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6041B1 -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 Google Patents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41B1
KR100646041B1 KR1020050005468A KR20050005468A KR100646041B1 KR 100646041 B1 KR100646041 B1 KR 100646041B1 KR 1020050005468 A KR1020050005468 A KR 1020050005468A KR 20050005468 A KR20050005468 A KR 20050005468A KR 100646041 B1 KR100646041 B1 KR 10064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ound
diaphragm
frame
induction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684A (ko
Inventor
이인희
Original Assignee
이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희 filed Critical 이인희
Priority to KR102005000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41B1/ko
Priority to PCT/KR2006/000222 priority patent/WO2006078133A1/en
Priority to US11/814,261 priority patent/US7878296B2/en
Publication of KR2006008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04R1/34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for obtaining a phase-shift between the front and back acoustic wave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4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by movement or acceleration due to gravity
    • G04F1/06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by movement or acceleration due to gravity by flowing-away of a prefixed quantity of fine-granular or liquid materials, e.g. sand-glass, water-c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향기기인 스피커의 캐비닛에 장착된 스피커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콘의 진동으로 스피커의 전면과 후면에 소리가 동시에 출력할때 후면으로 진행하는 소리를 스피커의 전면으로 유도하는 유도커버가 스피커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생동감있는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프레임, 유도커버

Description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A Speaker embodying a stereo sound}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피커 2: 유도커버
3: 개구부 4: 진동판
5: 프레임 6: 댐퍼
7: 통공 8: 마그네트
9: 요크 10: 진동코일
11: 리드와이어 12: 유도돌기
13: 접속단자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향기기인 스피커의 캐비닛에 장착된 스피커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콘의 진동으로 스피커의 전면과 후면에 소리가 동시에 출력할때 후면으로 진행하는 소리를 스피커의 전면으로 유도하는 유도커버가 스피커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생동감있는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필요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용도에 따라서 크기가 큰 것도 있지만 휴대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 등 크기가 작은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형 스피커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사출물로 된 프레임과 프레임 중앙부에 설치된 요크, 마그네트, 진동 코일, 진동판, 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단에는 진동 코일과 접속되며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에 입력되는 신호는 소리의 정보를 갖고 있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리의 크기, 진동수 등의 소리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석에 입력된다.
상기 소리정보가 입력된 전자석은 이 신호에 따라 N극·S극의 방향과 자석의 세기가 다르게 나타나기때문에 전자석의 뒤쪽에는 자석의 세기가 일정한 영구자석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전자석에서 N극의 방향에 따라 두 자석은 서로 밀기도 하고 당기기도 하고, 그리고 전자석의 자석 세기에 따라 밀고 당기는 힘은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한편 전자석의 한쪽 끝은 스피커의 중앙에 있는 둥그런 모양의 콘이라는 것 에 붙어있는데 전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이 콘도 함께 움직이게 되고, 결국 콘에 붙어있는 진동판인 고깔도 움직이게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음향기기에서 스피커를 움직이는 전기적 신호가 스피커를 동작시켜 소리를 낼 때 신호의 양역대는 스피커의 진동판이 전면으로 나오면서 공기를 진동하고, 신호의 음역대는 스피커의 진동판이 후면으로 가면서 공기를 진동하여 소리가 난다.
기존의 스피커 구조로 설치하면 콘의 전/후면을 경계로 전면발생음과 후면발생음이 서로 분리되어 어울리지못하고 따로 놀게 되므로 듣는사람은 전면음을 듣고 뒤늦게 후면음이 들려오는 시간차때문에 정확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면발생음을 동시에 들을 수 있도록 구현하기위하여 두개의 스피커를 설치하고 서로 반대로 결선하여 전면에서 전면음과 후면음을 동시에 듣는것이 통상적인 것이다.
이때 후면으로 출력된 두개의 소리는 필요한 소리가 아니고 단지 전면으로 나오는 두개의 소리를 방해하는 소리로 작용할 뿐이며 이 방해하는 소리때문에 전면의 두소리도 정확하게 들을수없고 후면의 소리와 혼재하여 정확한 전면음과 후면의 잡음을 같이 듣게 되므로, 현장음과 같은 소리를 느끼지 못한다.
헤드폰으로 듣게 되면 한쪽 귀로 전면음을 듣고 다른 한쪽 귀로 후면음을 들어서 정상적인 소리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는데 후면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옆에 있는 사람이 들을 수 있다.
한편 후면에서 발생된 소리가 잡음으로 작용하는 것을 없애기 위해 스피커 캐비닛에 여러가지 장치를 하지만 결국 흘러나와 잡음으로 작용할뿐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에 있어 콘의 전/후면을 경계로 분리 출력되는 전면발생음과 후면발생음을 함께 어울리도록 후면발생음을 스피커의 전면으로 유도할 수 있게 스피커 표면에 유도커버를 일체로 부착하여 듣는이에게 생생한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부터 진동판, 댐퍼, 리드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진동판과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진동판을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는 통공되어 진동 코일, 요크, 마그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 외주 일측단에는 진동 코일과 접속되며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가 마련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을 감싸는 프레임의 외주면 중앙에 부착되어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전면으로 감싸지게 포개져 진동판의 후면으로 발생되는 후면발생음을 스피커의 전면으로 유도 반사하여 전면발생음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유도커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에 장착된 스피커(1)는 진동판(4)의 전/후면을 경계로 전면 발생음과 후면 발생음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되어 어울리지못하고 듣는이에게 서로 시간차를 두고 들을수 있도록 출력되어 현장음이 떨어지는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피커(1) 프레임(5)의 외주면을 감싸는 유도커버(2)를 일체로 부착한 구성이다.
상기 유도커버(2)는 스피커(1) 진동판(4)의 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5)의 형태에 따라 외주면을 완전히 포갤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스피커(1)는 주로 원형형상으로 제작하기때문에 전면이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중앙에는 마그네트 등을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있다.
따라서 스피커(1)는 소리를 진동하는 진동판(4)과, 진동판(4)을 잡아주는 댐퍼(6)와 전기적신호를 진동코일(10)에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Lead wire)(11)와 전자석을 역할을 하는 진동코일(10)이 순차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진동판(4)의 중앙에는 진동코일(1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진동판(4), 댐퍼(6), 리드와이어(11), 진동코일(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게 중앙이 통공된 프레임(5)이 감싸진다.
상기 프레임(5)은 진동판(4) 후면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다수개의 통공(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판(4)과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진동판(4)을 감싸는 프레임(5) 중앙에 통공된 부분으로 진동코일(10) 타측과 마그네트(8)를 고정하는 요크(9), 마그네트(8) 등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프레임(5) 외주 일측단에는 진동코일(10)과 접속되며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13)가 마련된 상태에서 프레임(5) 외주면 중앙에 유도커버(2) 일측이 고정되어 프레임(5)을 감싸도록 포개진다.
이때 프레임(5) 외주면에 감싸지는 유도커버(2)는 프레임(5)과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스피커(1) 전면에 진동판(4)의 후면으로 출력되는 후면발생음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개구부(3)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4)의 후면으로 발생되는 후면발생음을 스피커(1)의 전면으로 유도 반사하여 전면발생음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어 듣는이에게 현장감 있는 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진동판(4)의 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5)을 대체하여 진동판(4)을 감싸지도록 바로 유도커버(2)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로, 고음역 스피커에 있어서, 마그네트(8) 내부에 진동판(4)이 삽입된 상태에서 진동판(4) 전/후로 출력되는 소리중 마그네트(8) 후면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스피커(1) 전면으로 유도할 수 있게 마그네트(8) 내부로 끝단이 삽입되어 분할 유도하는 유도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 유도커버(2)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여 진동판(4) 전면에서 발생되는 전면 발생음과 같이 동시에 진동판(4) 후면에 발생되는 후면 발생음을 유도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 스피커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소리가 형성되려면 표1에서 보는 것 같아 완전한 파형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A에서 B까지의 좌형은 스피커(1)의 뒷면에서 발생되는 후면 발생음을 표현한 것이고, B에서 C까지의 곡선은 스피커(1)의 전면 발생음을 표현한 것이다.
[표 1]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4

또한 표 2는 전면 진동판의 위상을 보면 D에서 E까지는 진동판이 최전면에서 최후면으로 가는 것을 표시하였다.
[표 2]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5

이때는 전면에서는 공기에 충격을 주지 않으므로 전면 발생음이 나지 않으뒤쪽, 진동판(4) 후면에서는 G에서 H까지 진행하며 뒤쪽 공기를 충격하므로 후면 발생음이 진동판(4)을 중심으로 뒤쪽으로 진행하는 소리가 발생된다.
이와 반대로 E에서 F까지는 진동판(4)의 전면이 앞쪽의 공기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판(4)의 전면에서 소리가 발생하여 앞쪽으로 진행하고 진동판(4)의 후면에서는 H에서 I까지 처럼 최후면에서 최전면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진동판(4)의 후면의 공기의 충격을 주지 못 하므로 후면에서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표 2의 설명을 그림으로 표시하면 표 3처럼 된다.
[표 3]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6

◈ K는 전면 발생음
◈ J는 후면 발생음
◈ L은 전후면에서 소리 나지 않는 부분이다.
표 4는 보는 바와 같이 E에서 F까지와 G에서 H까지가 합쳐져서 완전한 좌형을 형성하는 결과이다.
[표 4]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7

표 5는 후면 발생음이 유도커버(2)에 반사되어 전면부로 보내는 현상을 그린 그림이다.
[표 5]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8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음역대는 스피커(1)의 진동판(4)이 최전면에서 최후면으로 가는 동안을 발하는 표시 "
Figure 112006506717130-pat00009
" 에 해당하며, 양역대라 함음 진동판(4)이 최후면에서 최전면으로 진행하면 전면 발생음을 발생시키는 표시 "
Figure 112006506717130-pat00010
"를 말한다.
[표 6]
Figure 112006506717130-pat00011

표 6은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1)의 작동 예이며, 가운데에서는 전면 발생음 영역이며, 테두리의 부분은 후면 발생음이 반사 유도되어 나오는 공간이다.
[표 7]
Figure 112006506717130-pat00012

표 7은 후면 발생음 영역과 전면 발생음 영역이 합하여 표 1과 같은 완전한 좌형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피커에서는 앞소리와 뒷소리가 어울리지 못하고 따로 다른 방향에서 움직이므로 서로 어울리지 못하여 명료도가 떨어지고 듣는이가 짜증나는 결과로 다가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후면발생음을 전면으로 유도하는 유도커버를 일체로 부착하여 전면발생음과 같이 동시에 출력되어 현장감 있는 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에 유도커버를 부착하기 때문에 스피커 캐비닛이 필요 없고, 소리가 선명하며, 원음 그대로를 재현하고, 전면발생음과 후면발생음을 같이 출력하도록 2개의 스피커가 필요 없으며, 스피커 캐비닛이 필요 없으므로 작고 얇고 제작이 용이하며, 후면발생음이 콘의 떨림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음향기기에 있어 기기 내부를 진동하지않아 내구성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면부터 진동판, 댐퍼, 리드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진동판과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진동판을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는 통공되어 진동 코일, 요크, 마그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 외주 일측단에는 진동 코일과 접속되며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가 마련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을 감싸는 프레임의 외주면 중앙에 부착되어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전면으로 감싸지게 포개져 진동판의 후면으로 발생되는 후면발생음을 스피커의 전면으로 유도 반사하여 전면발생음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유도커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후면에 프레임을 대체하여 감싸지도록 유도커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3. 제 1항에 있어서,
    고음역 스피커에 있어서, 마그네트 후면에는 유도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 유도커버가 긴밀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KR1020050005468A 2005-01-20 2005-01-20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Expired - Lifetime KR10064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68A KR100646041B1 (ko) 2005-01-20 2005-01-20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PCT/KR2006/000222 WO2006078133A1 (en) 2005-01-20 2006-01-20 A speaker embodying a stereo sound
US11/814,261 US7878296B2 (en) 2005-01-20 2006-01-20 Speaker embodying a stereo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68A KR100646041B1 (ko) 2005-01-20 2005-01-20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684A KR20060084684A (ko) 2006-07-25
KR100646041B1 true KR100646041B1 (ko) 2006-11-14

Family

ID=3669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468A Expired - Lifetime KR100646041B1 (ko) 2005-01-20 2005-01-20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78296B2 (ko)
KR (1) KR100646041B1 (ko)
WO (1) WO2006078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41B1 (ko) * 2005-01-20 2006-11-14 이인희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US7866438B2 (en) * 2008-06-27 2011-01-11 Rgb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udspeaker assembly
US8327974B1 (en) * 2011-08-08 2012-12-11 Smith Jr Harold N Sound enhancing apparatus
US8459404B2 (en) * 2011-08-09 2013-06-11 Bose Corporation Loudspeaker
US8522917B1 (en) * 2012-05-25 2013-09-03 Kwang J Oh Cell phone sound amplifying extend cup
DE102019108423B4 (de) * 2019-04-01 2021-08-05 Svetlomir Aleksandrov Lautsprecherbox und Lautsprecher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442A (en) * 1936-07-24 1938-07-12 Zenith Radio Corp Loud speaker
US2971598A (en) * 1956-08-23 1961-02-14 Sieler George Jerome Loud speaker
US3023830A (en) * 1958-03-21 1962-03-06 Benjamin W Lowell Combination loudspeaker mounting and lamp
US4082159A (en) * 1976-05-24 1978-04-04 Mar-Kel Lighting, Inc. Ceramic speaker enclosure
US4210223A (en) * 1978-01-25 1980-07-01 Klipsch And Associates, Inc. Low frequency folded exponential horn loudspeaker apparatus with bifurcated sound path
US4314620A (en) * 1980-06-02 1982-02-09 Gollehon Industries, Inc. Loudspeaker with cone driven horn
US4618025A (en) * 1980-09-15 1986-10-21 Sherman Dan R Acoustical ducting for speakers and enclosures
US4592444A (en) * 1983-02-28 1986-06-03 Perrigo Stephen M Low frequency speaker enclosure
JPS60100900A (ja) * 1983-11-07 1985-06-04 Sony Corp エツジレススピ−カ
JPH067711B2 (ja) * 1985-08-30 199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カ
CA1279270C (en) * 1986-07-11 1991-01-22 Kenichi Terai Sound 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DE3700539A1 (de) * 1987-01-10 1988-07-28 Joachim Weckler Elektroakustischer apparat zur wiedergabe tiefster und mittlerer frequenzen
NZ225001A (en) * 1987-06-16 1990-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udspeaker: reflected sound waves absorbed
JPH02152397A (ja) * 1988-12-03 1990-06-12 Katsutoshi Sugihara 低音域音質改善スピーカーエンクロージャー
JPH0298593U (ko) * 1989-01-23 1990-08-06
US4928788A (en) * 1989-06-12 1990-05-29 Erickson Jon B Ported automotive speaker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US5197103A (en) * 1990-10-05 1993-03-23 Kabushiki Kaisha Kenwood Low sound loudspeaker system
AU3528393A (en) * 1992-03-23 1993-09-30 Sonic Systems, Inc. Wide coverage angle ceiling mounted loudspeaker
US5313525A (en) * 1992-04-02 1994-05-17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with secondary quarterwave resonator
US5996727A (en) * 1993-08-09 1999-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xterior noise absorbing cover for automotive loudspeaker
US5637840A (en) * 1994-03-02 1997-06-10 K & J Electronics, Inc. Miniaturized high power speaker
US6062339A (en) * 1995-11-27 2000-05-16 Hathaway; Dana B. Compact spiral cavity loudspeaker enclosure
US5821471A (en) * 1995-11-30 1998-10-13 Mcculler; Mark A. Acoustic system
KR100188280B1 (ko) * 1996-04-22 1999-06-01 윤종용 스피커 시스템
US5804774A (en) * 1996-11-20 1998-09-08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Ported reflex horn
KR100198290B1 (ko) * 1996-11-27 1999-06-15 구자홍 돔스피커 시스템구조
JPH11220789A (ja) * 1998-01-30 1999-08-10 Sony Corp 電気音響変換装置
US6144751A (en) * 1998-02-24 2000-11-07 Velandia; Erich M. Concentrically aligned speaker enclosure
US6012542A (en) * 1999-06-15 2000-01-11 Accordino; John A. Bass amplifying system for radios
US6349792B1 (en) * 2000-04-07 2002-02-26 Harold N. Smith, Jr. Sound enhancing speaking cabinet for a removable speaker assembly
WO2002060219A1 (fr) * 2001-01-26 2002-08-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aut-parleur monte dans un vehicule
US6568502B2 (en) * 2001-04-11 2003-05-27 Shih Ming Chang Sounder, speaker and sound head using the sounder
US6862360B2 (en) * 2001-04-19 2005-03-01 Jen-Hui Tsai Speaker system
GB2380091B (en) * 2001-09-21 2005-03-30 B & W Loudspeakers Loudspeaker system
JP4006636B2 (ja) * 2002-10-24 2007-11-14 日本電気株式会社 複合型スピーカ
JP4090842B2 (ja) * 2002-10-28 2008-05-2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US20040159490A1 (en) * 2003-02-03 2004-08-19 Marlin Bruce E. Compact loudspeaker and control switch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adjusting a loudspeaker in a partition
US7025170B2 (en) * 2003-11-03 2006-04-11 Steff Lin Speaker
KR100646041B1 (ko) * 2005-01-20 2006-11-14 이인희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TWM276411U (en) * 2005-02-23 2005-09-21 Compal Electronics Inc Speaker assembly with light-emitting functionality
US7436972B2 (en) * 2006-06-28 2008-10-14 Bouvier Peter M Folded coaxial transmission line loud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0688A1 (en) 2008-08-14
WO2006078133A1 (en) 2006-07-27
KR20060084684A (ko) 2006-07-25
US7878296B2 (en)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96B1 (ko)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이중 주파수 저음강화 이어폰
EP2869593B1 (en) Earphone device
KR101088429B1 (ko) 이어폰
JP7238137B2 (ja) 拡声アセンブリ及び拡声器
US10264349B2 (en) Combined-type phase plug, and compression driver and speaker using same
KR101185803B1 (ko) 소형의 커널형 이어폰
KR20040035762A (ko) 2개의 진동판을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WO2015062460A1 (zh) 点音源模组扬声器及其制造方法
JP2005534238A (ja) 電気音響変換器、変換器において使用されるコイル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システム製造方法
CN102196329A (zh) 耳机
US10820113B2 (en) Speaker
CN110730410A (zh)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JP2008270879A (ja) 受話装置
US7878296B2 (en) Speaker embodying a stereo sound
JP3198476U (ja) 音域切替イヤホン
KR20060058078A (ko) 휴대단말기용 기능성스피커
KR101539064B1 (ko) 다수개의 울림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KR102625408B1 (ko)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JP6439894B1 (ja) スピーカ湾曲振動板
KR100418487B1 (ko) 두 채널 일체형 박형 스피커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KR102741565B1 (ko) 공간감 향상용 이어폰
TWI542225B (zh) 聲音播放裝置
JP2020043547A (ja) イヤホン用スピーカ
KR20180073025A (ko) 일체형 3-way 평판형 슬림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