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1417B1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417B1
KR100651417B1 KR1020050064237A KR20050064237A KR100651417B1 KR 100651417 B1 KR100651417 B1 KR 100651417B1 KR 1020050064237 A KR1020050064237 A KR 1020050064237A KR 20050064237 A KR20050064237 A KR 20050064237A KR 100651417 B1 KR100651417 B1 KR 100651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portable terminal
light source
keypad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태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417B1/ko
Priority to US11/452,624 priority patent/US7758225B2/en
Priority to EP06014489A priority patent/EP1744522B1/en
Priority to JP2006191139A priority patent/JP2007027115A/ja
Priority to EP10012290A priority patent/EP2262206A1/en
Priority to CNB2006101064275A priority patent/CN100518208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4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일면 상에 다수의 키버튼이 배열된 도파로; 상기 도파로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키버튼들을 조명하기 위한 빛을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을 감싸게 제공되어 빛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는 소수의 광원으로 키패드 전반에 설치된 키버튼들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의 수가 감소되므로 그에 따른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기, 키패드, 조명, 가이드 부재, 도파로, 광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LIGHTING APPARATUS FOR KEY PAD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키패드 201 : 인쇄회로기판
202 : 도파로 203 : 가이드 부재
211 : 돔 스위치 213 : 광원
223 : 키버튼 231 : 가이드 몸체
233 : 버퍼 부재 229 : 높이 조절 부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제공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의 입력, 저장된 정보, 멀티미디어 파일 검색 및 실행, 메뉴 선택 등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화면 표시도 함께 할 수 있게 구성되기도 하지만, 현재까지는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의도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색 / 실행시키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100)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100)는 일면에 돔 스위치(dome switch)(111)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101)과 다수의 키버튼(123)들이 배열된 실리콘 패드(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1)은 제품에 따라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키버튼(123)들은 각각 상기 돔 스위치(111)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실리콘 패드(102)에는 상기 돔 스위치(111)에 대면하는 접촉 돌기(1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123)들을 조작하면 상기 실리콘 패드(102)가 그에 상응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접촉 돌기(121)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111)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키버튼(123)들에는 각각에 할당된 키 값들이 문자로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기능, 입력 문자 등을 인식하여 의도하는 키버튼(123)을 조작하게 된다.
한편, 야간에도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100)는 발광 다이오드(113) 등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패드에 제공되는 조명 장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키패드 사용시 항상 키패드를 조명하거나 야간 에만 키패드를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키패드(1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13)로 구성된 조명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는 상기 키버튼(123)들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제공된 구성이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실리콘 패드(102)를 통해 확산되어 상기 키버튼(123)들에 각각 인쇄된 문자를 조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된 키패드 조명 장치는 각 키버튼들에 상응하는 수 또는 그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키버튼들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3×4 배열의 숫자 키만을 살펴보더라도 16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각 키버튼들의 하부 양측에 배치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 패턴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발광 다이오드 설치를 위한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어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 조명을 위한 광원의 수를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의 수를 줄이더라도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불필요한 유출을 제한하고 키패드 전반의 조명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 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일면 상에 다수의 키버튼이 배열된 도파로;
상기 도파로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키버튼들을 조명하기 위한 빛을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을 감싸게 제공되어 빛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패드(200)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200)는 각각 일부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선행 실시 예와 다르게 배 치된 것이다. 따라서, 각 실시 예들에 개시되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200)는 다수의 키버튼(223)들이 일면 상에 배열된 도파로(202)와, 상기 도파로(202)의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광원(213)과, 상기 광원(213)을 감싸게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203)로 구성된다. 상기 광원(213)은 소모 전력이 적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파로(202)는 광소재로 제작되거나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의 도광판으로 제작된다. 광소재로 제작되는 도파로를 살펴보면, 우선 평판형의 패드 내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매몰시키는 방법, 평판형의 코어 층을 형성하고 코어 층의 양면에 클래드 층을 형성하는 방법, 광섬유들을 배열하여 광섬유 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광섬유 어레이 자체를 상기 도파로(202)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를 매몰시키기 위한 패드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 빛을 도파시키거나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드 내에 적어도 한가닥 이상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매몰시켜 매몰된 광섬유를 통해 빛을 도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 상에는 상기 키버튼(223)들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난반사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는 상기 광원(213)의 광축(A) 상에 정렬되어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도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도파되던 빛은 상기 난반사 패턴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빛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명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난반사 패턴들은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파로(202)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도파로(202)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키버튼(223)들의 배열된 패턴을 따라 한가닥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배열시키거나 두가닥 또는 그 이상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213)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수에 상응하게 설치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다수 배열시켜 광섬유 어레이를 형성하고, 광섬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플라스틱 광섬유에 난반사 패턴들을 형성시킴으로써 각 키버튼(223)들을 조명할 수 있다. 즉, 키버튼(223)들에 배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배열시켜 플라스틱 광섬유들만으로 구성된 도파로(202)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파로(202)를 코어 층과 클래드 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코어 층이 광 도파층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코어 층을 통해 상기 도파로 전반으로 도파, 확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어 층과 클래드 층의 경계면에는 상기 키버튼(223)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난반사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코어 층을 통해 도파, 확산되는 빛을 난반사시키게 된다. 상기 난반사 패턴에 의해 난반사된 빛 중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빛은 상기 도 파로(202)의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파로가 광소재로 제작되는 경우, 패드의 적어도 일부분은 광 도파층(225)으로 제작하여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도파시키면서 난반사 패턴을 통해 도파된 빛을 외부로 유출시켜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명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도파로(202)가 광소재로 제작되는 경우 별도의 베이스 필름 등을 사용하여 상기 키버튼(223)들을 정렬, 배치한 후 상기 키버튼(223)들을 상기 도파로(202)의 일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파로(202)를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도광판으로 제작하는 것은 단일 재질로 제작하므로 광소재로 제작하는 것 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 자체로서 빛의 도파, 확산이 가능하므로 광소재로 제작되는 도파로와 달리 별도의 광 도파층(225)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도광판으로 확산되어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명하게 된다. 이때, 불필요한 빛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파로(202)의 양면은 차광 코팅을 실시하고, 각 키버튼(223)들이 부착되는 부분에서 차광 코팅이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도파로(202)는 다수의 돔 스위치(211)가 상기 키버튼(223)들과 상응하게 배치된 인쇄회로기판(201) 상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1)은 가요성 인쇄회로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돔 스위치(211)들은 각각 상기 도파로(202)의 타면에 형성된 접촉 돌기(221)와 대면하게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작하면 해당 돔 스위치(211)가 작동되어 각 키 값에 해당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도파로(202)의 가장자리를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201) 상에 고정되며 상기 광원(213)들 또한 상기 도파로(202)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201) 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광원(213)의 광축(A) 상에 상기 도파로(202)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파로(202)와 인쇄회로기판(201) 사이에는 높이 조절 부재(229)가 부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높이 조절 부재(229)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213)의 광축(A) 상에 상기 도파로(202)를 정렬시킴에 있어, 상기 도파로(202)의 가장자리가 굴곡을 이루게 구성하거나 평판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파로(202)가 평판 형상을 유지하는 경우 그 내부로 도파, 확산되는 빛의 손실이나 외부 유출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203)는 상기 광원(213)을 감싸게 제공되며, 가이드 몸체(2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1) 또는 단말기 하우징(209; 일부만 도시됨)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01)과 가이드 몸체(231) 사이 또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209)의 내주면과 가이드 몸체(231)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는 버퍼 부재(233)가 개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1)과 단말기 하우징(209)의 내주면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03) 제작시 발생될 수 있는 제작 공차를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203)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된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203)가 조립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201) 또는 단말기의 하우징(209)에 발생되는 응력을 상기 버퍼 부재(233)를 통해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작 공차로 인한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버퍼 부재(23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 예를 들면 폴리 우레탄, 실리콘, 스폰지 등의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203),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몸체(231)는 상기 광원(213)을 감싸는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도파로(202)의 일측단에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하우징(209)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1) 상에 고정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가이드 부재(203)는 상기 광원(213)의 빛이 출사되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203)의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기 광원(213)을 외부와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203)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거나 합성 수지로 제작되더라도 적어도 그 내주면은 금속 물질과 같이 가시광선 파장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로 코팅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부재(203)가 합성 수지로 제작되는 경우 사출공정을 통해 상기 단말기 하우징(209)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3)의 내주면이 빛을 반사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직접 상기 도파로(202)로 입사되지 않더라도 상기 가이드 부재(203)의 내주면에 의해 반사되어 결국 상기 도파로(202)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파로(202)로 입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광원(213)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상기 도파로(202) 전반으로 도파, 확산되어 각 키버튼(223)들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빛이 유출되면서 상기 키버튼(223)들을 조명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는 도파로의 일측에 광원을 설치하고 광원의 광축 상에 도파로를 정렬시킴으로써 소수의 광원으로 키패드 전반에 설치된 키버튼들을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광원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키패드 전반의 균일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의 수가 감소되므로 그에 따른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일면 상에 다수의 키버튼이 배열된 도파로;
    상기 도파로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키버튼들을 조명하기 위한 빛을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을 감싸게 제공되어 빛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파로 내로 입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도파로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은 금속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반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어 그 내주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반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도광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들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 난반사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도파하는 빛의 일부가 유출되어 상기 키버튼들을 조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패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조밀하게 형성하여 상기 키버튼들 전체에 균일한 조도를 확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코어 층과 상기 코어 층의 양면에 각각 적층된 클래드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코어 층을 통해 도파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적어도 일부가 광 도파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 도파층은 상기 광원의 광축 상에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동시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하우징 사이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인쇄회로기판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 개재되는 버퍼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스폰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적어도 일부가 광 도파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 도파층을 상기 광원의 광축 상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원과 인접하는 상기 도파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KR1020050064237A 2005-07-15 2005-07-15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37A KR100651417B1 (ko) 2005-07-15 2005-07-15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US11/452,624 US7758225B2 (en) 2005-07-15 2006-06-14 Key pad ligh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EP06014489A EP1744522B1 (en) 2005-07-15 2006-07-12 Key pad ligh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JP2006191139A JP2007027115A (ja) 2005-07-15 2006-07-12 携帯型端末のキーパッド照明装置
EP10012290A EP2262206A1 (en) 2005-07-15 2006-07-12 Key pad ligh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CNB2006101064275A CN100518208C (zh) 2005-07-15 2006-07-13 用于便携式终端的小键盘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37A KR100651417B1 (ko) 2005-07-15 2005-07-15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417B1 true KR100651417B1 (ko) 2006-11-29

Family

ID=3701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417B1 (ko) 2005-07-15 2005-07-15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8225B2 (ko)
EP (2) EP1744522B1 (ko)
JP (1) JP2007027115A (ko)
KR (1) KR100651417B1 (ko)
CN (1) CN100518208C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65B1 (ko) 2007-01-15 2007-04-04 에스맥 (주) 도광필름을 이용한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744283B1 (ko) *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KR100766337B1 (ko) 2006-12-22 2007-10-12 (주)아토콘 발광 키패드
KR100774971B1 (ko) 2006-12-07 2007-11-09 리엔리하이테크(주) 키패드용 백라이트 유닛
KR100780900B1 (ko) 2006-07-05 2008-01-02 (주)지엔씨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100895178B1 (ko) * 2007-05-10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KR100971627B1 (ko) * 2008-06-30 2010-07-22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 장치
KR101042919B1 (ko) * 2008-12-02 2011-06-20 주식회사 하이디스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US8471832B2 (en) 2007-03-02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assembly having light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CN103672739A (zh) * 2012-09-12 2014-03-26 株式会社Magma 键盘用导光膜及其制造方法
KR101440520B1 (ko) * 2008-02-26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52B1 (ko) * 2006-09-1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8234863A (ja) * 2007-03-16 2008-10-02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シート構造体及び操作スイッチ
KR20080088324A (ko) 2007-03-29 200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JP2008251367A (ja) * 2007-03-30 2008-10-16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シー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08251364A (ja) * 2007-03-30 2008-10-16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9547B2 (ja) * 2007-03-30 2012-03-0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KR101289697B1 (ko) 2007-04-12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부에 부분 발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및 방법
WO2008140135A1 (en) * 2007-05-10 2008-11-20 Hansung Elcomtec Co., Ltd. Light-emitting keypad with light guid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184751A4 (en) * 2007-08-30 2013-05-22 Fujitsu Ltd STRUCTURE FOR ILLUMINATING A KEY OPERATING PART, ELECTRONIC UNIT,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KEY OPERATING PART
JP4898645B2 (ja) * 2007-12-12 2012-03-2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部品の表面処理方法及び部品
JP5020050B2 (ja) * 2007-12-13 2012-09-0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09187855A (ja) * 2008-02-08 2009-08-20 Shin Etsu Polymer Co Ltd 携帯電話の照明構造
TWI402717B (zh) * 2008-05-13 2013-07-21 Chicony Electronic Co Ltd Glowing keyboard
KR101244114B1 (ko) * 2008-09-26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JP4402735B1 (ja) 2008-12-16 2010-01-2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遮光性導光シート、押釦スイッチおよ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00214135A1 (en) * 2009-02-26 2010-08-2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ear-projected user interface
FI20096108L (fi) * 2009-10-28 2011-04-29 Perlos Oyj Järjestely
TWM407429U (en) * 2010-12-27 2011-07-11 Darfon Electronics Corp Luminescent keyswitch and luminescent keyboard
US8674251B2 (en) * 2011-07-04 2014-03-18 Fortrend Taiwan Scientific Corp. Single side touch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805141B2 (en) 2011-10-07 2014-08-12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9070520B2 (en) 2012-04-19 2015-06-30 Giga-Byte Technology Co., Ltd. Illumination module and illuminated keyboard having the same
EP2664979A1 (en) * 2012-05-14 2013-11-20 Giga-Byte Technology Co., Ltd. Illumination module and illuminated keyboard having the same
CN102853376B (zh) * 2012-08-01 2015-10-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软键盘字符的导光组件及触摸屏手机
TWM448778U (zh) * 2012-11-02 2013-03-11 Darfon Electronics Corp 保護蓋及鍵盤
US10314427B2 (en) * 2015-07-27 2019-06-11 Whirlpool Corporation Light guide for generating illuminated indicia for an electric burner of a heating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305Y1 (ko) * 2005-04-16 2005-06-29 최현철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키패드용 백라이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7665A (en) * 1941-03-04 1944-05-02 Christensen Geneva Bandy Internal reflection lighting means
JPS5468564A (en) 1977-11-10 1979-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uton dryer
JPS6431628U (ko) 1987-08-20 1989-02-27
JP2503643Y2 (ja) 1990-01-31 1996-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428691A (ja) 1990-05-21 1992-01-3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用ステップ並びにそれに用いる注意体
JPH0475217A (ja) 1990-07-18 1992-03-10 Oki Electric Ind Co Ltd 操作パネル照明構造
US5097396A (en) * 1990-09-25 1992-03-17 Poly-Optical Products, Inc. Fiber optic backlighting panel
JPH04304684A (ja) 1991-04-01 1992-10-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JPH0590756A (ja) 1991-09-28 1993-04-09 Ibiden Co Ltd リジツドフレキ基板の製造方法
US5237607A (en) * 1992-01-03 1993-08-17 At&T Bell Laboratories Lighted telephone dial
JP3256970B2 (ja) * 1992-07-13 2002-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状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842739B2 (ja) * 1992-09-14 1999-01-06 富士通株式会社 面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CA2121653C (en) * 1993-05-05 1997-05-13 Kevin D. Kaschke Optical fiber light emitting apparatus
JPH08201805A (ja) * 1995-01-31 1996-08-09 Minolta Co Ltd 液晶表示面の照明構造
US5847336A (en) * 1997-05-02 1998-12-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rect keypad backlighting
US5857049A (en) * 1997-05-05 1999-01-05 Lucent Technologies, Inc., Precision alignment of optoelectronic devices
US6134092A (en) * 1998-04-08 2000-10-17 Teledyne Lighting And Display Products, Inc. Illumination device for non-emissive displays
US6918677B2 (en) * 1999-09-15 2005-07-19 Michael Shipman Illuminated keyboard
JP2002133936A (ja) * 2000-10-26 2002-05-10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02311428A (ja) * 2001-04-11 2002-10-2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901503B2 (ja) * 2001-07-30 2007-04-0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74926B2 (en) * 2001-11-26 2005-04-05 Nokia Corporation Illumina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ATE332477T1 (de) * 2002-02-12 2006-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eleuchtungsvorrichtung und diese verwendende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CN1453600A (zh) * 2002-04-24 2003-11-05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发光构件及其制造方法以及利用此构件的发光键盘
DE50308334D1 (de) * 2002-05-07 2007-11-22 Schott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Schaltflächen
JP2004079499A (ja) 2002-06-19 2004-03-1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用シート
JP4080271B2 (ja) 2002-08-01 2008-04-23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キースイッチ
JP4216577B2 (ja) * 2002-12-20 2009-01-2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導光板
JP4299568B2 (ja) 2003-03-31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ロント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356028A (ja) 2003-05-30 2004-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押釦スイッチ装置
JP4382432B2 (ja) 2003-10-10 2009-12-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照式押釦入力装置
JP2005148115A (ja) 2003-11-11 2005-06-09 Fuji Photo Film Co Ltd 光結合モジュール
US7196693B2 (en) * 2003-12-12 2007-03-27 Compal Electronics, Inc. Lighting keyboard and lighting module thereof
KR100692742B1 (ko) * 2005-05-1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층을 갖는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ATE418149T1 (de) * 2005-05-19 200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statur und tastaturanordnung
KR100754587B1 (ko) * 2006-03-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US7232969B1 (en) * 2006-04-06 2007-06-19 Speed Tech Corp. Keyp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305Y1 (ko) * 2005-04-16 2005-06-29 최현철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키패드용 백라이팅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283B1 (ko) *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US7572994B2 (en) 2005-12-05 2009-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KR100780900B1 (ko) 2006-07-05 2008-01-02 (주)지엔씨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100774971B1 (ko) 2006-12-07 2007-11-09 리엔리하이테크(주) 키패드용 백라이트 유닛
KR100766337B1 (ko) 2006-12-22 2007-10-12 (주)아토콘 발광 키패드
KR100703865B1 (ko) 2007-01-15 2007-04-04 에스맥 (주) 도광필름을 이용한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8471832B2 (en) 2007-03-02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assembly having light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KR100895178B1 (ko) * 2007-05-10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KR101440520B1 (ko) * 2008-02-26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장치
KR100971627B1 (ko) * 2008-06-30 2010-07-22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 장치
KR101042919B1 (ko) * 2008-12-02 2011-06-20 주식회사 하이디스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CN103672739A (zh) * 2012-09-12 2014-03-26 株式会社Magma 键盘用导光膜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8225B2 (en) 2010-07-20
EP1744522A3 (en) 2008-04-02
CN100518208C (zh) 2009-07-22
EP2262206A1 (en) 2010-12-15
US20070041573A1 (en) 2007-02-22
JP2007027115A (ja) 2007-02-01
EP1744522B1 (en) 2011-05-18
CN1897604A (zh) 2007-01-17
EP1744522A2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KR10084932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JP4308831B2 (ja) 導光層を有するキーパッド、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及び携帯端末
KR100689394B1 (ko) 휴대 장치용 키패드 어셈블리
EP1724800B1 (en) Key pad and keypad assembly
US7959342B2 (en) Waveguide member and keypad assembly using the same
KR100754686B1 (ko) 키패드 어셈블리
US8049728B2 (en)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7825907B2 (en)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7982718B2 (en) Mobile terminal with back-lighted directional keys
JP5045755B2 (ja) キー操作部の照光構造、電子装置、携帯装置、及びキー操作部の照光方法
CN100469083C (zh) 一种电子装置
US6550927B1 (en) Light guide for a communication unit
KR100895178B1 (ko) 키패드 어셈블리
US20090266691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834610B1 (ko) 키패드 어셈블리의 백라이팅 장치
KR20060082218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