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137B1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Google Patents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6137B1 KR100646137B1 KR1020040020087A KR20040020087A KR100646137B1 KR 100646137 B1 KR100646137 B1 KR 100646137B1 KR 1020040020087 A KR1020040020087 A KR 1020040020087A KR 20040020087 A KR20040020087 A KR 20040020087A KR 100646137 B1 KR100646137 B1 KR 100646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late
- light guide
- light
- light emitting
- emitt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라이트(edge light) 방식의 측면발광형 발광수단을 구비한 면광원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광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레이저로 음각된 장방형홈으로 이루어진 패턴 형성방식을 개선하여 도광판 전체에 걸친 주패턴부 외에, 상대적으로 발광수단으로부터 빛이 덜 조사되어 암부를 띄는,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광판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별도의 보조패턴부를 형성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guide plate comprising a surface light source backlight unit having an edge light emitting side light emitting means. Particularly, a pattern comprising rectangular grooves engraved with a laser in order to obtain uniform brightness over the entire light guide plate. In addition to the main pattern portion throughout the light guide plate to improve the formation method, the light is irradiated relatively less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so that the dark portion is formed, and the edge or the corner of the side orthogonal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with light emitting means A light guide plate for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n auxiliary pattern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레이저로 음각된 다수의 장방형홈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점선들이 발광수단과 평행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주패턴부; 및 상기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광판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패턴부를 이루는 홈들의 전체 형성면적을 넓게 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진 보조패턴부를 갖는다.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pattern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dotted lines formed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ooves engraved with a laser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edges or corners of the sides orthogonal to th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rranged in a shape to widen the entire formation area of the grooves forming the main pattern portion. It has an auxiliary pattern part.
백라이트, 면광원, 도광판, 레이저가공, 에지라이트, 패턴, 주패턴부, 보조패턴부, 장방형홈, 그루브Backlight, surface light source, light guide plate, laser processing, edge light, pattern, main pattern part, auxiliary pattern part, rectangular groove, groove
Description
도 1a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Figure 1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acklight unit,
도 1b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도광판의 개략적인 단면도,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guide plate of a conventional backlight unit;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을 이루는 보조패턴부의 장방형홈에 대한 여러 형태들을 나타낸 도광판의 부분적인 개략도,2, 3A, 3B, 3C, 3D and 3E are partial schematic views of a light guide plate showing various shapes of rectangular grooves of an auxiliary pattern portion constituting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보조패턴부가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13,15,17,110: 도광판 120: 리플렉터10, 11, 13, 15, 17, 110: Light guide plate 120: Reflector
130: 확산판 L: 발광수단130: diffusion plate L: light emitting means
111,G,Gm1,Gs1,Gm2,Gs2,Gs3,Gs4,Gs5: 장방형홈(groove)111, G, Gm1, Gs1, Gm2, Gs2, Gs3, Gs4, Gs5: Groove
S,S1,S2,S3,S4,S5,S6,S6,S7,S8: 보조패턴부S, S1, S2, S3, S4, S5, S6, S6, S7, S8: Auxiliary pattern part
M,M1,M2: 주패턴부 M, M1, M2: main pattern part
본 발명은 에지라이트(edge light) 방식의 측면발광형 발광수단을 구비한 면광원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광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레이저로 음각된 장방형홈으로 이루어진 패턴 형성방식을 개선하여 도광판 전체에 걸친 주패턴부 외에, 상대적으로 발광수단으로부터 빛이 덜 조사되어 암부를 띄는,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광판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별도의 보조패턴부를 형성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guide plate comprising a surface light source backlight unit having an edge light emitting side light emitting means. Particularly, a pattern comprising rectangular grooves engraved with a laser in order to obtain uniform brightness over the entire light guide plate. In addition to the main pattern portion throughout the light guide plate to improve the formation method, the light is irradiated relatively less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so that the dark portion is formed, and the edge or the corner of the side orthogonal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with light emitting means The light guide plate for a backlight unit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formed the auxiliary pattern part of this invention is related.
통상적으로 LCD와 같은 수광형 평판 표시장치 또는 라이트박스(Light Box) 등은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액정(Liquid Crystal)을 주입해 전원공급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PDP, FED, 유기 ELD 등과는 달리 그 자체가 비발광형 (수광소자)이기 때문에 별도의 발광수단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할 수 있는 면광원 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a light-receiving flat panel display such as an LCD or a light box, etc., injects a liquid crystal having an intermediate property between a solid and a liquid between two thin glass plates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upon power supply. This is a display that displays the image by generating the contrast, and unlike PDP, FED, and organic ELD, it is a non-light-emitting type (light-receiving element). It requires a backlight unit in the form of a surface light source that can be maintained.
도 1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U)(Backlight Unit, 배면광원장치)의 핵심 구성요소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cent Lamp) 또는 LED와 같이 휘도 및 색도를 결정하는 발광수단(L), 상기 발광수단(L)에서 발생되는 빛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리플렉터(120),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120)로부터 받은 선형광을 영상 표시면 전체에 면광원 형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PMMA 수지계의 투명 아크릴판 배면에 특수 설계한 망점 패턴(Pattern)이 가공된 도광판(110)(LGP; Light Guide Plate)이다. 그리고 상기 3대 요소(CCFL, Reflector, LGP)에 의해 만들어진 면광원은 도광판의 상부에 구비된 확산판(130)에 의하여 빛이 효율적으로 집광 확산된다. 또 상기 확산판(130) 상면에는 집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프리즘판이 구비될 수 있다.A key component of the general backlight unit (U) shown schematically in FIG. 1A is light emitting means for determining luminance and chromaticity, such a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n LED. (L), the
상기 도광판에 망점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은 인쇄 방식으로 잉크를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방법, 도광판 원재료 레진을 용융하여 소정 패턴이 형성된 금형틀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법, 그리고 레이저로 패턴을 가공하는 방법 등이다.The method of forming a dot pattern on the light guide plate is a method of forming ink into a predetermined pattern by a printing method, a method of melting the light guide plate raw material resin and injecting it into a mol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nd forming a pattern using a laser. And so on.
도 1a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U)은 레이저 가공된 도광판(110)을 가지며, 특히 발광수단(L)의 배치 형태 따라 에지라이트(edge light) 방식, 그중에서도 원칩화 등의 부품수 절감, 박형화 및 고효율화에 적합한 측면발광형 방식으루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수단은 도광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칭되게 두 개 구비된다.The backlight unit U shown in FIG. 1A has a laser-guided
종래 면광원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광수단으로부터 나온 빛이 도광판으로 조사되고, 도광판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하여 각 부위에서 균일한 조도를 가지며 확산판으로 반사되고, 이 확산판을 통하여 전면으로 확산된다.In the conventional surface light source backlight un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is reflected to the diffuser plate with uniform illuminance at each part by the reflector, and is diffused to the front through the diffuser plate. .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법을 사용한 도광판의 제조방식에 서는 레이저 장치의 가공 효율 극대화 및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패턴의 형상을 장방형홈(bar-type groove)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점선을 평행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light guide plate using a laser processing method, a shape of a pattern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bar-type grooves in order to maximize processing efficiency and obtain uniform luminance of a laser device. It is produced by forming a plurality of dotted lines in parallel.
종래 레이저 가공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광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균일한 조도의 광을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로 가공하여, 단속적인 직선형상의 그루부(groove)를 가변하여 배치한 도광패턴이 일면에 형성된 도광판과 관련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64227호(2002.08.07) 『단속적인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가지는 면광원장치』 및 반원형의 음각패턴을 광반사 구조체로서 도광판에 형성하고, 상기 음각패턴의 광반사 구조체 내측면에 표면거칠기가 불규칙한 산란용 요철부를 형성한 도광판과 관련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58847호(2002.10.16) 『음각패턴의 광반사 구조체를 구비한 도광판』이 있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laser processing method is that the light guide pattern is arranged by varying the intermittent straight grooves by laser processing to diffuse and scatter light of uniform illuminanc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64227 (2002.08.07) related to the formed light guide plate, ``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ving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intermittent pattern '' and a semicircular intaglio pattern are formed on the light guide plate as a light reflection structure, and the light of the intaglio pattern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58847 (2002.10.16) rel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scattering irregularities for irregular surface roughnes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tructure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light reflection structure of an intaglio pattern.
상기 기술들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것으로, 발광수단에서 먼 곳과 가까운 곳의 도광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광판에 음각된 장방형 그루브의 길이, 다수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점선상의 그루브 사이의 간격(pitch), 인접된 점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The above techniques have been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solve the difference in the light guide amount far and near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the length of the rectangular groove engraved i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dotted groov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oves ( pitch) and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dashed lines.
종래 도광판 측면에 설치된 발광수단, 특히 냉음극 형광램프의 특성에 의하여 전극 인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발광량에 의하여 냉음극 형광램프의 양단부가 접하는 부위, 즉 도광판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낮은 휘도에 의한 암부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particular,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 dark portion due to low luminance is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both ends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relatively low light emission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de. There was a problem.
또 종래 도광판에 구비된 발광수단은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일반 적으로 도광판의 일측 변(邊), 특히 장변(長邊) 측면에만 설치되므로,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타측 변, 즉 단변(短邊) 부위에서 역시 암부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is generally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particular, the long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ord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ii) also has the problem that dark areas occur.
이러한 암부와, 이 암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나는 인근 명부의 존재는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고 휘도 균일도에 문제를 발생시킨다.The presence of this dark part and the neighboring rosters which appear relatively bright by this dark part impair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causes problems in luminance uniformity.
상기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다 완벽한 해결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The prior art does not provide a more complete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에서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광판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 일반적으로 단변(短邊)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가 발광수단의 설치 형태의 특성상 빛이 덜 조사되어 암부를 띄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guide plate of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as described above orthogonal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main body provided with light emitting means, generally the edge or corner of the short side light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light emitting means This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less irradiated and dark.
이에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주패턴부 외에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단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주패턴부를 이루는 장방형홈의 형성면적을 보다 넓게 하는 별도의 보조패턴부를 형성한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separate auxiliary pattern portion for widening the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 forming the main pattern portion on the edge or corner of the short side where no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in pattern portion formed over the light guide plate. It aims to do it.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조패턴부 및/또는 상기 주패턴부를 이루는 점선들, 또는 상기 점선을 이루는 다수의 장방형홈의 치수, 배열 간격, 배열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최적의 패턴을 갖는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optimal pattern by varying the dimensions, arrangement intervals, arrangement of the dotted lines forming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and / or the main pattern portion, or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ooves forming the dotted line. For the purpose of
결국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패턴부와 보조패턴부의 조합을 통하여 명부와 암부의 발생으로 인한 도광판, 즉 백라이트 유닛 외관상의 얼룩을 제거하고 백라이트 유닛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a resul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uneven appearan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backlight unit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light and dark porti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main pattern parts and the auxiliary pattern parts, and to obtain uniform luminance throughout the backlight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은 음각된 다수의 장방형홈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점선들이 발광수단과 평행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주패턴부; 및 상기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광판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패턴부를 이루는 홈들의 전체 형성면적을 넓게 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진 보조패턴부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ght guide plate for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attern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dotted lines made of a plurality of engraved rectangular groove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edges or corners of the sides orthogonal to th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rranged in a shape to widen the entire formation area of the grooves forming the main pattern portion. It has an auxiliary pattern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2 이하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보조패턴부 영역(S)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In FIG. 2 and below,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dicates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region S. As shown in FIG.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발광수단(L)은 도광판(10)의 양측 변(邊), 즉 두 장변(長邊)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발광수단은 일측 장변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수단은 형광램프이거나 LED일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light emitting means L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0, that is, at two long sides. However, the light emitting means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long side. The light emitting means may be a fluorescent lamp or an LED.
상기 도광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주패턴부(M)를 이루는 장방형홈(bar type groove)(Gm)은 레이저빔에 의한 것으로,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고, 홈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며, 홈들이 집합되어 이루는 점선들 사이의 간격 역시 동일하게 되어 있 다. 또 주패턴부(M)를 이루는 점선의 형성 방향은 장변, 즉 발광수단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The bar type grooves Gm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 formed in the light guide plate 10 are formed by a laser beam, have the same length and width, have the same spacing between the grooves, and the grooves. The spacing between the dashed lines that form the same is also the same.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dotted line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 is parallel to the long side, that is, the light emitting means.
그러나 이러한 주패턴부의 형태는 장방형홈의 길이, 동일 점선 내 장방형홈 사이의 간격(pitch), 그리고 점선들 간의 간격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가변시키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주패턴부의 변형형태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수단의 특성으로 인하여 암부가 형성될 수 있는, 발광수단으로부터 거리가 먼 부위의 밝기를 강화하여 균일한 휘도를 얻도록 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pattern por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 manner that varies the length of the rectangular grooves, the pitch between the rectangular grooves in the same dotted line,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dotted lines regularly or irregularly. In particular, the modified form of the main pattern portion is preferably a form in which a dark portion can be 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so as to obtain a uniform brightness by enhancing the brightness of a part far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이를 위한 주패턴부의 형태는 암부가 형성될 수 있는 부분에서 장방형홈들의 전체 형성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The main pattern portion for this purpose may be made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overall forming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s in the portion where the arm portion can be formed.
패턴형성을 위하여 도광판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파장, 조사되는 광의 단면적, 그리고 장방형홈의 단위 면적당 빔의 조사시간이 제조공정 전체에 걸쳐 동일하여 도광판에 형성되는 장방형홈의 폭이 동일할 경우(이러한 방식은 또 대량생산 체제에 적합할 것이다), 상기 장방형홈들의 전체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식은 예를 들어 장방형홈들의 홈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홈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거나, 장방형홈이 집합되어 이루어진 각 점선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는 방식일 수 있다.Whe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rradiated light, and the irradiation time of the beam per unit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 for pattern formation are the same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widths of the rectangular grooves formed in the light guide plate are the same (these The method may also b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systems),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total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s may include, for example,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grooves of the rectangular grooves, shortening the space between the grooves, or collecting the rectangular grooves. The interval between each dotted line may be shortened.
다음으로 도 2에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보조패턴부가 형성된 부위(S)는 상기 발광수단(L)이 구비된 도광판(10) 본체의 변(邊)과 직교하는 변, 즉 단변(短邊)의 가장자리 부위이다. 상기 보조패턴부(S)를 이루는 홈(Gs)은 주패턴부(M)를 이루는 홈과 직교하는 실선이나 점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선이나 점선간의 간격은 단변(短邊)의 가장자리 부위로 갈수록 간격이 같거나 조밀해 질 수 있다. Next, in FIG. 2, the portion S of which the auxiliary pattern part form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s a sid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light guide plate 10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L, that is, the short side. ) Edge area. The groove Gs constituting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 is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orthogonal to the groove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 FIG. The interval between the solid line and the dotted line may be equal to or closer to the edge portion of the short side.
이러한 보조패턴부(S)의 형태는 역시 상기 주패턴부를 이루는 장방형홈들의 전체 형성면적을 넓게 하는 형태로 배열한 것이다.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 is also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broaden the overall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s forming the main pattern portion.
그러므로 장방형홈의 전체 형성면적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도 2의 보조패턴부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of FIG. 2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range of achieving the object of increasing the overall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주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은 레이저 발생시스템의 제어부를 통하여 패턴의 좌표값과 정해진 패턴부 형성영역에 따라 스텝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미러부를 포함하는 광학구동부에 동기된 펄스신호에 의해 레이저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상기 광학구동부에 전달하고, 다시 광학구동부 종단에 위치한 미러부에서 레이저빔을 최종적으로 도광판에 주사하여 이루어진다.Forming the main pattern portion using the laser beam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synchronized with the optical driving portion including a mirror portion driven by the step motor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attern and the predetermined pattern portion forming region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laser generation system. The laser beam outputted from the laser driver by the pul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driver, and the laser beam is finally scanned on the light guide plate by the mirror par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optical driver.
이때 레이저장치에서 데이터 처리시에는 원점좌표에 대한 도광패턴부의 시작점과 끝점, 그리고 그 사이의 형상에 대한 위치좌표값을 인식하기 때문에 곡선에 비하여 직선형상인 것이 데이터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미러부 이동방식에 의한 구동방식으로는 직선형의 구동이 가장 빠르므로 패턴부의 형상은 단속적인 장방형 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laser device recognizes the starting point and end point of the light guide patter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rigin coordinate, and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s for the shape therebetween, the time required for data processing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urve. Since the linear drive is the fastest as the drive method by the movement method,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is most preferably an intermittent rectangular groove.
한편 상기 레이저빔은 도광판의 재료인 투명아크릴 수지의 열흡수가 가능한 적외선 영역의 1마이크로미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6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긴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이 이용된다. 이 레이저빔에 의한 도광패턴부의 형성은 도광판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스캐닝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ser beam is a laser beam having a long wavelength of 1 micrometer or more, preferably 10.6 micrometers or more in the infrared region capable of heat absorption of the transparent acrylic resin, which is a material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formation of the light guide pattern portion by the laser beam, it is preferable to scan the laser beam in order to prevent the light guide plate from being locally heated.
상기 레이저빔에 의한 도광판의 국부적인 가열을 줄이기 위하여 미러부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면 레이저빔의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레이저 빔의 출력을 올려 주어 이를 보상하여야 한다. In order to reduce the local heating of the light guide plate by the laser beam, increasing the moving speed of the mirror part lowers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beam, there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to compensate for this.
이상과 같이 주패턴부가 완성된 후, 보조패턴부는 주패턴부 형성이 완료된 도광판을 추가로 별도의 파일을 사용하여 레이장치에 가공 파일을 전송하여 가공할 수도 있으나, 주패턴부와 보조패턴부를 중첩하여 전체 패턴을 도면화한 후 한 번에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보조패턴부의 가공량에 따라 가공성을 고려하여 한 번에 가공할지 또는 두 번에 나누어 가공할지를 결정한다.After the main pattern par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pattern part may transfer the processed file to the ray device by using a separate file in addition to the light guide plate on which the main pattern part is formed, but overlap the main pattern part and the auxiliary pattern part.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whole pattern after drawing the entire pattern.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rocess at one time or divided into two in consideration of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mount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원하는 보조패턴부의 형성이 주패턴의 장방형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일 경우에는 2회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패턴부 가공을 위해서 도광판을 주패턴부 가공시와는 달리 도광판을 90도 회전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생산성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When the desired auxiliary pattern portion is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rectangular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attern, it is preferable to proceed by dividing into tw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light guide plate in a direction rotated by 90 degrees for the productivity of the light guide plate for the auxiliary pattern processing.
다음으로 도 3a에는 도 2와는 다른 형태의 주패턴부(M1)와 보조패턴부(S1)를 갖는 도광판(11)이 도시되어 있다. Next, FIG. 3A illustrates a
상기 주패턴부(M1)를 이루는 장방형홈(Gm1)들이 집합되어 형성된 점선들 사이의 간격은 발광수단(L)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동일 점선 내의 장방형홈(Gm1) 사이의 간격은 역시 발광수단(L)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수단(L)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장방형홈들이 이루는 면적을 크게 하는 형태이다. 이를 통하여 발광수단(L)으 로부터 먼 부위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dotted lines formed by collecting the rectangular grooves Gm1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1 i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L increases.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ctangular grooves Gm1 in the same dotted line is also formed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L.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m have a shape that increases the area formed by the rectangular groove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L increas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brightness of a part far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L can be increased.
또 상기 보조패턴부(S1)는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도광판(1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턴부(S1)를 이루는 장방형홈(Gs1)은 상기 주패턴부(M1)를 이루는 점선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방형홈(Gs1)은 실선을 이루고 있고,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보조패턴부를 이루는 장방형홈은 점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1 is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은 보조패턴부(S1)의 형태는 역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패턴부(M1)를 이루는 장방형홈(Gm1)들의 전체 형성면적을 넓게 하는 형태로 배열된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1 is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widen the entire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s Gm1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1.
또 상기 보조패턴부(S1)가 이루는 형태는 직각삼각형이다. 이는 암부가 형성될 수 있는 도광판의 발광수단(L)으로부터 먼 부위, 모서리 부분, 그리고 발광수단(L)이 배치되지 않은 단변(短邊) 가장자리 부위 모두에서 장방형홈의 전체 형성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매우 바람직한 형태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1 is a right triangle. This increases the overall forming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 in both the portion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L of the light guide plate on which the dark portion may be formed, the corner portion, and the short edge por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L is not disposed. It is a very preferable form.
도 3a에서 각 패턴부(M1)(S1)를 이루는 장방형홈(Gm1)(Gs1)의 길이와 간격은 서로 다를 지라도 대량생산성을 위하여 역시 각 홈의 폭은 같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Although the lengths and spacings of the rectangular grooves Gm1 and Gs1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s M1 and S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FIG. 3A, the widths of the grooves are the same for mass productivity.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도광판(15)은 도 3a의 것(11)과 마찬가지로 보조패턴부(S2)가 직각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주패턴부(M2)를 이루는 점선 사이의 간격은 전체적으로 같고, 각 점선을 이루는 장방형홈(Gm2)의 길이와 홈 사이의 간격 또한 동일하다. Subsequently, in the
보조패턴부(S2)를 이루는 장방형홈(Gs2)은 상기 주패턴부(M2)를 이루는 점선들과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주패턴부(M2)의 각 점선을 구성하는 장방형홈(Gm2) 보다 길이가 길다.The rectangular grooves Gs2 constituting the auxiliary pattern part S2 are arranged on the same virtual straight line as the dotted lines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art M2, and each rectangle constitutes a dotted line of the main pattern part M2.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groove Gm2.
도 3c에서, 도광판(15)의 주패턴부(M2)와 장방형홈(Gm2)의 형태는 도 3b 것(13)과 동일하고, 보조패턴부(S3)가 이루는 형태 역시 직각삼각형이다. In FIG. 3C, the shape of the main pattern portion M2 and the rectangular groove Gm2 of the
그러나 도 3b와는 달리 보조패턴부(S3)를 이루는 장방형홈(Gs3)은 상기 주패턴부(M2)를 이루는 점선들과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주패턴부(M2)의 각 점선을 구성하는 장방형홈(Gm2)과 같은 길이를 갖되, 상기 보조패턴부(S3)의 점선을 이루는 장방형홈(Gs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의 상기 주패턴부(M2)의 점선을 이루는 장방형홈(Gm2) 사이의 간격 보다 짧다.However, unlike FIG. 3B, the rectangular grooves Gs3 constituting the auxiliary pattern part S3 are arranged on the same virtual straight line as the dotted lines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art M2 and each dotted line of the main pattern part M2. It has the same length as the rectangular groove (Gm2) constituting the interval, the interval between the rectangular grooves (Gs3) forming a dotted lin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3) is a dotted line of the main pattern portion (M2) of the same virtual straight line. Shorter than the gap between the rectangular grooves Gm2.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도광판(17)은 도 3b의 것(13)과 주패턴부(M2) 및 장방형홈(Gm2)의 형태가 동일하고, 보조패턴부(S4)가 이루는 형상 역시 직각삼각형이다.Next, the
그러나 보조패턴부(S4)를 이루는 장방형홈(Gs4)은 상기 주패턴부(M2)를 이루는 점선의 장방형홈(Gm2)들과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턴부(S4)를 이루는 장방형홈은 실선을 이룰 수도 있다.However, the rectangular grooves Gs4 constituting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4 are arranged in a form orthogonal to the rectangular grooves Gm2 of the dotted lines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ortion M2. The rectangular groove forming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4 may form a solid line.
필요에 따라서 각 장방혐홈은 직교하는 것이 아니라 예각을 형성하면서 만나는 형태일 수 있다. 교접의 형태 역시 불규칙하게 변할 수 있다.If necessary, each of the obtuse grooves may not be orthogonal but may meet in an acute angle. The form of the engagement can also change irregularly.
그 외에도 도3(e)와 같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조패턴부(S5)를 이루는 홈(Gs5)는 주패턴부를 이루는 점선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점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as shown in FIG. 3E, the groove Gs5 constituting the auxiliary pattern part S5 may have a dot shape formed between the dotted lines constituting the main pattern part.
또 주패턴부와 보조패턴부의 변형 형태는 수많은 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form of a main pattern part and an auxiliary pattern part can be many combinations.
이러한 변형예들은 도광판의 모서리 부위,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변의 가장자리, 그리고 발광수단으로부터 먼 부위에서 장방형홈의 전체 형성면적은 증가시키는 형태여야 한다는 본 발명의 사상에 제한을 받는다.Such modifications are limited b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overall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s should be increas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edge of the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provided, and the portion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다음으로 도 4에는 모서리에 형성된 보조패턴부의 분포 형태가 (A) 직각 삼각형(S6), (B) 원호(S7), (C) 사각형(S8)인 것이 차례로 도시되어 있다. 또 이들 분포 형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도 가능하다.Next, in FIG. 4,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uxiliary pattern parts formed at the corners are (A) right triangles S6, (B) arcs S7, and (C) rectangles S8.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be any combination of these distribution form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할 경우, 발광수단이 발광함에 따라 도광판측으로 입사되는 빛은 아크릴로 이루어진 도광판을 도광하는데, 도광판으로 입사된 빛 중 도광판 하부로 조사되는 빛은 본 발명의 주패턴부 및 보조패턴부, 그리고 리플렉터에 의하여 산란되고 확산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조사된다.When the backlight unit is configured using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light incident to the light guide plate side as the light emitting means emits light guides the light guide plate made of acryl, which is irradi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ght guide plate. Is scattered and diffused by the main pattern portion,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and the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rradia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서 주패턴부 및 보조패턴부에 의한 빛의 산란 및 확산은 직선 또는 단속선 등으로 이루어진 장방형홈의 경계면에 의해 전면으로 반사된다. 이때 발광수단에서 출사된 빛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거나 갑작스런 꺾임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광판의 모서리 부분, 발광수단이 배치되지 않은 변의 가장자리, 그리고 발광수단으로부터 먼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암부에 의한 외관 얼룩은 보조패턴부에 의해 충분히 광량이 보상되고, 결국 도광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attering and diffusion of light by the main pattern portion and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are reflected to the front surface by a boundary surface of a rectangular groove formed of a straight line or an interruption line. At this tim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does not reach sufficiently or sudden bending occurs, the appearance stains caused by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edge of the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disposed, and the dark part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The amount of light is sufficiently compensated by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so that uniform luminance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light guide pla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균일한 휘도를 위한 음각패턴을 갖는 도광판은 도광판 전체에 걸쳐 형성된 주패턴부 외에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단변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위에 주패턴부를 이루는 장방형홈의 형성면적을 보다 넓게 하는 별도의 보조패턴부를 형성하여 도광판의 전체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the intaglio pattern for uniform lumi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groove forming area of the main pattern portion at the edge or corner of the short side where no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main pattern portion formed over the light guide plate. By forming a separate auxiliary pattern portion to make a wider than can make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uniform.
결국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패턴부와 보조패턴부의 조합을 통하여 명부와 암부의 발생으로 인한 도광판, 즉 백라이트 유닛 외관상의 얼룩을 제거하고 백라이트 유닛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move uneven appearan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backlight unit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light and dark porti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main pattern parts and the auxiliary pattern parts, and to obtain uniform luminance throughout the backlight unit.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서는 암부가 완전히 제거되어 암부에 의한 불량률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다. 또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변 가장자리에 보조패턴부를 형성하였을 때 휘도 균일도를 3% 이상 개선할 수 있어 휘도 균일도 불량률을 100% 가까이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패턴에 의하여 도광판 모서리 부분의 휘도가 13% 이상 개선되었다.In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rk portion may be completely removed to remove a defect rate of 95% or more due to the dark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pattern par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provided, the luminance uniformity can be improved by 3% or more, and thus the luminance uniformity defective rate can be eliminated close to 100%. 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corners of the light guide plate was improved by more than 13% by the auxiliary patter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패턴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광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데,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이 암부가 생길 수 있는 도광판 부분에서 장방형홈의 전체 형성면적을 증가 시킨다는 본 발명의 사상에 해당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a specific pattern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cas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overall formation area of the rectangular groove in the por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0087A KR100646137B1 (en) | 2004-03-24 | 2004-03-24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0087A KR100646137B1 (en) | 2004-03-24 | 2004-03-24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069A KR20050095069A (en) | 2005-09-29 |
KR100646137B1 true KR100646137B1 (en) | 2006-11-15 |
Family
ID=3727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0087A Expired - Lifetime KR100646137B1 (en) | 2004-03-24 | 2004-03-24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61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6491B1 (en) | 2006-07-10 | 2013-07-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KR101154535B1 (en) * | 2010-09-13 | 2012-06-13 | 박세진 | Light guide plate for a backlight unit |
JP2013041803A (en) * | 2011-07-19 | 2013-02-28 | Seiko Epson Corp | Illuminating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guide panel |
CN102889512A (en) | 2011-07-19 | 2013-01-23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Illumina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e panel |
JP5821539B2 (en) * | 2011-11-07 | 2015-11-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CN105264284B (en) * | 2013-09-03 | 2018-04-06 |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 Light guide plat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1924A (en) * | 1993-11-30 | 1995-06-16 | Meitaku Syst:Kk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JPH08271893A (en) * | 1995-03-31 | 1996-10-18 | Enplas Corp |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JPH11142842A (en) | 1997-11-05 | 1999-05-28 | Hitachi Ltd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0036208A (en) | 1998-07-17 | 2000-02-02 | Nec Corp | Back lighting device |
JP2000082314A (en) | 1992-07-13 | 2000-03-21 | Seiko Epson Corp | Planar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020064227A (en) * | 2002-05-24 | 2002-08-07 | 주식회사 엘에스텍 | Back light unit having light guide panel formed discontinuous pattern |
-
2004
- 2004-03-24 KR KR1020040020087A patent/KR1006461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82314A (en) | 1992-07-13 | 2000-03-21 | Seiko Epson Corp | Planar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H07151924A (en) * | 1993-11-30 | 1995-06-16 | Meitaku Syst:Kk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JPH08271893A (en) * | 1995-03-31 | 1996-10-18 | Enplas Corp |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JPH11142842A (en) | 1997-11-05 | 1999-05-28 | Hitachi Ltd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0036208A (en) | 1998-07-17 | 2000-02-02 | Nec Corp | Back lighting device |
KR20020064227A (en) * | 2002-05-24 | 2002-08-07 | 주식회사 엘에스텍 | Back light unit having light guide panel formed discontinuous pattern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20064227 |
111428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069A (en) | 2005-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4206B1 (en) |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7400817B2 (en) | Light guide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mem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guide members and backlight units | |
KR100818278B1 (en) | Light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047754B1 (en) | Side Dimming Backlight Unit | |
KR101286491B1 (en) |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9645294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 |
US20080025686A1 (en) | Light guide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mem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guide members and backlight units | |
KR100668314B1 (en) | Backlight unit | |
JP2010021131A (en) |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used for the same | |
JP5469552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2005183030A (en) | Light guide plate and lighting device | |
US20110013416A1 (en) |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WO2009125881A1 (en) | Light guide panel and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n light guide panel | |
JP2010170897A (en) | Edge light partial drive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EP1876480B1 (en) |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0646137B1 (en) |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 |
CN202361194U (en) |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 |
US8247736B2 (en) |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n light guide panel | |
KR100413837B1 (en) | The method of pattern making of light guide panel | |
JP3513944B2 (en) | Backlight | |
KR20110042528A (en) | Back 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including same | |
JP2001332112A (en) | Back 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0927015B1 (en) | Backlight unit for double-sided display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ouble-sided display using | |
US20130135897A1 (en) | Back light unit | |
KR101088354B1 (en) | Light guide plate laser processing device using multi focus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6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009 Appeal identifier: 2006101007559 Request date: 20060825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610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9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