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8656B1 -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56B1
KR100648656B1 KR1020040105668A KR20040105668A KR100648656B1 KR 100648656 B1 KR100648656 B1 KR 100648656B1 KR 1020040105668 A KR1020040105668 A KR 1020040105668A KR 20040105668 A KR20040105668 A KR 20040105668A KR 100648656 B1 KR100648656 B1 KR 10064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ixel
error diffusion
input
err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986A (ko
Inventor
강기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56B1/ko
Priority to US11/280,277 priority patent/US8432580B2/en
Publication of KR2006006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1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dispersed dots halftone pattern, the do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ize
    • H04N1/4052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dispersed dots halftone pattern, the do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ize by error diffusion, i.e. transferring the binarising error to neighbouring dot deci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8Quantising the image, e.g. histogram thresholding for discrimination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방법은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을 복수의 문턱값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되,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소정 방식에 의해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을 구하는 단계 및 오차값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들로 전파하여 주변화소의 입력계조값들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입력영상의 중간보다 어두운 영역에서 레이저 빔 에너지의 오버랩 현상 등에 의해 중간 계조가 표현되지 못하고 흑색에 가까운 계조만이 표현되는 문제를 개선한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오차확산, 토너, 중첩, 계조, 이진영상

Description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Error diffu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이진레벨로 처리된 이진영상을 레이저 프린터에 적용시, 실제 구현되는 이미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3-레벨로 처리된 이진영상을 레이저 프린터에 적용시, 실제 구현되는 이미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계조값 '255'에서 '0'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처리시 생성되는 이진영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장치의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255'에서 '0' 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입력영상을 3-레벨로 오차확산 처리시 각 입력계조값에서 생성되는 도트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0: 가산부 120: 양자화부
130: 감산부 140: 오차확산필터
본 발명은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처리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터, 팩스,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를 구현시, 복수의 화소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특히,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프린터의 경우에는 감광드럼(OPC)에 화소별로 인가된 전하에 토너가 부착되고 이를 인쇄 용지에 부착하여 영상을 표현하게 된다.즉, 감광드럼에 화소별로 인가된 전하의 분포 또는 전하량의 크기에 따라 각 화소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의해 이미지의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위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계조값 '0'과 '255'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입력영상의 입력계조값을 화상형성장치에서 표현 가능한 이진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입력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오차확산 처리방법이 제안되고 있 다. 여기서, 계조값 '0'은 가장 밝은 계조를 나타내며, 계조값 '255'는 가장 어두운 계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오차확산 처리방법은 입력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를 인접한 화소들에 분배하여 이진영상에서의 평균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입력영상의 재현능력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경계보존성을 가진다.
수학식 1은 입력영상의 입력계조값을 화상형성장치에서 표현가능한 이진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입력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1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2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3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4
...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5
여기서, 'x(m,n)'은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이며, 'b(m,n)' 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이 양자화하여 변환된 이진계조값이다. 'e(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이며, 'u(m,n)'은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이다. 이때, 오차값은 오차확산계수 'w(k,l)'에 의해 주변화소로 전파되며,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은 문턱값 T1 ~ Tj-1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되어 이진계조값 'b(m,n)'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문턱값을 128 하나로 하는 경우에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이 128보다 크면 이진계조값 'b(m,n)'을 255로 하고, 128보다 작으면 0으로 하여 이진레벨 이진화 처리가 가능하고, 문턱값을 2이상 사용하여 양자화 구간을 3이상으로 나눌 경우에는 멀티레벨 이진화 처리도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수학식 1에 의해 이진레벨로 처리된 이진영상을 레이저 프린터에 적용시, 실제 구현되는 이미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 ~ 도 1c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이미지 구현과정을 나타내며, 도 1d ~ 도 1f는 실제의 이미지 구현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1a는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드럼에 주사되는 이진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진영상에 대응되어 감광드럼에 결상되는 전하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c는 용지에 인쇄되는 영상의 형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d는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드럼에 주사되는 이진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1e는 도 1d에 도시된 이진영상에 대응되어 감광드럼에 실제 로 결상되는 전하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f는 실제로 용지에 인쇄되는 영상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화소를 계조 레벨 '0'에 대응하는 흑색도트로 표현하기 위해 감광드럼의 한 화소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경우, 레이저 빔이 가지는 에너지에 의해 이웃한 화소는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게 되며,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 레벨 '255'에 대응하는 백색도트로 표현되어야 할 화소가 주위의 화소에 인가된 에너지에 의해 토너가 부착되어 중간 계조로 표현되게 된다.
도 1g는 도 1d ~ 도 1f에서 설명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에 의해 실제로 용지에 구현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g를 참조하면, 용지에는 2개의 흑색도트가 도시되어 있으며, 흑색도트의 주위 화소에는 흑색도트로 표현되는 화소에 인가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에 의해서 원하지 않는 토너 입자들이 부착되게 된다. 특히, 화소(A)는 2개의 흑색도트에 인가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가 오버랩(overlap)되어 다수의 토너 입자들이 부착되게 되어 원하지 않는 일정한 계조를 나타내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수학식 1에 의해 3-레벨로 처리된 이진영상을 레이저 프린터에 적용시, 실제 구현되는 이미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드럼에 주사되는 3-레벨의 이진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진영상에 대응되어 감광드럼에 실제로 결상되는 전하의 형태를 나타내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에 의해 실제로 용지에 구현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c를 참조하면, 중간 계조값 '128'을 가지는 화소(B)는 자신에 직접 인가된 레이저 빔에 의해서 부착된 토너의 입자와 주변 화소들에 인가된 레이저 빔의 영향에 의한 토너의 입자가 중첩되어 중간 계조를 표현하지 못하고 거의 흑색도트에 가까운 계조만을 표현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계조값 '255'에서 '0'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종래의 오차확산 처리방법대로 수학식 1에 의해 처리시 생성되는 이진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계조값 '255'에서 '128' 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나타낸다. 도 3b는 계조값 '128'에서 '0' 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나타낸다. 도 3c 및 도 3d는 도 3a 및 도 3b의 입력영상이 수학식 1에 의해 계조값 '0', '128', '255'의 3레벨로 오차확산 처리된 영상을 나타낸다.
도 3a ~ 도 3d를 참조하면, 중간 계조값인 '128'보다 밝은 영역에서는 도 3c와 같이 계조값 '255'에 대응하는 백색도트와 계조값 '128'에 대응하는 하프도트(half dot)의 조합에 의해 이미지가 표현되고, 중간 계조값보다 어두운 영역에서는 도 3d와 같이 계조값 '0'에 대응하는 흑색도트와 계조값 '128'에 대응하는 하프도트의 조합에 의해 이미지가 표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1에 의해 오차확산 처리를 하는 경우 도 3d와 같이 계조값 '0'과 '128'의 조합에 의해 이미지가 표현되는 중간 보다 어두운 영역에서는 위에 서 설명한 것과 같이 주위화소에 인가된 레이저 빔 에너지의 오버랩 현상에 의해 중간 계조가 표현되지 못하고 거의 흑색에 가까운 계조만이 표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영상의 중간보다 어두운 영역에서 레이저 빔 에너지의 오버랩 현상 등에 의해 중간 계조가 표현되지 못하고 흑색에 가까운 계조만이 표현되는 문제를 개선한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방법은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을 복수의 문턱값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되,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소정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값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상기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들로 전파하여 상기 주변화소의 입력계조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장치는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상기 (m,n)번째 화소에 대하여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전파되어진 오차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 값을 수정하는 가산부와, 상기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을 복수의 문턱값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되,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소정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으로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상기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을 구하는 감산부 및 상기 감산부에 의해 구해진 오차값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상기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들로 전파하는 오차확산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의 오차확산계수는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문턱값은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장치는 가산부(110), 양자화부(120), 감산부(130) 및 오차확산필터(140)를 포함한다.
가산부(110)는 입력되는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 'x(m,n)'과 오차확산필터(140)의 출력값을 합산하여 구해진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을 양자화부(120)에 제공한다.
양자화부(120)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을 복수의 문턱값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여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 'b(m,n)'으로 출력하 되,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에서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을 소정의 방식에 의해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양자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자화부(120)는 다음 수식에 의해 입력계조값 'u(m,n)'을 양자화하여 이진계조값 'b(m,n)'으로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6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7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8
Figure 112004058940284-pat00009
...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0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1
여기서, e(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이며, x(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이다. u(m,n)은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이며, R은 오차확산계수가 정의되어진 영역이고, w(k,l)은 오차확산계수이다. b(m,n)은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이며, T는 문턱값이다. bo는 가 장 밝은 계조값이고, bj-1은 가장 어두운 계조값이며, B는 중간값 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이다.
수학식 2에 의해 입력계조값을 이진계조값으로 오차확산 처리하는 경우에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인 Tj-1에서 bj-2 사이의 구간에 속하는 수정된 입력계조값은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 'B'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주위화소에 인가된 레이저 빔 에너지의 오버랩 현상에 의해 중간 계조가 표현되지 못하고 거의 흑색(0)에 가까운 계조만이 표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B'가 계조값 '255'(bo)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간을 3개의 문턱값 '64', '128', '192'에 의해서 5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64에서 128 사이의 크기를 가지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이 입력되면 계조값 '255'의 이진계조값으로 출력하도록 양자화부(120)를 설계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문턱값의 수 및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 중에서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변환시키는 구간은 입력영상 및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에서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을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양자화하는 이유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255'에서 '0' 사이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입력영상을 3-레벨로 오차확산 처리시 각 입력계조값에서 생성되는 도트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5a는 입력영상을 종래의 수학식1에 의해 오차확산 처리시 입력영상의 각 입력계조값에서 생성되는 도트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입력영상을 본 발명에 따른 수학식 2에 의해 오차확산 처리시 입력영상의 각 입력계조값에서 생성되는 도트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입력영상의 입력계조값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입력영상의 각 입력계조값에서 생성된 도트들의 비율을 나타낸다. 굵은 실선은 흑색도트의 비율을 나타내고, 가는 실선은 백색도트의 비율을 나타내며, 점선은 하프도트(half dot)의 비율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법에 의해 입력영상을 오차확산 처리하는 경우 입력계조값이 '0'에서 '128'인 영역에서는 흑색도트와 백색도트의 조합에 의해서만 계조를 표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입력계조값이 '64'인 영역은 종래의 방식에 의해 오차확산 처리하는 경우 50%는 계조값 '0'에 대응하는 흑색도트로 변환되고, 나머지 50%는 계조값 '128'에 대응하는 하프도트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조값 '64'에 대응하는 영역은 흑색도트와 하프도트가 1:1로 조합되고, 상술한 토너의 중첩에 의해서 계조값 '64'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현하지 못하고 실제적으로는 '0'에 가까운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상을 오차확산 처리하는 경우 입력계조값이 '0'에서 '128'인 어두운 영역에서도 백색도트들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에 속하는 입력계조값 중 일부를 강제적으로 백색도트로 처리하되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값은 주변화소에 확산시켜 반영하면, 토너의 입자가 중첩되어 원하는 계조보다 어두운 계조가 표현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는 입력영상의 계조에 가깝게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감산부(130)는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과 이진계조값 'b(m,n)' 사이의 오차값 'e(m,n)'을 구하여 오차확산필터(140)로 제공한다.
오차확산필터(140)는 감산부(130)에서 출력된 오차값 'e(m,n)'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로 전파한다. 여기서, 오차확산필터(140)는 도 6에 도시된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는 양자화부(120)에서 이진계조값으로 변환된 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 오차확산필터(140)는 화소(*)의 이진계조값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값을 화소(*)의 우측은 7/16, 하측은 5/16, 좌하측은 3/16, 우하측은 1/16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전파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양자화부(120)는 가산부(110)로부터 출력된 입력계조값 'u(m,n)'을 복수의 문턱값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여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 'b(m,n)'으로 결정하여 출력하되,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에서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을 중간값 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 'b(m,n)'으로 출력한다(S410). 이는 상술한 수학식 2에 의한 알고리즘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산부(130)는 수정된 입력계조값 'u(m,n)'과 양자화부(120)에서 출력된 이진계조값 'b(m,n)' 사이의 오차값 'e(m,n)'을 구하여 오차확산필터(140)로 제공한다(S420).
이후, 오차확산필터(140)는 감산부(130)에서 출력된 오차값 'e(m,n)'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로 전파한다(S430). 여기서, 오차확산필터(140)는 도 5에 도시된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산부(110)는 입력계조값과 오차확산필터(140)의 출력값을 합산하여 입력계조값을 수정한다(S440). 마지막으로, 오차확산 처리장치(100)는 모든 입력화소의 이진계조값이 결정될 때까지 단계 S410에서 단계 S430을 반복한다(S450).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의하면, 중간보다 어두운 구간에 속하는 입력영상의 입력계조값 중 일부를 강제적으로 백색도트로 처리하되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값은 주변화소에 확산시켜 반영함으로써, 레이저 빔 에너지의 오버랩 현상 등에 의해 토너의 입자가 중첩되어 원하는 계조보다 어두운 계조로 표현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는 입력영상의 계조에 가깝게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 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을 복수의 문턱값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되,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소정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상기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값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상기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들로 전파하여 상기 주변화소의 입력계조값들을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식은,
    다음 수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2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3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4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5
    ...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6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7
    여기서, e(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상기 오차값, x(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 u(m,n)은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 R은 오차확산계수가 정의되어진 영역, w(k,l)은 오차확산계수, b(m,n)은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 T는 문턱값, bo는 가장 밝은 계조값, bj-1 은 가장 어두운 계조값이며, B는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인 B는 가장 밝은 계조값인 b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오차확산계수는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턱값들은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방법.
  6. 입력영상의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상기 (m,n)번째 화소에 대하여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전파되어진 오차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을 수정하는 가산부;
    상기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을 복수의 문턱값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간에 따라 양자화하되, 중간값보다 어두운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소정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계조값을 중간값보다 밝은 계조값으로 양자화하여 상기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으로 출력하는 양자화부;
    상기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을 구하는 감산부; 및
    상기 감산부에 의해 구해진 오차값을 소정의 오차확산계수에 따라 상기 (m,n)번째 화소의 주변화소들로 전파하는 오차확산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식은,
    다음 수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장치: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8
    Figure 112004058940284-pat00019
    Figure 112004058940284-pat00020
    Figure 112004058940284-pat00021
    ...
    Figure 112004058940284-pat00022
    Figure 112004058940284-pat00023
    여기서, e(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과 이진계조값 사이의 오차값, x(m,n)은 (m,n)번째 화소의 입력계조값, u(m,n)은 (m,n)번째 화소의 수정된 입력계조값, R은 오차확산계수가 정의되어진 영역, w(k,l)은 오차확산계수, b(m,n)은 (m,n)번째 화소의 이진계조값, T는 문턱값, bo는 가장 밝은 계조값, bj-1은 가장 어두운 계조값이며, B는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값보다 밝은 소정의 계조값인 B는 가장 밝은 계조값인 b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확산필터는 플로이드-스텐베르그(Floyd-Steinberg) 오차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턱값은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확산 처리장치.
KR1020040105668A 2004-12-14 2004-12-14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4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668A KR100648656B1 (ko) 2004-12-14 2004-12-14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US11/280,277 US8432580B2 (en) 2004-12-14 2005-11-17 Error diffu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668A KR100648656B1 (ko) 2004-12-14 2004-12-14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986A KR20060066986A (ko) 2006-06-19
KR100648656B1 true KR100648656B1 (ko) 2006-11-24

Family

ID=3658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6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8656B1 (ko) 2004-12-14 2004-12-14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2580B2 (ko)
KR (1) KR100648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887B2 (en) * 2004-12-14 2009-12-29 Intel Corporation Error diffusion-based image processing
US7551179B2 (en) * 2005-08-10 2009-06-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adjusting method
US8134741B2 (en) * 2007-03-28 2012-03-1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istent color quality
WO2018106415A1 (en) * 2016-12-09 2018-06-14 Basil Leaf Technologies, Llc Automated camera-based optic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US11297300B2 (en) 2018-01-29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ust structured-light patterns for 3D camera system
US11262192B2 (en) 2017-12-12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contrast structured light patterns for QIS sensors
US10740913B2 (en) * 2017-12-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fast, robust and efficient depth estimation for structured-light based 3D camera system
CN111080721B (zh) * 2019-10-23 2023-06-16 北京京隽科技有限公司 误差扩散阈值选择方法和装置、设备及储存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0277A (ja) * 1984-05-15 1985-11-29 Fuji Xerox Co Ltd 中間調記録方法
US6614556B1 (en) * 1999-11-22 2003-09-02 Sindoricoh Co., Ltd. Apparatus for quantizing a digital image by using an error diffusion coefficient and threshold modulation in zigzag quantization
JP3961736B2 (ja) * 2000-02-04 2007-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2001315319A (ja) 2000-05-08 2001-11-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2252764A (ja) 2001-02-26 2002-09-06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014083B2 (ja) * 2002-03-06 2007-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3338928A (ja) * 2002-05-21 2003-11-28 Nec Corp 画像信号の誤差拡散処理回路
JP4016743B2 (ja) 2002-07-01 2007-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値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50017999A1 (en) * 2003-05-20 2005-01-27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method, prin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rrection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2580B2 (en) 2013-04-30
KR20060066986A (ko) 2006-06-19
US20060126958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022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48656B1 (ko) 오차확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EP0810772B1 (en) Pixel growth compensation
US62333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error diffusion processing of image information using adaptive white and black reference values
JP200606583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04286465A (ja) 画像処理装置
EP038258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249357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onal reproduction curve adjustment in a hybrid error diffusion process
KR100438720B1 (ko) 영상의 휘도 레벨 변환 방법 및 장치
JP486150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51551B1 (ko) 디지탈영상양자화를위한비인과성오차확산계수의위치및결정방법
US20060238812A1 (en) Multi-level halfto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683085B2 (ja) 画像処理装置
JP4496897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階調補正方法
US7342688B2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moire in scanned image and method for the same
JP268308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453043B1 (ko)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648657B1 (ko) 클러스터를 통한 오차 확산장치
JP2810395B2 (ja) 画像処理装置
JP537006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900907B2 (ja) 画像処理装置
JP2644491B2 (ja) 画像処理装置
JP3129421B2 (ja) 画像の階調記録装置
JP2644492B2 (ja) 画像処理装置
JP4177486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1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