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492B1 - Dehydrator for Mop Washer - Google Patents
Dehydrator for Mop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2492B1 KR100652492B1 KR1020060001253A KR20060001253A KR100652492B1 KR 100652492 B1 KR100652492 B1 KR 100652492B1 KR 1020060001253 A KR1020060001253 A KR 1020060001253A KR 20060001253 A KR20060001253 A KR 20060001253A KR 100652492 B1 KR100652492 B1 KR 100652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mop
- panels
- link members
-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59—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movable squeezing memb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watering device for a mop washer.
본 발명은 집수조의 세척 공간에 설치되어 걸레를 탈수하기 위한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30 ~ 60°의 각도를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되며, 대응면 중 하측에는 다수의 타공(111)이 형성된 타공판(110)이 그리고 상측은 패드(210)가 제공된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바(310)의 한쪽 단부인 회전축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31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당김레버(300);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가 X자 형으로 교차되며 그 교차되는 중심이 상기 집수조(10)의 내벽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일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하측단에 각각 힌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타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20,2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410)와, 일단이 각각 상기 회전바(310)의 노출된 다른쪽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압착패널(200)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되는 한 쌍의 연동바(420) 및 상기 링크바(410)와 상기 연동바(420)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100)(200)의 양쪽에 제공되도록 상기 회전바(310)를 연결하는 연동축(430)으로 구성되는 압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water tank in the dewatering device for a mop washing machine for dewatering the mop, in the washing space 11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10) having an angle of 30 ~ 60 ° in parallel to each other up and down pair A first and second crimp panels 100 and 200 having a perforated plate 110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11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and a pad 210 provided at an upper side thereof; A pull lever 300 connected to a center of a rotation shaft which is one end of a rotation bar 310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washing space 11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10 to rotate the rotation bar 310;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411 and 412 intersect each other in an X shape, and the crossing centers thereof are hinged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10,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411 and 412 may be formed. Guide hol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411 and 41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100 and 200, respectively. The first and the link bar 410 slidably coupled to the 120,220, one end is hinged to the exposed other end of the rotary bar 3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rimp panel 200, respectively. A pair of interlocking bars 42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econd link members 411 and 412, respectively, and the link bar 410 and the interlocking bar 420 are the first and second crimp panels 100 and 200, respectively. It includes; a pressing portion 400 consisting of a linking shaft 430 connecting the rotary bar 310 to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t shall be.
따라서,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이 상대운동하게 되며 그 사이에 배치되는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어 물기를 충분히 배출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panels are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crimping unit, and the both sides of the mop disposed therebetween are simultaneously pressed to sufficiently drain the wat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ehydrator for a mop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FIG.
도 3은 도 1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집수조 11: 세척공간10: sump 11: washing space
100: 제1 압착패널 110: 타공판100: first pressing panel 110: perforated plate
111: 타공 120, 220: 가이드홀111:
200: 제2 압착패널 210: 패드200: second pressing panel 210: pad
230: 가압판 231: 돌기부230: pressure plate 231: projection
300: 당김레버 310: 회전바300: pull lever 310: rotation bar
400: 압착부 410: 링크바400: crimping portion 410: link bar
411: 제1 링크부재 412: 제2 링크부재 411: first link member 412: second link member
420: 연동바 430: 연동축 420: linkage bar 430: linkage shaft
본 발명은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를 세척할 수 있는 집수조에 링크를 통해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압착판을 구비하여 세척이 완료된 걸레를 간편하게 가압 탈수하도록 하는 걸레 세척기용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watering device for a mop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a mop washer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ing plates tha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rough a link in a water collecting tank capable of washing the mop, so as to easily pressurize and dewater the mop after washing. It relates to a dewatering device for.
일반적으로 걸레는, 바닥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한번 사용한 후에는 반듯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시킨 후 다시 사용하게 되며 세척한 후에는 물을 제거하고자 손으로 비틀어 짜거나 또는 발로 밟아 일정량의 수분을 제거시킨 후 재사용 또는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the mop i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once used, it is washed straight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n used again. After washing, twist or squeeze by hand or step on foot to remove water. It will be removed and reused or stored.
특히, 마대걸레의 경우에는 세척시 손으로 세척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걸레부분을 물에 넣은 상태에서 흔들어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한 방법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상당한 시간 및 많은 물이 필요로 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case of rag mop, the worker removes the contaminants by shaking the mop part in the water when it is not cleaned by hand when washing.However, when removing the contaminants by the above method, a considerable time and a lot of water are required. Done.
이와 같이 걸레의 세척 및 수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손과 발을 이용함에 따라 청소 작업시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mop is to be washed and the moisture is removed, the worker uses the hands and feet directly, which is cumbersome and difficult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also requires a large amount of water.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0284417호(2002.07.23) "걸레 세척장치"을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As a device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registered and applied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84417 (2002.07.23) "mop cleaning device".
이는, 물의 저장 및 배수를 위한 집수조와, 이 집수조내에서 걸레를 세척하 기 위한 세척판과, 상기 집수조내의 폐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와, 세척된 걸레를 탈수하기 위한 탈수조와, 이 탈수조에 안치되는 걸레를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is includes a sump for storing and draining water, a washing plate for washing the mop in the sump, a drain for draining the wastewater in the sump, a dewatering tank for dewatering the cleaned mop, and a dehydration tank.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watering lever for dewatering the mop.
이와 같이 걸레 세척장치를 통해 걸레의 세척시에는, 걸레를 세척판에 올려놓고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되도록 한 후 걸레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겨 세척을 한다. 이후 세척된 걸레를 탈수조에 올려놓고 집수조의 일측에 제공된 탈수레버를 회동시키게 되면 이 탈수레버와 연결된 탈수판이 걸레를 가압하여 탈수하게 된다.Thus, when cleaning the mop through the mop cleaning device, put the mop on the cleaning plate to be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n push the mop forward and backward to wash. After the mop is put on the dewatering tank and rotates the dewatering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mp tank, the dewatering plate connected to the dewatering lever presses the mop to dehydrate it.
상기와 같은 걸레 세척장치를 통해 걸레의 세척 및 탈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세척시 필요한 물의 양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The mop clea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simplify the cleaning and dehydration of the mop, and can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leaning.
하지만, 상기와 같은 걸레 세척장치는 탈수조에 올려진 걸레의 일측면을 탈수판을 가압시켜 탈수 하는 것으로 탈수시 큰 힘이 요구되고 또한 가압력이 약해 한 번 탈수시 탈수판을 여러번 회동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p clea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dehydrated by pressurizing the dehydration plate on one side of the mop placed in the dehydration tank, and a great force is required when dewatering, and the pressure is weak so that the dehydration plate must be rotated several times when dewatering once. there was.
또한, 탈수판을 통한 가압시 걸레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탈수조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구멍과 구멍사이의 표면 등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남은 물이 다시 걸레로 흡수되어져 안정된 탈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op during the pressurization through the dehydration pl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of the dehydration tank at this time, the remaining water is not discharged by the surface between the hole and the hole is absorbed back into the mop,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table dehydration is difficult.
이렇게, 물기가 충분히 배출되지 않은 상태의 걸레를 통해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바닥에 물기와 이물질을 통해 오히려 바닥면이 더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ttom surface is more dirty through the water and foreign matter on the floor whe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on the floor through the mop in the state that the water is not sufficiently discharg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이 완료된 걸레의 탈수시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물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queeze both sides of the mop at the same time at the time of dehydration of the complete mop to sufficiently drain the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수조의 세척 공간에 설치되어 걸레를 탈수하기 위한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에 있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tank in the dewatering device for a mop washer for dewatering,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소정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대응면 중 하측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이 그리고 상측은 패드가 제공된 한 쌍의 제1 및 제2압착패널과,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제공된 회전바의 한쪽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당김레버와, 제1 및 제2 링크부재가 X자 형으로 교차되며 그 중심이 상기 집수조의 내벽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일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하측단에 각각 힌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타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회전바의 다른쪽 단에 힌지 고정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2압착패널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되는 한 쌍의 연동바 및 상기 링크바와 상기 연동바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의 양쪽에 제공되도록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erforated plate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and a pair of perforated plat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the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provided with pads on the upper side and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A pull le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ovided rotating bar to rotate the rotating bar,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intersecting in an X shape, the center of which is hing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mp, and the first and second One sid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panel,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 guid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panel A link bar slidably coupled to the hole, one end of which is fixedly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crimp panel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bar, respectively. Is characterized by configured by comprising a pair of crimp bar interlock bar and the bar and the interlocking link consisting of the interlocking shaft connecting the rotary bars such tha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panel.
다른 예로서, 집수조의 세척 공간에 설치되어 걸레를 탈수하기 위한 걸레 세 척기용 탈수장치에 있어, 상기 탈수장치는,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소정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대응면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이 제공된 한 쌍의 제1 및 제2압착패널과,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제공된 회전바의 한쪽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당김레버와, 제1 및 제2 링크부재가 X자 형으로 교차되며 그 중심이 상기 집수조의 내벽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일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하측단에 각각 힌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타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회전바의 다른쪽 단에 힌지 고정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2압착패널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되는 한 쌍의 연동바 및 상기 링크바와 상기 연동바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의 양쪽에 제공되도록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압착부를 포함한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dewatering device for the rag washer install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for dewatering the mop, the dewatering device i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A pair of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provided with perforated plates formed therein, a pull le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bar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and rotating the rotating bar; first and second links The member is crossed in an X shape and the center thereof is hinge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mp, one sid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 is hinge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 panel,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 is a link bar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 one end is fixed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A pair of interlocking ba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ing panel at the other end, and the link bar and the interlocking bar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It includes a crimping portion consisting of a linkage shaft connecting the rotation bar.
다른 예로서, 집수조의 세척 공간에 설치되어 걸레를 탈수하기 위한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에 있어, 상기 탈수장치는,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소정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대응면 중 하측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이 그리고 상측은 다수의 돌기부를 갖는 가압판이 제공된 한 쌍의 제1 및 제2압착패널과, 상기 집수조의 세척공간에 제공된 회전바의 한쪽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당김레버와, 제1 및 제2 링크부재가 X자 형으로 교차되며 그 중심이 상기 집수조의 내벽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일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하측단에 각각 힌지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타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회전바의 다른쪽 단에 힌지 고정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2압착패널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되는 한 쌍의 연동바 및 상기 링크바와 상기 연동바가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의 양쪽에 제공되도록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압착부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in a dewatering device for a mop washer install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for dewatering the mop, the dewatering device i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a plurality of the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erforated plate and an upp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one pair of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one end of a rotating bar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sump to rotate the rotating bar. The pull lev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cross each other in an X-shape, the center of which is hing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mp,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is crimped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es. The link bar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panel,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panels. A pair of interlocking ba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and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ar, and the link bar and the link bar. It includes a crimping portion consisting of a linkage shaft connecting the rotary bar so that the bar is provided on both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rimp panel.
여기서, 상기 제1 압착패널의 하단에는 걸레가 낙하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걸레받침턱(160)을 추가로 구비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essing panel further includes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공지된 걸레 세척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dehydrator for a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with respect to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ly known mop clean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물의 저장 및 배수를 위한 세척공간(11)을 가지며 이 세척공간(11)을 통해 걸레를 세척하게 되는 집수조(10)와, 이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당김레버의 회동에 따라 링크를 통해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압착패널을 구비하여 세척이 완료된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탈수시키게 되는 탈수장치로 구성된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llecting
상기 집수조(10)는, 공지된 기술로 걸레를 세척하기 위한 것이며, 물을 저장하기 위한 세척공간(11)과, 이 세척공간(1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세척공간(11)내에서 걸레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판과, 세척이 완료된 폐수를 배수시 키기 위한 배수구 및 이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조절레버로 구성된다.The
상기 탈수장치는, 세척이 완료된 걸레의 양쪽면을 압착하여 물기를 충분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제공되어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탈수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과,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당김레버(300)와, 상기 당김레버(300)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을 걸레가 있는 방향으로 상대운동시키게 되는 압착부(400)로 구성된다. The dewatering device is to compress both sides of the mop after the cleaning is completed to sufficiently discharge the water, is provided in the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은, 걸레를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상기 제1압착패널(100)은 하측에, 그리고 제2압착패널(200)은 상측에 소정각도(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를 유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대응면이 면밀착상태로 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홀(120,220)이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그리고, 그 대응면 중 상기 제1압착패널(100)에는 다수의 타공(111)이 형성된 타공판(110)이 제공되며, 상기 제2압착패널(200)에는 탄성력을 갖는 패드(210)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제1압착패널(100)의 하단에는 걸레가 낙하되지 않도록 걸레받침턱(160)이 구비되며, 상기 걸레받침턱(160)의 표면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타공된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essing
상기 타공판(110)은, 상기 제1압착패널(100)의 상측에 부착되어 걸레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다수의 타공(111)이 형성되며, 이 타공(111)을 통 해 걸레에 흡수된 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 타공(111)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장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The
상기 패드(21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압착패널(200)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걸레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당김레버(300)는, 상기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 내벽에 한쪽 단이 힌지 고정되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바(310)의 회전축(311)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동시 상기 회전바(310)를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The
상기 압착부(400)는,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양측면에 제공되며, 이들은 연결바(430)를 통해 연동되게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을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대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을 상대운동시키는 링크바(410)와, 상기 링크바(410)와 연동되게 링크 연결되는 연동바(420) 및 상기 연동바(420)를 작동시키는 회전바(310) 및 상기 링크바(410)와 상기 연동바(420)가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양쪽에 위치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동축(430)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링크바(410)는, 제1 및 제2링크부재(411,412)로 구성되고, 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는 X자 형으로 교차되며 그 중심(413)이 상기 집수조(10)의 내벽에 힌지 고정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일측단은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하측 양쪽에 각각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 (411,412)의 타측단은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20,2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side ends of the first and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교차된 중심(413)을 기준점으로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타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가이드홀(120,220)을 따라 승강하게 되어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가 접힘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and
상기 연동바(4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한쪽단이 서로 접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310)의 노출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다른쪽 단이 각각 상기 제2압착패널(200)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된다. The interlocking
상기 연동축(430)은,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양쪽에 제공되는 상기 링크바(410)와 연동바(4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회전바(310)와 링크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연동바(420)에 제공되는 링크점에 연결된다.The
이에따라 상기 당김레버(300)의 회동에 따른 회전바(310)의 회동시 한 쌍으로 된 상기 링크바(410)와 연동바(420)가 동시에 연동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100)(200)을 동작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 세척기용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watering device for a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ssembly and use state are as follows.
조립시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압착패널(100)의 표면에 는 타공판(110)이 그리고 제2 압착패널(200)의 표면에는 패드(210)가 결합되도록 한 후 이들을 마주보게 배치시킨다. 그런다음, X자 형으로 교차된 제1 및 제2링크부재(411,412)의 중심(413)을 집수조(10)의 내벽에 힌지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한쪽 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압착패널(100,200)의 하측단에 힌지 고정시키고, 다른쪽 단은 제1 및 제2 압착패널(100,200)의 가이드홀(120,220)에 각기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후, 집수조(10)의 세척공간(11)에 회전바(31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연속해서 상기 회전바(310)의 회전축(311)에 당김레버(300)를 결합시켜 상기 당김레버(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바(310)가 회전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한 쌍의 연동바(420)의 단부를 상기 회전바(310)의 노출된 다른쪽 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하고, 연속해서 연동축(430)과 연결된 상기 연동바(420)의 다른쪽 단부를 상기 제2압착패널(200)과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1,412)의 단부와 각기 링크 연결시키면 되며, 이때 제1 및 제2 압착패널(100)(200)은 대략 45도 각도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져 집수조(10)에 탈수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During assembly,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이후, 세척이 필요한 걸레를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당김레버(300)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회전바(310)가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인 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cleaning cloth is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그러면, 상기 회전바(310) 및 이와연결된 상기 연동축(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바(420)가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압착패널(200)에 힌지 고정된 제1 및 제2링크부재(411,412)인 링크바(410)를 가압하게 된다.Then, the interlocking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링크부재(411,412)의 중심(413)이 집수조(10)의 내 벽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홀(120,220)에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링크부재(411,412) 단부가 상기 가이드홀(120,220)을 따라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의 타공판(110)과 패드(210)가 면밀착되어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탈수시키게 된다.Then, since th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을 통해 탈수된 물은 상기 타공판(110)의 타공(111)을 통해 세척공간(11)내로 배출되어 진다.Here, water dehydrated through the first and
그리고 상기 당김레버(300)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역순으로 링크 동작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200)이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걸레에 흡수된 물을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By repeating such an operation, the water absorbed in the mop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걸레를 탈수하게 되는 압착패널의 다른예를 도시한 것으로 압착패널을 동작시키는 압착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4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rimp panel to dehydrate the mop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 unit for operating the crimp panel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be omitted below. do.
이는, 제1실시예에서,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a,200a)의 대응면 양쪽에 다수의 타공(111)이 형성된 타공판(110)이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타공판(110)을 통해 걸레 압착시 물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is, in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걸레를 탈수하게 되는 압착패널의 다른예를 도시한 것으로 압착패널을 동작시키는 압착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imp panel for dewatering a mop a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rimp portion for operating the crimp panel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be omitted below. do.
이는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100b,200b)의 대응면중 하측 에는 다수의 타공(111)이 형성된 타공판(110)이 그리고 상측은 다수의 돌기부(231)를 갖는 가압판(230)이 제공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가압판(230)은, 상기 제2압착패널(200)의 저면에 제공되고, 그 저면에 프레스 펀칭에 의해 하향 돌출되는 돌기부(231)가 다수개 구비되며, 이 돌기부(231)를 통해 걸레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돌기부(231)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펀칭에 의한 유입홀(231a)이 형성되며, 이 유입홀(231a)을 통해 걸레 가압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가압판(230)의 돌기부(231)를 통해 걸레의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돌기부(231)의 유입홀(231a)을 통해 가압시 배출되는 물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sing force of the mop may be improv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집수조에 당김레버의 회동시 압착부를 통해 상대운동하는 제1 및 제2압착패널로 구성되는 탈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압착패널을 통해 걸레의 양쪽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물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닥청소시 이물질의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dewatering device consisting of a first and a second pressing panel to move relative to the pressing lever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ll lev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both sides of the mop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anel Simultaneously compress the cotton to drain the water sufficiently, thereby improving the adsorption power of foreign matter when cleaning the floor.
또한,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대응면 양쪽에 다수의 타공을 갖는 타공판을 제공함으로써, 걸레의 가압시 배출되는 물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 panel,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water discharged upon pressing the mop more quickly.
또한, 제1 및 제2압착패널의 대응면 중 일측면에는 다수의 타공을 갖는 타공판을 제공하고, 타측면에는 다수의 돌기부를 갖는 가압판을 제공함으로써, 걸레의 탈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 panel, and a pressur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other 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hydration time of the mop hav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1253A KR100652492B1 (en) | 2006-01-05 | 2006-01-05 | Dehydrator for Mop 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1253A KR100652492B1 (en) | 2006-01-05 | 2006-01-05 | Dehydrator for Mop 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2492B1 true KR100652492B1 (en) | 2006-12-01 |
Family
ID=3773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1253A Active KR100652492B1 (en) | 2006-01-05 | 2006-01-05 | Dehydrator for Mop 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249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9732B1 (en) * | 2009-04-09 | 2011-11-04 | 신용안 |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
KR101152695B1 (en) * | 2009-02-19 | 2012-06-18 | (주)에코웨이브 | Device for cleaning the floor colth |
KR101381838B1 (en) * | 2012-07-17 | 2014-04-04 | 신용안 | A mop dehydration device |
CN111449593A (en) * | 2019-09-20 | 2020-07-28 | 胡国云 | Collodion working head water squeezing device |
CN113418838A (en) * | 2021-06-21 | 2021-09-21 | 李冰 | Intelligent building monitoring dust fall equipment |
KR20230123148A (en) | 2022-02-16 | 2023-08-23 | 신용안 |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with water treatment |
CN119974287A (en) * | 2025-04-14 | 2025-05-13 | 浙江邦德管业有限公司 | A plastic pipe recycling granulation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63958U (en) | 1979-05-16 | 1980-11-25 | ||
US5070574A (en) | 1990-04-10 | 1991-12-10 |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Inc. | Mop wringer |
KR19980067290U (en) * | 1997-05-26 | 1998-12-05 | 양재신 | Mop cleaner |
KR200291204Y1 (en) | 2002-06-19 | 2002-10-11 | 송석순 | A drier for a mop |
-
2006
- 2006-01-05 KR KR1020060001253A patent/KR1006524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63958U (en) | 1979-05-16 | 1980-11-25 | ||
US5070574A (en) | 1990-04-10 | 1991-12-10 |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Inc. | Mop wringer |
KR19980067290U (en) * | 1997-05-26 | 1998-12-05 | 양재신 | Mop cleaner |
KR200291204Y1 (en) | 2002-06-19 | 2002-10-11 | 송석순 | A drier for a mop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695B1 (en) * | 2009-02-19 | 2012-06-18 | (주)에코웨이브 | Device for cleaning the floor colth |
KR101079732B1 (en) * | 2009-04-09 | 2011-11-04 | 신용안 |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
KR101381838B1 (en) * | 2012-07-17 | 2014-04-04 | 신용안 | A mop dehydration device |
CN111449593A (en) * | 2019-09-20 | 2020-07-28 | 胡国云 | Collodion working head water squeezing device |
CN113418838A (en) * | 2021-06-21 | 2021-09-21 | 李冰 | Intelligent building monitoring dust fall equipment |
KR20230123148A (en) | 2022-02-16 | 2023-08-23 | 신용안 |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with water treatment |
CN119974287A (en) * | 2025-04-14 | 2025-05-13 | 浙江邦德管业有限公司 | A plastic pipe recycling granulation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2220B1 (en) | a dehydrating apparatus of mop | |
KR100652492B1 (en) | Dehydrator for Mop Washer | |
CN113403777A (en) | Textile dyeing cloth cleaning and drying device | |
KR102521390B1 (en) | Washing dehydrator for mop | |
KR20120050057A (en) | A mop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with a foot plate | |
KR20090003925U (en) | Sink Food Waste Drainer | |
KR200284417Y1 (en) | A mop washing and drying device | |
KR20120124678A (en) | Handy mop for dehydration | |
CN202005720U (en) | Movable multifunctional collodion mop | |
KR101381838B1 (en) | A mop dehydration device | |
KR101152695B1 (en) | Device for cleaning the floor colth | |
CN200977140Y (en) | mop cleaning machine | |
CN208598315U (en) | Flat mop burnisher is squeezed with filtering function | |
KR101079732B1 (en) | Dehydration device for a dustcloth washer | |
KR100604648B1 (en) | Mapo Mop Cleaning and Dewatering Device | |
KR101569994B1 (en) | A washing machine for a mop and a washing apparatus for mop using thereof | |
KR100599843B1 (en) | Wheat Mop Washing Machine and Mobile Wheat Mop Laundry Device | |
CN103356142A (en) | Mop cleaning bucket | |
KR200232770Y1 (en) | Hydroextractor | |
KR200285797Y1 (en) | Apparatus for laundering a mattress of bed | |
KR200150461Y1 (en) | The water dust cloth of the cleaner | |
KR200252410Y1 (en) | Dustcloth washing device | |
KR200431012Y1 (en) | Press Dehydrator for Dewatering Food Waste | |
KR200269928Y1 (en) | Apparatus for laundering a mop | |
CN210354594U (en) | Automatic abluent equipment of clea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