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1182B1 -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82B1
KR100651182B1 KR1020050013112A KR20050013112A KR100651182B1 KR 100651182 B1 KR100651182 B1 KR 100651182B1 KR 1020050013112 A KR1020050013112 A KR 1020050013112A KR 20050013112 A KR20050013112 A KR 20050013112A KR 100651182 B1 KR100651182 B1 KR 10065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weight
flame retardant
melamine
co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044A (ko
Inventor
최영호
이승호
황용연
이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1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82B1/ko
Priority to US11/571,384 priority patent/US7678851B2/en
Priority to JP2007519112A priority patent/JP2008505199A/ja
Priority to CNB2005800224891A priority patent/CN100516139C/zh
Priority to PCT/KR2005/000474 priority patent/WO2006004245A1/en
Publication of KR2006004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7Arrangements for laying 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3/00Gatherers for removing stones, undesirable roots or the like from the soil, e.g. tractor-drawn r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7Arrangements for laying 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01G13/372Arrangements for laying 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for removing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기초 수지 혼합물에 상용화제, 멜라민계 난연제 및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할로겐계 난연제 사용없이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멜라민계 난연제,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Description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Nanocomposite thermoplast non-halogen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sistance}
본 발명은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기초 수지 혼합물에 상용화제, 멜라민계 난연제 및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우수한 가공성과 물성을 지니고 있고, 외관 및 충격강도가 우수해서 전기전자 제품과 사무용 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또, 폴리아미드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계부품 및 전기전자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두 재료를 블렌드해서 사용할 경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습성 및 치수안정성과 폴리아미드 수지의 우수한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을 통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기전자 제품과 사무용 기기는 사용시 많은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가 난연성을 지녀야 한다.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난연화 방법으로는 할로겐계 화 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와 브롬화 에폭시 등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난연제이며 안티몬 화합물이 난연성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할로겐계 화합물은 가공시 금형을 부식 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고 연소할 때에는 분해되어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브롬계 화합물은 연소시 다이옥신이나 퓨란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되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사용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안티몬 화합물 또한 독성 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할로겐 화합물과 안티몬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 수지 조성에 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할로겐 화합물과 안티몬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 수지 조성에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할로겐계 화합물에 비하여 난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한편, 클레이 분산 나노복합체 제조기술은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점토광물을 나노 스케일의 판상 기본단위로 박리하여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킴으로서 범용성 고분자의 낮은 기계적 물성의 한계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준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블랜딩한 수지 혼합물에 멜라민계 난연제 및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2∼79 중량%,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18∼95 중량%, 및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3∼80 중량%로 구성되는 기초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상용화제 0.1∼15 중량부,
c) 멜라민계 난연제 5∼30 중량부 및
d)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0.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블렌딩을 통해 그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멜라민계 난연제와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첨가하여 난연성과 물성을 향상시킨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및 핵 치환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스티렌계 수지 30∼6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수지 10∼30 중량%로 구성된 화합물을 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무 10∼60 중량%에 그라프트시킨 수지이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통상의 중합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나 괴상중합과 유화중합으로 합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타디엔 고무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그라프트시킨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가 널리 사용된다.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기초 수지 혼합물 중에서 2∼79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변성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사용량이 2 중량% 미만이면 노치충격강도가 저하되며, 79 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및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69, 나일론 610, 나일론 6/66, 나일론 612, 나일론611, 나일론11, 나일론 12, 나일론61, 나일론 6T,/6I, 나일론66/6T, 폴리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도데카미드(나일론PACM12), 폴리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도데카마이드(나일론 디메틸 PACM12),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파미드(MXD6), 폴리운데카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나일론 11T) 및 폴리운데카 메틸렌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아미드(나일론11T(H))이고, 이때 I는 이소프탈릭산을, T는 테레프탈릭산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화합물 둘 이상의 혼합물이나 공중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중에서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 12, 나일론610과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나일론6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에 의해 부여되는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을 위해서 폴리아미드의 상대점도는 1.5∼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점도가 1.5보다 낮으면 소기의 물성을 나타내기 힘들고, 상대점도가 5.0보다 높으면 제조비용 상승과 가공의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한편, 폴리아미드는 상대점도 측정으로부터 중합도의 간이 측정치를 알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전체 기초 수지 중에서 18∼95 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아미드의 사용량이 18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성질의 저하가 야기되며, 95 중량%를 초과하면 노치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 폴리아미드는 필요하다면, 다른 공중합될 수 있는 성분과 공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아미드는 용융중합 또는 고상중합에 의해 생산되어질 수 있다.
폴리아미드/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재료의 우수한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과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의 우수한 충격특성, 치수안정성, 페인트 부착성 및 외관특성(Good Appearance)을 상호 연계 물성으로 발현함으로써 결정성 고분자(Semi-crystalline Polymer)와 무정형 고분자(Amorphous Polymer)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 내는 조성이다.
(3)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및 핵 치환 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스티렌계 화합물 50∼8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 20∼50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의 중합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나 괴상중합또는 유화중합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전체 기초 수지 중에서 3∼8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의 사용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치수안정성이 나빠지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주요 성분은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통상 ABS, ASA, AES, HIPS 등이나 주로 ABS)이다. 여기서 ABS는 통상적으로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의 인터폴리머(interpolymer)로서 전자는 수지조성물의 충격특성을, 후자는 강성, 내열성 등을 담당하며 각각 조성성분의 변화와 조성비율로써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4) 상용화제
본 발명의 상용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스티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팅 공중합체 (ABS-g-MA)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팅공중합체(AS-g-MA)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팅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는 스티렌을 무수말레인산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SMA)는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또는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있으며, 폴리아미드와는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하여 상용성을 발현한다.
[반응식1]
Figure 112005008356326-pat00001
상용화제는 전체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결정계 수지인 폴리아미드와 비결정계 수지인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없어 상기 수지들이 가지는 우수한 특성을 발현하기 어렵고, 사용량이 15 중량부보다 많게 되면 수지 내 가교가 많이 일어나 가공성이 매우 나빠진다.
(5) 멜라민계 난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멜라민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또는 멜라민 유도체가 있고, 예를들어 멜라민, 시아눌산 멜라민,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멜라민계 난연제는 전체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계 난연제를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난연성이 저하되며, 3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충격강도가 낮아진다.
(6)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는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사포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층상 실리케이트를 유기화제로 유기화한 것이다.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고분자 내에 나노 크기로 박리, 분산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유기화제로는 알킬암모늄, 알코올류, 케톤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중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열안정 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적하 방지제, 안료 및 무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적하 방지제, 안료 또는 무기 충진제는 관련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족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은 (1)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3)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4) 상용화제, (5) 멜라민계 난연제, (6)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로 구성되며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엘지화학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 수지는 부타디엔 고무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그라프트시킨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아크릴로니트릴 14 중량%, 스티렌 36 중량% 및 부타디엔 고무 50 중량%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035823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유화중합방법으로 합성한 것이다.
(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ε-카프로락탐을 물 존 재 하에 개환중합하여 나일론 6를 제조하였다.
(3)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는 ㈜ 엘지화학 SAN® 제품을 사용하였다.
(4) 상용화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인 ATOFINA사의 SMA® EF-30을 사용하였다.
(5) 멜라민계 난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멜라민계 난연제는 DSM사의 Melapur® MC25(시아눌산 멜라민)을 사용하였다.
(6)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10g을 3차 증류수 1000 ml에 초음파처리기(sonicator)를 사용하여 분산시켰고, 중합도 600 정도의 폴리비닐알코올을 10g을 증류수 1000 ml에 완전히 녹였다. 그후, 몬트모릴로나이트 분산 수용액 1010ml에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 1000 ml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시키고. 진공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반응물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14 중량%,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65 중량%와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21 중량%로 구성된 전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용화제로 SMA® EF-30 1중량부, 난연제로 Melapur® MC25(시아눌산 멜라민) 5 중량부,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PVA-modified-MMT) 1 중량부를 사용하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난연제로 Melapur® MC25를 10 중량부로 증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용화제로 SMA® EF-30을 10 중량부, 난연제로 Melapur® MC25(시아눌산 멜라민)를 20 중량부,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난연제로 Melapur® MC25(시아눌산 멜라민)를 30 중량부,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난연제로 Melapur® MC25를 3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난연제로 Melapur® MC25를 3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중량%와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60 중량%로 구성된 전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조성과 이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난연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ASTM D-638에 따라 측정하고 충격강도는 ASTM D-256 조건에 따라 노치 충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난연도는 UL94 VB난연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14 14 14 14 14 14 14 40 14
폴리아미드 65 65 65 65 65 65 65 - 65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21 21 21 21 21 21 21 60 21
SMA®EF-30 1 1 10 1 1 1 - 1 1
Melapur®MC 25 5 10 20 30 3 35 10 10 10
PVA-modified-MMT 1 1 5 5 1 1 1 1 -
인장강도 (kg/cm2) 753 742 729 696 761 669 478 521 720
충격강도 (1/4") 27 24 15 11 21 4 3 26 23
난연도 (1/8") V-1 V-0 V-0 V-0 X V-0 V-0 X V-1
실시예 1∼4에서와 같이 스티렌계 공중합체에 폴리아미드 수지, SMA® EF-30을 블랜딩하고 멜라민계 난연제를 첨가한 경우 우수한 난연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멜라민계 난연제를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충분한 난연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비교예 2와 같이 멜라민계 난연제를 30 중량부 초과하는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은 우수하나 충격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과 같이 상용화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난연성은 우수하나,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와 같이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단독 사용한 수지에 멜라민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충분한 난연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블렌딩을 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우수한 난연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2와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난연도를 비교해 보면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의 난연도가 더욱 우수하며, 인장강도 또한 실시예 2가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 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기초 수지 혼합물에 상용화제, 멜라민계 난연제 및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첨가함으로써 할로겐계 난연제 사용없이도 난연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a)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2∼79 중량%,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18∼95 중량%, 및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3∼80 중량%로 구성되는 기초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팅 공중합체(ABS-g-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팅 공중합체(AS-g-MA)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상용화제 0.1∼15 중량부,
    c) 멜라민계 난연제 5∼30 중량부 및
    d)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0.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프렌,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고무 10∼60 중량%에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및 핵치환 스티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스티렌계 수지 30∼6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아크릴계 수지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1.5∼5.0의 상대점도를 가지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가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및 핵치환 스티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50∼8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20∼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난연제가 멜라민, 시아눌산 멜라민,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층상실리케이트가 알킬암모늄, 중합도 5 ∼ 1000의 알코올류 및 케톤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유기화제로 유기화된 몬트모릴 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사포나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층상 실리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활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적하 방지제, 안료 및 무기 충진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50013112A 2004-07-02 2005-02-17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112A KR100651182B1 (ko) 2004-07-02 2005-02-17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571,384 US7678851B2 (en) 2004-07-02 2005-02-22 Nanocomposit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sistance
JP2007519112A JP2008505199A (ja) 2004-07-02 2005-02-22 ナノ複合体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B2005800224891A CN100516139C (zh) 2004-07-02 2005-02-22 具有耐火性的纳米复合热塑性树脂组合物
PCT/KR2005/000474 WO2006004245A1 (en) 2004-07-02 2005-02-22 Nanocomposit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560 2004-07-02
KR1020050013112A KR100651182B1 (ko) 2004-07-02 2005-02-17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044A KR20060042044A (ko) 2006-05-12
KR100651182B1 true KR100651182B1 (ko) 2006-11-30

Family

ID=3714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1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182B1 (ko) 2004-07-02 2005-02-17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3B1 (ko) * 2009-12-07 2013-01-0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에이비에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63B1 (ko) * 2005-12-30 2007-07-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나노복합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915A (ko) * 1997-08-29 1999-03-25 귀틀라인 플라스틱용 난연성 상승 배합물
JP2000044763A (ja) 1998-07-27 2000-02-15 Nippon A & L Kk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30069914A (ko) * 2003-06-16 2003-08-27 주식회사 엔씨텍 내열성 및 상용성이 우수한 층상 유기점토 및 그의 복합체
KR20050041310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915A (ko) * 1997-08-29 1999-03-25 귀틀라인 플라스틱용 난연성 상승 배합물
JP2000044763A (ja) 1998-07-27 2000-02-15 Nippon A & L Kk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30069914A (ko) * 2003-06-16 2003-08-27 주식회사 엔씨텍 내열성 및 상용성이 우수한 층상 유기점토 및 그의 복합체
KR20050041310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3B1 (ko) * 2009-12-07 2013-01-0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에이비에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044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1177B (zh) 具有优良的耐气候性和热稳定性的丙烯腈-丁二烯-苯乙烯树脂组合物
US7553898B2 (en) Flame retardant plastic compositions
KR101685771B1 (ko)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0446756B (zh) 含pvp的阻燃聚酰胺
KR20190130132A (ko) 난연성 스티렌-함유 제제
KR100665802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99455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7678851B2 (en) Nanocomposit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sistance
KR100662184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61776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coloring properties, and scratch resistance
KR100651182B1 (ko)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6500457A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569757B1 (ko) 비할로겐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654534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65612B1 (ko)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비할로겐 난연성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얼로이수지 조성물
EP1756217B1 (en)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797576B1 (ko) 유기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0765697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20150067480A (ko)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KR1020668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869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600554B1 (ko) 난연성 고무강화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1737176B1 (ko) 비할로겐 난연수지 조성물
KR20020079005A (ko)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783022B1 (ko)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