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816B1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Google Patents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816B1 KR100651816B1 KR1020050003753A KR20050003753A KR100651816B1 KR 100651816 B1 KR100651816 B1 KR 100651816B1 KR 1020050003753 A KR1020050003753 A KR 1020050003753A KR 20050003753 A KR20050003753 A KR 20050003753A KR 100651816 B1 KR100651816 B1 KR 100651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housing
- spindle
- elevating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other materials only if the material is essent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여서 수평 이동 기구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와, 바디에 회전 및 하중에 의하여 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중앙부로부터 동일한 원주 상에 복수의 스핀들 수용홀들이 형성된 회전 하우징과, 스핀들 수용홀 각각에 수용된 것으로, 하부에 전자부품을 흡, 장착하는 노즐이 형성된 복수의 노즐 스핀들들과, 노즐 승강 구동부 및 노즐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노즐 스핀들 상면을 누름으로써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는 클러치 축을 구비한 노즐 승강 기구, 및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하강하여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도록 하고,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을 접촉 상승시키는 승하강 제어 부재를 구비한 하우징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을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mounter for a component mounter and a component mounter having the same, which are mounted to be detachable to a horizontal moving mechanism due to a simple structure of the head module. The rotating housing is supported by the body to be lowered by rotation and load, and has a plurality of spindle receiving holes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from the center thereof, and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spindle receiving holes. A nozzle raising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having a nozzle, a clutch shaft lowering the nozzle spindle by pressing the nozzle spindle upper surface while descending by driving of the nozzle rais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and the nozzle raising and lowering drive unit, and interlocking with the nozzle raising mechanism So that the rotary housing is lowered by its own load, Provided is a head module for a component mounter having a housing elevating mechanism having a elevating control member for contacting and raising the rotary housing while interlocking with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assembly for a conventional component mounter,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도 5는 도 3의 노즐 승강 기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of FIG. 3.
도 6은 도 3의 노즐 스핀들이 두 개의 전자부품을 동시에 흡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spindle of FIG. 3 simultaneously adsorbs two electronic components.
도 7은 도 3의 측면도이고,7 is a side view of FIG. 3,
도 8은 도 3의 하우징 회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rotating mechanism of FIG. 3;
도 9는 도 3의 노즐 자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nozzle rotating mechanism of FIG. 3;
도 10은 도 9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9;
도 11은 도 3의 공기 공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ir supply structure of FIG. 3;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이고,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도 13은 도 1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2,
도 14는 도 13을 상측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FIG. 1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13 from abov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15 is a plan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에서 헤드 모듈 및 모듈 장착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f the head module and the module mounting unit from FIG. 15;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17 is a side view of FIG. 16.
* 부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jor parts of partial drawings
100: 부품 실장기 102: 부품 공급부100: parts mounting machine 102: parts supply unit
103: 수평 이동 기구 106: 컨베이어부103: horizontal moving mechanism 106: conveyor portion
130: 모듈 장착부 132: 가이드 부재 삽입 홈130: module mounting portion 132: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140: 토글 클램핑 장치 201, 301: 헤드 모듈140:
210, 310: 바디 230: 회전 하우징210, 310: body 230: rotating housing
232: 스핀들 수용홀 240: 노즐 스핀들232: spindle receiving hole 240: nozzle spindle
242: 노즐 245: 노즐 복귀 스프링242: nozzle 245: nozzle return spring
250, 350: 하우징 회전 기구 252: 회전 구동부250 and 350: housing rotation mechanism 252: rotation drive unit
253: 하우징 구동 전달부 254: 하우징 구동 기어253: housing drive transmission 254: housing drive gear
258: 하우징 종동 기어 260, 360: 노즐 자전 기구258: housing driven
262: 노즐 자전 구동부 264: 노즐 구동 기어262: nozzle rotation drive unit 264: nozzle drive gear
268: 노즐 종동 기어 270, 370: 노즐 승강 기구268: nozzle driven
272: 노즐 승강 구동부 276: 클러치 축272: nozzle lifting drive unit 276: clutch shaft
280, 380: 하우징 승강 기구 281: 승하강 제어 부재280, 380: housing elevating mechanism 281: elevating control member
283: 걸림대 284: 가이드 홀283: hanger 284: guide hole
288: 직동 가이드부 289: 하강 스토퍼288: linear guide portion 289: lowering stopper
290: 공기 공급 구조 291: 공기 공급부290: air supply structure 291: air supply
292: 고정부 295: 회전부292: fixing part 295: rotating part
298: 연결관 312: 가이드 부재298: connector 312: guide member
AR: 공기 밀폐 유동부 B: 인쇄회로기판AR: air sealed flow part B: printed circuit board
O: 회전 하우징 중앙부 SN: 노즐 내부 공간O: center of rotating housing SN: space inside nozzle
RA1: 제1공급 라인 RA2: 제2공급 라인RA1: first supply line RA2: second supply line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집적 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부품 공급부로부터 실장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부품 실장기에 구비된 리볼버형의 헤드 모듈과 이 헤드 모듈을 구비한 부품 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dule for a component mounter and a component mount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nent mounter for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a diode, a capacitor, a resistor, and the like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olver-type head module provided and a component mounter including the head module.
부품 실장기는 부품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 조립장비의 핵심장비로서, 각종 부품을 부품 공급기로부터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장비이다.The component mounter is a core equipment of the component mounting assembly equipment for mounting a component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receives various components from a component supplier and transfers them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mounts them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통상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위치로 안내하는 동시에 기판 지지 스테이지로서 기능하는 X, Y축 이송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각 종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부품 공급부와, 상기 부품 공급부에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시키기 위해 수직이동을 하여 부품을 흡착 또는 착탈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In general, a component mounter includes an X and Y-axis feeder that guides a printed circuit boar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functions as a substrate support stage, a component supply unit that support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o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mponent. In order to mount an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on the supply unit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 head assembly includes a head assembly which vertically moves to adsorb or detach the component.
최근에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차례 또는 동시에 흡착하고, 상기 흡착된 복수의 전자부품들을 동시에 컨베이어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컨베이어부로 이동된 전자부품들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시키도록, 복수 개의 노즐 스핀들들이 일자로 나란히 헤드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있다. Recently,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for adsorb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in turn or simultaneously, moving the adsorbed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imultaneously to the conveyor unit, and moun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moved to the conveyor unit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on a printed circuit board. Are installed in the head assembly side by side.
그런데, 일자로 나란히 설치된 노즐 스핀들들은 그 수만큼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헤드 어셈블리의 전체 사이즈가 증가한다. 따라서 헤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노즐 스핀들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However, the nozzle spindles installed side by side become larger in size,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size of the head assembly. Therefore, the number of nozzle spindles installed in the head assembly is inevitably limited.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개평 2003-273582호에 개시된 부품 실장기에 구비된 헤드부(10)에는, 복수의 리볼브(revolve)형 헤드 어셈블리(11)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헤드 어셈블리(11)에 구비된 각 노즐 스핀들(40)은 후술할 스플라인 샤프트(35; 도 2참조)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원주 상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그 하측에 흡착 노즐(50)이 결합된다. 이 헤드 어셈블리(11)들은 헤드 프레임(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 in the
각각의 헤드 어셈블리(11)에 구비된 노즐 스핀들(40)들은 노즐 선택기구(70)에 의하여 하강이 선택되고, 노즐 승강기구(80)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노즐 스핀들(40)은 노즐 회전기구(60)에 의하여 공전한다. 즉, 노즐 회전기구(60)에 의하여 스플라인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스플라인 샤프트에 결합된 노즐 스핀들들이 공전하게 된다. The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에 구비된 헤드 어셈블리(11)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헤드 어셈블리(11)는, 스플라인 샤프트(35)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복수 개 설치된 노즐 스핀들(40)을 구비한다. The
상기 스플라인 샤프트(35)에 노즐 홀더(45)가 결합되고, 상기 노즐 홀더(45)의 상기 스플라인 샤프트(35)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는 노즐 스핀들(40)들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The
노즐 스핀들(40)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통상 노즐 회전용 모터인 노즐 회전기구(60)의 구동에 따라서 스플라인 샤프트(35)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플라인 샤프트(35)와 결합된 노즐 홀더(45) 및 노즐 스핀들(40)들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The
한편, 노즐 스핀들(40)들이 별도로 선택되어서 하강되도록 하기 위해서, 헤드 어셈블리(11)에는 노즐 선택 기구(70) 및 노즐 승강 기구(80)가 구비된다. 노즐 선택 기구(70)는 압축 공기 공급실(71) 및 노즐 선택용 밸브(72)를 구비하며,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40)에 대응되는 가압 공기 공급실(32) 내로 압축 공기를 주입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 공기 공급실(32)은 헤드 어셈블리(11)에 결합되고 노즐 홀더(45) 상측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 블록(30) 내의 공간으로서 각각 노즐 스핀들(40)과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따라서,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40) 상측에 배치된 가압 공기 공급실 내로 정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가압 공급실 내에 형성된 피스톤(52) 및 상기 피스톤 하측에 결합된 에어 실린더 샤프트(53)가 하강하여서, 에어 실린더 샤프트(53) 하단부(53a)와, 이 하단부(53a)에 접합된 노즐 스핀들의 상단부(40a)와, 스플라인 너트(85)의 단계부 상면(85a)이 동일 높이 위치가 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에어 실린더 샤프트(53)와 노즐 스핀들(40)과 스플라인 너트(85)가 일체가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플라인 너트(85)는 캠 팔로워(84), 편심 캠(82) 및 구동 모터(81)를 구비한 노즐 승강 기구(80)와 결합되어서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플라인 너트(85)와 결합된 노즐 스핀들(40)이 하강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positive pressure air flows into the pressurized air supply chamber disposed above the selected
이와 더불어 전자부품을 흡착시키기 위하여, 진공흡인장치(90)가 구비되는데, 이 진공흡인장치는 외부로부터의 부압의 공기가 부압 공기 공급실(91)로부터의 부압의 공기가 노즐 홀더(45) 외측에 설치된 흡장착용 밸브(92)들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노즐 스핀들(40) 내로 제공되도록 하여서, 노즐 스핀들(40)이 개별적으로 전자부품을 흡착하게 된다. 이러한 리볼버(revolver)형의 헤드부는 차지하는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다수의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adsorb the electronic components, a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각각의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11)는, 노즐 스핀들(40)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노즐 선택 기구(70)와 노즐 승강 기구(80)가 필요하다. 따라서 승강 메카니즘이 복잡하게 된다. However, the
또한, 상기 노즐 선택 기구(70)에 압축 공기 공급실(71) 및 노즐 선택용 밸브(72)가 구비되고, 노즐 승강 기구(80)에 편심 캠(82), 캠 팔로워(84) 및 스플라인 너트(85)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중량이 커지게 되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하기 어렵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더불어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공압(空押)을 이용함으로써, 작업 속도가 느려지고 정도(精度)가 떨어지고,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기 위한 노즐 선택용 밸브(72)와 전자부품을 흡장착하기 위한 흡장착용 밸브(92)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In addition, by using pneumatic pressure to lower the nozzle spindle, the working speed is slowed down and the accuracy is lowered, and the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헤드 어셈블리가 모듈화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 assembly is difficult to be modular.
한편, 부품 실장기에서는 컨베이어부를 X축에 나란하도록 조립하는 공정 시에 발생하는 공차, 또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컨베이어부에 평행하게 놓이지 못하는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공차들로 인하여, 하나의 헤드 어셈블리의 Y축 위치가 이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하게 맞추어 지는 경우, 다른 헤드 어셈블리의 Y축 위치가 이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하지 않게 되어서, 부품 실장기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헤드 어셈블리에 구비된 노즐 스핀들들이 동시에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 tolerance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veyor unit side by side on the X axis, or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may occur in parallel with the conveyor unit. Due to these tolerances, when the Y-axis position of one head assembly is 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printed circuit board, the Y-axis position of the other head assembly is not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 component moun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zzle spindles provided in at least two or more head assemblies provided in the machine are simultaneously lowered to mount an electronic component on a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노즐 스핀들이 리볼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속으로 전자부품을 흡착 및 장착하며, 많은 수의 전자부품을 흡,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 is made of a revolver shape, and can absorb and mount the electronic components at high speed, and can absorb and mount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module and a component mou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는 노즐 승강 기구가 간단하고, 작은 수의 구성 부품이 사용되어서 총 중량이 감소하고 고속정도가 증가하며, 모듈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zzle module for lowering the nozzle spindle, the head module having a simple structure,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are used to reduce the total weight, increase the high-speed accuracy, modular structure and hav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 component mou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헤드 어셈블리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 스핀들들이 동시에 하강하여 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provided in one head assembly are simultaneously lowered to adsorb a component, and a component mounter having the same.
이와 더불어, 복수의 노즐 스핀들들이 동시에 하강하여 전자부품을 동시 장착하면서도 인쇄회로기판의 회전 정도에 맞추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정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are lowere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head module and a component mounter having th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accurately and easily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ile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at the same time will be.
본 발명의 또 더 다른 목적은, 헤드 모듈이 수평 이동 기구에 장착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장착 및 탈착력이 우수한 부품 실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nent mounter having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head module is mounted on a horizontal moving mechanism and excellent in mounting and detaching fo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은, 부품 공급부로부터 전자부품을 흡착하여서 수평 이동 기구로 이동시킨 후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시키는 부품 실장기에 구비된 것으로서, 바디와, 회전 하우징과, 복수의 노즐 스핀들들과, 노즐 승강 기구와, 하우징 승강 기구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nent module head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mounting to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fter absorb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component supply unit to move to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The apparatus includes a body, a rotating housing,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a nozzle raising mechanism, and a housing raising mechanism.
회전 하우징은 상기 바디에 회전 및 하중에 의하여 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중앙부로부터 동일한 원주 상에 복수의 스핀들 수용홀들이 형성된다. The rotary housing is supported by the body so as to be lowered by rotation and load, and a plurality of spindle receiving holes are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from the center thereof.
노즐 스핀들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스핀들 수용홀 각각에 수용된 것으로, 하 부에 상기 전자부품을 흡, 장착하는 노즐이 형성된다.The nozzle spindle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spindle housing holes of the rotary housing, and a nozzle is formed at the bottom to suck and mount the electronic component.
노즐 승강 기구는 노즐 승강 구동부 및 클러치 축을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축은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노즐 스핀들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킨다. The nozzle lift mechanism includes a nozzle lift drive and a clutch shaft. The clutch shaft lowers the nozzle spindle by pressing the nozzle spindle upper surface while descending by driving the nozzle lift drive unit.
하우징 승강 기구는 승하강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데, 이 승하강 제어 부재는 상기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하강하여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도록 하기도 하고, 상기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이와 접촉하며 상승되도록 하기도 한다.The housing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 elevating control member, which elevates with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to lower and lower the rotary housing by its own load,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It may also be raised in contact with it.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모터이고, 상기 클러치 축은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와 기계적 기구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nozzle elevating drive unit is a motor coupled to the body to be positioned above the down-selected nozzle spindle, and the clutch shaft is coupled to the nozzle elevating drive unit by a mechanical mechanism.
상기 하우징 승강 기구는 걸림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대는, 상하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를 삽입한 가이드 홀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과 함께 승강 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는 일정 높이에 정지하여 상기 걸림대의 상측부가 걸쳐져서 상기 걸림대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고,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대가 이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 하우징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housing lift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latch. In this case, the hook is formed over the top and down, the guide hole in which the lifting control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side, and is mounted on the rotary housing to be elev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housing. In addition, the elevating control member may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the hanger from falling because the upper portion of the hanger is caught, and the hanger may be lowered by the load of the rotating housing while the hanger is held thereon.
한편, 헤드 모듈은 상기 각각의 노즐의 내부 공간에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공급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공기 공급 기구는 고정부와, 회전부와, 복수의 연결관들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module further includes an air supply mechanism for introducing air of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nozzles. In this case, the air supply mechanism has a fixing portion, a rot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s.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각각의 노즐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공급 밸브들을 구비하여,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The air supply unit has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the respective nozzles to supply air of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상기 고정부는 중공 형상으로 상기 바디의 노즐 스핀들의 상측에 고정 배치된 것으로,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 밸브들과 연결되며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1공급 라인들을 구비한다.The fixing part has a hollow shape and is fixedly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nozzle spindle of the body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supply line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for supplying air of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and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do.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내접하여 배치된 것으로, 상기 노즐과 동일한 수로 표면에 형성된 공급 홀들과, 상기 각각의 제1공급 라인들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높이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봉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밀폐 유동부들과, 상기 밀폐 유동부와 이와 대응되는 공급 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공급 라인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The rotating part is disposed in an inscribed manner in the fixed part, and a plurality of air-tight flows connected to supply ho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ozzle in the same number as the nozzles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rst supply lines and sealed alo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ly lines connecting between the closed flow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supply hole, and rotate at the same speed as the rotary housing.
연결관은 상기 각각의 공급 홀과 상기 노즐의 내부 공간 사이를 연결한다.A connecting pipe connects between the respective supply holes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nozzle.
이와 더불어 헤드 모듈은 상기 회전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하우징 회전 기구는 회전 구동부와, 구동 회전축과, 하우징 구동 기어와, 하우징 종동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rotating housing. In this case, the housing rotating mechanism may include a rotary driving unit, a driving rotating shaft, a housing driving gear, and a housing driven gear. .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우징 회전 구동부는, 이 하우징 회전 구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회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과 연결된다. 하우징 구동 기어는 상기 구동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서 장착된다. 하우징 종동 기어는 상기 회전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구동 기어와 연결되어서 연동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하우징 회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housing rotation drive unit mounted to the body is connected to a drive rotation shaft extending from the housing rotation drive unit and rotating by driving of the housing rotation drive unit. The housing drive gear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 shaft. A housing driven gear is mounted to the rotary housing and connected to and interlocked with the housing drive gea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rotation driving part to rotate by driving of the housing rotation driving par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부품 실장기는,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에서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장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모듈; 및 상기 헤드 모듈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헤드 모듈은: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중앙부로부터 동일한 원주 상에 복수의 스핀들 수용홀들이 형성된 회전 하우징과; 상기 스핀들 수용홀 각각에 수용된 복수의 노즐 스핀들들과; 상기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는 노즐 승강 기구; 및 상기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하강하여서 상기 회전 하우징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노즐 승강 기구와 연동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을 접촉 상승시키는 승하강 제어 부재를 구비한 하우징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평 이동 기구는, 상기 헤드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head module for absorb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compon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componen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orizontal moving mechanism for horizontally moving the head module. In this case, the head module includes: a body; A rotating hous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pindle receiving holes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nozzle spindle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spindle receiving holes; A nozzle elevating mechanism for lowering the nozzle spindle; And a housing elevating mechanism including an elevating control member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to lower the rotary housing by its own load and contacts the elevating rotary housing while interlocking with the nozzle elevating mechanism. desi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includes a module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head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이 경우, 상기 모듈 장착부에는 토글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여서, 상기 바디는 상기 모듈 장착부에 클램핑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ggle clamping device, the body is preferably clamped mount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201)은 바디(body)(210)와, 회전 하우징(230)과, 복수의 노즐 스핀들(240)들과, 노즐 승강 기구(270)와, 하우징 승강 기구(280)를 구비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 module for a component mou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3 and 4, the
바디(210)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하우징(230)이 장착된다. 이 회전 하우징(230)에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복수의 스핀들 수용홀(232)들이 형성되는데, 이 스핀들 수용홀(232) 각각에는 승강(昇降) 및 자전 가능하도록 노즐 스핀들(240)이 삽입 수용된다. 이 노즐 스핀들(240)들은 회전 하우징(230)의 회전에 따라서 연동하여 공전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자체 자전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 스핀들(240)의 하부에는, 전자부품(C)을 흡, 장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노즐(242)이 결합된다. 이 노즐(242)의 내부 공간에 부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전자부품이 노즐로 흡착하게 되고, 노즐의 내부 공간에 정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전자부품이 노즐(242)로부터 분리된다. The
이로 인하여 노즐(242)은 내부에 부압이 공급되는 동시에 하강하여 전자부품(C)을 픽업하고, 상승하여 수평 이동하며, 그 후에 다시 하강하여 그 내부에 정압이 공급되어서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자부품을 실장시킨다. As a result, the
노즐 승강 기구(270)는 이러한 노즐 스핀들을 승강 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노즐 승강 구동부(272) 및 클러치 축(276)을 구비한다. 노즐 승강 구동부(272)는 후술하다시피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노즐 스핀들(240)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2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클러치 축(276)은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272)와 연결되어서,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272)의 구동에 따라서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240)을 누름으로써 하강시킨다.The
노즐 승강 기구(270)에 구비된 클러치 축(276)은 노즐 승강 구동부(272)와 기계적 기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를 들면,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축(276)이 타이밍 벨트(274) 및 볼 스크류(275)를 통하여 노즐 승강 구동부(27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승강 구동부(272)가 구동하게 되면, 타이밍 벨트(274)에 의하여 클러치 축(276)이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동시에 볼 스크류(275)에 의하여 이 회전 운동이 상하 운동으로 변경됨으로써, 클러치 축(276)이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서 하강된다. 이와 달리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272) 보이스 코일 모터일수도 있고, 클러치 축(276)이 이 보이스 코일 모터와 연결되어서 상하운동을 할 수도 있다. 클러치 축(276)의 하측에는 노즐 스핀들(240)이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클러치 축(276)이 노즐 스핀들(240)을 누름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노즐 스핀들(240)이 하강하게 된다.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러치 축(276)과 노즐 승강 구동부(272)를 타이밍 벨트(274) 및 볼 스크류(275)로 연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달리 기어 결합, 캠 결합 등의 기계적 결합인 경우 본 발명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더 달리 상기 노즐 승강 구동부(272)가 공기를 유입시키는 밸브이고, 상기 클러치 축(276)이 상기 밸브를 통한 유압에 의하여 승강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노즐 승강 구동부(272)가 클러치축(276)과 기계적 기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구성요소가 감소하며, 신속하게 노즐 스핀들(240)을 하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상기와 같이, 노즐 승강 기구(270)가 노즐 스핀들(240) 상면을 눌러서 하강시킴으로써, 노즐 스핀들(240)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하강 위치의 정확도도 종래보다 증가한다. 또한, 노즐 스핀들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밸브부가 불필요하여서 헤드 모듈(201)의 부피 및 중량이 감소한다. As described above, by lowering the
이 회전 노즐 스핀들(240) 외측 또는 내측에는 노즐 복귀 스프링(24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상기 클러치 축(276)이 상기 노즐 복귀 스프링(245)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노즐 스핀들(240)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하강한 노즐 스핀들(240)에 상기 노즐 복귀 스프링(245)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제거된 경우에는 다시 노즐 스핀들(240)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중앙부(O)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노즐 스핀들(240)간의 간격(K)은, 이들 전자부품을 흡착하도록 안착한 이웃하는 부품 공급부(102)들 중심간의 간격(P)의 정수배이고, 이 경우 상기 노즐 승강 기구(270)들은, 상기 회전 하우징 중앙부(O)를 중심으로 대향한 상기 노즐 스핀들(240)들을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interval K between the
이는 하나의 헤드 모듈(201)에 구비되고, 회전 하우징의 중앙부(O)로부터 대향되도록 배치된 노즐 스핀들(240)들이 동시에 하강하여 부품 공급부(102)로부터 전자부품(C)을 흡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즉, 회전 하우징의 중앙부(O)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노즐 스핀들(240)간의 간격(K)이 이와 대응하는 부품 공급부(102)의 중심간의 거리(P)와 동일하거나, 2배, 3배 등의 정수배로 배치시킨다면, 두 개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동시에 복수의 부품(C)들을 흡착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회전 하우징(230)이 회전 가능하므로 두 개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동시에 부품(C)을 흡착한 후에, 회전 하우징(240)이 일정 각도(θ)로 회전하여서 다음 두 개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부품 공급부(102) 상에 위치하게 되어서 두 개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부품(C)을 흡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음으로써, 부품을 흡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K between two
이 경우, 상기 하나의 회전 하우징(230)에 형성되며, 상호 이웃한 노즐 스핀들(240)간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회전 하우징의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헤드 모듈(201)에 노즐 스핀들이 8개가 배치된다면 45도씩 회전하면서 전자부품(C)을 흡착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한편, 상기 전자부품(C)을 장착시키는 장착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장착위치로의 노즐 스핀들 하강 운동 거리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회전 하우징(230)을 일정 구간 하강시킨 다음,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240)을 부품 공급부(102; 도 6참조) 또는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mounting efficiency for moun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C),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spindle lowering movement distance to the component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hort.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하우징 승강 기구(280)를 구비한다. 이 하우징 승강 기구(280)는 승하강 제어 부재(281)를 구비하는데, 이 승하강 제어 부재(281)는 상기 노즐 승강 기구(270)와 연동 하강하여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도록 하기도 하고, 상기 노즐 승강 기구(270)와 연동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이와 접촉하며 상승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 경우, 승하강 제어 부재(281)는 상기 노즐 승강 기구(270)와 연동 하강하기 위해서,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상기 노즐 스핀들(240)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노즐 스핀들(240)에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 승강 기구(280)가 노즐 승강 기구(270)와 연동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으며 노즐 승강 구동부(272)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을 승강 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 회전 하우징(230)의 승강 메커니즘이 간소화되고, 헤드 모듈의 중량이 감소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 하우징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하강 정도의 정확도도 또한 우수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상기 하우징 승강 기구(280)는 승하강 제어 부재(281)와 함께 걸림대(28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대(283)는,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측에 상측으로 길게 장착되는데, 내측에는 상하에 걸쳐서 가이드 홀(284)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 홀(284)에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삽입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는 일정 높이에 정지하여 상기 걸림대의 상측부(285)가 걸쳐져서 상기 걸림대(283)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고,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대의 상측부(285)가 상기 걸림대(283)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 하우징(230)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바디(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동(直動) 가이드부(288)가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상, 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ising and lowering
이를 상술하면, 회전 하우징(230)이 자체 하중 및 직동 가이드부(288)의 가이드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바디(210)에 장착된다. 이 회전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걸림대(283)의 가이드 홀(284)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일정 높이에 고정 정지된다면, 상기 걸림대 상측부(285)의 하면이 이 승하강 제어 부재(281)의 상면에 접하게 되어서 걸림대(283)는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대(283)와 결합된 회전 하우징(230)이 하강하지 않게 된다.In detail, the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하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걸림대(283)가 그 상측부(285)가 접하는 상태로 하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대(283)와 결합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된다. In order for the
이 경우,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일정 구간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강 스토퍼(28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하나의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의 회전 하우징(230) 하측에 하강 스토퍼(289)가 배치되는데, 이 하강 스토퍼(289)가,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하중보다 크며 상측으로 작동하는 저항력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하우징(230)이 하강하다가 상기 하강 스토퍼(289)에 접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하강하더라도 상기 회전 하우징(230)은 상기 하강 스토퍼(289)의 저항력에 의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고정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ing
상기 회전 하우징(23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상 기 회전 하우징(230)의 하중보다 큰 상승력을 가지고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걸림대 상측부(285)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 걸림대(283)를 들어올림으로써, 결과적으로 회전 하우징(230)이 상승하게 된다. In order to raise the
이 경우,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는 클러치 축(276)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즐 승강 기구(270)에 구비된 클러치 축(276)이 하강 선택된 노즐 스핀들(240)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하강하면, 상기 클러치 축(276)에 결합된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이와 연동하여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노즐 스핀들(240) 및 회전 하우징(230)이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노즐 스핀들을 포함한 회전 하우징(230) 전체가 하강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elevating
노즐 승강 기구(270)에 의하여 회전 하우징(230)이 일정 구간 하강하게 되면, 회전 하우징(230)의 하면이 하강 스토퍼(289)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가 더 하강을 하더라도 회전 하우징(230)은 하강하지 않게 되고, 상기 클러치 축(276)에 눌러진 노즐 스핀들(240)이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노즐 승강 기구(270)를 사용하여 이와 동시에, 회전 하우징(230)을 하강시킬 수 있다.When the
한편, 헤드 모듈(201)은 하우징 회전 기구(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하우징 회전 기구는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회전 하우징(230)에 장착된 노즐 스핀들(240)들을 공전시킨다. 따라서 부품 공급부(102; 도 6 참조)에 안착된 전자부품(C)의 위치 편차에 따라서 복수의 노즐 스핀들(240)이 공전됨으로써 다수의 전자부품이 동시에 흡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더불어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노즐 스핀들(240)이 공전하면서 정확한 장착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흡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본 발명에서는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기구(25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252) 및 하우징 구동 전달부(253)를 구비한다. 통상 바디(210)에 장착된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는 통상 서보 모터인데 하우징 구동 전달부(253)를 구동하여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킨다. 하우징 구동 전달부(253)는 복수의 기어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벨트나 체인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8, the housing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구동 전달부(253)가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 집합체로 이루어진다면, 하우징 구동 전달부(253)가 하우징 구동 기어(254) 및 하우징 종동 기어(258)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구동 기어(254)는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의 일단에 형성되어서 하우징 구동 기어(254)가 상기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의 회전에 따라서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구동 기어(254)는 스플라인 샤프트(256)의 외주면에 따라서 결합되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과 연동하여 승하강이 자유롭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플라인 샤프트(256)는 커플링 장치(255)를 통하여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와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if the housing
회전 하우징(230)에는 하우징 종동 기어(258)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 종동 기어(258)가 상기 하우징 구동 기어(254)와 연결되어서 회전한다. 이 경우 하우징 종동 기어(258)는 회전 하우징(230)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A housing driven
한편,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하우징 구동 기어(254)와 하우징 종동 기어(258)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기어는 헤드 모듈의 형상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로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하여서, 헤드 모듈(201)의 사이즈를 최소한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구동 기어(254)와 하우징 종동 기어(258)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8, at least one connecting gea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이 경우, 상기 하우징 종동 기어(258)는 백래쉬(backlash)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 하우징(230)과 바디(210) 사이에 회전 하우징(230)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23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housing driven
이런 구조를 가진 하우징 회전 기구(250)의 작동을 설명하면,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의 일단부에 배치된 하우징 구동 기어(25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하우징 구동 기어(254)와 맞물려 있는 하우징 종동 기어(258)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종동 기어(258)가 회전 하우징(230)의 외주 상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회전 하우징(230)이 회전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한편, 상기 노즐 스핀들(240)은 인쇄회로기판의 회전된 각도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서 전자부품을 장착하기 위하여 자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쇄회로기판이 일정 각도로 회전된 경우, 회전 하우징(230)을 그 중앙부(O)를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노즐 스핀들(240)을 일정한 각도로 공전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전된 각도에 따라서 전자부품(C)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 경우, 상기 노즐 스핀들(240)의 공전에 의하여 이 노즐 스핀들(240)에 흡착된 전자부품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어서 상기 전자부품들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정확한 장착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의 회전된 각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노즐 스핀들(240)을 자전시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전된 각도에 따라서 흡착 필요한 전자부품의 위치도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두 개 이상의 인쇄회로기판(B) 상에서 동시에 전자부품(C)을 장착시킬 경우 더욱 필요하다.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s adsorbed on the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즐 자전 기구(260)가 구비될 수 있다. 3 and 9, the nozzle
노즐 자전 기구(260)는 노즐 자전 구동부(262)와, 노즐 구동 기어(264)와, 노즐 종동 기어(268)를 구비한다. 바디에 결합된 노즐 자전 구동부(262)는 통상 서보 모터로서 노즐 구동 기어(264)와 연결된다. 이 경우, 노즐 구동 기어(264)는 노즐 자전 구동부(262)의 일단에 형성되어서 상기 노즐 자전 구동부(262)의 회전에 따라서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는 스플라인 샤프트(266)의 외주면에 따라서 결합되고, 스플라인 샤프트(266)가 커플링 장치(265)를 통하여 노즐 자전 구동부(262)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가 노즐 종동 기어(268)들과 맞물려서 상하 운동할 수 있다.The nozzle
각각의 노즐 스핀들(240) 외주면에는 노즐 종동 기어(268)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 종동 기어(268)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노즐 스핀들(240)이 자전하게 된다. The nozzle driven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는 각각의 노즐 종동 기어(268)와 직접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구동 기어(264)가 상기 회전 하우징(23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과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 스핀들(240)들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노즐 종동 기어(268)들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노즐 구동 기어(264)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맞물리는 노즐 종동 기어(268)들이 자전할 수 있다. The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구동 기어가 링 기어(269)를 통하여 노즐 종동 기어(268)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노즐 구동 기어(264) 및 노즐 종동 기어(268)가 각각, 회전 하우징(230)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링 기어(269)와 연결된다. 링 기어(269)는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서 회전 하우징(230)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데, 링 기어(269)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 기어부(269a)는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와 연결되고, 상기 링 기어(269)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기어부(269b)는 상기 노즐 종동 기어(268)들 각각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의 회전에 따라서 링 기어(269)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각각의 노즐 종동 기어(268)들이 회전하게 되어서, 상기 노즐 종동 기어(268)와 결합된 노즐 스핀들(240)이 회전하게 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the nozzle driving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driven
여기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267)가 더 구비되어서, 상기 링 기어(269) 및 노즐 구동 기어(26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 연결 기어(267)는 헤드 모듈의 구조에 따라서 적절한 수로 배치되어서, 전체 헤드 모듈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노즐 구동 기어(264)의 회전력을 링 기어(269)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종동 기어(268)와, 링 기어(269) 및 연결 기어는 각각 백래쉬(backlash)가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t least one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노즐 자전 구동부(262)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노즐 자전 구동부의 일단부에 배치된 노즐 구동 기어(264)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 구동 기어와 직접 또는 연결 기어와 맞물린 외측 기어부(269a)를 가진 링 기어(269)가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링 기어의 내측 기어부(269b)와 맞물린 노즐 종동 기어(268)가 회전하게 된다. 노즐 종동 기어(268)는 노즐 스핀들(24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노즐 스핀들(240)이 자전하게 된다. In such a structure,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42)의 내부 공간(SN)의 부압에 의하여 전자부품(C)이 흡착되고, 노즐(242) 내부 공간의 정압에 의하여 전자부품(C)이 상기 노즐(242)로부터 분리된다. 즉 노즐 내부 공간(SN)에 부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그 부압에 의하여 전자부품(C)이 상기 노즐 쪽으로 흡착되고, 노즐 내부 공간(SN)에 정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그 정압에 의하여 전자부품(C)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electronic component (C) is adsorb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SN) of the
따라서 헤드 모듈(201)에는 상기 노즐의 내부 공간(SN)에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 기구(290)가 구비된다. 도 3, 도 4와 함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기 공급 기구(290)는 고정부(292)와, 회전부(295)와, 연결관(298)을 구비한다. Therefor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부(29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291)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공기 공급부(291)는 상기 각각의 노즐(242)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공급 밸브(291a)들을 구비하여,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이 경우, 공급 밸브들은, 정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정압 공급 밸브들과, 부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부압 공급 밸브들로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솔레로이드 밸브가 하나의 노즐 내부 공간(SN)에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별도로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부(292)는 중공 형상으로 통상 바디(210)에 고정 배치되는데, 각각의 노즐 내의 내부 공간으로 정압의 공기 및 부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급 라인(RA1)을 구비한다. 이 제1공급 라인(RA1) 각각은 상기 공급 밸브(291a)들과 공기 유입부(293)를 통하여 연결된다.11 to 14, the fixing
상기 고정부(292)에 내접하도록 회전부(295)가 배치된다. 이 회전부(295)는 실린더 형상으로 고정부(29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부(295)가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295)와 고정부(292)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전부(295)는 공기 밀폐 유동부(AR)들과 제2공급 라인(RA2)들을 구비한다. 공기 밀폐 유동부(AR)들은 상기 제1공급 라인(RA1)들과 연결되고, 제2공급 라인(RA2)은 공기 밀폐 유동부(AR)와 회전부(295) 표면에 형성된 공급 홀(296) 사이를 연결한다. The
연결관(298)은 상기 각각의 공급 홀(216)과 상기 노즐의 내부 공간(SN; 도 4 참조) 사이를 연결한다. A connecting
이 경우, 회전부(295)에 형성된 공기 밀폐 유동부(AR)들은 각각 회전부(295) 의 외주면을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하우징(230; 도 3 참조)이 회전하여서 노즐(242; 도 3 참조)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원활하게 정, 부압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sealed flow units AR formed in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292)의 제1공급 라인(RA1)을 통하여 정, 부압 공기가 공기 밀폐 유동부(AR)로 유입된다. 이 경우, 공기 밀폐 유동부(AR)는 회전부(295) 외주면을 따라서 밀봉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회전부(295)가 회전하더라도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공기 밀폐 유동부(AR)를 따라서 유동하게 된다. In detail,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air flows into the air sealed flow unit AR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RA1 of the fixing
이는 결과적으로 회전부(295)가 회전하여서 제2공급 라인(RA2)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공기가 원활하게 이 제2공급 라인(RA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관이 회전 하우징(230)의 회전에 의하여 꼬임이 발생하는 종래의 헤드 어셈블리와 달리 공기 공급 기구(290)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회전 하우징(230)의 회전에 따라서 그 공급 기구의 꼬임이 없이 원활히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ly line RA2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공기 밀폐 유동부(AR) 외측 경계에는 탄성을 가지고 링 형상인 실링부재(297)들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링부재(297)들은 고정부(292) 내측면과 접하여서 공기 밀폐 유동부(AR) 내에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sealing
이 경우, 상기 회전부(295)는 특히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우징 회전 구동부(252)와 하우징 구동 기어(254)를 연결하며 회전하는 스플라인 샤프트(256) 외주 상에 제1회전 전달부(259)가 배치되고, 제1회전 전달부(259)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 전달부(299)가 상기 회전부(295)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 전달부(259) 및 제2회전 전달부(299)는, 벨트나, 체인 등의 연결수단(218)으로서 상호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제1회전 전달부(259) 및 제2회전 전달부(299)가 기어로 제작되어서 맞물려서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11, the
즉,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기구(25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공급 기구(290)를 작동시킴으로써, 헤드 모듈(201)의 총 중량 및 사이즈가 감소하고, 상기 헤드 모듈(201)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감소하여 제작비가 감소한다. That is, by operating the
이는 결과적으로 헤드 모듈(201)의 모듈화가 가능해지게 되고, 따라서 후술하다시피 상기 바디(210)는 수평 이동 기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modularize the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드 모듈(301)과 함께 부품 공급부(102)와, 수평 이동 기구(10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102)와, 인쇄회로기판(B)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106)는 베드(101)에 장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베드(101)에 수평 이동 기구(103)가 결합한다. 상기 수평 이동 기구(103)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모듈(301)을 부품 공급부(102)의 부품 흡착위치로부터 인쇄회로기판(B) 상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이 수평 이동 기구(103)는 통상, 헤드 모듈(301)을 X축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X축 이송 기구(104) 및 헤드 모듈(201)들을 Y축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Y축 이송 기구(105)를 구비한다. This horizontal moving
이 경우 상기 헤드 모듈(201)이 X축 이송 기구(104)를 따라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X축 이송 기구(10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X축 이송 기구(104)의 양단은 각각 이 X축 이송 기구(104)와 직교하여 형성된 Y축 이송 기구(105)에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Y축 이송 기구(105)를 따라서 X축 이송 기구(104)가 이동되면, 상기 X축 이송 기구(104)에 장착된 헤드 모듈(301)이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헤드 모듈(301)이 X축 이송 기구(104)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상기 하나의 헤드 모듈(301)에는 복수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원주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헤드 모듈(301)들은 수평 이송 기구(103)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헤드 모듈(301)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 스핀들(240)들이 상기 부품 공급부(102)로부터 전자부품을 픽업하여서, 컨베이어부(106) 상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B)에 장착시킨다.A plurality of
이 경우, 상기 부품 공급부(102) 및 컨베이어부(106) 사이에 제1촬영부(19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제1촬영부(191)는, 부품 공급부(102)로부터 노즐 스핀들(240)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촬영하여 그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B)의 기울어진 각도 등에 따라서 전자부품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은 제2촬영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제2촬영부는 부품 공급부(102)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픽업점 및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의 피듀셜 마크(fiducial mark)를 촬영하여서, 전자부품이나 인쇄회로기판(B)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1촬영부(191)가 베드(101)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촬영부의 역할을 제2촬영부가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100)에 구비된 헤드 모듈(301)은 바디(310)와, 노즐 스핀들(240)과, 노즐 승강 기구(370)와, 하우징 승강 기구(380)를 구비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이와 더불어 수평 이동 기구(103)는 모듈 장착부(130)를 구비하는데, 이 헤드 모듈(301)의 바디(310)가 상기 수평 이동 기구(103)의 모듈 장착부(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회전 하우징(230)은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중앙부로부터 동일한 원주 상에 복수의 스핀들 수용홀(232)들이 형성된다. 노즐 스핀들(240)들은, 상기 스핀들 수용홀(232) 각각에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노즐 승강 기구(370)는 이러한 노즐 스핀들(240)을 승강 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모듈(201)에 구비된 노즐 승강 기구(27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한편, 하우징 승강 기구(380)가 승하강 제어 부재(281)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 승강 기구(370)과 연동하여 회전 하우징(230)을 승,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 우, 상기 승하강 제어 부재(281)는 노즐 스핀들(240)에 결합되어서 상기 노즐 스핀들과 함께 이동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하우징 승강 기구(38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모듈(201)에 구비된 하우징 승강 기구(28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이와 같이, 하우징 승강 기구(380)가 노즐 승강 기구(370)와 연동하는 동시에 노즐 승강 기구(370)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자체 하중을 통하여 간단하게 회전 하우징(230)을 하강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헤드 모듈(30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감소하게 되어서 헤드 모듈(301)의 중량이 감소되고, 승, 하강 작동이 간단하여진다.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헤드 모듈이 모듈화가 가능하고 수평 이동 기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시킬 수 있다.As such, th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100)에 구비된 헤드 모듈(301)은, 상기 회전 하우징(230)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기구(350) 및 상기 각각의 노즐의 내부 공간에 정압 및 부압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공급 기구(3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201)에 구비되어,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회전 기구(250) 및 공기 공급 기구(29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공기 공급 기구(390)의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291)와 노즐(242) 내부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98)가 꼬임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적으로 정, 부압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회전 하우징(230)을 회 전시키는 하우징 회전 기구(35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공급 기구(390)를 작동시킴으로써, 헤드 모듈의 총 중량 및 사이즈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서 헤드 모듈(301)의 모듈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따라서 이런 구조의 헤드 모듈(301)은 수평 이동 기구(103)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모듈과 수평 이동 기구를 장착시키는 모듈 장착 기구 또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상기 모듈 장착 기구의 일 예를,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듈 장착부(130)에는 토글 클램핑 장치(1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310)가 이 토글 클램핑 장치(140)에 의하여 상기 모듈 장착부(130)에 클램핑 장착될 수 있다. 이 토글 클램핑 장치(140)는 작은 힘을 사용하여도 장착력이 우수하고, 이와 더불어 장, 탈착이 간단하다. An example of the module moun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The
이런 토글 클램핑 장치(140)는 클램핑 구동부(141)와, 토글 기구부(143)와, 아암부(147)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핑 구동부(141)는 모듈 장착부(130)에 장착된 것으로, 내부에 설치된 로드부재(142)를 직선적으로 변위시킨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 구동부(141)가 상기 모듈 장착부(130) 상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로드부재(142)를 바디(310)의 상측에 실질적으로 직각되는 방향인 전, 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게 된다. The
상기 로드부재(142)는 토글 기구부(143)와 연결된다. 이 토글 기구부(143)는 상기 로드부재(142)의 직선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부재(142)에 연결되어 전후 운동하는 회전 링크부재(145)와 상기 링크부재(145)에 링크 된 지지레버(144) 및 상기 지지레버(144)의 상기 회전 링크부재(145)가 배치되지 않은 일측에 배치된 고정 링크부재(146)를 포함한다. The
이 토글 기구부(143)의 지지레버(144)에 아암부(147)가 연결된다. 이 아암부(147)은 상기 클램핑 구동부(141)의 구동 작용 하에 소정각도로 회동하는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상기 바디(310)를 고정하는 고정핀(148)이 형성되어 있다. The
따라서 모듈 장착부(140)에 헤드 모듈(301)을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클램핑 구동부(141)가 작동하여서 로드부재(142)를 전방으로 변위시킨다. 상기 로드부재(142)가 전방으로 변위되면, 토글 기구부(143)의 고정 링크부재(146)가 고정되고, 회전 로드부재(145)가 전진한다. 이에 따라서 지지레버(144)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버(144)의 회전에 따라서 아암부(147)가 직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아암부(147)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핀(148)이 상기 바디(310)의 전면을 누름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mount the
이 경우, 상기 바디(310)의 고정핀(148)이 수용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핀(148)이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고정핀 가이드부(318)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핀 가이드부(318)는 상기 고정핀(148)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모듈 장착부(130)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핀 가이드부(318)에 안착된 고정핀(148)이 전방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동하지 않는 한 확실하게 고정된다. In this cas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이와 반대로 모듈 장착부(130)에서 헤드 모듈(301)을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클램핑 구동부(141)가 작동하여서 로드부재(142)를 후방으로 변위시킨다. 이로 인 하여 상기 바디(310)의 전면을 누르고 있는 고정핀(148)이 상기 고정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order to detach the
이와 더불어,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10)가 모듈 장착부(130)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310)의 상기 모듈 장착부와 접하는 면에 상기 모듈 장착부(13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12)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장착부(130)의 상기 가이드 부재(212)와 대응되는 면에 가이드 부재(212)가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 삽입 홈(13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nd FIG. 17, in order to mount the
한편,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100)에 구비된 헤드 모듈(301)은 노즐 자전 기구(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자전 기구는 노즐 자전 구동부(262)의 구동에 따라서 노즐 종동 기어(26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 종동 기어(268)와 결합된 노즐 스핀들(240)을 자전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노즐 자전기구(260)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노즐을 승강시키는 기구를 사용하여 회전 하우징을 일정구간 승강시킴으로써 헤드 모듈의 구성요소가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승강 구조가 간단하고, 헤드 모듈의 총 중량이 감소하여서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First, the components of the head module are reduced by elevating the rotary housing by a section using a mechanism for elevating the nozzle. This makes the lifting structure simple and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total weight of the head module.
둘째, 노즐 스핀들을 공전시킴과 동시에 자전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위치편차에 따라서 정확하고 간단히 전자부품을 장착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전자 부품을 동시에 장착시킬 수 있다. 여기에, 회전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조 및 노즐 스핀들을 자전시키는 기구가 간단하고, 작은 수의 구성 부품이 사용되어서 총 중량이 감소하고 고속정도가 증가한다.Second, by rotating the nozzle spindle and rotating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electronic component accurately and simply according to the position devi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Here, the structure for rotating the rotating housing and the mechanism for rotating the nozzle spindle are simple, and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are used to reduce the total weight and increase the high speed.
셋째, 기구적인 수단으로서, 노즐 스핀들 및 회전 하우징을 승강, 및 회전 하우징 및 노즐 스핀들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승강 및 회전 정도의 정확도가 증가하게 된다.Third, as a mechanical means, by elevating the nozzle spindle and the rotating housing and rotating the rotary housing and the nozzle spindle, the accuracy of the elevating and rotating degree is increased.
넷째, 전자부품을 흡, 장착하기 위하여 노즐 내부 공간에 정, 부압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 기구가 간단하고, 회전 하우징의 회전에 의하여 그 공기 공급 기구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서, 헤드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Fourth, the air supply mechanism for injecting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air into the nozzle inner space for suction and 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is simple, and the twisting of the air supply mechanism does not occur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The structure is simplified.
다섯째, 이와 같은 효과로 헤드 모듈이 모듈화가 가능하여져서, 하나의 부품 실장기가 각각의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른 헤드 모듈을 구비할 수 있음으로써,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별도의 부품 실장기를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된다.Fifth, the head module can be modularized by such an effect, so that one component mounter may include a head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electronic component, thereby manufacturing a separate component mounter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nic component. There is no need.
여섯째, 헤드 모듈이 수평 이동 기구에 장착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장착 및 탈착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간단히 헤드 모듈을 장, 탈착할 수 있다. Six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d module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is simple, but the mounting and detaching force is excellent. Therefore, the head module can be easily mounted and rem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3753A KR100651816B1 (en) | 2005-01-14 | 2005-01-14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3753A KR100651816B1 (en) | 2005-01-14 | 2005-01-14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286A KR20060083286A (en) | 2006-07-20 |
KR100651816B1 true KR100651816B1 (en) | 2006-12-01 |
Family
ID=3717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3753A KR100651816B1 (en) | 2005-01-14 | 2005-01-14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181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7580B1 (en) | 2008-03-11 | 2013-07-1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KR101358275B1 (en) | 2012-12-26 | 2014-02-06 | 주식회사 디엠테크 | A sheet attachment head of pcb |
WO2024080676A1 (en) * | 2022-10-11 | 2024-04-18 | 주식회사 코엠에스 | Head for component mounting device capable of precise drive contro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70949B1 (en) * | 2013-03-11 | 2013-12-18 | アキム株式会社 | Work convey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2199474B1 (en) * | 2015-11-18 | 2021-01-06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A component keeping head for surface mounter |
CN112654227A (en) * | 2020-11-25 | 2021-04-13 | 深圳市路远智能装备有限公司 | High-precision annular rotary mounting head |
-
2005
- 2005-01-14 KR KR1020050003753A patent/KR100651816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7580B1 (en) | 2008-03-11 | 2013-07-1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KR101358275B1 (en) | 2012-12-26 | 2014-02-06 | 주식회사 디엠테크 | A sheet attachment head of pcb |
WO2024080676A1 (en) * | 2022-10-11 | 2024-04-18 | 주식회사 코엠에스 | Head for component mounting device capable of precise drive contr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286A (en) | 200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3838B1 (en) | Method for mounting chip and chip mounter implementing the same | |
KR101113846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KR100495586B1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head device | |
KR100226169B1 (en) | Electronic part surface mounter | |
KR0168445B1 (en) | Parts mounting apparatus | |
JP2008087151A (en) | Electronic part picker, and head assembly for handler having it | |
KR101228315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KR100651816B1 (en)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
CN112719854A (en) | Press mounting machine for light-emitting device | |
EP1179974B1 (en) | Printed-wiring-board-relating-operation performing system | |
KR101185883B1 (en) | Head module and chip mounter comprising the same | |
KR100613781B1 (en) | Suction nozzle changing apparatus in a surface-mounting system | |
KR100627054B1 (en) | Head assembly for component mounter | |
JPH10209687A (en) | Structure of air cylinder for elevating/lowering nozzle in surface mounting machine | |
KR100627062B1 (en) | Component mounter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KR100318674B1 (en) | Release part inserter | |
KR100651810B1 (en) | Part mounting method and part mounting machine adopting it | |
JP4112708B2 (en) | Adsorption nozzle changing device for surface mounter | |
KR101287580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JPH06237097A (en) | Nozz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of mounting device | |
KR101091916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KR930006039Y1 (en) | Device for mounting small electronic parts | |
KR930006108B1 (en) | Nozzle exchanging device for electronic parts attached head | |
KR100604325B1 (en) | Head module for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mounter having same | |
KR920008951B1 (en) | Small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