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3360B1 - 광섬유절단기 - Google Patents

광섬유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60B1
KR100653360B1 KR1020060041118A KR20060041118A KR100653360B1 KR 100653360 B1 KR100653360 B1 KR 100653360B1 KR 1020060041118 A KR1020060041118 A KR 1020060041118A KR 20060041118 A KR20060041118 A KR 20060041118A KR 100653360 B1 KR100653360 B1 KR 10065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ptical fiber
portions
cutting
chu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Priority to KR102006004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2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with jaws operated indirectly by the handles, e.g. through cams or toggle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5/00Hand cutting tools involving disc blades, e.g. motor-driven
    • B26B25/005Manually operated, e.g. pizza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섬유절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절단기는, 소정의 회동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 한 쌍의 손잡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한 쌍의 손잡이부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작동부; 한 쌍의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한 쌍의 손잡이부가 상호 접근될 때, 한 쌍의 작동부 사이에 배치된 소정의 광섬유(Optical Fiber)를 굴곡지게 척킹(chucking)하는 척킹경사홀더; 및 척킹경사홀더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척킹경사홀더에 의해 굴곡된 광섬유의 팽창외면을 소정의 두께로 스크래칭(scratching)하여 절단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작업에 의해 정밀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광섬유 절단 작업시 광섬유 파편에 의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광섬유, 절단기, 클리빙, 경사홀더, 블레이드, 눈금자

Description

광섬유절단기{Optical Fiber Clea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절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로서, 광섬유의 절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섬유절단기 3a : 광섬유
10 : 손잡이부 21 : 회동축
23 : 스프링 30 : 작동부
31 : 척킹경사홀더 33 : 절단블레이드
34 : 블레이드보호대 35 : 클리빙 에어리어
36 : 코팅피복탈피부 37 : 눈금자
본 발명은, 광섬유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작업에 의해 정밀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광섬유 절단 작업시 광섬유 파편에 의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광섬유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Optical Fiber)는 석영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유전체를 가늘고 길게 뽑아서 만든 섬유로서 그 중심 부분에 빛을 통과시키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여러 가닥으로 묶여 광케이블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도 있지만 주로 투명도가 높은 석영유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광섬유는 중앙의 코어와 이를 코팅피복하는 클래딩(cladding)에 의하여 이중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 원기둥을 합성수지로 1~2 차례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광섬유는 빛이 직진하는 성질과 전반사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써, 이러한 성질에 따라 여러 장점이 발생된다. 광섬유는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이 생기지 않고, 도청이 곤란하며, 소형 및 경량으로서 굴곡에도 강하며,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강하기 때문에 통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광섬유는 서로 절단면을 맞대어 연결되거나 광커넥터와 같은 기구에 삽입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사용에 있어서 광섬유의 장점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절단면이 거울이나 렌즈의 표면과 같이 매우 정교하고 매끄러운 경면으로 절단되어야 한다.
현재 광섬유를 절단하는 절단기로 두 가지의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일정한 테이블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광섬유를 절단하는 고정형 절단기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 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타입의 절단기이다.
이 중, 고정형 절단기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10-2003-0026763의 광섬유 자동 절단기가 대표적이다. 이 절단기는 복잡하고 정밀한 구조를 가지므로 광섬유에 대해 비교적 신뢰할 만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지만, 한정된 작업 현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휴대 및 취급이 어려워 작업 수행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광섬유의 절단이 요구되는 모든 작업 현장에서 이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최근에 들어서는 핸드헬드 타입의 절단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핸드헬드타입의 절단기는, 2개의 부재가 상호 교차 결합된 가위 형상을 이루는 기구로서, 작업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바로 광섬유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이다. 이 절단기는 가위 또는 니퍼의 절단 원리인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절단부를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을 통해 광섬유를 절단한다. 이 절단기의 구조적 특징은 일측에 광섬유를 가드하는 통로가 있어서 그 통로로 광섬유가 통과하여 양 날의 상단부에 개재하게 된다. 이 후, 일측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에 의해서 광섬유가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다. 이때, 양 부재의 절단부가 상호 교차하면서 절단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광섬유의 수직 전면이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핸드헬드 타입의 광섬유절단기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시 되는 광섬유의 절단면이 매끈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정밀한 절단면을 요하는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힘들며, 또한 절단 대상의 광섬유가 배치되어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광섬유가드통로가 상당 길이 돌출되어 있어 취급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광섬유 파편이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이탈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작업에 의해 정밀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광섬유 절단 작업시 광섬유 파편에 의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광섬유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회동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작동부;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상호 접근될 때,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사이에 배치된 소정의 광섬유(Optical Fiber)를 굴곡지게 척킹(chucking)하는 척킹경사홀더; 및 상기 척킹경사홀더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상기 척킹경사홀더에 의해 굴곡된 상기 광섬유의 팽창외면을 소정의 두께로 스크래칭(scratching)하여 절단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척킹경사홀더는 한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작동부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다이아몬드와 카바이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원반형상이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블레이드의 주변에는 상기 절단블레이드를 보호하는 블레이드보호대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작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섬유의 코팅피복을 탈피시키는 코팅피복탈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절단 길이를 측정하는 눈금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절단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1의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로서, 광섬유의 절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절단 기(1)는, 회동축(21)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10)와, 한 쌍의 손잡이부(10)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작동부(30)와, 한 쌍의 작동부(30) 사이에 배치된 광섬유(3a)를 굴곡지게 척킹(chucking)하는 척킹경사홀더(31)와, 한 쌍의 작동부(30) 사이에 굴곡지게 놓인 광섬유(3a)의 팽창외면(3a′, 도 4 참조)을 스크래칭(scratching)에 의해 절단하는 절단블레이드(33)를 구비한다.
한 쌍의 손잡이부(10)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광섬유절단기(1)를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제1 손잡이부(10a)와, 제2 손잡이부(10b)를 구비한다. 제1 손잡이부(10a)와 제2 손잡이부(10b)는 상호 힌지(hinge) 결합된 회동축(21)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의 접근 및 이격에 연동하여 후술할 한 쌍의 작동부(30)는 상호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는 광섬유(3a)의 반복되는 절단 과정 중에 작업자의 손에 무리가 가는 것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피복된다. 또한 파지하기에 적당한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작업자가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제1 및 제2 작동부(30a,30b)는,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에 연장되게 마련된다. 결국, 제1 손잡이부(10a)와 제1 작동부(30a), 제2 손잡이부(10b)와 제2 작동부(30b)는 각각 한 몸체를 이루지만, 상호 분리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작동부(30)는 실질적으로 광섬유(3a)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작동부(30)는 손잡이부(10)의 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가 상호 접근할 때 제1 및 제2 작동부(30)가 상호 접근하게 되고, 제1 및 제2손잡이부(10a, 10b)가 이격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작동부(30a, 30b) 또한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호 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손잡이부(10)와 작동부(30)에는 스프링(23)이 결합된다.
스프링(23)은 회동축(21)의 바로 상부에 결합된다.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서 광섬유절단기(1)는 평상시, 제1 및 제2 작동부(30a, 30b)가 상호 이격된 형상을 가지며, 손잡이부(10)를 오므려 광섬유(3a)를 절단할 때, 탄성력은 악력에 반대방향으로 일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급격하게 광섬유(3a)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프링(23)의 결합을 통해 작업자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23)은 손잡이부(10)에 가했던 힘을 없앨 경우, 스프링(23)의 반발력에 의해 제1 및 제2 작동부(30a, 30b)가 상호 이격되는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 작동부(30a)에는, 광섬유(3a)를 절단하는 절단블레이드(33)와, 절단블레이드(33)와 인접하게 결합되어 광섬유(3a)를 경사지게 척킹(chucking)할 수 있는 제1 척킹경사홀더(31a)와, 절단블레이드(33)를 보호하는 블레이드보호대(34)와, 광섬유(3a)의 코팅피복(3b)을 탈피시키는 제1 코팅피복탈피부(36a)가 마련되어 있다.
절단블레이드(33)는 다이아몬드 재질로 만들어진다. 다이아몬드는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단단한 물질이기 때문에 취성을 갖는 유리재질의 광섬유(3a)를 절단하기에 가장 적합한 성질을 갖는다. 절단블레이드(33)는 제1 작동부(30a)의 내측 부분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제1 작동부(30a)와 제2 작동부(30b)가 완전히 접근될 때 광섬유(3a)의 직경만한 매우 작은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이 형성되는 곳에 광섬유(3a)가 놓이게 되며, 광섬유(3a)의 일정 두께를 스크래칭(scratching)할 수 있도록 절단블레이드(33)가 제1 작동부(30a)에 결합된다.
절단블레이드(33)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볼트(33a, 도 3 참조) 결합에 의해 제1 작동부(30a)에 결합된다. 절단블레이드(33)의 일측 날만을 계속 사용할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절단면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절단블레이드(33)의 날 상태에 따라 회전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볼트(33a) 결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절단블레이드(33)의 판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되어 사용된 절단블레이드(33)의 날을 정확히 구별 할 수 있도록 한다.
절단블레이드(33)는 다이아몬드 재질 대신 카바이드 재질로도 제조될 수도 있다. 카바이드로 만들어지는 절단블레이드(33) 역시 광섬유(3a)를 스크래칭(scratching)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 대비 성능 또한 우수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절단블레이드(33)는 유리재질의 광섬유(3a)를 스크래치할 정도로 상당히 날카롭기 때문에 인체와 같은 부분에 직접 접촉이 되는 경우 신체의 손상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절단기(1)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작동부(30a)의 일측면에는, 블레이드보호대(34)가 절단블레이드(33)의 외주면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감싸며 결합되어서 절단블레이드(33)에 의해서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한다.
제1 척킹경사홀더(31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근시 접촉하는 제1 작동부(30a)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1 척킹경사홀더(31a)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다. 후술하겠지만, 제2 작동부(30b)에 제1 척킹경사홀더(31a)와 상호 대응하는 제2 척킹경사홀더(31b)가 마련되어 있어서 광섬유(3a)의 일단을 척킹(chucking)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V자홈날을 갖는 제1 코팅피복탈피부(36a)가 제1 작동부(30a)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코팅피복탈피부(36a)는 제2 작동부(30b)에 마련된 제2 코팅피복탈피부(36b)와 상호 작용하여 광섬유(3a)의 코팅피복(3b)을 탈피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제2 코팅피복탈피부(36b)의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후술할 것이다.
제2 작동부(30b)는, 광섬유(3a)가 놓이는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와, 제2 척킹경사홀더(31b)와, 제2 코팅피복탈피부(36b)와, 눈금자(37)를 구비한다.
먼저,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는 절단될 광섬유(3a)가 배치되는 구간이다.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의 상호 접근에 따라 제1 및 제2 작동부(30)가 최대한 접근될 때,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와 절단블레이드(33)는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둘 사이의 접촉 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광섬유(3a)의 직경 크기만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구멍에 광섬유(3a)가 배치되는 것이며. 구멍의 일정 부분을 파고 들어오는 절단블레이드(33)에 의해서 광섬유(3a)가 스크래칭(scratching)되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절단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척킹경사홀더(31b)는 클리빙 에어리 어(35, Cleaving Area)의 측부에 형성되며, 제1 척킹경사홀더(31a)의 경사각과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면을 갖는다.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의 사이에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를 통과한 광섬유(3a)의 일단이 경사진 채 척킹(chucking)된다.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에 의해 위로 볼록하게 굴곡진 광섬유(3a)는, 절단블레이드(33)와 인접한 부근에서는 인장력에 의해 팽창외면(3a′)이 형성되고,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와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압축력에 의해 수축외면(3a″)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킹경사홀더(31)에 의해서 광섬유(3a)는 굽힘모멘트를 받게 되고, 굽힘모멘트에 의해 인장력 및 압축력이 생기고, 인장력 및 압축력에 의해 팽창외면(3a′) 및 수축외면(3a″)이 형성되는 것이다. 팽창외면(3a′)은 외측으로 힘이 분산되기 때문에 절단블레이드(33)로 팽창외면(3a′)에 수직력을 가할 시 광섬유(3a)의 절단이 보다 쉽게 일어난다. 절단블레이드(33)에 의해서 광섬유(3a) 팽창면의 일정 두께만을 스크래칭(scratching)하는 절단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전면을 접촉하여 절단하였던 절단 방법보다 상당히 향상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스크래칭(scratching)에 의해 절단되는 광섬유(3a)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다소 과장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는 맞대응되는 상호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어서, 광섬유(3a) 절단시 절단된 광섬유(3a) 파편을 그 사이에 척킹(chucking)함으로써 광섬유(3a)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광섬유(3a) 파편이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제2 작동부(30b)의 상부 영역에는 제1 코팅피복탈피부(36a)와 상호 작용하는 V자홈 형상의 제2 코팅피복탈피부(36b)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코팅피복탈피부(36)가 서로 맞물리면서 광섬유(3a)의 코팅피복(3b)을 탈피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코팅피복탈피부(36)가 완전히 맞물리게 되면 V자홈이 서로 겹쳐서 코팅피복(3b)만을 탈피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을 형성한다. 코팅피복탈피부(36)를 통해 피복을 벗겨내는 과정은 일반적인 도선의 탈피 방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탈피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코팅피복탈피부(36)를 갖는 광섬유절단기(1)의 구성을 통해, 광섬유(3a)를 이중으로 감싸고 있는 피복물질에 대한 탈피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광섬유(3a)는 일차적으로 코팅피복(3b)되며, 그 위에 합성수지(3c)로 한 번 더 피복되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합성수지(3c)를 탈피하기 위한 장치, 코팅피복(3b)을 탈피하기 위한 장치, 광섬유(3a)를 절단하는 장치가 각각 분리되어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광섬유절단기(1)에 코팅피복(3b)을 탈피할 수 있는 코팅피복탈피부(36)를 마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길이를 갖는 눈금자(3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부(30b)의 측면의 상부에 눈금자(37)의 일측이 힌지(hinge) 결합된다.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눈금자(37)는 접철 가능하여 필요한 방향으로 눈금자(37)를 회전시켜 광섬유(3a)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섬유절단기(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광섬유(3a)의 최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합성수지피복(3c, 도 3 참조)을 탈피시킨다. 일반적인 도선의 피복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피복(3c)을 탈피시키는 니퍼에 이중피복된 광섬유(3a)를 개재시킨 후 합성수진피복(3c)만을 탈피시킨다.
이어서, 유리재질의 광섬유(3a)를 감싸고 있는 코팅피복(3b)을 탈피시킨다. 본 발명의 광섬유절단기는 제1 및 제2 작동부(30)에는 V자홈의 코팅피복탈피부(3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합성수지(3c)가 탈피된 광섬유(3a)를 개재시킨 후 일반적인 니퍼의 사용법으로 코팅피복(3b)만을 탈피시킨다.
그리고 나서, 합성수지피복(3c) 및 코팅피복(3b)이 탈피된 광섬유(3a)를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에 놓은 후, 제1 및 제2 작동부(30)가 최대한 접근하도록 제1 및 제2 손잡이부(10a, 10b)를 상호 접근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에 개재된 광섬유(3a)는 제1 및 제2 작동부(30)가 상호 접근할수록 굴곡진 모양이 되며, 제1 및 제2 작동부(30)가 최대한 접근할 때 광섬유(3a)는 척킹경사홀더(31) 사이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척킹(chucking)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절단블레이드(33)에 의해서 스크래칭(scratching)되며 절단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블레이드(33)와 광섬유(3a)의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측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광섬유(3a)의 일단을 하방으로 굴곡시킨다. 이를 통해서, 절단블레이드(33)에 의해 스크래칭(scratching)될 광섬유(3a) 부위는 인장력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반대측 부위는 압축력에 의해 단면이 수축된다.
인장력에 의해 팽창된 광섬유(3a)의 팽창외면(3a′)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절단블레이드(33)를 통해 수직력을 가하면 쉽게 절단될 수 있으며, 종래보다 우수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척킹경사홀더(31a, 31b)가 절단에 의해 생기는 파편을 척킹(chucking)하고 있으므로 파편이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 발생했던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기(1)에 의하면, 광섬유(3a)를 척킹경사홀더(31)에 의해 굴곡시킨 후에 스크래칭(scratching)을 통해 절단을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절단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절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섬유(3a) 파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가위 또는 니퍼와 같이 휴대가 간편하여 작업자가 항상 지니고 다니며 필요시 바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3a)를 굴곡시키는 척킹경사홀더(31)가 클리빙 에어리어(35, Cleaving Area) 및 절단블레이드(33)의 측면에 마련되었으나, 타측에 마련되어 광섬유(3a)를 굴곡시키는 구조이면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작업에 의해 정밀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광섬유 절단 작업시 광섬유 파편에 의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회동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작동부;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상호 접근될 때,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사이에 배치된 소정의 광섬유(Optical Fiber)를 굴곡지게 척킹(chucking)하는 척킹경사홀더; 및
    상기 척킹경사홀더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상기 척킹경사홀더에 의해 굴곡된 상기 광섬유의 팽창외면을 소정의 두께로 스크래칭(scratching)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 및 카바이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척킹경사홀더는 한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작동부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원반형상이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원반형상의 절단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상기 작동부 면에는 상기 절단블레이드의 주위를 감쌈으로써 상기 절단블레이드를 보호하는 블레이드보호대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부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작동부가 교차할 때 상호 맞물려 상기 광섬유의 코팅피복을 탈피시키는 V자홈날을 갖는 코팅피복탈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부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절단 길이를 측정하는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절단기.
KR1020060041118A 2006-05-08 2006-05-08 광섬유절단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5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18A KR100653360B1 (ko) 2006-05-08 2006-05-08 광섬유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18A KR100653360B1 (ko) 2006-05-08 2006-05-08 광섬유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60B1 true KR100653360B1 (ko) 2006-12-04

Family

ID=3773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1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3360B1 (ko) 2006-05-08 2006-05-08 광섬유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9628C2 (ru) Способ скалывания оптоволок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A1090308A (en) Hand-held tool for optical fiber waveguide end preparation
CA2382134C (en) Device for removing coating on optical fiber
US20100319199A1 (en) Cutters for Accessing a Fiber within a Fiber Optic Cable to Splice Thereto and Too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20020186947A1 (en) Optical fiber recoat
US7620286B2 (en) Optical fiber access tool
US12105341B2 (en) Handheld tool for removing a wire from within an optical cable
KR20140097791A (ko) 광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0653360B1 (ko) 광섬유절단기
JP3714423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工具ならびに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KR100958773B1 (ko) 광케이블 피복 탈피용 스트리퍼
JP2017530412A (ja) 使い捨て式光ファイバーコーティング除去工具
US9008481B2 (en) Arrangement for processing optical waveguides
KR20110003997A (ko) 사각 광섬유케이블 스트리퍼
KR20240010904A (ko) 광섬유 커팅기
KR101124633B1 (ko) 광케이블 커팅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케이블 커팅방법
KR20130001832A (ko) 슬라이드식 핸드 헬드형 광섬유 써멀 피복탈피기
KR20140133102A (ko) 광섬유 커팅장치
JP2005215513A (ja) 光ファイバの切替接続方法、搬送治具および被覆除去機
CN220671681U (zh) 一种光纤热剥器
JPS6249310A (ja) 光フアイバチユ−ブユニツト
JPH11104367A (ja) 光ファイバの保護膜除去用ストリッパ
JPS61238004A (ja) 光フアイバ被覆除去器
JP3106886U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加工工具
KR200326737Y1 (ko) 광섬유 스트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1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1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