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7981B1 -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981B1
KR100647981B1 KR1020000065529A KR20000065529A KR100647981B1 KR 100647981 B1 KR100647981 B1 KR 100647981B1 KR 1020000065529 A KR1020000065529 A KR 1020000065529A KR 20000065529 A KR20000065529 A KR 20000065529A KR 100647981 B1 KR100647981 B1 KR 10064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button
case
telephone
rub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293A (ko
Inventor
박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0006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9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키 패드가 구성되고, 상기 키 패드의 상부에는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의 하부에는 접촉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접촉돌기와 접촉되는 접지편이 구비된 키 패드 러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키 패드를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키는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고, 전화기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는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structure for key pad rubber to fabricate of handphone}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화기의 정면도
도 4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하우징 41: 몸체
42: 키 패드 421: 버튼
422: 접촉돌기
본 발명은,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 튼과 케이스를 일체로 성형하여 전화기를 슬림화시키는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나 휴대용 전화기 등은 버튼식으로 발신번호나 수신기능을 선택하는 것으로, 그러한 전화기에는 다수로 배열되는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실리콘을 재질로 한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가 설치되어 버튼의 접지동작을 탄력있게 지지한다.
이러한 전화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11)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키 패드(20)가 구성되고, 상기 키 패드(20)의 상부에는 버튼(21)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21)의 하부에는 접촉돌기(22)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에 상기 버튼(21)의 동작에 따라 접촉돌기(22)와 접촉되는 접지편(31)이 구비된다.
상기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키 패드(20)의 버튼(21)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21)은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21)의 하부에 구비된 접촉돌기(22)는 접지편(31)을 가압하고, 이 접지편(31)은 인쇄회로기판(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버튼(2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다음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키 패드 러버의 성형구조는, 전화기의 케이스와 키 패드 러버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조립함으로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므로 전화기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아니라 전화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화기의 케이스와 키 패드 러버를 하나의 부품인 하우징으로 사출성형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고, 전화기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는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키 패드가 구성되고, 상기 키 패드의 상부에는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의 하부에는 접촉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접촉돌기와 접촉되는 접지편이 구비된 키 패드 러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키 패드를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키는 하우징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화기의 정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이 적용된 키 패드 러버 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 패드 러버는, 통상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11)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키 패드(20)가 구성되고, 상기 키 패드(20)의 상부에는 버튼(21)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21)의 하부에는 접촉돌기(22)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에 상기 버튼(21)의 동작에 따라 접촉돌기(22)와 접촉되는 접지편(31)이 구비된 키 패드 러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키 패드(20)를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키는 하우징(40)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40)는, 내측이 관통된 몸체(4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고정되는 키 패드(42)가 구성되며, 상기 키 패드(42)는 상부에 버튼(421)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421)의 하부에 접촉돌기(422)가 돌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이중사출기의 내측에 원재료 즉 플라스틱과 러버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분리된 원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일정온도의 열을 가한 후, 사출기를 통해 일측에는 플라스틱을, 타측에는 러버를 동시에 배출하여 일정모양의 하우징(40)를 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 패드(42)의 상부에는 버튼(42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접촉돌기(422)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 키 패드 러버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키 패드(42)의 버튼(421)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421)은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421)의 하부에 구비된 접촉돌기(422)는 접지편(31)을 가압하고, 이 접지편(31)이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버튼(42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다음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는, 전화기의 케이스와 키 패드 러버를 하나의 부품인 하우징으로 사출성형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고, 전화기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0)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11)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키 패드(20)가 구성되고, 상기 키 패드(20)의 상부에는 버튼(21)이 돌출되고, 상기 버튼(21)의 하부에는 접촉돌기(22)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에 상기 버튼(21)의 동작에 따라 접촉돌기(22)와 접촉되는 접지편(31)이 구비된 키 패드 러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키 패드(20)를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키는 하우징(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1020000065529A 2000-11-06 2000-11-06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4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29A KR100647981B1 (ko) 2000-11-06 2000-11-06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29A KR100647981B1 (ko) 2000-11-06 2000-11-06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93A KR20020035293A (ko) 2002-05-11
KR100647981B1 true KR100647981B1 (ko) 2006-11-17

Family

ID=1969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7981B1 (ko) 2000-11-06 2000-11-06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55B1 (ko) * 2003-03-21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KR100591854B1 (ko) * 2005-03-10 2006-06-26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458B1 (ko) * 2007-03-09 2008-09-25 주식회사 팬택 일체형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293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5072C (fi) Kopplingsanordning.
JP2000182474A (ja) キ―パッド組立機構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100768269B1 (ko)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10088881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652639B1 (ko)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2029287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버튼
KR200500566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KR20080099930A (ko) 투명 전도성 접점 구조를 갖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956Y1 (ko) 키의 접촉감을 개선한 키패드 조립장치
KR10059512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
KR20031856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KR100289034B1 (ko) 이동 통신기용 키패드 제작방법
KR970004053Y1 (ko) 전화기의 키패드 고무 구조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23279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200194755Y1 (ko) 플립키 타입 휴대전화기
KR200374991Y1 (ko) 휴대폰용 키-패드의 구조
KR200226736Y1 (ko)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JPH0193015A (ja) キートップ付ラバ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