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2527B1 - 보행자 유도 블록 - Google Patents

보행자 유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27B1
KR100652527B1 KR1020060088085A KR20060088085A KR100652527B1 KR 100652527 B1 KR100652527 B1 KR 100652527B1 KR 1020060088085 A KR1020060088085 A KR 1020060088085A KR 20060088085 A KR20060088085 A KR 20060088085A KR 100652527 B1 KR100652527 B1 KR 10065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rotrusion
groove
right sides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전선이 매립된 수직관과 수평관이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수직관과 수평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상부로 전선이 인출되는 침하방지용 전선관과; 사각판체로 저면에는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이 삽입되는 수직요홈과 수평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원형요홈이 형성되며, 원형요홈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은 상단면이 몸체의 상단면보다 낮게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 내측면에는 그 보다 작은 높이의 원형내측돌부가 형성되며, 원형내측돌부 사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보존 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원형내측돌부에서 내측으로 스위치돌부가 돌출되어 스위치돌부 상단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작동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의 전선이 내측으로 유입되고 형광램프의 양단이 각각 접속되어 누름스위치에 의해서 통전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요철부를 갖는 논슬립배수패널이 형성되는 발판몸체와; 원형판체로 선단부는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발판몸체 원형요홈에 삽입끼움되고, 저면 선단면에는 원형외측돌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중심측의 두께로 인해 하단면이 원형외측돌부와 원형내측돌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에 체중이 실리면 누름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을 가지고, 몸체 중심과 좌우측에는 형광램프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시창이 형성되되, 좌우측의 투시창은 화살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을 가리키고 그 외면에는 가리키는 곳의 명칭이 간략하게 문자로 표시된 원형안 내캡을 구비하는 보행자 유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도에 포설되는 발판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사용상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침하방지용 전선관, 발판몸체, 형광램프, 누름스위치, 원형투시캡

Description

보행자 유도 블록{Block for Guidance of Walker}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행자 유도 블록 10 : 침하방지용 전선관
11 : 전선 12 : 수직관
13 : 수평관 14 : 바닥면
20 : 발판몸체 21 : 논슬립배수패널
21a : 요철부 22 : 접속단자
22a : 형광램프 23 : 누름스위치
24 : 스위치돌부 25 : 간격보존 유압실린더
26 : 원형외측돌부 26a : 원형내측돌부
27 : 원형요홈 28 : 수직요홈
28a : 수평요홈 30 : 원형안내캡
31 : 투시창 32 : 문자
33 : 삽입요부 40 : 보도블록
본 발명은 보행자 유도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에 포설되는 발판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사용상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보행자 유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내표시구는 차량운전자나 보행자에게 각종 위험표시 및 공사중표시등의 안내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런 안내표시구는 하부의 밑판이 형성된 원추형 몸체를 이루고 있고, 상기 몸체상에는 야간식별을 위한 다양한 형상의 반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내표시구는 단순히 원추형 몸체만으로 형성되어있어 그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설치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또한, 이렇게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내표시구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초행자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도에 포설되는 발판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사용상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보행자 유도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전선이 매립된 수직관과 수평관이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수직관과 수평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상부로 전선이 인출되는 침하방지용 전선관과;
사각판체로 저면에는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이 삽입되는 수직요홈과 수평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원형요홈이 형성되며, 원형요홈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은 상단면이 몸체의 상단면보다 낮게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 내측면에는 그 보다 작은 높이의 원형내측돌부가 형성되며, 원형내측돌부 사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보존 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원형내측돌부에서 내측으로 스위치돌부가 돌출되어 스위치돌부 상단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작동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의 전선이 내측으로 유입되고 형광램프의 양단이 각각 접속되어 누름스위치에 의해서 통전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요철부를 갖는 논슬립배수패널이 형성되는 발판몸체와;
원형판체로 선단부는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발판몸체 원형요홈에 삽입끼움되고, 저면 선단면에는 원형외측돌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중심측의 두께로 인해 하단면이 원형외측돌부와 원형내측돌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에 체 중이 실리면 누름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을 가지고, 몸체 중심과 좌우측에는 형광램프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시창이 형성되되, 좌우측의 투시창은 화살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을 가리키고 그 외면에는 가리키는 곳의 명칭이 간략하게 문자로 표시된 원형안내캡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보행자 유도 블록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보행자 유도 블록(1)은, 바닥면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겹치는 침하방지용 전선관(10)과, 침하방지용 전선관(10)에 삽입고정되어 원형안내캡(30)에 의해 빛을 발산시켜 안내하는 발판몸체(20)와, 신체중량으로 발판몸체(20)의 형광램프(22a)를 작동시켜 야간에도 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는 원형안 내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10)은 내측에 전선(11)이 매립된 수직관(12)과 수평관(13)이 바닥면(14)에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수직관(12)과 수평관(13)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상부로 전선(11)이 인출된다.
상기 발판몸체(20)는 사각판체로, 저면에는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10)의 수직관(12)과 수평관(13)이 각각 삽입되는 수직요홈(28)과 수평요홈(28a)이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원형요홈(27)이 형성되며, 원형요홈(27)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은 상단면이 몸체의 상단면보다 낮게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26)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26) 내측면에는 그 보다 작은 높이의 원형내측돌부(26a)가 형성되며, 원형내측돌부(26a) 사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보존 유압실린더(25)가 형성되고, 원형내측돌부(26a)에서 내측으로 스위치돌부(24)가 돌출되어 스위치돌부(24) 상단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작동되는 누름스위치(23)가 형성되며,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10)의 전선(11)이 내측으로 유입되고 형광램프(22a)의 양단이 각각 접속되어 누름스위치(23)에 의해서 통전되는 접속단자(22)가 형성되고,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요철부(21a)를 갖는 논슬립배수패널(21)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안내캡(30)은 탄성을 갖는 원형판체로, 선단부는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발판몸체(20) 원형요홈(27)에 삽입끼움되고, 저면 선단면에는 원형외측돌부(26)가 삽입되는 삽입요부(33)가 형성되며, 중심측의 두께로 인해 하단면이 원형외측돌부(26)와 원형내측돌부(26a)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에 체중이 실리면 누 름스위치(23)를 작동시키는 탄성을 가지고, 몸체 중심과 좌우측에는 형광램프(22a)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시창(31)이 형성되되, 좌우측의 투시창(31)은 화살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을 가리키고 그 외면에는 가리키는 곳의 명칭이 간략하게 문자(32)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닥면(14)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보도블록(40) 사이에 본 발명의 보행자 유도블록(1)을 설치하면, 한눈에 원형안내캡(30)의 투시창(31)과 문자(32)에 의해 모르던 방향을 바로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에는 원형안내캡(30)에 간격보존 유압실린더(25)에 의해서 적정한 무게로 셋팅된 일정 무게 이상의 체중이 원형안내캡(30)을 누르게 되면, 원형안내캡(30)의 중심측은 탄성에 의해 약간 하측으로 눌러지고, 이에 따라 원형안내캡(30)의 저면과 밀착된 누름스위치(23)는 작동되어 전선(11)에 의해 접속된 접속단자(22)에 전류를 흘러 형광램프(22a)를 발광시키게 되고, 이 빛은 투시창(31)을 통해 원형안내캡(30) 외부로 발산되어 방향과 장소를 투시창(31)의 형상과 문자(32)로 친절하게 안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형안내캡(30)을 누르던 체중이 사라지면 원형안내캡(30)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누름스위치(23) 오프되어 형광램프(22a)로 통전되는 전선(11)의 전류가 차단됨에 따라 형광램프(22a)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도에 포설되는 발판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그 기능을 효과 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사용상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내측에 전선이 매립된 수직관과 수평관이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배열되고, 수직관과 수평관이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상부로 전선이 인출되는 침하방지용 전선관과;
    사각판체로 저면에는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이 삽입되는 수직요홈과 수평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원형요홈이 형성되며, 원형요홈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은 상단면이 몸체의 상단면보다 낮게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 내측면에는 그 보다 작은 높이의 원형내측돌부가 형성되며, 원형내측돌부 사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격보존 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원형내측돌부에서 내측으로 스위치돌부가 돌출되어 스위치돌부 상단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작동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침하방지용 전선관의 전선이 내측으로 유입되고 형광램프의 양단이 각각 접속되어 누름스위치에 의해서 통전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요철부를 갖는 논슬립배수패널이 형성되는 발판몸체와;
    원형판체로 선단부는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발판몸체 원형요홈에 삽입끼움되고, 저면 선단면에는 원형외측돌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중심측의 두께로 인해 하단면이 원형외측돌부와 원형내측돌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면에 체중이 실리면 누름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을 가지고, 몸체 중심과 좌우측에는 형광램프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시창이 형성되되, 좌우측의 투시창은 화살형상으로 형 성되어 방향을 가리키고 그 외면에는 가리키는 곳의 명칭이 간략하게 문자로 표시된 원형안내캡을 구비하는 보행자 유도 블록.
KR1020060088085A 2006-09-12 2006-09-12 보행자 유도 블록 Expired - Fee Related KR10065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085A KR100652527B1 (ko) 2006-09-12 2006-09-12 보행자 유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085A KR100652527B1 (ko) 2006-09-12 2006-09-12 보행자 유도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527B1 true KR100652527B1 (ko) 2006-12-01

Family

ID=3773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0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2527B1 (ko) 2006-09-12 2006-09-12 보행자 유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56B1 (ko) * 2009-07-15 2012-03-13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c 패널의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1167775B1 (ko) 2010-03-31 2012-07-24 이준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보도블럭
KR101179690B1 (ko) 2011-01-13 2012-09-04 최선희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KR101200002B1 (ko) * 2010-03-03 2012-11-12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102145005B1 (ko) * 2019-10-22 2020-08-18 주식회사 테크인 압전 보도블록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109A (ja) * 1990-11-30 1992-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発光式敷石ユニット・敷石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H05280016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発光体埋設舗装用ブロック
JPH08105006A (ja) * 1994-08-10 1996-04-23 Shibata Ind Co Ltd 路面表層材
KR19980020780U (ko) * 1996-10-16 1998-07-15 최진순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KR19990012630U (ko) * 1997-09-11 1999-04-15 전종현 장식용 인도블록
KR19990012629U (ko) * 1997-09-11 1999-04-15 전종현 장식용 인도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109A (ja) * 1990-11-30 1992-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発光式敷石ユニット・敷石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H05280016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発光体埋設舗装用ブロック
JPH08105006A (ja) * 1994-08-10 1996-04-23 Shibata Ind Co Ltd 路面表層材
KR19980020780U (ko) * 1996-10-16 1998-07-15 최진순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KR19990012630U (ko) * 1997-09-11 1999-04-15 전종현 장식용 인도블록
KR19990012629U (ko) * 1997-09-11 1999-04-15 전종현 장식용 인도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56B1 (ko) * 2009-07-15 2012-03-13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c 패널의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1200002B1 (ko) * 2010-03-03 2012-11-12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101167775B1 (ko) 2010-03-31 2012-07-24 이준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보도블럭
KR101179690B1 (ko) 2011-01-13 2012-09-04 최선희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KR102145005B1 (ko) * 2019-10-22 2020-08-18 주식회사 테크인 압전 보도블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527B1 (ko) 보행자 유도 블록
KR100928740B1 (ko)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시스템
KR102291900B1 (ko)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1851062B1 (ko) 주차장용 유도등
KR20240036438A (ko) 바닥신호등
KR100981889B1 (ko) 횡단보도 안내장치
KR101026082B1 (ko) 현수식 조명튜브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101629420B1 (ko) 도로표지병
KR102690613B1 (ko) 스틸그레이팅 논슬립 이지캡
KR101949646B1 (ko) 시선 유도표지 조립체
KR101989319B1 (ko) 시선유도봉
KR101221143B1 (ko) 측면조명에 의한 배너광고시트의 발광장치
KR102022374B1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 유도 표지판
KR200445686Y1 (ko)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
KR100732635B1 (ko) 깃대 고정장치
CN204279112U (zh) 间接固定式套筒屏板的装饰环安装结构
KR200271996Y1 (ko) 도로 교통안전 표시구
KR200468006Y1 (ko) 발광펜스 연결구
CN204279105U (zh) 直接固定式套筒屏板的装饰环安装结构
KR200410149Y1 (ko)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CN204313233U (zh) Led日光灯管装配结构
CN216789945U (zh) 一种抗压发光结构及地面光源
KR200491812Y1 (ko) 엘이디 표시장치를 구비한 유리벽 조립체
KR101462971B1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