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933B1 - Turntable lift - Google Patents
Turntable l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3933B1 KR100653933B1 KR1020060025275A KR20060025275A KR100653933B1 KR 100653933 B1 KR100653933 B1 KR 100653933B1 KR 1020060025275 A KR1020060025275 A KR 1020060025275A KR 20060025275 A KR20060025275 A KR 20060025275A KR 100653933 B1 KR100653933 B1 KR 100653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guide bar
- arm
- upper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571 Occupatio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생산라인의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는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리프트에 관련된다.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일단에 제1체결공(12a)과 타단에 제1가이드홈(12b)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12)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바(12)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제1삽입홈(1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제1가이드바(12)에 양단이 결속되어 중심핀(22)을 기준하여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되, 하단의 한 단부가 제1가이드바(12)의 제1체결공(12a)에 제1힌지(24a)로 결합되면서 다른 한 단부가 제1지지베어링(24b)을 통하여 제1가이드홈(12b)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의 양끝단에 제2힌지(26a)와 제2가이드홈(26b)이 형성되는 X암(20); 상기 X암(20)의 제2힌지(26a)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체결공(32a)이 형성되면서 타단에 제2가이드홈(32b)이 형성되어 X암(20)의 제2지지베어링(26b)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제2가이드바(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바(32)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제2삽입홈(34)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0); 상기 하ㆍ상부프레임(10)(30)의 제1, 2삽입홈(14)(34)에 양끝단이 국부적으로 수용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0); 및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상부에 다수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을 구비하는 원형레일(52)을 설치하고, 상기 원형레일(52)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상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가변레일(54)을 설치하고, 상기 가변레일(54)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프레임(30)의 중앙에 설치된 볼프랜저(30a)와 맞물리는 스톱홈(56a)을 구비하는 테이블(56)로 구성하는 작업다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an article discharged on a conveyor of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first fastening hole 12a at one end and the first guide bar 12 having a first guide groove 12b formed at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guide bar 12 A lower frame 10 in which first insertion grooves 14 ar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10;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guide bar 12 of the lower frame 10 so as to cross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pin 22, and one end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12 is fastened to the first guide bar 12.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24a at 12a,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slide on the first guide groove 12b through the first support bearing 24b, and the second hinge 26a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X arm 20 formed with the second guide groove (26b); A second fastening hole 32a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coupled through the second hinge 26a of the X arm 20, and a second guide groove 32b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of the X arm 20. A second guide bar 32 is provided to slide through the bearing (26b) is provide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4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bar (32) Frame 30; Both ends are locally receiv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4 and 34 of the lower and upper frames 10 and 30, and elastic springs 40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frame 30 by elastic force. ); And a circular rail 52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uide bearings 52a and 52b on the upper fram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bearings of the circular rail 52. The variable rail 54 is installed on the 52a and 52b so as to rotate. The variable rail 54 is mounted on the variable rail 54 and fitted with the ball flanger 30a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k die 50 consisting of a table 56 having a stop groove (56a).
이에 따라, 테이블이 다수의 가이드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X암을 통하여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적재하중에 비례하게 승ㆍ하강됨에 따라 작업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포장/인출되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the table is installed to rotate by a plurality of guide bearings, the height of the table is always kept constant through the X-arm, and the work height is always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loa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ading and transport of the article to be packaged / taken out with the same weight is made simp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turn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업다이를 나타내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die of a turn 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urn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업다이를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ork die of a turn tabl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부프레임 12: 제1가이드바 14: 제1삽입홈10: lower frame 12: first guide bar 14: first insertion groove
20: X암 22: 중심핀 30: 상부프레임20: X arm 22: center pin 30: upper frame
32: 제2가이드바 34: 제2삽입홈 40: 탄성스프링32: second guide bar 34: second insertion groove 40: elastic spring
50: 작업다이 52: 원형레일 54: 가변레일50: work die 52: round rail 54: variable rail
56: 테이블 60: 쇼바 62:제1보조판56: Table 60: Shoba 62: First auxiliary plate
64: 제2보조판 66: 제3힌지64: second auxiliary plate 66: third hinge
본 발명은 턴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이 다 수의 가이드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X암을 통하여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적재하중에 비례하게 승ㆍ하강됨에 따라 작업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포장/인출되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턴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 table lift, and more particularly, the table is installed to be rotated by a plurality of guide bearings, and in accordance with the X-arm, which is always horizontally maintained in a state of lifting and lowering in proportion to the load. The height of the turntable is always kept constant and relates to a turntable lift that is easy to load and transport the goods packaged / taken out of the same weight through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통상적으로, 근자에 모든 제조공정은 제조단가 및 작업성/생산성을 고려하여 다분화된 작업공정을 일련의 공정으로 연속 작업할 수 있도록 자동화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바, 이때 자동화 생산라인을 통하여 제작 및 포장이 완료된 물품은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고, 이를 작업자가 리프트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보관창고나 운송차량 등으로 운반한다.In general, in the near term, all manufacturing processes establish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so that the multi-tasking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s a series of processes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st and workability / productivity. The packaged goods are discharged by a conveyor, and the worker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a lift and transported to a storage warehouse or a transport vehicle.
그러나, 자동화 생산라인의 특성상 물품이 하루에 수천수만 개씩 생산되고,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숙여 리프트의 하단부터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해야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됨은 더불어 근력이 약한 고령/여성근로자의 경우 과중한 육체노동이 원인이 되어 허리디스크, 골절 등과 같은 직업병을 호소하는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automated production lines, tens of thousands of items are produced per day, and as workers have to lean their backs and stack and transport them from the bottom of the lift into multiple stages,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degraded. In the case of heavy physical labor caused by the complaints of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herniated discs, fractures.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2004-96785호(명칭: 테이블리프트)에서 테이블의 승강행정거리가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비례함은 물론 그에 따른 중량당 이송거리 및 속도제어는 물론 중간정지기능을 부과함에 따라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포장/인출되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이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테이블리프트를 선출원하여 특허결정 된 바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4-96785 (name: table lift) is proportional to the lifting stroke of the table corresponding to the load, as well as the transfer distance and speed control per weight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stop function As a result, the patent was filed for a table lif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loading and transport of goods packed / drawn with the same weight through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예컨대, 상기에서 전술하는 선출원된 테이블리프트는 테이블이 베어링트레인 을 통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고정레일과 보조레일을 타고 승ㆍ하강하되, 이때 베어링트레인은 장력스프링에 의해 간격이 이격될수록 복원력이 증대되어 적재하중에 비례하게 테이블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작업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처럼 테이블이 승ㆍ하강하기 위해 이를 가이드하는 고정레일과 보조레일이 필히 테이블의 양단에 행정거리만큼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물품의 적재/하역작업이 제안된 공간 즉, 테이블의 전방향에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단지 자동화생산라인의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는 물품을 소량씩 적층/운반하는 제안된 용도로 사용이 국한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table lift, the table lifts up and down a fixed rail and an auxiliary rail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rough a bearing train, and the bearing train has a restoring force as the spacing is separated by a tension spring. The work height is always kept constant because the position of the table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load. As such, the fixed rail and the auxiliary rail for guiding the table to move up and down must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long as the stroke distance, so that the loading / unloading work of the goods is performed onl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able. Therefore, the use is limited to the proposed use of stacking / carrying small quantities of goods discharged on the conveyor of automated production lines.
뿐만 아니라, 물품을 대량으로 적재하여 컨테이너나 창고에 적층함에 있어, 주로 팔레트에 물품을 복열로 적층하고, 이를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바, 이를 위해 자동화생산라인에서 배출되는 물품을 테이블리프트에 우선 소량 적재한 후, 다시 팔레트가 놓여진 소정의 적재장소로 운반하여 일일이 물품을 다시 팔레트에 옮겨 실어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으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이 따른다.In addition, in stacking a large amount of goods in a container or a warehouse, the goods are mainly stacked on a pallet in a double row and transported using a transport means such as a forklift truck. Due to the cumbersome disadvantage of having to load a small amount on the table lift first, and then transport it to a predetermined loading place where the pallet is placed again, the goods are transferred to the pallet one by on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이 다수의 가이드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X암을 통하여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적재하중에 비례하게 승ㆍ하강됨에 따라 작업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포장/인출되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턴 테이블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more specifically, the table is installed to rotate by a plurality of guide bearings, and in addition to the rising load in proportion to the load load in a state always maintained horizontally through the X-ar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rntable lift in which the working height is always kept constant as it is lowered, thereby making it easy to load and transport items that are packaged / drawn with the same weight through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화생산라인의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는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일단에 제1체결공(12a)과 타단에 제1가이드홈(12b)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12)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바(12)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제1삽입홈(1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제1가이드바(12)에 양단이 결속되어 중심핀(22)을 기준하여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되, 하부의 한 단부가 제1가이드바(12)의 제1체결공(12a)에 제1힌지(24a)로 결합되면서 다른 한 단부가 제1지지베어링(24b)을 통하여 제1가이드홈(12b)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의 양끝단에 제2힌지(26a)와 제2지지베어링(26b)이 형성되는 X암(20); 상기 X암(20)의 제2힌지(26a)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체결공(32a)이 형성되면서 타단에 제2가이드홈(32b)이 형성되어 X암(20)의 제2지지베어링(26b)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제2가이드바(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바(32)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제2삽입홈(34)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0); 상기 하ㆍ상부프레임(10)(30)의 제1, 2삽입홈(14)(34)에 양끝단이 국부적으로 수용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0); 및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상부에 다수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을 구비하는 원형레일(52)을 설치하고, 상기 원형레일(52)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상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가변레일(54)을 설치하고, 상기 가변레일(54)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프레임(30)의 중앙에 설치된 볼프랜저(30a)와 맞물리는 스톱홈(56a)을 구비하는 테이블(56)로 구성하는 작업다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discharged on a conveyor of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a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30)의 측방에 서로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1, 2보조판(62)(64)과, 제1, 2보조판(62)(64)에 양단이 제3힌지(66)로 체결되어 작업다이(50)가 X암(20)을 통하여 정속으로 승ㆍ하강되도록 지지하는 쇼바(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rst and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작업다이(50)의 테이블(56)이 상부프레임(30)상에 일체로 직설되어 작업다이(50')가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56 of the work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업다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generally showing a turn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die of a turn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turntab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본 발명은 자동화생산라인의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는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리프트에 관련되며, 이때 리프트는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완제품 또는 반제품상태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팔레트와 같은 받침부재에 다단으로 적재함에 있어, 작업자가 항상 일정한 작업높이에서 물품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작업다이(50)의 높이가 하중에 비례하게 승ㆍ하강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턴 테이블리프트는 하부프레임(10), X암(20), 상부프레임(30), 탄성 스프링(40), 작업다이(50)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discharged on a conveyor of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wherein the lift is a support member such as a pallet for transporting the goods continuously discharged in a finished or semi-finished state through the automated production line. In multi-stage stacking, the heigh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10)은 일단에 제1체결공(12a)과 타단에 제1가이드홈(12b)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12)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바(12)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제1삽입홈(1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턴 테이블리프트의 X암(20), 상부프레임(30), 탄성스프링(40), 작업다이(50)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저면에 다수의 캐스터(C)가 장착되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제1가이드바(12)가 구비된다. 제1가이드바(12)는 일단에 후술하는 X암(20)의 하부에서 한 단부가 제1힌지(24a)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12a)이 형성되고, 타단에 X암(20)의 하부에서 다른 한 단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베어링(24b)이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제1가이드홈(12b)이 형성된다. In the
이때, 상기 제1가이드홈(12b)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1가이드바(12)의 길이방향 즉, 횡방향의 장공형태로 절개되어 X암(20)의 제1지지베어링(24b)이 수용되고, 후술하는 작업다이(50)상에 물품을 적재시 하중에 의해 접철되는 X암(20)의 한 단부가 제1힌지(24a)를 기준하여 회동되면서 다른 한 단부의 제1지지베어링(24b)이 가이드바(12)의 제1가이드홈(12b)을 타고 슬라이드 이송되어 X암(2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지지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바(12)는 양측 사이에 하부로 돌출되게 제1삽입홈(14)이 대칭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제1삽입홈(1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바(12)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스프링(40)의 하단부가 국부적으로 수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탄성스프링(40)이 수용된 상태로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스프링(40)의 단면형상을 고려하여 사각 내지 원형(예컨대, 도 1 내지 2에서 제작상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사각으로 형성된 구성을 도시)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암(20)은 하부프레임(10)의 제1가이드바(12)에 양단이 결속되어 중심핀(22)을 기준하여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되, 하부의 한 단부가 제1가이드바(12)의 제1체결공(12a)에 제1힌지(24a)로 결합되면서 다른 한 단부가 제1지지베어링(24b)을 통하여 제1가이드홈(12b)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의 양끝단에 제2힌지(26a)와 제2가이드홈(26b)이 형성된다. X암(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이 중심핀(22)에 의해 "X"자의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연계되고, 상하단이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30)의 양단에 한 쌍으로 각각 연계되어 설치된다. X암(20)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의 일단이 제1가이드바(12)의 체1체결공(12a)에 제1힌지(24a)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1지지베어링(24b)을 통하여 제1가이드바(12)의 제1가이드홈(12b)상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X암(2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하부의 제1힌지(24a)와 제1지지베어링(24b)에 대향하는 상부의 양끝단에 제2힌지(26a)와 제2지지베어링(26b)이 구비된다. 제2힌지(26a)는 후술하는 상부프레임(30)의 일단에 형성된 제2체결공(32a)상에 체결되고 X암(20)의 한 단부가 상부프레임(30)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베어링(26b)은 상부프레임(30)의 타단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32b)상에 수용되면서 X암(20)의 다른 한 단부가 슬라이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을 승ㆍ하강가능하게 지지하는 바, 이에 따른 상부프레임(3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30)은 상기 X암(20)의 제2힌지(26a)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체결공(32a)이 형성되면서 타단에 제2가이드홈(32b)이 형성되어 X암(20)의 제2지지베어링(26b)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제2가이드바(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바(32)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제2삽입홈(3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프레임(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작업다이(50)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제2가이드바(32)를 통하여 X암(20)의 상부 선단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바(32)는 상기 전술하는 제1가이드바(12)와 동일하게 일단에 제2체결공(32a)이 형성되어 X암(20)의 한 단부에 제2힌지핀(26a)을 통하여 체결되고, 타단에 제2가이드홈(32b)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X암(20)의 다른 한단부에 제2지지베어링(26b)이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에, 상기 상부프레임(30)은 X암(20)을 통하여 설치되어 승ㆍ하강하는 바,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ㆍ상부프레임(10)(30)의 제1, 2체결공(12a)(32a)이 제1, 2힌지(24a)(26a)를 통하여 X암(20)의 일단에 체결되고, 제1, 2가이드홈(12b)(32b)을 통하여 X암(20)의 제1, 2지지베어링(24b)(26b)이 수용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작업다이(50)상에 물품을 적재시 X암(20)의 제1, 2지지베어링(24b)(26b)이 하ㆍ상부프레임(10)(30)의 제1, 2가이드홈(12b)(32b)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되어 X암(20)의 접철 각이 가변되므로 상부프레임(30)이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승ㆍ하강된다.Thus, the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32)의 양측 사이에 제2삽입홈(34)이 구비되는 바, 이는 상기 상부프레임(30)에 설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32) 사이에 상부로 돌출되게 제2삽입홈(34)이 대칭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2삽입홈(3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술한 하부프레임(10)의 제1삽입홈(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프레임(30)의 상부에 제2가이드바(32)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ㆍ하부프레임(30)(10)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0)의 상단부를 국부적으로 수용한 상태로 유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In addition,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스프링(40)은 하ㆍ상부프레임(10)(30)의 제1, 2삽입홈(14)(34)에 양끝단이 국부적으로 수용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탄성스프링(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ㆍ하부프레임(30)(10)의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부프레임(30)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바, 이때 탄성스프링(40)은 상ㆍ하단이 국부적으로 제1, 2삽입홈(14)(34)상에 수용된 상태로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이에,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선단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작업다이(50)상에 물품을 적재 시, 물품의 하중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이 하강되는 바, 이때 탄성스프링(40)이 상부프레임(30)을 지지하여 하중에 비례하게 상부프레임(30)이 하강됨에 따라 작업자가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물품의 적재하거나 하역작업이 수행되는 이점이 따른다. Thus, when loading the article on the work die 5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할 물품의 중량을 고려하여 고중량용으로 사용할 경우, 하중에 따른 이송거리 폭이 감속되도록 꼬임방향이 서로 같거나 상이한 탄성스프링(예컨대, 도 1 및 도 3에서 꼬임방향이 서로 다른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40')을 이중으로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다이(50)는 상부프레임(30)의 상부에 다수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을 구비하는 원형레일(52)을 설치하고, 상기 원형레일(52)의 제1,2가이드베어링(52a)(52b)상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가변레일(54)을 설치하고, 상기 가변레일(54)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프레임(30)의 중앙에 설치된 볼프랜저(30a)와 맞물리는 스톱홈(56a)을 구비하는 테이블(56)로 구성한다. 즉, 작업다이(50)는 상부프레임(30)의 상부에 원형레일(52)과 가변레일(54) 및 테이블(5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다이(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의 상면에 원형레일(52)을 설치하되, 원형레일(52)은 외경에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베어링(52a)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이드베어링(52b)이 일정한 등각으로 설치되어 가변레일(54)을 지지한다. 가변레일(54)은 상기 원형레일(52)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제작되고 원형레일(52)의 외경을 수용하듯 체결되어 내경과 저면이 원형레일(52)상에 설치된 제1, 2가이드베어링(52a)(52b)에 안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work di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1 to 3, the work die 50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가변레일(54)은 상부에 테이블(56)에 의해 마감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바, 여기서 테이블(5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레일(54)의 외경 사이즈와 동일한 원형의 판형태로 제작되고, 저면에 다수의 스톱홈(56a)이 일정한 등각으로 구비된다. 스톱홈(56a)은 도 1의 확대도처럼 라운드형상의 오목한 홈형상으로 함몰되고, 이와 대응하게 상부프레임(30)상에 볼프랜저(30a)가 구비된다. 볼프랜저(30a)는 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위치까지 돌출되는 볼베어링이 가변레일(54)과 함께 테이블(56)이 회전시 소정의 위치에서 스톱홈(56a)과 맞물려 테이블(56)이 위치 고정된다.And, the
즉,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원형레일(52)상에서 제1, 2가이드베어링(52a)(5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레일(54)과 테이블(56)이 스톱홈(56a)과 볼프랜저(30a)에 의해 소정의 등각위치에서 단속적으로 정지되거나 이송된다. 이에 따라 작업다이(50)의 일측에 물품을 다단으로 적재하고, 이어서 가변레일(54)과 함께 테이블(56)을 회동시켜 테이블(56)의 다른 일측이 작업자의 전방으로 위치되면 다시 물품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진 작업다이(50)상에 물품을 복열/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른다.That is, the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30)의 측방에 서로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1, 2보조판(62)(64)과, 제1, 2보조판(62)(64)에 양단이 제3힌지(66)로 체결되어 작업다이(50)가 X암(20)을 통하여 정속으로 승ㆍ하강되도록 지지하는 쇼바(60)가 구비된다. 쇼바(60)는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흡수하여 일정한 하중이 전달되도록 보조하는 통상의 쇽압쇼바로서, 서로 대응하는 상ㆍ하부프레임(30)(10)의 측방에 구비되는 제1, 2보조판(62)(64)상에 양단이 제3힌지(66)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rst and
이에, 상기 쇼바(60)는 작업다이(50)상에 고하중의 물품이 급하게 적재/하역시 탄성스프링이 순간적으로 수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순식간에 복귀시 이에 따른 하중을 일부 흡수하여 작업다이(50)가 상부프레임(30)과 함께 하부프레임(10)상에서 튀어 물품이 낙하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예방되는 효과가 따른다.Accordingly, the
도 1 및 도 3을 통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턴 테이블리프트를 자동화생산라인의 마지막공정 또는 중간공정의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완제품이나 반제품상태로 배출되는 물품을 다단으로 적재한다. 이때 생산라인에서 적재된 물품을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차량이나 창고에 또 다시 적재/운반하기 위해 주로 팔레트를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업다이(50)상에 안착시킨 후, 팔레트상에 물품을 적재한다.
여기서 팔레트의 일측에 우선 물품을 다단으로 적재하고, 이어서 가변레일(54)과 함께 테이블(56)을 회동시켜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팔레트의 다른 일측을 작업자의 전방으로 위치시키고, 다시 물품을 적재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물품을 복열/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peration through FIGS. 1 and 3, first, the turntable lif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nveyor of the last process or the intermediate process of the automated production line, and the goods discharged in the finished or semi-finished state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t this time, in order to load / transport the goods loaded in the production line to the container vehicle or warehouse again by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forklift truck, the pallet is mainly placed on the work die 50 of the turntable lift, and then the goods on the pallet Load it.
Here, the goods are first stacked on one side of the pallet, and then the table 56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프레임(30)이 작업다이(50)와 함께 X암(20)을 통하여 하부프레임(10)상에서 승ㆍ하강되고, 이때 상부프레임(30)의 승ㆍ하강에 따른 이송력은 탄성스프링(40)에 의해 하중에 비례하게 하강됨에 따라 물품을 다단으로 적재시 도 3과 같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이 하강하여 항상 일정한 작업높이가 유지됨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굽혀 물품을 적재/하역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허리통증으로 인한 작업자의 고충이 일부 해소된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 테이블리프트의 작업다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ork die of a turn tabl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상기 작업다이(50)의 테이블(56)이 상부프레임(30)상에 일체로 직설되어 작업다이(50')가 고정식으로 구비된다. 상부프레임(30)의 상면에 작업다이(50)의 테이블(56)이 회동되지 않도록 직설하되, 이때 테이블(56)을 회전시키기 위한 원형레일(52)과 가변레일(54)의 구성은 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4, the table 56 of the work die 50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이처럼, 상기 테이블(56)이 상부프레임(30)의 상면을 마감하듯 고정되고, 상기 전술한 회전식 작업다이(50)와 동일하게 턴 테이블리프트상에 적재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회전식 작업다이(50)와 달리 고정식 작업다이(50')는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다층으로 적재/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As such, the table 56 is fixed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테이블이 다수의 가이드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X암을 통하여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적재하중에 비례하게 승ㆍ하강됨에 따라 작업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자동화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포장/인출되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table is rotated by a plurality of guide bearings, and the working height is always constant as the table is raised and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load while being always horizontally maintained.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the loading and transport of the goods to be kept / packed with the same weight through the automated production line is made simpl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275A KR100653933B1 (en) | 2006-03-20 | 2006-03-20 | Turntable l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275A KR100653933B1 (en) | 2006-03-20 | 2006-03-20 | Turntable lif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3933B1 true KR100653933B1 (en) | 2006-12-05 |
Family
ID=377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5275A Active KR100653933B1 (en) | 2006-03-20 | 2006-03-20 | Turntable l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3933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130B1 (en) | 2007-12-13 | 2009-10-23 | (주)유진텍코퍼레이션 | Removable Pedestal Of Projector |
KR101284227B1 (en) * | 2012-12-13 | 2013-07-09 | 임명옥 | Move bogie lift |
WO2014092331A1 (en) * | 2012-12-10 | 2014-06-19 | Go Byeong Ki | Liftable support carrier |
KR101426072B1 (en) | 2012-11-26 | 2014-08-01 | 고병기 | Transfer cart |
KR101521777B1 (en) * | 2014-03-03 | 2015-05-21 | 세창인터내쇼날(주) | Loading And Unlonding Conveyer System FOR High Speed Freight Train |
KR101636367B1 (en) * | 2015-12-29 | 2016-07-05 | 표옥근 | A facility for viewing natural scene having position adjustable appratus |
KR200482885Y1 (en) * | 2015-11-23 | 2017-03-1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Vertical type motor component lifting support device for disassemble and assemble |
KR101808453B1 (en) * | 2016-10-17 | 2018-01-18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Stand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rotation axis |
KR20180001618U (en) | 2018-04-26 | 2018-05-30 | 금성에이스산업(주) | Up and down apparatus for lift table |
KR102294711B1 (en) * | 2020-03-23 | 2021-08-2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Unmanned transfer and lifting vehicle |
KR102384802B1 (en) * | 2021-08-02 | 2022-04-08 |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 Non-motorized turntable lift |
KR102751837B1 (en) * | 2023-07-14 | 2025-01-09 |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 Automatic height control lift system by weight sensing |
WO2025089483A1 (en) * | 2023-10-26 | 2025-05-01 | 쿠팡 주식회사 |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51195U (en) | 1975-05-27 | 1976-12-02 | ||
JPS58877U (en) | 1981-06-26 | 1983-01-06 | 株式会社福岡製作所 | Workbench |
JPS5839936U (en) | 1981-09-09 | 1983-03-1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table lifter |
JPS6478942A (en) * | 1987-09-22 | 1989-03-24 | Inuzuka Seisakusho Kk | Lift truck |
JPH0211468A (en) * | 1988-06-28 | 1990-01-16 | Daifuku Co Ltd | Hand truck with turn table |
-
2006
- 2006-03-20 KR KR1020060025275A patent/KR1006539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51195U (en) | 1975-05-27 | 1976-12-02 | ||
JPS58877U (en) | 1981-06-26 | 1983-01-06 | 株式会社福岡製作所 | Workbench |
JPS5839936U (en) | 1981-09-09 | 1983-03-1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table lifter |
JPS6478942A (en) * | 1987-09-22 | 1989-03-24 | Inuzuka Seisakusho Kk | Lift truck |
JPH0211468A (en) * | 1988-06-28 | 1990-01-16 | Daifuku Co Ltd | Hand truck with turn table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130B1 (en) | 2007-12-13 | 2009-10-23 | (주)유진텍코퍼레이션 | Removable Pedestal Of Projector |
KR101426072B1 (en) | 2012-11-26 | 2014-08-01 | 고병기 | Transfer cart |
WO2014092331A1 (en) * | 2012-12-10 | 2014-06-19 | Go Byeong Ki | Liftable support carrier |
KR101284227B1 (en) * | 2012-12-13 | 2013-07-09 | 임명옥 | Move bogie lift |
KR101521777B1 (en) * | 2014-03-03 | 2015-05-21 | 세창인터내쇼날(주) | Loading And Unlonding Conveyer System FOR High Speed Freight Train |
KR200482885Y1 (en) * | 2015-11-23 | 2017-03-1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Vertical type motor component lifting support device for disassemble and assemble |
KR101636367B1 (en) * | 2015-12-29 | 2016-07-05 | 표옥근 | A facility for viewing natural scene having position adjustable appratus |
KR101808453B1 (en) * | 2016-10-17 | 2018-01-18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Stand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rotation axis |
KR20180001618U (en) | 2018-04-26 | 2018-05-30 | 금성에이스산업(주) | Up and down apparatus for lift table |
KR102294711B1 (en) * | 2020-03-23 | 2021-08-2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Unmanned transfer and lifting vehicle |
KR102384802B1 (en) * | 2021-08-02 | 2022-04-08 |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 Non-motorized turntable lift |
KR102751837B1 (en) * | 2023-07-14 | 2025-01-09 |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 Automatic height control lift system by weight sensing |
WO2025089483A1 (en) * | 2023-10-26 | 2025-05-01 | 쿠팡 주식회사 |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3933B1 (en) | Turntable lift | |
JP6137226B2 (en) | Lifting conveyor | |
US20140023462A1 (en) | Universal load-lifting means for the palettless handling of goods to be loaded onto paletts | |
KR102441880B1 (en)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
KR102409175B1 (en)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
CN106458531A (en)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
JP6933829B2 (en) |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goods transporting containers | |
JP5003621B2 (en) | Centering device | |
JPH07117815A (en) | Automatic warehouse | |
JP2003237908A (en) | Stacker crane | |
KR102591217B1 (en) | Carrier wagon with lift table | |
CN107986031A (en) | Frameless pallet disc stack machine | |
CN109534217B (en) | Lifting conveyor convenient for manual hydraulic carrier operation | |
KR102791902B1 (en) | Spread type fork device | |
KR102791892B1 (en) | Slide type fork device | |
TWI630154B (en) | Storage device with conveying structure | |
CN216334448U (en) | Double-deep cross beam type goods shelf for storage of pallet goods | |
KR102791927B1 (en) | Individually operable multi-level fork device | |
JP2004123277A (en) | Loading / unloading method in a 3D automated warehouse | |
CN218706803U (en) | Transfer machine | |
KR102298857B1 (en) | 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onveyor of the conveyor lifter | |
JP4229327B2 (en) | Blank feeder | |
JP7318859B2 (en) | Elevating mechanism and three-dimensional automated warehouse equipp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 |
JP4077249B2 (en) | Goods storage shelf device | |
JP4650679B2 (en) | Article convey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3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6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117 Appeal identifier: 2006101008973 Request date: 20061009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6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1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