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5253B1 -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253B1
KR100655253B1 KR1020047005722A KR20047005722A KR100655253B1 KR 100655253 B1 KR100655253 B1 KR 100655253B1 KR 1020047005722 A KR1020047005722 A KR 1020047005722A KR 20047005722 A KR20047005722 A KR 20047005722A KR 100655253 B1 KR100655253 B1 KR 10065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nk
options
guide
data process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099A (ko
Inventor
차타니마사유키
고마타노브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7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25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컨트롤러 키와 관련된 선택 가능한 옵션을 가진 네트워크 페이지 상에서 안내 도형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네비게이션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처리 유닛과, 그 네트워크 페이지 상에 안내 도형 오버레이를 렌더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CONTROLLER SELECTABLE HYPERLINK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로서 접속된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는 수동 컨트롤러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개인 사용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접속하여 특정 URL 어드레스와 관련된 웹 사이트를 다운로드 받는다. 통상의 웹 사이트에는 다른 URL 어드레스로의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하이퍼링크는 특정한 문구, 단어 또는 심볼일 수 있으며, 이것들에 의해 사용자는 동일 문서의 다른 요소, 다른 하이퍼텍스트 문서, 상이한 파일 또는 상이한 웹 사이트 로케이션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들 하이퍼링크는 개개 단어, 광고 배너 등의 형식일 수 있다.
특정의 하이퍼링크를 선택하기 위한 통상의 입력 장치가 마우스이다. 마우스를 사용해서, 스크린을 따라 이동 가능한 포인터로 특정 하이퍼링크를 가리키게 하여, 그에 따라 포인터 로케이션에서 마우스 상의 스위치를 클릭함으로써 그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한 하이퍼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서버 로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가 예컨대 배너 광고라면, 어느 한 웹 사이트 상에서 특정 배너 광고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배너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이동할 것이다. 그런 후, 새로운 웹 사이트 로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주문을 하거나, 자료를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그외 다른 특정 명령을 수행하려면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최종 제품을 주문하거나, 자료를 다운로드 받거나, 이메일을 보내거나 또는 기타 쌍방향 명령이 완수되기 전에 다수회 클릭을 해야 하는 것이 보통이다.
현재 시스템에 존재하는 추가 문제는 네비게이션이 마우스의 사용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마우스는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이다. 마우스 패드 상에서 마우스를 굴림으로써, 포인터를 스크린 상에 배치하고 원하는 특정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런데, 현재, 전통적인 데스크탑이나 랩탑 개인용 컴퓨터(PC) 외에도,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갖는 많은 종류의 네트워크 입력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팜 파일럿(Palm Pilot), 핸드스프링 비저(Handspring Visior) 등의 핸드헬드용 개인 오거나이저(personal organizer), 텔레비젼 세트, 가정용 오락 시스템 등은 모두 이제 인터넷에서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장치의 대부분은 마우스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마우스 대신에, 이들 장치는 통상, 웹 페이지 상에서 포인터를 배치하기 위해 방향 버튼을 이용한다. 웹 페이지에서의 온스크린 네비게이션은 특정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때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포인터를 확실하게 지향시키는 것이 보다 어렵기 때문에 복잡하다. 그에 따라, 이들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네비게이션하는 것은 사실 번거로우며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고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서 굴리는 일없이, 키패드가 장착된 입력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여 하이퍼링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포인터가 하이퍼링크를 통과할 때 안내 도형이 직접 스크린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하이퍼링크를 갖는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오버레이로서 안내 도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옵션은 그와 관련된 아이콘을 가지며, 그 아이콘은 컨트롤러 입력 장치의 키패드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가 네트워크 페이지 상에서 하이퍼링크를 통과할 때, 지정된 입력 키와 관련된 선택 가능한 옵션을 가진 안내 화상이 생성되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BBB 기업의 배너 광고가 포함된 AAA 기업의 웹 사이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포인터가 배너 광고 상에 지향되는 AAA 기업의 웹 사이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옵션이 각각 대응하는 안내 도형 아래에 디스플레이된 AAA 기업의 웹 사이트 상에 오버레이된 안내 도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컨트롤러 상의 대응 버튼에 대하여 가능한 표준화된 메뉴 옵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하이퍼링크된 광고주 BBB 기업의 웹 사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정용 오락 기기가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의 AAA 기업의 서버와 BBB 기업의 서버와 같은 서버의 접속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위치 테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정용 오락 기기가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상의 웹 페이지에는 통상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하이퍼링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그 네트워크 상의 다른 웹 페이지로 "접속" 또는 "링크"할 수 있으며, 그 웹 페이지는 초기 웹 페이지와 동일한 소스의 것일 수 있어, 예컨대 특정 주제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련없는 제2 소스의 것이어서 예컨대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게임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면, 컨트롤러에 있는 상 ·하 ·좌 ·우 키를 사용해서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키를 이용해서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를 조작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방향 키와 함께, 컨트롤러는 게임을 제어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다른 제어 버튼과 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 개개의 게임 컨트롤 버튼을 사용하여 특정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선택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가 스크린 상에 있을 때, 그 포인터가 특정의 식별된 하이퍼링크를 통과할 때마다, 스크린 상에서 안내 도형이 현재 웹 사이트 이미지에 오버레이되게 즉각 표시될 것이다. 포인터가 그 하이퍼링크와 관련되기만 하면, 오버레이된 안내 도형이 표시될 것이다. 안내 도형은 웹 사이트의 정상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 웹 사이트는 네비게이션 안내 도형 뒤에서 정상 동작을 계속한다. 포인터가 하이퍼링크에서 멀어지게 되면, 안내 도형이 스크린에서 사라지게 된다. 포인터가 또다른 식별된 하이퍼링크로 이동할 때, 새로운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새로운 안내 도형이 스크린 상에 새로운 오버레이로서 표시된다.
이들 안내 도형 각각은 통상, 포인터가 가리키는 특정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옵션의 선택을 제공한다. 각 옵션은 그 옵션의 텍스트로 된 설명과, 아이콘으로 식별된다. 이들 옵션을 식별하는데 이용된 아이콘은 컨트롤러 상에 있는 특정 컨트롤 버튼에 대응한다. 그에 따라, 포인터가 특정 하이퍼링크를 여전히 어드레스하고 있는 중에, 안내 도형 상의 아이콘이 표시하는 컨트롤러의 특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 특정 버튼과 관련된 옵션이 선택된다.
스크린 상에 바로 오버레이되며 특정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다수개의 옵션을 가진 안내 도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서 웹 사이트와 네트워크를 네비게이션할 때에 통상 겪어야만 하는 다수의 단계들을 줄일 수 있다. 요즈음, 특정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다른 URL 로케이션으로 자동 지향된다. 제2 URL 로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특정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그런데, 옵션을 관심있는 하이퍼링크의 처음 웹 사이트 로케이션 상에 오버레이로서 바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하이퍼링크에 관련해서 원하는 액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하이퍼링크 로케이션으로 먼저 전환할 필요없이 특정 옵션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로케이션에서의 하이퍼링크가 배너 광고에 해당한다면, 통상적으로 마우스를 사용해서, 사용자는 그 배너 광고를 클릭하여 그 배너의 광고주와 관련된 다른 URL 로케이션으로 가게 된다. 제2 로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정보 다운로드, 이메일 보내기 또는 기타 추가 선택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안내 도형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옵션이 배너와 연관된 초기의 웹 사이트 로케이션 상에 오버레이로서 바로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이것들은 배너 하이퍼링크 근처에서 4변형으로 위치한 4개의 아이콘일 수 있다 - 각 아이콘은 특정 옵션과 관련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하이퍼링크 그 자체와 동일한 웹 사이트 상에서, 옵션을 선택하기 위하여 새로운 URL 로케이션으로 먼저 전환할 필요없이 일련의 옵션들이 안내 도형의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들 옵션 중에 임의의 것을 선택하기 위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특정 배너 광고 상에서 단순히 포인터가 지향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는 안내 도형의 아이콘/옵션 중 하나와 연관된 특정 키를 누를 수 있고, 그에 따라 초기 웹 사이트 로케이션 상에서 그 특정 옵션을 바로 선택할 수 있다.
특정 배너 또는 다른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특정 안내 도형은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웹 사이트의 호스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다. 통상, 웹 사이트가 액세스될 때, 그 웹 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에 관계된 정보를 비롯해서, 웹 페이지의 정보 데이터가 사용자의 로케이션으로 전달된다. 웹 페이지 상에 있는 식별된 하이퍼링크 각각과 관련된 특정 안내 도형의 정보는 사용자 로케이션에 다운로드되어 데이터 파일에 기억될 수 있다.
서버로부터의 정보의 다운로드는 1회의 다운로드 또는 다수의 다운로드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배너가 웹 사이트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리프레시된다면, 웹 페이지의 리프레쉬에 대한 배너 정보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때마다, 관련된 안내 도형도 호스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다. 이와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된 안내 도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서 모든 하이퍼링크의 모든 정보는 시간 정보가 웹 페이지의 정보에 대해 다운로드될 때에 호스트 서버로부터 처음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하이퍼링크와 안내 도형간의 특정 관련이 사용자 및 사용자의 입력 컨트롤러와 관련된 데이터 파일로서 기억될 수 있다. 이들은 특정 배너를 식별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스크린 상에서 로케이션 좌표의 특정 식별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므로, 포인터가 특정 로케이션 좌표를 지정할 때, 데이터 파일이 문의되고, 아이콘, 특정 옵션 선택 및 그 하이퍼링크 주변에 있는 로케이션을 비롯해서, 특정 안내 화상이 데이터 파일로부터 모두 도출된 후, 스크린 상에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된다.
특정 배너를 식별하는 다른 수단, 예컨대 배너의 해당 명칭, 배너의 미리 식별된 로케이션 또는 파일링된 데이터로의 기타 입력 수단이 그 특정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안내 화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웹 페이지에 도면 부호 1이 표시된다. 그 웹 페이지는 AAA 기업으로서 표시된 제1 기업의 것이다, 그 페이지에는 웹 사이트와 관련된 특정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특정 배너 광고 영역(2)도 있다. 특정 배너 광고는 제2 웹 사이트에서의 제품 구매에 관련된 것이며, 제2 웹 사이트는 다른 URL 로케이션을 가지며 본 명세서에는 BBB 기업으로서 식별되는 별개 기업과 관련된다.
배너(2)에 의해 식별되는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는 통상의 방법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3)를 이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면, 마우스를 사용해서 포인터를 배너와 하이퍼링크 위에 위치시키고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링크가 선택되게 된다. 링크가 선택될 때, 사용자는 제2 웹 사이트, 즉 BBB 기업의 웹 사이트에 접속된다. 도 4에 도시하는 BBB 기업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BBB 기업 제품인 WWW 소프트를 구입하려고 한다면, 링크(6) 위에 포인터를 위치시켜, 링크된 페이지로의 접속하기를 다시 한번 선택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BBB 기업 제품인 WWW 소프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해 접속하려고 한다면, 링크(7) 위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후, 다음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하여 링크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AA 기업 웹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는 포인터를 배너 상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안내 도형(4a∼4d)이 웹 사이트 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액션에 해당하는, 도 5 에 도시하는 입력 컨트롤러(30) 상의 적절한 버튼을 단 한번만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BBB 기업의 WWW 소프트 제품을 다운로드하거나 구입하려면, 사용자는 안내 도형의 아이콘(4b)에 대응하는, 도 5에 도시하는 컨트롤러(30) 상의 버튼을 누르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액션, 예를 들어 WWW 소프트 제품을 구입하거나 WWW 소프트의 추가 정보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액션에 해당하는 적절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먼저 BBB 기업의 홈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거기에서 링크를 선택할 필요없이 BBB 기업의 웹 페이지의 적절한 페이지로 링크된다.
안내 도형 옵션이 표준 커맨드와 관련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a의 좌측 열에 도시하는 입력 컨트롤러 버튼은 도 3a의 우측 열에 도시하는 특정 표준 커맨드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표준 커맨드는 입력 컨트롤러의 정상 사용 시에 특정 컨트롤 버튼과 관련된 커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 컨트롤러 버튼의 표준 커맨드에 익숙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커맨드를 사용하면 네비게이션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단일 안내 도형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보다 특정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커맨드가 더 많다면, 초기 안내 도형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옵션 중 하나에는 추가 선택 가능한 옵션이 표시될 수도 있다. 추가 옵션은 입력 컨트롤러 버튼의 커맨드와 다를 수 있거나, 다른 입력 컨트롤러 버튼에 대해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커맨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구현될 수 있는 또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용되는 입력 컨트롤러 상에서 양호한 컨트롤러 버튼을 설정하게 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 컨트롤러가 숫자 키패드라면, 사용자는 안내 도형의 옵션 선택을 위해 선호하는 컨트롤러 버튼으로서 숫자 2, 4, 8, 6 키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일 액세스 기능부(22), 렌더링 기능부(23), 위치 검출 기능부(24), 판정 기능부(25), 설정 기능부(26), 및 버튼 검출 기능부(27) 등 적어도 6가지 기능부를 통합해서 달성된다.
통상의 네트워크 사용과 같이, 웹 사이트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사이트의 호스트 서버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바탕으로 렌더링된다. 본 발명을 이용한 웹 사이트의 경우, 웹 페이지(웹 사이트 화상)는 웹 사이트의 호스트 서버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바탕으로 렌더링되며,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18)은 가정용 오락 기기(28)의 RAM(17)에 생성된다.
처음에, 파일 액세스 기능부(22)는 도 6에 도시하는 관련 테이블(18)와 함께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스트 서버 상의 원하는 파일에 액세스한다. 렌더링 기능부(2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웹 페이지(1)를 렌더링한다.
동작 시에, 위치 검출 기능부(2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웹 페이지(1) 상에서 포인터(3)의 위치를 검출한다. 포인터의 위치와 연관된 어드레스가 있다면, 판정 기능부(25)는 포인터(3)가 지향되는 웹 페이지의 배너를 판정한다. 렌더링 기능부(23)는 판정 기능부(25)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안내 도형(4a∼4d, 5a∼5d)을 렌더링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것을 웹 페이지(1) 상에 배치한다.
버튼 검출 기능부(27)는 사용자가 컨트롤러(30)의 어떤 버튼을 누르는지 검출하고 그 결과를 설정 기능부(26)에 보낸다.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18)을 이용하여, 설정 기능부(26)는 버튼 검출 기능부(27)와 위치 검출 기능부(24)로부터 결과를 취득하여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눌려진 버튼과 관련되는 것을 판정한다. 설정 기능부(26)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그것을 파일 액세스 기능부(22)에 보낸다.
파일 액세스 기능부(22)는 설정 기능부(26)가 설정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수신한 후, 설정 어드레스에서 목표 파일을 액세스한다. 설정 기능부(26)는 원하는 액션, 예컨대 사용자가 "BBB 기업 사이트로 가기" 버튼을 누른 후에 목표 BBB 기업의 웹 페이지를 렌더링 또는 또다른 웹 파이지로의 접속 및 "WWW 소프트에 관한 더 많은 정보 보기" 등의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운로드" 또는 예컨대 사용자가 "메시지 보내기" 버튼을 누른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로컬 애플리케이션 시작과 같은 액션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비롯한 목표 파일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로케이션을 액세스하는 사용자를 위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입력 장치(오락 기기 등)는 사용자가 요청한 호스트 서버로부터 파일을 판독한다(S1). 사용자의 입력 장치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파일에 기초해서 웹 사이트를 렌더링한다(S2). 웹 사이트에 관한, 위치, 어드레스, 기능 및 입력 컨트롤러 버튼의 테이블이 사용자 입력 장치의 RAM에 생성된다(S3).
포인터의 위치가 입력 장치에 의해 검출되고(S4), 그 포인터의 위치에 관련된 임의의 어드레스 또는 링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 그 위치와 관련된 그러한 어드레스가 있다면, 어드레스가 그 위치에 대해 설정되고(S6), 안내 도형이 그 웹 사이트 상에 배치된다(S7).
안내 도형의 렌더링 후에, 또는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어드레스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입력 컨트롤러 버튼 상의 임의의 키(방향키 또는 컨트롤러 버튼)가 조작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 임의의 조작된 키의 검출은 거기서 키가 조작될 때까지 계속된다(S9). 방향키가 조작되면, 입력 장치는 포인터의 새로운 위치를 다시 검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기능을 계속한다.
방향키가 조작되지 않는다면, 커맨드가 지정되어 있는 컨트롤러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 이러한 버튼이 조작된다면, 그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어드레스가 액세스된다(S11).
호스트 서버는 웹 페이지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의 RAM에 생성되는 위치, 어드레스, 기능 및 입력 컨트롤러 버튼의 테이블을 작성하여 기억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특성은 호스트 서버에 테이블을 전달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의 RAM에 테이블을 생성하는 콘텐츠 서버에도 있을 수 있다.
호스트 서버에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검색하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안내 정보, 호스트의 웹 사이트 상의 위치와 어드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참조 정보, 기능, 웹 사이트에 대한 입력 컨트롤러의 버튼과 같은 콘텐츠가 클라이언트 서버 상에 기억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또한 호스트로 하여금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그 콘텐츠를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서버는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의 RAM에 생성될 수 있는 위치, 어드레스, 기능 및 입력 컨트롤러 버튼의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들 테이블은 이어서 호스트 서버에 전달된다.
당업자에게는 원하는 실시예의 추가, 공제, 삭제 및 다른 변경이 명백하고, 이러한 변경들은 첨부되는 청구범위 내에 있다.

Claims (22)

  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처리 유닛, 디스플레이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된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상기 웹 사이트 표시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 내의 기억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하이퍼링크 중 하나와 관련된 개별적인 안내 화상을 기억하며,
    상기 안내 화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 중 하나의 주위에 배치되는 아이콘들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 중 상기 하나를 제외한 하이퍼링크에 의해 지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로의 접속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옵션은 상기 컨트롤러 상의 키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것이며,
    상기 키는 하나의 옵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 가능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포인터 컨트롤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포인터가 하이퍼링크를 어드레싱할 때 상기 웹 사이트 표시 상에 오버레이 그래픽 표시로서 상기 관련된 안내 화상을 생성하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 중 상기 하나의 주위의 아이콘들의 배치는 상기 컨트롤러 상의 키들의 배치와 관련된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더 이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 중 하나를 어드레싱하지 않을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관련된 안내 화상의 표시를 종료함으로써, 상기 안내 화상들이 상기 포인터가 스크린을 따라 하이퍼링크들 위에서 이동함에 따라서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의 적어도 일부는 하이퍼링크들인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선택형 하이퍼링크 중 상기 하나와 관련된 추가 옵션들을 구비한 새로운 안내 화상을 생성하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상들은 상기 하이퍼링크 주위에 4 변형으로 표시되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들은 배너 광고들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은 다른 웹 사이트로의 하이퍼링크들,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하이퍼링크들 및, 이메일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데이터 처리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온 스크린 안내 도형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안내 도형을 하이퍼링크와 함께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의 포인터가 서버 페이지 상의 선택형 하이퍼링크 위에 위치될 때 온 스크린 안내 도형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안내 도형은 상기 하이퍼링크 주위에 배치되는 아이콘들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은 상기 하이퍼링크를 제외한 하이퍼링크에 의해 지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로의 접속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옵션은 상기 컨트롤러 상의 키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것이며, 상기 키는 하나의 옵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인, 상기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생성 단계와;
    상기 서버 페이지 상에 상기 안내 도형을 오버래핑(overlapping)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의 포인터가 상기 서버 페이지 상의 상기 선택형 하이퍼링크 위에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때 상기 안내 도형의 표시를 종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주위의 아이콘들의 배치는 상기 컨트롤러 상의 키들의 배치와 관련된 것이고,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도형들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는 서버 페이지의 호스트 서버 상에 기억되는 것이며,
    상기 서버 페이지 정보와 상기 안내 도형을 동시에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컨트롤 키들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컨트롤 키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내 도형에 포함된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로 식별되는 것이며,
    상기 컨트롤러 상의 대응하는 아이콘을 구비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안내 도형의 특정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안내 도형들 전부의 표준 옵션들에 대해 표준화되는 것인, 온 스크린 안내 도형 제공 방법.
  16. 하이퍼링크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제1 하이퍼링크들과 관련된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옵션들은 제2 하이퍼링크에 의해 지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로의 접속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옵션 제공 단계와;
    상기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데이터 처리 유닛의 컨트롤러의 미리 규정된 버튼들을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의 컨트롤러의 버튼들은 사용자에 의해 규정되는 것인,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은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제1 하이퍼링크를 오버레이하는 안내 도형으로서 나타나는 것인,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은 상기 제1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인,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은 메모리에 기억된 테이블에서 제공되며 상기 제1 하이퍼링크와 관련됨으로써, 상기 제1 하이퍼링크가 어드레싱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이 액세스되어 상기 옵션들이 상기 제1 하이퍼링크 상에 오버레이로서 표시되는 것인,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들은 호스트 서버의 메모리에 기억된 테이블에서 제공되며 상기 제1 하이퍼링크와 관련됨으로써, 상기 제1 하이퍼링크가 어드레싱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이 액세스되어 상기 옵션들이 호스트 서버의 제1 하이퍼링크 상에 오버레이로서 표시되며,
    상기 호스트 서버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검색하는 것인, 하이퍼링크 선택 방법.
  22. 콘텐츠 서버로서,
    기억 매체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매체는 웹 사이트 상의 하이퍼링크 위치들과,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어드레스들, 기능들 및 입력 컨트롤러 버튼들 간의 관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옵션들의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이블을 호스트 서버에 전달하는 것이고,
    상기 호스트 서버는 상기 하이퍼링크 주위에 배치된 아이콘들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포함하는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안내 도형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상기 테이블을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은 상기 하이퍼링크를 제외한 하이퍼링크에 의해 지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로의 접속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포함하는 것이고,
    각 옵션은 상기 호스트 서버에 접속된 컨트롤러 상의 키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것이고, 상기 키는 하나의 옵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인, 콘텐츠 서버.
KR1020047005722A 2001-10-18 2002-10-17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 Expired - Lifetime KR100655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82,555 US7010761B2 (en) 2001-10-18 2001-10-18 Controller selectable hyperlinks
US09/982,555 2001-10-18
PCT/US2002/033066 WO2003034197A2 (en) 2001-10-18 2002-10-17 Controller selectable hyperlin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99A KR20040078099A (ko) 2004-09-08
KR100655253B1 true KR100655253B1 (ko) 2006-12-08

Family

ID=2552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22A Expired - Lifetime KR100655253B1 (ko) 2001-10-18 2002-10-17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10761B2 (ko)
EP (1) EP1438652A2 (ko)
JP (3) JP4098239B2 (ko)
KR (1) KR100655253B1 (ko)
CN (1) CN100483314C (ko)
AU (1) AU2002335057A1 (ko)
WO (1) WO20030341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4126B1 (en) * 2001-11-30 2005-03-29 View Space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display by the cursor motion
JP3755499B2 (ja) * 2002-09-06 2006-03-15 ソニー株式会社 Gui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支援装置、gui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97698B2 (ja) * 2004-11-19 2012-03-14 ティヴォ インク 以前に放送されたコンテンツを安全に転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521832B1 (en) 2006-10-04 2013-08-27 Yahoo! Inc. Mobile monetization
US20080244398A1 (en) * 2007-03-27 2008-10-02 Lucinio Santos-Gomez Direct Preview of Wizards, Dialogs, and Secondary Dialogs
US7689916B1 (en) * 2007-03-27 2010-03-30 Avaya, Inc.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tooltip information over time
US20080270919A1 (en) * 2007-04-27 2008-10-30 Kulp Richard L Context Based Software Layer
US8038619B2 (en) * 2007-04-30 2011-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 driver for ultrasound system
US8359552B2 (en) * 2007-07-11 2013-01-22 Access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10003100A (ja) * 2008-06-20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4849122B2 (ja) * 2008-12-16 2012-01-1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5790255B2 (ja) * 2011-07-29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71624B1 (ko)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102084630B1 (ko) 2012-07-26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질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공유 방법 및 모바일 기기
KR102025752B1 (ko) 2012-07-30 201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기기 및 콘텐트 제공 방법
US8972864B2 (en) * 2013-02-13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site list navigation
CN105426460A (zh) * 2015-11-12 2016-03-23 上海电机学院 科研信息管理方法
CN109582187B (zh) * 2017-09-29 2021-05-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210508B2 (en) * 2020-01-07 2021-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igning unlabeled images to surrounding tex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853A (en) * 1995-04-28 1998-02-24 Ast Research, Inc. Spot graphic display element with open locking and periodic animation
US5796404A (en) 1996-07-01 1998-08-18 Sun Microsystems, Inc. Computer system having alphanumeric keyboard access to object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18345A (en) * 1997-02-18 2000-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sor change indication of links in document interface
US5920304A (en) * 1997-02-18 1999-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ndom bounce cursor mode after cessation of user input
US6154205A (en) * 1998-03-25 2000-11-28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web-based content in a television-based system
JP2951948B1 (ja) * 1998-07-01 1999-09-20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そのゲー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6664990B1 (en) * 1999-12-07 2003-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display pointer with alternate hot spots
US6670970B1 (en) * 1999-12-20 2003-12-30 Apple Computer, Inc. Graduated visual and manipulative translucency for windows
GB2357945A (en) 1999-12-30 2001-07-04 Nokia Corp Navigating a focus around a display device
US6633310B1 (en) * 2000-05-31 2003-10-1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y translucent and opaque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3332A (ja) 2006-10-12
US7010761B2 (en) 2006-03-07
WO2003034197A2 (en) 2003-04-24
AU2002335057A1 (en) 2003-04-28
EP1438652A2 (en) 2004-07-21
US20030076344A1 (en) 2003-04-24
JP4340309B2 (ja) 2009-10-07
JP4098239B2 (ja) 2008-06-11
CN1571950A (zh) 2005-01-26
JP4309937B2 (ja) 2009-08-05
JP2007328821A (ja) 2007-12-20
CN100483314C (zh) 2009-04-29
WO2003034197A3 (en) 2004-05-06
JP2008021328A (ja) 2008-01-31
KR20040078099A (ko)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0309B2 (ja) ハイパーリンクを選択する方法
KR100274135B1 (ko) 원격제어를이용한하이퍼텍스트객체들간의네비게이션을제공하는웹브라우저
US6456307B1 (en) Automatic icon generation
US6320599B1 (en) Zooming scale indicator in computer graphics
US63489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 selection of data
US6356924B2 (en) Configurable disablement of display objects in a browser
US6469712B1 (en) Projected audio for computer displays
US86613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ynamic improvement of internet browser navigability
EP1304631A2 (en) Browser apparatus, address registering method, brows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080222556A1 (en) Layer menus and multiple page displays for web GUI
US201100669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nterface
JP2004513434A (ja) 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1580003B1 (ko) 링크의 비 마우스 기반 활성화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01282784A (ja) 電子記事表示装置及び電子記事データ構造
JP636039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70118798A1 (en) Web service UI information guide
JP2005301967A (ja) マウスの左右両ボタンの同時クリックを利用したプログラム実行システム及び実行方法
JP2564590B2 (ja) 情報処理装置
JPH10111854A (ja) ブラウザにおけるリンク番号表示方法
JP3993733B2 (ja) コマンド制御装置およびコマンド制御方法
JP3249541B2 (ja) カード型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20100613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9070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9153345A (ja) ブラウザ、ブラウザ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S63196926A (ja) 文字等の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41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