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642B1 -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 Google Patents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642B1 KR100651642B1 KR1020050087515A KR20050087515A KR100651642B1 KR 100651642 B1 KR100651642 B1 KR 100651642B1 KR 1020050087515 A KR1020050087515 A KR 1020050087515A KR 20050087515 A KR20050087515 A KR 20050087515A KR 100651642 B1 KR100651642 B1 KR 100651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ogeneration
- boiler
- water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9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8-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system of a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에서 열교환(급탕 열교환부, 난방 열교환부, 급탕재열 열교환부)이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을 보이고 있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heat exchange (hot water heat exchanger, heating heat exchanger, hot water reheat heat exchanger) is performed in the 8 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system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판형 열교환기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late heat exchanger in which heat exchange shown in FIG. 2 is performed.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열교환판(A 타입 및 B 타입)의 형상 및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4A and 4B are views each show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eat exchange plates (A type and B type)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을 공동주택단지 내에 있는 24평의 가정에 설치한 상태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8-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me of 24 pyeong in an apartment complex.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열교환판의 배열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 plat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판형 열교환기 12: 열병합 열원부10: plate heat exchanger 12: cogeneration heat source
14: 전면커버 16: 열교환판14: Front cover 16: Heat exchanger plate
16a: A타입 열교환판 16b: B타입 열교환판16a: type A
18: 후면커버 100: 급탕 열교환 구역18: rear cover 100: hot water supply heat exchange zone
200: 난방 열교환 구역 300: 급탕재열 열교환 구역200: heating heat exchange zone 300: hot water reheat heat exchange zone
A1: 열병합열원 입구 A2: 열병합열원 출구A1: cogeneration heat source inlet A2: cogeneration heat source inlet
B1: 급탕 입구 B2: 급탕 출구B1: Hot water inlet B2: Hot water outlet
C1: 난방 입구 C2: 난방 출구C1: heating inlet C2: heating outlet
D1: 보일러수 입구 D2: 보일러수 출구D1: Boiler Water Inlet D2: Boiler Water Outlet
a: 제1 포트 b: 제2 포트a: first port b: second port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난방 시스템 또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heat exchang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of an 8-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a domestic boiler using a district heating system or a cogeneration system.
통상적으로, 아파트 단지 등의 공동주택단지 내에서는 2가지 난방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하나는 각 호에 개별의 난방기를 채용한 개별난방방식과 다른 하나는 중앙에서 난방 및 생활온수를 공급하는 중앙난방방식이 있다.In general, two heating systems are adopted in apartment complex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and one heating system employing individual heaters in each house, and the other central heating system for providing heating and hot water in the center. There is a way.
상기 중앙집중식 난방을 채택하는 열 수요처, 즉 아파트 단지 등의 난방방식 은 B-C유, LNG, LPG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100℃ 이상의 물이나 증기를 1일에 3~5차례 간헐적으로 아파트 단지 내의 각 가정에 온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heat demand source adopting the centralized heating, that is, the heating method of the apartment complex, etc., heats water using fuels such as BC oil, LNG, LPG, and the like. It is in turn intermittent to provide hot water to each home in the apartment complex.
이러한 종래의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은 보일러에서 물이나 증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증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고온수로 열교환하여 온수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대량의 보일러를 사용하게 되고 증기를 온수로 교환하는 열교환 방식으로 열손실이 상당히 많은 것을 볼 수 있다.The conventional central heating method is to produce water or steam in a boiler, and heat the produced steam to high temperature water through a heat exchanger to provide hot water, which uses a large number of boilers and exchanges steam for hot water. In this way we can see that the heat loss is quite high.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에너지 이용효율이 높은 열병합 발전(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시스템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 열병합 발전은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종합 에너지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고온부는 동력으로 사용하고, 저온부는 열로 사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As one of the measures to solve such drawbacks, the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system with high energy efficiency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he cogeneration is an integrated energy system that generates power and heat simultaneously from a single energy source. In general, the cogeneration system operates an energy system in which a high temperature part is used as power and a low temperature part is used as heat.
그러나 위와 같은 열병합 발전은 설비용량 대비 열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 내의 각 가정에 균일한 온도의 온수(급탕 및 난방)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의 경우 상하층의 온도차가 자주 발생하여 난방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젊은층이 거주하는 세대와 노인층이 거주하는 세대에도 동일한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각 세대가 요구하는 온도의 온수를 맞출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apacity of the facility,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hot water (hot water and heating) with a uniform temperature to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complex.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ulti-family ho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frequently occurs, causing unbalanced heating. Also, since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household where the young and the elderly live, the temperature required by each household is the sa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tch the hot water.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병합 열원을 이용하고 8개의 포트가 형성된 열교환판을 사용하여 4유체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보일러의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late heat exchanger system of a domestic boiler that can implement four-fluid heat exchange by using a cogeneration heat source and using a heat exchanger plate having eight port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탕 및 난방의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4유체 판형 열교환기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of four-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a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ot water supply and he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병합 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이 부족할 시에 부족한 만큼 열원을 보충시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4유체 판형 열교환기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of a four-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a domestic boiler using a cogeneration system that can supply hot water at a temperature required by consumers by replenishing the heat source when insufficient heat source is supplied from the cogeneration system. Is 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난방 시스템 또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 내의 각 가정에 거주자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4유체 판형 열교환기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ur-fluid plate heat exchanger for a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to provide hot water at a temperature required by residents in an apartment complex using a district heating system or a cogeneration system. In provi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역난방 시스템 또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1차 열원을 이용하며 다수개의 열교환판들이 적층 결합된 가정용 보일러의 판형 열교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1차 열원이 상기 열교환판으로 유입되고 배출되기 위한 각각의 포트와, 직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시수가 상기 열교환판으로 유입되고 배출되기 위한 각각의 포트와, 상기 보일러 내에 있는 난방수가 상기 열교환판으로 유입되고 배출되기 위한 각각의 포트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2차 열원이 상기 열교환판으로 유입되고 배출되기 위한 각각의 포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using a primary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district heating system or cogeneration system and constitutes a plate heat exchange system of a household boiler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are laminated and combined, Respective ports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 heat source into and out of the heat exchange plate, respective ports for the tim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s to flow into and out of the heat exchange plate, and heating water in the boiler flows into the heat exchange plate. Each port for discharge and the secondary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boi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pective port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heat exchange pl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e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forth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열병합 열원'이라는 용어는 열병합 발전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중온수 또는 지역난방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열원으로서 1차 열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1차 열원(Heating Source, Medium)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term 'cogeneration hea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rimary heat source (Heating Source, Medium) supplied from a primary heat source supply unit as a heat source supplied from a medium temperature water or a district heating system supplied from a cogeneration system. .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A타입 열교환판 및 B타입 열교환판'이라는 용어는 6개의 포트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V"자 모양의 전열유로가 형성된 열교환판을 의미하며, A타입과 B타입은 전열유로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열교환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판에 형성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라는 용어는 직경이 각기 다른 구멍을 의미하는데, 즉 제1 포트의 구멍이 제2 포트의 구멍보다 직경이 큰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 'A-type heat exchanger plate and B-type heat exchanger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eat exchanger plate having six ports selectively formed thereon and a “V” shaped heat transfer path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B type means each heat exchanger plate in which the electrothermal flow path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ddition, the term 'first port and second port' formed in the heat exchange plate means a ho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that is, a hole of the first port means a larger diameter than the hole of the second p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8-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system of a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서는 6개의 포트 중에서 4개의 포트만을 사용하여 열교환이 이루 어지고 있는 판형 열교환기(10)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판형 열교환기(10)는 열병합 열원이 공급되고 배출되는 포트(A1,A2)와 시수(직수)가 유입되고 열병합 열원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급탕이 배출되는 각 포트(B1,B2)와 보일러 내에 있는 물이 유입되고 열병합 열원에 의해 데워진 물이 배출되는 각 포트(C1,C2) 및 가정에 설치된 보일러의 탱크에 담긴 보일러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포트(D1,D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의 상세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병합 열원 입구(A1)는 열병합 열원부(12)에서 공급되는 열원(또는 중온수)을 판형 열교환기(10)의 내부로 공급,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열교환판(16)들이 적층된 통로 쪽으로 공급하는 포트이며, 열병합 열원 출구(A2)는 상기 열교환판(16)들에 형성된 통로(즉, 포트 및 V자형의 전열유로)를 통과한 중온수가 배출되는 포트이다. 이때 상기 열병합 열원 입구(A1)를 통해 유입된 중온수는 급탕용 시수와 열교환(100)이 이루어지고 또한 난방수와 열교환(200)이 이루어진 다음 열병합 열원 출구(A2)를 통해 배출되어 다시 열병합 열원부(12)로 회수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generation heat source inlet A1 supplies a heat source (or heavy hot water) supplied from the cogeneration
급탕입구(B1)는 직수관과 연결되어 시수를 다수개의 열교환판(16)들이 적층된 통로 쪽으로 공급하는 포트이며, 급탕출구(B2)는 전술한 고온의 중온수(즉, 열병합 열원)에 의해 데워진 시수(직수)가 배출되는 포트이다. 상기 급탕출구(B2)를 통해 배출되는 급탕은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온도에 맞도록 가열된 온수이며, 만약 상기 시수가 열병합 열원에 의해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면 보 일러수에 의해 부족한 온도만큼 데워지게 되며, 이는 후술하는 상세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Hot water inlet (B1)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ipe is a port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passage of the plurality of
난방입구(C1)는 가정에 설치된 보일러 내에 담긴 물을 열교환판(16) 쪽으로 공급하는 포트이며, 난방출구(C2)는 전술한 열병합 열원에 의해 열교환된 물을 각 방의 배관 라인으로 배출시키는 포트이다. 즉, 상기 난방입구(C1)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상기 물은 열병합 열원 입구(A1)를 통해 유입된 중온수에 의해 열교환(200)이 되고, 상기 열교환된 적정온도의 물은 난방출구(C2)를 통해 각 방의 배관라인 쪽으로 배출된다.Heating inlet (C1) is a port for supply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iler installed in the home toward the
보일러수 입구(D1)는 보일러 내에 있는 물(즉, 2차 열원)(이하 '보일러수'라 함)을 다수개의 열교환판(16)들이 적층된 통로 쪽으로 공급시키는 포트이며, 보일러수 출구(D2)는 상기 보일러수를 다시 보일러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포트이다. 상기 보일러수 입구(D1)를 통해 공급되는 보일러수는 급탕입구(B1)를 통해 유입된 시수가 열병합 열원에 의해 설정된 온도만큼 데워지지 않았을 때 상기 시수를 한번더 열교환(300)시켜 설정된 온도에 맞도록 가열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급탕의 온도를 50℃로 설정하였을 때, 급탕입구(B1)를 통해 유입된 시수가 열병합 열원과 열교환(100)이 이루어졌는데도 시수의 온도가 50℃가 아니고 40℃밖에 되지 않으면 상기 시수는 통로(급탕입구 B1과 급탕출구 B2를 연결한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일러수 입구(D1)를 통해 유입된 보일러수와 한번더 열교환(300)이 이루어져 소비자가 설정한 50℃의 온도로 데워져 급탕출구(C2)를 통해 배출된다. 즉, 상기 급탕입구(B1)를 통해 유입된 시수는 급탕 열교환구역(100)과 급탕재열 열교환구역(300) 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시수가 급탕 열교환구역(100)에서 설정된 온도에 맞도록 데워지게 되면 자동으로 급탕재열 열교환구역(300)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 boiler water inlet D1 is a port for supplying water (ie, a secondary heat sou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iler water') in the boiler toward a passage in which a plurality of
한편, 위와 같은 열교환(즉, 급탕 열교환과 난방 열교환 및 급탕재열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판형 열교환기(1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판열 열교환기(10)는 직경이 다른 4개의 포트가 형성된 전면커버(14)와 8개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 포트들을 선택적으로 뚫어 사용하는 열교환판(16) 및 역시 4개의 포트가 형성된 후면커버(18)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즉, 상기 전면커버(14)에는 위/아래에 각각 2개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위에는 열병합 열원이 공급(A1)되는 제1 포트(a)와 난방수가 배출(C2)되는 제2 포트(b)가 각각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열병합 열원이 배출(A2)되는 제1 포트(a)와 시수가 유입(B1)되는 제2 포트(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18)에는 위쪽에는 보일러수가 배출(D2)되는 제1 포트(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보일러수가 유입(D1)되는 제1포트(a)와 양측으로 열교환된 시수가 배출(B2)되는 제2 포트(b) 및 난방수가 유입(C1)되는 제2 포트(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포트(a)는 22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b)는 13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한편, 열교환판(16)은 다수개의 판들이 적층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는 브레이징 또는 가스켓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판(16)은 A타입 열교환판(16a)과 B타입 열교환판(16b)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V'자형 전열유로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나 머지의 구성 및 형상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판(16a,16b)에는 6개의 포트(a,b)들이 형성되고 이 포트(a,b)들은 판형 열교환기(10)의 사용 용도(예를 들어, 보일러의 크기 또는 아파트의 평수,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출력용량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뚫리게 되고. 그에 따라 판의 매수가 정해진다.(즉, 상기 제1,2 포트(a,b)들을 선택적으로 관통시켜 구멍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판(16)에 형성된 제1,2 포트(a,b)의 구멍을 뚫을 때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는 큰 구멍인 제1 포트(a)를 뚫고, 열교환을 하지 않는 지점에서는 작은 구멍인 제2 포트(b)를 뚫는다. 상기 제1,2 포트(a,b)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2Ø와 13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끝으로, 도 5 및 도 6은 공동주택단지 내에 있는 24평의 가정에 본 발명의 8포트-4유체 판형 열교환기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총 16장의 열교환판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양측으로 전면커버(14) 및 후면커버(18)가 각각 놓여지고, 그 사이에는 16개의 전열판(16)들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커버(14,18)와 전열판(16)들은 브레이징 작업에 의해 서로 적층 결합되어 있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8-port-4 fluid plate heat exchang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me of 24 pyeong in a multi-family housing complex. Referring to the drawings, a total of 16 heat exchange plates are installed. Preferably, the
상기 전면커버(14)와 후면커버(18)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포트(a,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설치된 전열판(16)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로(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로)에 맞도록 제1,2 포트(a,b)들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판(16)의 배열(즉, 제1,2 포트들의 배열)에 따라 4가지 유체(즉, 열병합 열원과 시수 및 난 방수와 보일러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급탕 및 난방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부가적으로,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판형 열교환기(10)의 열교환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 process of the
우선, 열병합 열원 입구(A1)를 통해 유입된 열원(또는 중온수)은 10번째 열교환판(10)까지 유입된 다음, 다시 0번째 전면커버(14)에 형성된 열병합 열원 출구(A2)를 통해 열병합 열원부(12)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열병합 열원은 2번째, 4번째, 6번째, 8번째,10번째의 전열판(16)에서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면서 급탕입구(B1)를 통해 유입된 시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First, the heat source (or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generation heat source inlet A1 flows into the tenth
다음, 급탕입구(B1)를 통해 유입된 시수는 16개의 열교환판(16)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17번째의 후면커버(18)에 형성된 급탕출구(B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시수는 3번째와 5번째의 전열판(16)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열병합 열원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소비자가 요구하는 온도로 데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시수는 11번째,13번째,15번째의 열교환판(16)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되면서 보일러수와 열교환이 한번더 이루어지게 된다.Nex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inlet B1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ixteen
또한, 보일러(1)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난방수는 후면커버(18)에 형성된 난방입구(C1)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난방수는 17번째부터 역으로 0번째 전면커버(14)까지 흘러들어가 난방출구(C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난방수는 9번째와 7번째의 열교환판(16)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흘러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난방수는 열병합 열원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boiler 1 flows in through the heating inlet C1 formed in the
마지막으로, 후면커버(18)에 형성된 보일러수 입구(D1)를 통해 공급된 보일러수는 17번째부터 역으로 12번째의 열교환판(16)까지 유입된 다음, 다시 12번째~16번째까지 거친 다음 17번째의 후면커버(18)에 형성된 보일러수 출구(D2)를 통해 보일러(1)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보일러수는 12번째,14번째,16번째의 열교환판(16)에서 급탕입구(B1)를 통해 공급된 시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Finally, the boiler water supplied through the boiler water inlet D1 formed in th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병합 열원을 이용하고 8개의 포트가 형성된 열교환판을 사용하여 4유체 열교환을 구현함으로써 급탕 및 난방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열병합 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이 부족할 시에 부족한 만큼 열원을 보충시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온수(급탕 및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고, 또한 공동주택단지 내의 각 가정에 항상 균일한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hot water supply and heating by using a cogeneration heat source and implementing a four-fluid heat exchange using a heat exchanger plate having eight port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shortage of heat source supplied from cogeneration. As a lack of city, it is possible to supply hot water (hot water and heating water) at a temperature required by consumers by replenishing a heat source, and also to provide hot water at a uniform temperature to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complex.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515A KR100651642B1 (en) | 2005-09-21 | 2005-09-21 |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515A KR100651642B1 (en) | 2005-09-21 | 2005-09-21 |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7082U Division KR200404571Y1 (en) | 2005-09-21 | 2005-09-21 | system of heat exchanger a board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1642B1 true KR100651642B1 (en) | 2006-12-06 |
Family
ID=3773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75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642B1 (en) | 2005-09-21 | 2005-09-21 |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164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4050A (en) * | 2015-07-30 | 2015-10-28 | 常州南夏墅建设有限公司 | Flat plate type efficient heater |
JP6177459B1 (en) * | 2016-02-12 | 2017-08-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Plat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EP4060239A1 (en) * | 2021-03-19 | 2022-09-21 | HögforsGST Oy | Plate-heat exchanger, district-heat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istrict heat to domestic water |
KR20220162942A (en) * | 2021-06-02 | 2022-12-09 | 한국지역난방공사 | District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for househol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249A (en) * | 2002-02-28 | 2003-09-03 | 차승식 | Plate heat exchanger |
KR20050043445A (en) * | 2003-11-06 | 2005-05-11 | 코리아코젠(주) | District heating system utilizing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
KR200389784Y1 (en) | 2005-05-04 | 2005-07-18 | 케이이설비연구소주식회사 | multiple purpose dual plate type energy saving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
-
2005
- 2005-09-21 KR KR1020050087515A patent/KR1006516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249A (en) * | 2002-02-28 | 2003-09-03 | 차승식 | Plate heat exchanger |
KR20050043445A (en) * | 2003-11-06 | 2005-05-11 | 코리아코젠(주) | District heating system utilizing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
KR200389784Y1 (en) | 2005-05-04 | 2005-07-18 | 케이이설비연구소주식회사 | multiple purpose dual plate type energy saving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4050A (en) * | 2015-07-30 | 2015-10-28 | 常州南夏墅建设有限公司 | Flat plate type efficient heater |
JP6177459B1 (en) * | 2016-02-12 | 2017-08-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Plat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EP4060239A1 (en) * | 2021-03-19 | 2022-09-21 | HögforsGST Oy | Plate-heat exchanger, district-heat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istrict heat to domestic water |
KR20220162942A (en) * | 2021-06-02 | 2022-12-09 | 한국지역난방공사 | District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for household |
KR102494229B1 (en) * | 2021-06-02 | 2023-02-06 | 한국지역난방공사 | District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for househo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20529B2 (en) | Heat exchanger of condensing boiler for heating and hot-water supply | |
AU2011345707B2 (en) | Domestic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 |
CN103591822B (en) | A kind of solar energy heat-storage system | |
CN102401422A (en) | Gas hot water heating device and system | |
SK8779Y1 (en) | Combined system of service water heating and heating medium for domestic heating | |
CN201225700Y (en) | Solar synthesis heat utilization system | |
KR102238465B1 (en) | Heat exchanger, heating device,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 |
KR100651642B1 (en) | System of 4-Fluid Plate Heat Exchanger of Domestic Boiler Using Cogeneration | |
CA2855767A1 (en) | Hot water heat exchanger | |
KR101878247B1 (en) | Heat exchanger for individual household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KR200404571Y1 (en) | system of heat exchanger a board type | |
CN105928206A (en) | Sleeve type gas condens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 |
CN105841528B (en) | Heat pipe type dual heat source heat exchanger and dual heat source heat exchange system | |
WO2017140117A1 (en) | Highly-efficient solar flat-plate heat absorp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KR200309587Y1 (en) | Heat exchanging device for waste water | |
WO2019081994A1 (en) | Compact heat regulating unit of the "hiu" type | |
CN202835536U (en) | Gas hot water heating device and system | |
WO2019073322A1 (en) | Compact heat exchanger unit with multiple circuits | |
JP3101749U (en) | Combination pipe type electric water heater | |
KR102348104B1 (en) | Plate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for a fuel-fired heater | |
KR102584026B1 (en) | Parallel-Type Heating Unit for Domestic Hot Water Supply Combined with Hot Water Header | |
CN218410045U (en) | Absorption heat exchanger unit of many heat supply subregion | |
RU2222752C2 (en) | Water-heating plant for heating purposes and/or hot-water supply, cooled condensate return tank of plant, and liquid-to-liquid heat exchanger of plant | |
CN215062324U (en) | Multi-element cleaning heat supply system based on mixing of gas condensing boiler and medium-deep geothermal heat | |
CN2284943Y (en) | Assembly hot-water supply heat-exchange apparatus for boi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