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4913B1 -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오카리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13B1
KR100654913B1 KR1020060089644A KR20060089644A KR100654913B1 KR 100654913 B1 KR100654913 B1 KR 100654913B1 KR 1020060089644 A KR1020060089644 A KR 1020060089644A KR 20060089644 A KR20060089644 A KR 20060089644A KR 100654913 B1 KR100654913 B1 KR 10065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nger
fingering
ocarina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06008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분리되고 각각 별개의 취구 및 별개의 소리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울림관이 인접하여 형성된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100) 일측에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와 별도의 소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복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취구에서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오른손 검지로 막는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104, 106), 오른손 중지로 막는 중지 운지구멍(108), 오른손 약지로 막는 약지 운지구멍(110),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막는 새끼 운지구멍(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은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되,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 중 상기 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멍(106) 및 상기 새끼 운지구멍(112)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오른손 검지부터 새끼 손가락까지 사용하여 운지하면서 상기 취구로 바람을 불어 넣어 상기 제 2 울림관(102)을 울려서 소리를 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 울림관, 취구

Description

오카리나{An ocarina}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형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도면이다.
도 6는 제 1 울림관의 운지표이다.
도 7은 제 2 울림관의 운지표이다.
도 8은 배음 발생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제 1 울림관 102 : 제 2 울림관
103 : 제 3 울림관 104, 106 :검지 운지구멍
108 : 중지 운지구멍 110 :약지 운지구멍
112 : 새끼 운지구멍 114, 115 :배음방지 개구
120, 121, 122 : 소리배출구 125, 126 : 조율구멍
127, 128, 129 : 취구 130, 131, 132, 133 : 운지구멍
본 발명은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울림관을 갖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라는 악기는 통상 흙으로 구워 제작되며, 울림관과 통해 있는 취구로 공기를 불어 넣어 내부의 울림관에서 울리는 소리가 소리배출구로 배출되면서 맑은 음색을 갖는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그런데, 종래 사용되는 오카리나는 하나의 울림관을 갖게 형성되어 그 음역이 넓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통상의 오카리나는 '낮은 라'부터 시작하여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파'의 음역을 커버하는 정도였다. 이는 하나의 울림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해진 울림관 사이즈에서 낼 수 있는 고음 영역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울림관을 갖게 형성되어, 넓은 음역을 커버할 수 있는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음을 위한 오른손 운지를 할 때, 매우 편하게 운지할 수 있도록 높은 음역을 내기 위한 울림관에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하여 좁은 울림관을 갖게 형성하면서도 배음을 방지하여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호 분리되고 각각 별개의 취구 및 별개의 소리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울림관이 인접하여 형성된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100) 일측에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와 별도의 소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복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취구에서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오른손 검지로 막는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104, 106), 오른손 중지로 막는 중지 운지구멍(108), 오른손 약지로 막는 약지 운지구멍(110),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막는 새끼 운지구멍(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은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되,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 중 상기 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멍(106) 및 상기 새끼 운지구멍(112)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오른손 검지부터 새끼 손가락까지 사용하여 운지하면서 상기 취구로 바람을 불어 넣어 상기 제 2 울림관(102)을 울려서 소리를 내 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상기 오카리나의 꼬리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 옆에는 상기 제 2 울림관과 분리된 제 3 울림관(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울림관은 제 2 울림관보다 고음을 내기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울림관에 비하여 관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울림관은 상기 제 2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 및 운지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배음방지 개구(114)는 3㎜ 내지 10㎜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 일측에 상기 제 1 울림관과 분리되어 있으며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울림관 및 제 2 울림관은 각각 별개의 취구 및 별개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보다 고음을 내기 적합하도록 상기 제 1 울림관에 비하여 관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오카리나의 꼬리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오카리나의 외부 형태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절단 한 상태의 사시도로 표현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카리나는 복수의 취구를 갖고 상호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울림관을 갖게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세 개의 취구(127, 128, 129), 세 개의 소리배출구(120, 121, 122)와 세 개의 울림관(100, 102, 10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굳이 세 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두 개의 울림관을 갖는 오카리나를 기본으로 하고 세 개째부터의 울림관은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제 2 울림관(102)과 관련된 구조와 기능을 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두 개의 취구, 두 개의 소리배출구와 두 개의 울림관을 갖는 경우도 배제하지 아니함은 물론이며, 기타 네 개의 취구, 네 개의 소리배출구와 네 개의 울림관을 갖는 경우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물론 오카리나라는 악기의 기능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울림관으로 충분히 원하는 음역을 다 커버할 수 있으므로 네 개의 울림관 이상이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울림관이 상호 분리되어 있는 구조는 도 4, 도 5의 내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오카리나를 절단하였을 때의 상측과 하측 절반을 도시한 도면이고 통상 오카리나를 연주할 때의 오카리나의 방향을 따라 도 4는 하측에 해당하고 도 5는 상측에 해당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카리나 내부에는 각각 분리된 울림관들이 형성되어 있다. 울림관들은 격벽(135, 137)에 의하여 상호 분리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울림관(100)의 구조는 통상의 오카리나의 그것과 같다. 따라서 제 1 울림관에 형성된 취구(127)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제 1 울림관을 통해 통상의 오카리나 연주를 하다가, 제 1 울림관에서 낼 수 없을 정도의 높은 음역을 연주할 때 재빨리 입술을 이동시켜 제 1 울림관 옆의 제 2 울림관의 취구(128)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연주하여 제 2 울림관을 울려 소리를 내는 것이다. 제 2 울림관이 제 1 울림관보다 관이 좁게 형성되어서 제 1 울림관에서 낼 수 없는 고음을 낼 수 있게 함은 물론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울림관보다 더 높은 음역을 낼 수 있는 제 3 울림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 2 울림관 옆에 제 2 울림관과 분리된 제 3 울림관(103)을 형성하되, 제 3 울림관은 제 2 울림관보다 고음을 내기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울림관에 비하여 관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제 3 울림관도 별도의 취구(129), 소리배출구(122) 및 운지 구멍(130, 131, 132, 133)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울림관을 갖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울림관에서 서로 다른 음역을 담당하게 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음역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어떤 울림관은 종래 통상 사용되는 오카리나와 비슷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종래의 오카리나의 음역을 담당하게 하고 다른 울림관은 좁게 형성되어 높은 음역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100) 일측에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10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12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제 1 울림관을 사용하여 연주를 하다가 제 1 울림관에서 낼 수 없는 고음 영역의 음을 내야 할 때에는 제 2 울림관의 취구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제 2 울림관을 통해 연주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종래 두 개 이상의 오카리나를 준비하여 그 중 하나를 불다가 고음을 내기 위하여 다른 오카리나로 교체하여 연주하는 불편이 제거되고, 서로 다른 오카리나를 사용하는 데 따른 음색의 불통일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제 2 울림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취구에서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오른손 검지로 막는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104, 106), 오른손 중지로 막는 중지 운지구멍(108), 오른손 약지로 막는 약지 운지구멍(110),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막는 새끼 운지구멍(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어 검지 하나로 두 개의 운지구멍을 동시에 막는데 어려움이 없게 형성되되, 그 중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연주시 손목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울림관에 형성된 운지구멍 중 일부는 다른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즉,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 중 상기 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 멍(106) 및 상기 새끼 운지구멍(112)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운지구멍을 디자인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제 2 울림관을 사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는 제 1 울림관의 운지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종래 이탈리아형 오카리나의 운지표로 널리 알려진 것과 같다. 즉, 제 1 울림관은 왼손 엄지를 포함한 왼손 다섯 손가락, 오른손 검지부터 새끼 손가락의 오른손 네 손가락을 사용하여 운지한다. 물론, 제 1 울림관의 운지구멍은 왼손 엄지로 운지하는 운지구멍(124)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오카리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운지표 상의 운지구멍은 오카리나 상단을 내려다 본 형식으로 도시된 것이며 왼손 엄지용 운지구멍은 별도로 옆에 표시된다. 이러한 운지방식은 당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간단히 하나의 음의 운지를 설명하면, 도 1의 온음계 중 제일 상단에 표시된 '낮은 라'는 왼손 다섯 손가락과 오른손 네 손가락으로 모든 운지구멍을 막음으로 운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제 2 울림관의 운지표가 도시되어 있다. 음이 올라가는(Up-Scale)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오른손 검지부터 새끼 손가락을 사용하여, 검지 운지구멍부터 새끼 운지구멍까지 모두 막으면 운지표 최상단에 표시되어 있듯이 '높은 미'에 해당하며, 이 상태에서 새끼 손가락을 떼서 새끼 운지구멍을 개방하면 반 음 높아져서 '높은 파' 음이 나게 되며, 약지 운지구멍까지 개방하면 한 음 높아져서 '높은 솔' 음이 나게 되며, 추가적으로 중지 운지구멍까지 개방하면 한 음 높아져서 '높은 라' 음이 나게 되며 검지 운지구멍 중 하나 즉 제 1 울림관에 가까운 구멍을 개방하면 한 음 높아져서 '높은 시' 음이 나게 되며, 나머지 검지 운지구멍까지 마저 개방하면 반 음 높아져서 운지표 최하단(C7)의 '도'음이 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지가 가능하도록 검지 운지구멍 중 제 1 울림관에서 거리가 먼 구멍과 새끼 운지구멍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개방과 폐쇄에 따라 반음의 차이가 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운지 방법은 엄지 운지가 없고 오른손 네 손가락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손가락 이동이 자연스러워 쉽게 운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검지만 제외하고는 각각의 손가락이 한 개의 구멍만을 개폐하면 되므로 아무런 어려움이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오카리나의 제 2 울림관의 운지구멍 형태는 음이 내려갈 때(Down-Scale)도 간편하게 운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지표 최하단의 '도'(C7)에서 반음 낮아지는 '높은 시'(C6)가 될 때에는 오른손 검지를 사용하여 검지 운지구멍 중 손목에서 가까운 작은 구멍(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멍)(106)을 막으면 된다. 그런데, '높은 시'(C6)에서 '높은 라'로 한 음 낮아질 때에는 C6에서 C4로 운지하는 것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메커니즘상 부자연스럽고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 경우 C4 대신에 C5와 같이 운지함으로써 '높은 라'음을 낼 수 있게 되며, 이 때는 검지는 고정한 채로 중지를 사용하여 중지 운지구멍을 막으면 되므로(S2), 운지상 아무런 불편이 없게 된다. 나아가 '높은 라' 음에서 '높은 솔'음으로 한 음 낮아지는 경우에는 중지가 고정되어 고정점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검지를 움직여서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을 막는 운지(C2)를 하는 것에 불편이 없으므로 C2의 운지를 할 수도 있고(S3), 검지는 여전히 하나의 구멍만을 막은 상태로 놔두고 약지를 사용하여 약지 운지구멍을 막는 운지(C3)로 진행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운지의 특이성은 운지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검지로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막고 있는 상태에서 검지를 아래쪽으로 내려서 작은 검지 운지구멍(106)만 막으면 '높은 시'음이 표현되며, 여기서 역으로 '높은 라'음을 표현하는 방법은 내렸던 검지를 위로 올리면서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막아도 되지만 손가락 이동이 부자연스러우므로 검지를 그대로 두고 중지로 하나의 구멍을 더 막아도 '높은 라' 음이 표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제 2 울림관의 운지구멍을 형성하되, 취구에서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오른손 검지로 막는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104, 106), 오른손 중지로 막는 중지 운지구멍(108), 오른손 약지로 막는 약지 운지구멍(110),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막는 새끼 운지구멍(112)이 각각 형성하고,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 중 상기 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멍(106) 및 상기 새끼 운지구멍(112)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반음 차이를 이루게 함으로써, 업스케일시나 다운스케일시 즉 음이 올라갈 때나 내려갈 때 아무런 불편 없이 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음이 내려갈 때 무리한 검지의 움직 임(C6에서 C4로 진행하는 운지)을 회피하면서 자연스럽게 운지할 수 있는 진행 경로(S2, S3)가 가능하게 하여 대단히 편한 운지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2 울림관 또는 제 3 울림관과 같이 내부 공간이 아주 작은 사이즈의 오카리나는 배음이 발생하여 소리의 질이 나빠지게 된다. 그 원인은 취구에서 불어넣는 바람이 소리배출구(sound hole)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소리의 정상파는 1300hz 이상으로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오카리나 내부 공간에서 진동을 형성하며 꼬리(118) 쪽에 부딪혀서 반사되는 반사파와 공명을 일으키기가 쉬워지며, 이 경우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배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배음이 형성되어 연주에 사용할 수 있는 음보다 아주 높은 음의 소리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음 발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울림관 또는 제 3 울림관에 배음방지 개구(114, 115)를 형성하되, 오카리나의 꼬리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를 형성하여 꼬리(118)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면, 오카리나 꼬리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되어 공명에 의하여 배음이 형성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측면 즉 운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배음방지 개구가 형성되어 있은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배음방지 개구(114)는 반사파가 충분히 방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적어도 직경 3㎜ 이상으로 형성하여야 반사파가 원활히 배출된다. 물론 배음방지 개구는 꼬리에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될 수 있는 사이즈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너 무 크게 뚫을 필요도 없기 때문에 10㎜ 이내의 직경을 갖게 하면 충분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울림관을 갖게 형성되어, 넓은 음역을 커버할 수 있는오카리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고음을 위한 오른손 운지를 할 때, 매우 편하게 운지할 수 있도록 높은 음역을 내기 위한 울림관에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하여 좁은 울림관을 갖게 형성하면서도 배음을 방지하여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상호 분리되고 각각 별개의 취구 및 별개의 소리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울림관이 인접하여 형성된 오카리나에 있어서,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100) 일측에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와 별도의 소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복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취구에서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오른손 검지로 막는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104, 106), 오른손 중지로 막는 중지 운지구멍(108), 오른손 약지로 막는 약지 운지구멍(110),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막는 새끼 운지구멍(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은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되,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울림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검지 운지구멍 중 상기 제 1 울림관에서 먼 검지 운지구멍(106) 및 상기 새끼 운지구멍(112)은 타 운지구멍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오른손 검지부터 새끼 손가락까지 사용하여 운지하면서 상기 취구로 바람을 불어 넣어 상기 제 2 울림관(102)을 울려서 소리를 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상기 오카리나의 꼬리(118)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울림관 옆에는 상기 제 2 울림관과 분리된 제 3 울림관(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울림관은 제 2 울림관보다 고음을 내기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울림관에 비하여 관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울림관은 상기 제 2 울림관과는 별도의 취구 및 운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 3 울림관에는 상기 오카리나의 꼬리(118)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4. 오카리나에 있어서,
    저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1 울림관(100) 일측에 상기 제 1 울림관과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울림관보다 고음 영역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제 2 울림관(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울림관 및 제 2 울림관은 각각 별개의 취구 및 별개의 운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은 제 1 울림관보다 고음을 내기 적합하도록 상기 제 1 울림관에 비하여 관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울림관에는 오카리나의 꼬리(118)에 인접하여 배음방지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는
    오카리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음방지 개구(114)는 3㎜ 내지 10㎜의 직경을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KR1020060089644A 2006-09-15 2006-09-15 오카리나 KR10065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644A KR100654913B1 (ko) 2006-09-15 2006-09-15 오카리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644A KR100654913B1 (ko) 2006-09-15 2006-09-15 오카리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13B1 true KR100654913B1 (ko) 2006-12-06

Family

ID=3773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644A KR100654913B1 (ko) 2006-09-15 2006-09-15 오카리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81B1 (ko) 2007-02-12 2008-07-31 이종원 오카리나
US7816595B1 (en) 2009-06-29 2010-10-19 Jordan Reder Dietrich Methods of constructing and tuning ocarinas
KR200477814Y1 (ko) * 2014-03-24 2015-07-24 박봉규 호신음발생이 가능한 오카리나
KR101684187B1 (ko) 2015-11-12 2016-12-20 이상진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한 오카리나
KR102050693B1 (ko) 2019-04-24 2019-11-29 이상진 듀얼 소리홀을 갖는 오카리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187U (ko) 1986-12-25 1988-07-07
JPH10222157A (ja) 1997-02-04 1998-08-21 Yoshito Matsumoto 2オクターブオカリナ
JP2001272973A (ja) 2000-03-27 2001-10-05 Takao Hiramoto オカリーナ
KR20050039642A (ko) * 2003-10-22 2005-04-29 (주)색동 오카리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187U (ko) 1986-12-25 1988-07-07
JPH10222157A (ja) 1997-02-04 1998-08-21 Yoshito Matsumoto 2オクターブオカリナ
JP2001272973A (ja) 2000-03-27 2001-10-05 Takao Hiramoto オカリーナ
KR20050039642A (ko) * 2003-10-22 2005-04-29 (주)색동 오카리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81B1 (ko) 2007-02-12 2008-07-31 이종원 오카리나
US7816595B1 (en) 2009-06-29 2010-10-19 Jordan Reder Dietrich Methods of constructing and tuning ocarinas
KR200477814Y1 (ko) * 2014-03-24 2015-07-24 박봉규 호신음발생이 가능한 오카리나
KR101684187B1 (ko) 2015-11-12 2016-12-20 이상진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한 오카리나
KR102050693B1 (ko) 2019-04-24 2019-11-29 이상진 듀얼 소리홀을 갖는 오카리나
WO2020218761A1 (ko) * 2019-04-24 2020-10-29 이상진 듀얼 소리홀을 갖는 오카리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913B1 (ko) 오카리나
US20110219936A1 (en) Pipe structure of wind instrument
US20110197737A1 (en) Pipe structure of wind instrument
JP4886893B1 (ja) 管楽器
US8389840B2 (en) Piccolo
US7799980B1 (en) Ocarina
Bahnson et al. Acoustical and physical dynamics of the diatonic harmonica
US20110214553A1 (en) Pipe structure of wind instrument
US10079007B2 (en) Woodwind mouthpiece with V-notch table and tone chamber insert
KR100849581B1 (ko) 오카리나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KR100451632B1 (ko) 오카리나 악기
KR102313695B1 (ko) 취구와 리드부가 형성된 관악기의 헤드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관악기
US7816595B1 (en) Methods of constructing and tuning ocarinas
KR20070111908A (ko) 더블취구 오카리나
JP5848967B2 (ja) 複数管オカリナ
KR200349305Y1 (ko) 원형(圓形) 오카리나
Bucur et al. Resonant Air Column in Wind Instruments
KR20120121600A (ko) 관악기
KR101674359B1 (ko)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CN107680569A (zh) 一种木管吹奏乐器
KR200275661Y1 (ko) 오카리나
KR200310152Y1 (ko) 이중 음색을 낼 수 있는 리코더
KR200285838Y1 (ko) 오카리나 악기
Braasch et al. Acoustics of the Sax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0420

Decision date: 20070628

Appeal identifier: 200710000099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70628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7100000998

Request date: 2007042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062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1009

Decision date: 20071010

Appeal identifier: 200710000278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1010

Decision date: 20080331

Appeal identifier: 2007100002789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71010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7100002781

Request date: 2007100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10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10

Effective date: 200803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0804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1010

Decision date: 20080331

Appeal identifier: 200710000278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