 크롬카바이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내마모성이 좋기는 하나 충격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한 단점이 있어 직선형 파이프에 사용하기에는 무난하나 충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해지는 엘보우형 파이프에는 사용하기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엘보우형 파이프에 종래 많이 사용되는 고망간강은 조직내에 포함된 오스테나이트가 충격을 받게되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면서 외부로 부터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고, 일단 마르텐사이트로 변태가 되면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일단 마르텐사이트로 변태가 된 고망간강은 더 이상 변태 로 인한 충격흡수능력을 갖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마르텐사이트 자체가 내충격성이 약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망간강도 자갈과 모래의 계속되는 충격에는 오래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펌프카의 이송관을 통과하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자갈과 모래의 계속적인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내마모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내마모 파이프는, 이송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는 기지층과, 상기 기지층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외곽층 및, 상기 기지층과 외곽층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계 충격흡수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지층이 고탄소강, 공구강, 텅스텐카바이드, 크롬카바이드, 고크롬강, 고망간강, 엠엠씨(M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곽층이 탄소강, 배관용 강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층이 천연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부타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틸고무, 우레탄고무, 니트릴고무,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는 기지층(12)과, 상기 기지층(12)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외곽층(14) 및, 상기 기지층(12)과 외곽층(14)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계 충격흡수층(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지층(12)이 고탄소강, 공구강, 텅스텐카바이드, 크롬카바이드, 고크롬강, 고망간강, 엠엠씨(M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곽층(14)이 탄소강, 배관용 강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층(16)은 천연고무(ASTM약호;NR), 클로로프렌고무 (ASTM약호:CR), 부타디엔고무(ASTM약호:BR), 에틸렌-프로필렌고무 (ASTM약호:EPDM), 스티렌-부타디엔고무(ASTM약호:SBR), 부틸고무(ASTM약호:IIR), 우레탄고무 (URETHANE), 니트릴고무(ASTM약호:NBR), 실리콘고무(ASTM약호:Q)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고무계 충격흡수층(16)은 고망간강과 같은 금속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삽입하여 금속과 접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먼저 기지층(12)을 만들고 그 뒷면에 고무계 충격흡수층(16)를 접합한 다음, 이 충격흡수층(16)위에 또 다른 금속층인 외곽층(14)을 접합하여 샌드위치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 고무계 충격흡수층(16)은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신축성이 있는 고무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에서 분출된 자갈과 모래가 엘보우에 부딪히면 가해진 충격은 기지층(12)을 통하여 고무계 충격흡수층(16)에 전달되고 고무자체의 댐핑특성에 의해 충격은 고무로 흡수되어 금속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고망간강, 고크롬강과 같은 금속은 이와같은 고무계의 충격흡수층(16)에 의해 충격으로 부터 일차적으로 보호되며 단지 내부에 통과하는 골재들의 마모만을 견디면 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큰 재질을 사용하여 내마모파이프의 내마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계 충격흡수층(16)를 기지층(12)과 외곽층(14)을 이루는 금속사이에 샌드위치 형상으로 접착하여 콘크리트펌핑트럭의 엘보우 파이프를 제조하므로써, 내마모파이프의 내충격성과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1]
NR에 스테아르산 1 phr, ZnO 5phr, 카본블랙 20phr, 파인탈 3phr, 황 2 phr를 믹스하여 제작한 것을 4mm 두께로 하여 150도에서 30분간 유지하여 25mm두께의 고망간강에 접착제를 바른 후 압착하여 내마모파이프를 제작하였다(단, 'phr'은 'parts per hundred of rubber'의 약어로서, 원료 고무 100에 대한 첨가량을 의미한다).
이때 150℃를 유지하는 것은 물성안정화와 가교화를 시키기 위한 것이다.
펌프카에 실제로 장착하여 하루에 작업시간을 10시간씩 하는 실차실험을 실시하여 고망간강이 닳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마모파이프는 평균시간은 60일인 것에 대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내마모파이프는 닳기까지 시간은 102일로 종래의 내마모파이프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2]
우레탄을 4mm 두께로 제작하여 120도에서 30분간 유지하여 25mm 두께의 고망간강에 접착하여 내마모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이때 엘보우에 접착제를 바른 후 프레스로 가압하여 우레탄을 기지금속에 접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내마모파이프를 펌프카에 실제로 장착하여 하루에 작업시간을 10시간씩 하는 실차실험을 실시하여 고망간강이 닳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마모파이프는 평균시간은 60일인 것에 대하여, 본실시예의 우레탄을 부착한 내마모파이프는 닳기까지 시간은 70일로 종래의 내마모파이프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
BR에 스테아르산 1phr, ZnO 5phr, 카본블랙 20phr, 파인탈 3phr, 황 2phr를 혼합하여 제작한 것을 4mm두께로 제작하여 120도에서 30분간 유지하여 25mm 두께의 고망간강에 접착하여, 이를 기지금속에 접합하였다.
그리고 엘보우에 접착제를 바른 후 프레스로 가압하여 BR을 기지금속에 접합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내마모파이프를 펌프카에 실제로 장착하여 하루에 작업시간을 10시간씩 하는 실차실험을 실시하여 고망간강이 닳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실시예의 BR을 부착한 내마모파이프는 닳기까지 시간은 90일로 종래의 내마모파이프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4]
NR과 BR을 60phr:40phr로 섞고, 이에 스테아르산 1phr, ZnO 5phr, 카본블랙 20phr, 파인탈 3phr, 황 2phr를 혼합하여 제작한 혼합패드를 4mm 두께로 제작하여 145도에서 30분간 유지하여 25mm 두께의 고망간강에 접착하여 내마모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이때 혼합패드는 기지금속에 접착제를 바른 후 프레스로 가압하므로써 접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내마모파이프를 펌프카에 실제로 장착하여 하루에 작업시간을 10시간씩 하는 실차실험을 실시하여 고망간강이 닳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실시예의 혼합패드를 부착한 내마모파이프는 닳기까지 시간은 120일로 종래의 내마모파이프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골재와 직접 접촉되는 내 부의 기지층과 외곽층의 내부에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한 고무계의 충격흡수층을 구비하도록 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기지층과 외부의 충격을 탄력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층의 작용에 의해 내마모파이프의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모두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송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는 기지층(12)과, 상기 기지층(12)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외곽층(14) 및, 상기 기지층(12)과 외곽층(14)의 사이에 소정의 두께로 삽입설치되는 고무계 충격흡수층(16)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지층(12)은 고탄소강, 공구강, 텅스텐카바이드, 크롬카바이드, 고크롬강, 고망간강, 엠엠씨(M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파이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층(14)이 탄소강, 배관용 강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16)이 천연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부타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틸고무, 우레탄고무, 니트릴고무, 실리콘고무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파이프.
KR1019990064357A 1999-12-29 1999-12-29 내마모 파이프 KR10065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357A KR100656045B1 (ko) 1999-12-29 1999-12-29 내마모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357A KR100656045B1 (ko) 1999-12-29 1999-12-29 내마모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815A KR20010061815A (ko) 2001-07-07
KR100656045B1 true KR100656045B1 (ko) 2006-12-08

Family

ID=1963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357A KR100656045B1 (ko) 1999-12-29 1999-12-29 내마모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795B1 (ko) 2020-06-15 2020-12-30 김서염 손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내마모관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623B1 (ko) * 2004-01-14 2006-03-22 정진현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이송관
KR101962007B1 (ko) * 2017-03-22 2019-03-25 주식회사 신화금속 파이프 내부의 내마모 및 내부식층 코팅방법
KR20220089274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 고망간 강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8819U (ko) * 1975-10-28 1977-04-28
KR860002026A (ko) * 1984-08-23 1986-03-24 더블류. 에이. 코우트 광섬유의 광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8819U (ko) * 1975-10-28 1977-04-28
KR860002026A (ko) * 1984-08-23 1986-03-24 더블류. 에이. 코우트 광섬유의 광 안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795B1 (ko) 2020-06-15 2020-12-30 김서염 손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내마모관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815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63382Y (zh) 一种新型防震衬套
ATE362958T1 (de) Kautschukmischung auf der basis eines dienelastomers und eines verstärkenden siliciumcarbids
US9429267B2 (en) Pipe systems
KR100656045B1 (ko) 내마모 파이프
MXPA03000658A (es) Material compuesto (metal/caucho) para neumatico.
EP1130053A3 (en) Preparation of reinforced elastomer, elastomer composite and tire having component thereof
KR20040078878A (ko) 잡음방지용 심 및 그 부착구조체
EP1293529A3 (en) Elastomer/reinforcing filler composite
JPS61197875A (ja) 粉体並びにスラリ−の乾式湿式輸送用関節状曲り管
AU2012265272B2 (en) Wear protection device
JP2000501147A (ja) 曲面用フェンダの保護構造
JP4429473B2 (ja) 防水床
CN205711603U (zh) 一种薄层钢桥面铺装结构
CN201575275U (zh) 一体化复合抗磨管
CN211599875U (zh) 一种混凝土输送弯管
JP3139532B2 (ja) 固形物の空気輸送管路の摩耗部補修方法および補修用複合体
KR20070051127A (ko)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이중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KR0140398Y1 (ko) 미경화콘크리트 이송용 유니트곡관
KR20170003694U (ko) 유압유 튜브
CN105803884B (zh) 一种薄层钢桥面铺装结构
CN212473445U (zh) 矿车
CN211542694U (zh) 一种具有抗断裂功能的耐磨板
JP2004204982A (ja) 内面被覆鋼管
CN221300508U (zh) 一种复合陶瓷弯头
KR200165060Y1 (ko) 미경화콘크리트이송용유니트직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