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98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9985B1 KR100649985B1 KR1020050010752A KR20050010752A KR100649985B1 KR 100649985 B1 KR100649985 B1 KR 100649985B1 KR 1020050010752 A KR1020050010752 A KR 1020050010752A KR 20050010752 A KR20050010752 A KR 20050010752A KR 100649985 B1 KR100649985 B1 KR 100649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voice command
- module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MP3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MP3모듈사용 시, 음성인식 리모콘을 사용하도록 명령하며, 입력되는 음성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음성명령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음성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명령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과, 상기 디지털데이터로 변형된 음성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음성명령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MP3모듈을 포함하여, 사람이 많은 버스나 지하철 및 길거리에서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상기 음성인식 리모콘을 사용하여 상기 MP3모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편의가 제공된다. 또한, 이어폰에 리모콘을 장착하지 않고 상기 음성인식리모콘을 사용하므로 상기 이어폰의 핀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MP3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odule, comprising: a memory unit storing voice command data us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using the module, the command to use the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and compares the input voice command with the voice comm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 unit,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MP3 operating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command when the codec for converting the voic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to digital data and the voice command transformed into the digital data and the voice comm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match. Including crowds of modules, people can take their hands out of buses, subways and streets The convenience of using speech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to easily control the MP3 module is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s used without attaching the remote control to the earphon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in count of the earphone from being increased.
음성인식, MP3, 리모콘, MP3단말기Voice recognition, MP3, remote control, MP3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MP3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an MP3 function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 리모콘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P3(MPEG Audio Layer-3)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MP3 module using voice recogn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PEG Audio Layer-3) module. And to a method.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 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사)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thus, service providers (terminal manufacturer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terminals having more special functions to secure a large number of users.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phone book, a game, a scheduler, a short message, the internet, an e-mail, a morning call, a morning call, It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MP3 (MPEG Audio Layer-3) and Digital Camera.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목을 받는 기능이 "MP3" 기능이다. 기존의 MP3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이하, MP3폰이라 칭함)는 상기 MP3파일을 저장할 메모리의 용량의 문제 때문에 인기를 얻지 못하였지만, 최근 개발되는 상기 MP3폰은 추가메모리의 탈착이 가능해지면서 문제가 됐던 메모리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배터리사용 시간의 증가로 그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the function that receives att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MP3" functio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P3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P3 phone) has not gained popularity due to the capacity of the memory to store the MP3 file, but the recently developed MP3 phone has been able to detach additional memory. The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problem of insufficient memory and the increase of battery life.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니카세트나 CD Player(Compact Disk Player) 및 MP3 Player는 이어폰에 리모콘(Remote Controller)이 결합되어, 본체는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The current mini-cassette, CD player (Compact Disk Player) and MP3 Player are combined with a remote controller in the earphones, and the main unit can be easily controlled using the remote control in the bag or pocket. have.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MP3폰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을 사용하므로 리모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상기 MP3모드 사용 중,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서 직접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에 리모콘을 장착할 경우, 상기 이어폰의 핀 수의 증가로 사실상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since the MP3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the earphon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 is no remote control function, it is inconvenient to adjust directly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other functions during the use of the MP3 mode. There is a ham. In addition, when the remote control is mounted on the ear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rtual implement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ins of the earph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MP3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MP3 function using voice recogn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MP3(MPEG Audio Layer-3)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MP3모듈사용 시, 음성인식 리모콘을 사용하도록 명령하며, 입력되는 음성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음성명령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음성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명령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덱과, 상기 디지털데이터로 변형된 음성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음성명령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MP3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P3 (MPEG Audio Layer-3) module for controlling the MP3 module using voice recogn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voice command data usable in the controller, a comman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when the MP3 module is used,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whether the voice command data is identical to the voice comm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a codec for converting a voic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to digital data, a voice command transformed into the digital data, and a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If the data matc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MP3 modul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command.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MP3(MPEG Audio Layer-3)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P3모드 시, 음성인식 키가 선택되면, 상기 MP3모드를 제어할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음성 명령과 미리 저장된 음성명령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음성 명령과 미리 저장된 음성명령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상기 입력받은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MP3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MP3 module using voice recogn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PEG Audio Layer-3) module, in the MP3 mode, when the voice recognition key is selected Receiving a voice command to control the MP3 mode; comparing the received voice command with pre-stored voice command data; and if the received voice command matches the pre-stored voice command data, the inpu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eived voice comm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MP3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MP3(MPEG Audio Layer-3 : 이하, MP3라 칭함)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MP3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MP3 function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PEG Audio Layer-3: MP3)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MP3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ersonal Date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1 shows a block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odule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personal date assistant,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terminal.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메모리(106)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명령에 따라 MP3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따 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 unit (MPU: Micro-Processer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nd compares with command data stored in the
통신부(102)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표시부(10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메모리(106)는 미 도시되었지만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명령에 따라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플래쉬롬(flash ROM)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키(또는 방향키) 버튼(▲/▼/◀/▶) 등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 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한다.The keypad (key pad) 108 is a numeric key buttons of 0-9, menu button (menu), cancel button (clear), confirmation button, call button (TALK), end button (END), Internet access button,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a navigation key (or a direction key) button (▲ / ▼ / ◀ / ▶) are provided, and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또한, MP3메모리(112)는 데이터포트(110)를 통해 컴퓨터로부터 다운받은 MP3 음악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MP3메모리(112)는 번호정보별 노래 제목정보 및 MP3형태의 음악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악파일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P3 재생처리부(114)는 상기 MP3메모리(112)에 저장된 MP3음악파일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로 재생 처리하고, 상기 재생되는 MP3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음성처리부(116)로 제공한다.The
상기 음성처리부(116)는 코덱이라고 칭하기도 하며, 마이크(118)와 스피커(120)및 음성입출력포트(122)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출력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20) 또는 상기 음성입출력포트(122)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8)와 상기 음성입출력포트(12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The
또한, 상기 음성처리부(116)는 상기 음성입출력포트(122)의 헤드셋(H) 결합상태 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헤드셋(H)이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음성입출력포트의 음성신호 입출력 처리를 행하고, 상기 헤드셋(H)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118)와 스피커(120)를 통해 음성신호 입출력처리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음성입출력포트(12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헤드셋(H)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셋(H)이 상기 음성입출력포트(122)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된 경우, 음성신호는 상기 헤드셋(H)을 통해 입출력된다.The voice input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procedure for controlling an MP3 module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01단계에서 MP3(MPEG Audio Layer-3)모드가 사용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MP3모드가 사용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 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 first, the
만일, 상기 MP3모드가 사용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음성 인식키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키는 이어폰을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중 특정키를 음성 인식키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만일, 상기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이어폰에 달려있는 음성인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음성인식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구성방법에 따라서는 상기 MP3모드 사용 시, 음성인식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미리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인식 모드로의 자동 전환여부는 상기 사용자가 헤드셋(H)을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도록 정할 수 있다.If the MP3 mode is used, the
상기 음성 인식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When the voice recognition key is selected, the
만일, 상기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 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상기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데이터( 예 : 재생, 정지, 앞으로, 뒤로 )들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면, 즉 상기 음성신호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되어있지 않은 명령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인식 불가 경고 메시지 및 경고음을 발생시킨다.If the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MP3 module is input, the
만일,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식된 음성신호에 맞는 명령어 데이터를 검출한 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검출한 명령어를 이용하여 상기 MP3모듈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If the input voice signal is recognized, the
한편, 음성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MP3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서,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도 2의 205단계의 음성인식 모드 활성화 이후 어느 때라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키 또는 이어폰에 달린 음성인식 스위치와 같은 상기 음성인식 키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종료한 후, 상기 도 2의 201단계 즉, 상기 MP3모드 사용 여부의 검사 단계로 되돌아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MP3 modul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lthough not shown, at any time after the voice recognition mode activation of
즉, MP3 음악 청취 중 음성인식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수신호가 있으면, 신속하게 음성인식 모드를 종료하고 통화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상기 음성인식 키를 반복하여 눌러 상기 201단계의 MP3모드 사용 여부의 검사단계로 되돌아가는 경우, 현재 상태가 수신호 수신상태임을 감지하고 곧바로 해당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f there is a hand signal while the voice recognition mode is activated while listening to the MP3 music, the voice recognition mode can be quickly terminated and the call mode can be advanced.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voice recognition key is repeatedly pressed to return to the check step of whether to use the MP3 mode i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MP3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MP3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이 많은 버스나 지하철 및 길거리에서 MP3폰을 꺼내지 않고 상기 음성인식 리모콘을 사용하여 상기 MP3모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편의가 제공된다. 또한, 이어폰에 리모콘을 장착하지 않고 상기 음성 인식리모콘을 사용하므로 상기 이어폰의 핀 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MP3 module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MP3 module, the MP3 using the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without taking out the MP3 phone on the bus, subway and street Convenience to easily control the module is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s used without attaching the remote control to the earphon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in count of the earphone from being increased.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0752A KR100649985B1 (en) | 2005-02-04 | 2005-0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0752A KR100649985B1 (en) | 2005-02-04 | 2005-0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9493A KR20060089493A (en) | 2006-08-09 |
KR100649985B1 true KR100649985B1 (en) | 2006-11-27 |
Family
ID=3717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07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9985B1 (en) | 2005-02-04 | 2005-0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99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8975B1 (en) * | 2007-01-03 | 2008-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US8995625B2 (en) | 2009-09-30 | 2015-03-31 | T-Mobile Usa, Inc. | Unified interface and routing module for handling audio input |
US9111538B2 (en) | 2009-09-30 | 2015-08-18 | T-Mobile Usa, Inc. | Genius button secondary command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946A (en) * | 1995-06-01 | 1999-03-25 | 몬타나 리미티드 | Extract from Ginkgo biloba Leaves |
KR20010076508A (en) * | 2000-01-26 | 2001-08-16 | 구자홍 | Song title selecting method for mp3 player compatible mobile phone by voice recognition |
-
2005
- 2005-02-04 KR KR1020050010752A patent/KR1006499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946A (en) * | 1995-06-01 | 1999-03-25 | 몬타나 리미티드 | Extract from Ginkgo biloba Leaves |
KR20010076508A (en) * | 2000-01-26 | 2001-08-16 | 구자홍 | Song title selecting method for mp3 player compatible mobile phone by voice recognition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10076508 * |
2019990021946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9493A (en) | 2006-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92880B2 (en) | Hands-free function | |
EP364128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 |
US20220021761A1 (en) |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050208893A1 (en) |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 |
JP392713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ed in the same | |
US20070060195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 |
JP2004208171A (en) | Radio acoustic device and sound acquiring method in the device | |
JP2003023479A (en) | Portable radio terminal | |
KR20030011146A (en) | Assistant device for mobile-phone by using bluetooth | |
KR10064998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06299A (en) | Audio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stop and power off function by detecting whether earphone is installed | |
JP2004023535A (en) |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 |
CN111556406B (en) | Audio processing method, audio processing device and earphone | |
KR10107168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H11308309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317020Y1 (en) | Handset Equipped with Portabl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 |
KR20060070593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MP3 playback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20070049717A (en) |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rpack | |
KR20060073338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speaker of a sound source device and its method | |
KR20070045000A (en) | How to play music files on your mobile device | |
KR20070006035A (en) | How to handle incoming calls while using handsfre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100829A (en) | Apparatus for outputting stereo beep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101803A (en) | Ear-microphone with memory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management method of it | |
KR20060061615A (en) | Output means se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