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452B1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452B1 KR100651452B1 KR1020050117257A KR20050117257A KR100651452B1 KR 100651452 B1 KR100651452 B1 KR 100651452B1 KR 1020050117257 A KR1020050117257 A KR 1020050117257A KR 20050117257 A KR20050117257 A KR 20050117257A KR 100651452 B1 KR100651452 B1 KR 100651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ground
- selection area
- menu
- selection
- ke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임의의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인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다수의 선택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되는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확대 배율보다 한 단계 높은 확대 배율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1선택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제1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확대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아웃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확대 배율보다 한 단계 낮은 확대 배율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선택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제2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enu selection mode is set, a process of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selection area as a background screen and inputting a background zoom-in key When the detection is detected, the magnification factor is one step higher than the magnification rate set in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with reference to the selection area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Detecting a first selection area closest to the selection area of the image, and magnifying and displaying a partial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lection area; and when the background zoom-out key input is detected, the selection area One step than the magnification set in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Detecting a second selection area closest to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and having a low magnification, and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lection area; It is done.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tructure of a screen displayed in a menu selection mod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선택 영역과 메뉴 배경 화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3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selection area and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4A and 4B illustrate a perspective menu wallpaper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of a menu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선택 영역과 메뉴 배경 화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6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selection area and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provided under a menu selection mode.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더욱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대응되는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메뉴 선택 모드에서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식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써, 텍스트 형태의 제공 방식과 그래픽 형태의 제공 방식으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As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more commo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developed more variously.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list in a menu selection mode in which a user selects a desired menu by providing a menu list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one of the user interfaces. Can be categorized into a form of presentation.
일반적으로 그래픽 형태의 제공 방식에 따라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임의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메뉴 배경 이미지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다수의 메뉴들중 가장 상위에 속하는 메뉴로 이루어진 메뉴 리스트와, 상기 메뉴 리스트 중 현재 임시로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임의의 메뉴가 임시로 선택되어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확정 선택을 요구하는 키입력등이 발생하면, 임시 선택된 메뉴가 확정 선택되어 상기 메뉴의 세부 메뉴 리스트가 제공되거나, 해당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상기 배경 화면은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임시 선택되는 메뉴의 변화와 상관없이 고정적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메뉴에 대응되는 각기 다른 이미지로 구비하여 임시 선택되는 메뉴가 변화되면 대응하는 이미지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providing a menu list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 form, the screen displayed in the menu selection mode is composed of a menu background image composed of an arbitrary image and a menu belonging to the top of a plurality of menu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nu list and a menu icon currently selected temporarily from the menu list. When a certain menu is temporarily selected and a corresponding menu icon is displayed, and a key input requesting a confirmation selection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temporary selected menu is determined and selected to provide a detailed menu list of the menu, or The function is executed. In this case, the background screen is typically configured to display a fixed image irrespective of a change of a menu temporarily selected as one image, or to be temporarily selected by providing different images corresponding to the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When the menu is changed, the corresponding image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the background screen.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배경 이미지가 제공되더라도, 단조로운 패턴이 반복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 사용에 있어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동적인 메뉴 배경 화면 제공 방식이 필요하다.However, even when various background images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s the monotonous pattern is repeated, the user may feel bored wh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ynamic menu background providing method that may induce user interes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background screen that may cause interest of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동적인 메뉴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dynamic menu wallpaper to a u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임의의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인 키 입력이 감지되면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다수의 선택 영역 중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확대 배율보다 한 단계 높은 확대 배율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1선택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제1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확대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배경 줌 아웃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확대 배율보다 한 단계 낮은 확대 배율을 가지며, 상기 임의의 선택 영역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선택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제2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of displaying a partial region of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selection region as a background screen when a menu selection mode is set, and a partial region of a background image when a background zoom-in key input is detected. A first magnification magnification one step higher than the magnification magnification set in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among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corresponding to, and detecting the first selection area which is located closest to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wherein the first selection area is detected; A process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partial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area, and if a background zoom-out key input is detected, referring to the selection area information to enlarge one step lower than the magnification set in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A second selection area having a magnification and located closest to the arbitrary selection area; 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l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은 제어부(11), 메모리부(13), 디스플레이장치(15), 키입력부(17), 베이스밴드처리부(19), RF(Radio Frequency) 모듈(21), 음성처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상기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는 각종 화상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상기 키 입력부(17)는 *, #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키와. 상향키, 하향키, 우향키, 좌향키로 구성되는 방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7)는 0 ~ 9의 각 숫자가 할당되고, 각 숫자가 할당된 키에 다수의 한글 또는 영문자가 할당된 문자키를 구비한다. The
상기 RF 모듈(21)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9)는 RF 모듈(21)과 제어부(11)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 한다.The
제어부(11)와 연결된 상기 음성처리부(23)와, 음성처리부(23)에 접속된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The
상기 메모리부(13)는 제어부(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설정과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와, 선택 영역 정보와, 메뉴 배경 이미지로 설정 가능한 다수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이란 본 발명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에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배경 이미지가 디스플레되는 화면이다. 즉, 원근 메뉴 배경 화면이 설정되면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여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줌 인(zom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되어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스크롤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다. The
상기 메뉴 선택 모드란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 수행되게 하는 모드이다. 상기 메뉴 선택 모드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메뉴키 입력에 따라 설정되며, 메뉴키 입력시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제공하는 표시화면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2는 메뉴 선택 모드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메뉴 선택 모드 하에서 표시화면에는 메뉴 배경 화면과 관련된 제1레이어(31)와,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과 관련된 제2레이어(33)와, 표시 화면을 더욱 풍부하게 장식하는 부가적인 이미지와 관련된 제3레이어(35)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The menu selection mode provides a list of menu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 and set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menu. Mode. The menu selection mode is generally set according to a menu key inpu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splay scree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enu key is inpu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tructure of a screen displayed in a menu selection mode. Referring to Fig. 2, under the menu selection mode, the display screen has a first layer 31 associated with the menu background screen, a second layer 33 associated with a menu icon representing the menu, and an additional richer decoration of the display screen. The third layer 35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image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 제1레이어(31)를 구성하는 메뉴 배경 화면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근 배경 화면으로 설정하고, 메뉴 선택 모드 설정시 상기 원근 배경 화면 설정에 따라 메뉴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배경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줌 인 또는 줌 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메뉴 배경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뉴 배경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뉴 선택 모드 하에서 임시 선택된 메뉴를 변경하는 키 각각에, 예를 들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우향키로 이루어진 방향키 각각에 줌 인 키 데이터, 줌 아웃 키 데이터, 좌, 우 스크롤 키 데이터를 할당한다. 이후, 상기 메뉴 선택 모드 하에 상기 방향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되는 방향키에 대응하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종류를 변화하는 동시에, 입력된 키에 할당된 줌 인/줌 아웃 키 데이터와 좌/우 스크롤 키 데이터에 대응하여,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확대 배율에 따라 단계적으로 줌 인/아웃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된 배경 화면의 확대 배율과 동일한 확대 배율로 확대된 이웃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한 번 이상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확대 배율에 따라 단계적으로 줌 인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된 배경 화면의 확대 배율과 동일한 확대 배율로 확대된 이웃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경 이미지상에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선택 영역을 설정하고, 각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배율을 설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구비한다. 이때, 선택 영역의 크기와 확대 배율은 반비례하게 된다. 즉, 선택 영역의 크기가 작을 수 록 확대 배율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했듯이 본 발명은 메뉴 배경 화면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확대 배율을 유지한 채 배경 이미지를 스크롤 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다수의 선택 영역들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지만,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선택 영역들로 분류되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 선택 영역들은 동일한 확대 배율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한 이유, 즉, 본 발명은 메뉴 배경 화면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확대 배율을 유지한 채 배경 이미지를 스크롤 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선택 영역의 배경 이미지 상에서의 위치 역시 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 영역 정보는 각각의 선택 영역에 대응하여 해당 선택 영역의 크기와, 배경 이미지 상에서 의 해당 선택 영역의 위치 좌표와, 해당 선택 영역의 확대 배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background screen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1 is set as the perspective wallpaper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nd when a menu selection mode is set, a background image constituting a menu wallpaper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wallpaper setting. It provides a menu background for perspective by zooming in or out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a menu background screen is as follows. First, zoom-in key data, zoom-out key data, left and right scroll key data to each of the keys for changing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under the menu selection mode, for example, each of the direction keys consisting of an up key, a down key, a left key, and a right key. Allocate Subsequently, when the direction key is input under the menu selection mode, the type of the temporarily selected menu ic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is changed and the zoom in / zoom out key data and the left / right scroll key assigned to the input key are changed. In response to the data, a partial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is zoomed in / out according to one or more predetermined magnifications in advance, or an image of a neighboring area magnified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that of the currently displayed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Scroll to display one or more time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zooms and displays a portion of a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or scrolls and displays an image of a neighboring region magnified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the magnifica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having different sizes are set on a background image, an enlargement magnif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lection area is set, and selection area information including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election area and the magnification are inversely proportional. That is, the smaller the size of the selection area, the higher the magnif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larges and provides a partial area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but also scrolls and provides a background image while maintaining the magnific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exist in various sizes but have the same size. The selection areas having the same size may be classified into selection areas and have the same magnif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larges and provides a partial area of the menu background screen but also scrolls and provides a background image while maintaining the magnification, the position on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lected area is also considered. Is determined. Accordingly, the selection reg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ize of the selection regi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lection region o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selection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selection region.
상기한 선택 영역 정보는 표준 배경 이미지 크기를 기준으로 환산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정해진 최대 확대 배율로 확대할 때에도 이미지의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어떠한 이미지라도 배경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는 디폴트 값으로 저장된 이미지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배경 이미지로 설정된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표준 배경 이미지 크기와 다르다면 상기 설정된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표준 배경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선택 영역 정보와 배경 이미지를 매칭 시킬 수 있다. The selection area information is converted and stored based on a standard background image siz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imag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set as a background image if the image has a resolution that does not damage the image even when the image is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ximum magnification. The pre-stored image includes an image stored as a default value or an image captured and stor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size of the image set as the background image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the size of the set image may be converted into the standard background image to match the pre-stored selection area information with the backgroun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선택 영역의 일 예를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선택 영역과 메뉴 배경 화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선택 영역은 제1선택 영역(41), 제2선택 영역(43), 제3선택 영역(45), 제4선택 영역(47), 제5선택 영역(49), 제6선택 영역(51), 제7선택 영역(53), 제8선택 영역(55), 제9선택 영역(57) 등 9개로 구성된다. 이 중, 제1선택 영역(41)과, 제2선택 영역(43)과, 제3선택 영역(45)의 크기가 동일하며, 다른 선택 영역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선택 영역은 제3확대 배율을 가진다. 그리고 제4선택 영역(47), 제5선택 영역(49), 제6선택 영역(51)의 크기가 동일하며, 다른 선택 영역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선택 영역들은 제2확대 배율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제7선택 영역(53), 제8선택 영역(55), 제9선택 영역(57)의 크기가 동일하며, 다른 선택 영역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일 큰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선택 영역들은 제1확대 배율을 가진다. 상기 선택 영역들의 위치 좌표는 도3과 같이 도시된 상태에서 선택 영역들이 배경 이미지(40)와 결합했을 때 배경 이미지(40) 상에서 대응되는 위치 좌표이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selection area and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may include a
상기한 선택 영역들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이 실제적으로 확대되어 각각 대응하는 제1메뉴 배경 화면(41-1), 제2메뉴 배경 화면(43-1), 제3메뉴 배경 화면(45-1), 제4메뉴 배경 화면(47-1), 제5메뉴 배경 화면(49-1), 제6메뉴 배경 화면(51-1), 제7메뉴 배경 화면(53-1), 제8메뉴 배경 화면(55-1), 제9메뉴 배경 화면(57-1)이 최종 디스플레이된다. Some areas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의 메모리부(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선택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선택 영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부(11)는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임시 선택 메뉴를 변경하는 키의 입력, 예를 들어 방향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미리 저장된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고, 현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파악하여, 입력된 키에 할당된 줌 인/아웃 키 데이터 또는 스크롤 키 데이터에 대응하여 변경되어야 할 임의의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줌 인 키 데이터가 할당된 상향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는 상기 상향키 입력 직전에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선택 영역에 설정된 확대 배율 보다 한 단계 높은 확대 배율을 가지는 선택 영역을 미리 저장된 다수의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검출한다. 이때,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선택 영역은 다수개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향키 입력 전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화면에 대응하는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검출된 다수의 선택 영역 중 가장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또는 일치하는 영역이 많은 선택 영역의 선택 영역을 추출하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3을 참조하여, 현재 제5선택 영역(49)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이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상향키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5선택 영역(49)의 확대 배율이 제2배율임을 파악하고, 상향키가 입력되었으므로, 한 단계 높은 확대 배율인 제3확대배율을 가지는 선택 영역인, 제1선택 영역(41), 제2선택 영역(43), 제3선택 영역(45)들 중 상기 제5선택 영역(49)과 상기 배경 이미지(40) 상에서 겹쳐지는 선택 영역인 제2선택 영역(43)을 변경할 선택 영역으로 최종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제2선택 영역(43)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5메뉴 배경 화면(49-1)에서 제2메뉴 배경 화면(43-1)으로 메뉴 배경 화면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1)는 메뉴 배경 화면을 제5선택 영역(49)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에서 제2선택 영역(43)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줌 인하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말해, 제5메뉴 배경 화면(49-1)에서 점차적으로 줌 인되어 제2메뉴 배경 화면(43-1)이 디 스플레이되는 것이다. 그리고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도 상기 상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3, a case where a partial region of the
다른 예로, 현재 제5선택 영역(49)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이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줌 아웃 키 데이터가 할당된 하향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제어부(11)는 제5선택 영역(49)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에서 점차적으로 줌 아웃하여, 제8선택 영역(55)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도 상기 하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partial area of the
한편, 현재 제5선택 영역(49)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이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스크롤 키 데이터가 할당된 키, 가령, 좌향키가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선택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5선택 영역(49)의 확대 배율이 제2배율임을 파악하고, 좌향키가 입력되었으므로, 동일한 확대 배율을 가지는 선택 영역인, 제4선택 영역(47)과, 제6선택 영역(51) 중 상기 배경 이미지(40) 상에서 상기 제5선택 영역(49)의 왼쪽에 위치하는 선택 영역인 제4선택 영역(47)을 변경할 선택 영역으로 최종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제4선택 영역(47)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5메뉴 배경 화면(49-1)에서 제4메뉴 배경 화면(47-1)으로 메뉴 배경 화면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1)는 제4선택 영역(47)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4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후에, 제5메뉴 배경 화면(49-1)을 오른쪽으로 밀어내고, 연이어 확대된 이미지인 제4메뉴 배경 화면(47-1)을 오른쪽으로 당겨 내듯이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도 상기 좌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Meanwhile, when a part of the
상기한 제어부(11)의 동작 과정을 도4a와 도4b에 도시하였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근 메뉴 배경 화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4a와 도4b를 참조하여, 메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1)는 101단계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메뉴 리스트와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과 배경 이미지의 임의의 선택 영역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모드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어부(11)는 메뉴키 입력을 감지하면 메뉴 화면(80)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operation of the
이후, 2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임시 선택된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임시 선택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105단계로 진행하고, 임시 선택 메뉴를 변경하는 키 입력이 아니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임시 선택 메뉴 변경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향키이다. 1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키입력에 따라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면 107단계로 진행하고, 줌 인/아웃 키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으면 113단계로 진행한다. 즉, 방향키 중 상향키 또는 하향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는 107단계로 진행한다. 1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선택 영역 정 보를 참조하여, 줌 인/아웃 키데이터에 대응하여 확대 배율을 변경하고, 확대할 임의의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임의의 선택 영역 정보 검출한 후 109단계로 진행한다. 1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검출된 선택 영역 정보에 따라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변경된 확대 배율에 따라 조정하고, 즉 줌 인 하거나 줌 아웃하고 111단계로 진행한다. 111단계에서 제어부(11)는 조정된 이미지를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A로 진행하여, 도4b의 119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203, the
한편, 제어부(11)는 상기 103단계에서 감지된 키입력이 배경 줌 인/아웃 키 데이터를 발생하지 않으면 113단계에서 배경 스크롤 키 데이터가 발생하였음을 파악하여 115단계로 진행한다. 1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현재 배경 화면의 배율과 동일한 확대 배율을 가지는 선택 영역 정보 중 스크롤 키 데이터의 방향에 관련된 선택 영역 정보 검출하고 117단계로 진행한다. 117단계에서 제어부(11)는 검출된 선택 영역 정보에 따라 배경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A로 진행하여 도4b의 119단계로 진행한다. If the key input detected in
11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시 전체 메뉴 리스트와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배경 화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고 214단계로 진행한다. 214단계에서 제어부(11)는 메뉴 확정 선택 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 임시 선택된 메뉴의 세부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고, 메뉴 확정 선택 키 입력이 없으면 B로 진행하여 상기 도4a의 상기103단계로 진행하여, 103단계 내지 117단계를 반복 수행 한다. I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이미지가 3차원 이미지인 경우에도 3차원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임의의 선택 영역을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임의의 확대 배율에 따라 줌 인, 줌 아웃 하여 메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임의의 확대 배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뉴 배경 화면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선택 영역과 메뉴 배경 화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제1선택 영역(61), 제2선택 영역(63), 제3선택 영역(65), 제4선택 영역(67), 제5선택 영역(69), 제6선택 영역(71), 제7선택 영역(73), 제8선택 영역(75), 제9선택 영역(77)은 3차원 배경 이미지(70)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각 선택 영역에 대응되어 확대 배율이 설정되며, 상기 확대 배율과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선택 영역 정보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된다. 상기 확대 배율은 각각의 선택 영역의 위치 좌표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설정된다. 즉, 동일한 y 좌표를 가지는 선택 영역은 동일한 확대 배율이 설정되며, y 좌표가 달라지면 설정되는 확대 배율도 다르게 설정된다. 제어부(11)는 이와 같이 저장되는 선택 영역 정보와 입력되는 방향키의 종류에 대응하여 메뉴 배경 화면을 줌 인하거나 줌 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background image is a three-dimensional image, any selected area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may be zoomed in and out according to an arbitrary magnification in response to input of a direction key or displayed as a menu wallpaper. The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scroll and display the displayed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arbitrary magnification.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6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selection area and a menu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뉴 선택 모드에서 제공되는 메뉴 배경 화면을 줌 인하거나 줌 아웃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시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메뉴 배경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zoom in or zoom out a menu background screen provided in a menu selection mode, so that the user can feel pleasure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rovide a menu background screen dynamically.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257A KR100651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257A KR100651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1452B1 true KR100651452B1 (en) | 2006-11-30 |
Family
ID=3771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7257A KR100651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145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442B1 (en) | 2006-09-26 | 2007-1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Display the Standb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
KR20130060505A (en) * | 2011-11-30 | 2013-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1321586B1 (en) | 2012-05-07 | 2013-10-28 | 주식회사 리코시스 | User interface control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
KR101330942B1 (en) | 2007-04-04 | 2013-1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KR20180061691A (en)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based on vo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8030004A1 (en) | 1996-12-27 | 1998-07-09 | Ericsson Inc. | Icon driven phone menu system |
KR20000062539A (en) * | 1999-02-11 | 2000-10-25 |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on a display of such a terminal |
KR20020070752A (en) * | 2001-03-02 | 2002-09-11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Pocket telephone |
KR20050098542A (en) * | 2004-04-07 | 2005-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wireless terminal |
-
2005
- 2005-12-02 KR KR1020050117257A patent/KR10065145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8030004A1 (en) | 1996-12-27 | 1998-07-09 | Ericsson Inc. | Icon driven phone menu system |
KR20000062539A (en) * | 1999-02-11 | 2000-10-25 |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on a display of such a terminal |
KR20020070752A (en) * | 2001-03-02 | 2002-09-11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Pocket telephone |
KR20050098542A (en) * | 2004-04-07 | 2005-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wireless terminal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442B1 (en) | 2006-09-26 | 2007-1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Display the Standb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
KR101330942B1 (en) | 2007-04-04 | 2013-1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KR20130060505A (en) * | 2011-11-30 | 2013-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1870325B1 (en) * | 2011-11-30 | 2018-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1321586B1 (en) | 2012-05-07 | 2013-10-28 | 주식회사 리코시스 | User interface control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
KR20180061691A (en)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based on voice |
KR102664318B1 (en) | 2016-11-30 | 2024-05-09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based on vo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07342B1 (en) |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23979B1 (en) | A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in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ereof | |
US8607161B2 (en) | Configurable icon sizing and placement for wireless and other devices | |
KR10183638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in touch screen terminal | |
KR100790078B1 (en) | Quick access method and device from mobile terminal to application | |
KR101857564B1 (en)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mobile terminal | |
EP186807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and controlling the enlarged im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1956474A2 (en) |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u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 |
WO2006123513A1 (en) |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 |
WO2005069593A1 (en) |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 |
KR101622599B1 (en) | Mobile terminal and zoom imag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1009881B (en) |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im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9769089B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 |
JP4801009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100651452B1 (en)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90004524A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image browsing by keyboard | |
RU2389061C2 (en) | Device menu | |
KR100651547B1 (en) | How to display the menu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08140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instructions thereto | |
JP2012208633A (en) |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 |
US759419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ing | |
JPH11327730A (en) |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20060022114A (en)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esignated menu enlargement function of a display window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10556A (en) |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101356482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photograph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